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중성리비의 서사구조와 6부인의 지배이념

        여호규(Yeo, Ho-Kyu) 한국고대사학회 201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3

        이 글은 포항 중성리신라비와 냉수리신라비, 울진 봉평리신라비 등 3비의 서사구조와 6부인의 지배이념을 고찰한 것이다. 3비의 서사구조는 기본적으로 동일한데, 왕경[중앙]에서 이루어진 敎의 議決[判示], 현지에서 이루어진 敎의 執行, 현지인에 대한 敎의 告知 등 세 단락으로 이루어졌다. 중성리비와 냉수리비의 경우, 敎의 집행이 거의 동일한 절차로 진행되었다. 중앙에서 파견된 실무자[白집단/典事人]가 하늘을 향해 교의 의결내용을 아뢴 다음, “다시 쟁송을 일으키면 重罪를 줄 것이다”는 경고를 拔[白口]하고, 敎의 집행 전반을 기록해 입증했다. 다만 중앙에서 파견된 실무자가 하늘을 향해 敎의 의결내용을 아뢰었기 때문에 현지 유력자가 별도로 현지인에게 교의 내용을 고지했다. 이때 각 비문에서는 현지인이 사는 공간을 ‘世/世中’으로 표현했는데, 복속지역에 대한 6부인의 인식을 잘 보여준다. 6부인들이 자신을 ‘하늘[天]’과 연계된 존재로 자처하면서 복속지역을 이와 대비되는 ‘世中’으로 인식했던 것이다. 신라 6부인들이 天孫으로 자처하며 하늘의 권위를 빌어 복속지역[지방]을 지배했던 것이다. 이에 6부인들은 복속지역을 지배하며 하늘의 권위를 부여받은 존재임을 끊임없이 연출했는데, 하늘을 향해 敎의 의결내용을 아뢴 모습은 이를 잘 보여준다. 다만 지배체제 정비와 더불어 하늘의 권위를 빌리는 측면보다 통치력을 직접 행사하는 면모를 강조했다. 중성리비 이후 하늘을 향해 敎의 의결내용을 아뢰는 면모가 축소되고, 비문 비중이 敎의 執行 단락에서 議決 단락으로 옮아간 양상은 이를 잘 보여준다. This paper examines the narrative structure and the governing ideology of six political units called ‘Bu(部)’, including Pohang Jungseongri Stone Monument, Pohang Naengsuri Stone Monument and Uljin Bongpyeongri Stone Monument in Silla Dynasty. The examination found that the three epitaph’s narrative structure was essentially the same, consisting of three paragraphs : decision, execution, and notice of comm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Jungseongri Stone Monument and Naengsuri Stone Monument, the execution of command was carried out in almost the same procedure. The central dispatched staff member spoke the decision contents of command toward the sky, then issued a warning that “If you cause trouble again, we’ll give you a serious offense,” and documented the whole execution. However a working-level official who was dispatched from the center spoke the contents of command toward the sky rather than directly to the local people. As a result, a local authority separately informed the local people of the command’s contents. In each inscription, all the spaces where the local people live were described as ‘world(世/世中)’, which illustrates the perception of the conquest area of the six political units’ people. The people of six political units recognized themselves as being connected to the ‘sky’, while the space where the locals lived was perceived as a ‘world’ compared to ‘the sky=the six political units’. From the 5th to the early 6th centuries, the people of the six political units of Silla Dynasty recognized themselves as a descendant of heaven and ruled the conquest area with authority from heaven. As a result, the people of the six political units had to constantly direct themselves as being given the authority of heaven to rule the conquest area. This aspect is illustrated by the fact that a working-level official spoke the contents of command toward the sky in Jungseongri Stone Monument and Naengsuri Stone Monument. However, they stressed that they exercised their power in person rather than borrowing authority from heaven, along with the reorganization of the ruling system. This aspect is illustrated by the fact that the scene of spoking the decision contents of command toward the sky has diminished and the portion of the epitaph shifted from the execution paragraph of command to the decision paragraph of command.

      • KCI등재

        포항중성리신라비의 構造와 내용

        朱甫暾(Ju, Bo-don) 한국고대사학회 2012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5

        포항중성리신라비는 신라 最古의 碑임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2009년 발견 이후 지금까지 2년여의 세월이 흐르면서 수많은 연구자들이 동원되어 그 내용 파악을 위하여 노력하여 왔다. 그렇지만 아직껏 그 내용이 선명하게 드러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백가쟁명의 양상을 보인다고 함이 실상에 가까운 정확한 표현일 듯 싶다. 그렇게 된 이유로는 여러 가지를 손꼽을 수 있겠지만 기본적으로는 비문이 세워질 당시의 사정에 대해 우리가 가진 정보와 이해가 매우 부족한 데서 말미암는 것으로 생각된다. 필자는 그 가운데서도 특히 당시 비문 작성자의 입장을 깊이 고려하지 않은 접근방식이 문제를 안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래서 가능한 한 문장의 구조를 비문 작성자의 입장을 바탕에 깐 분석이 긴요함을 力說하고, 나아가 그에 따른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여 보았다. 그 결과 구조 파악에는 상당한 성과를 올릴 수 있어 전반적인 윤곽은 비교적 확연하게 드러났다고 판단한다. 다만 구체적인 내용상 아직 未盡한 부분이 적지 않게 남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혼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앞으로의 課題로 미루어 두었다. The Pohang Jungseongri Silla Stone Monument was confirmed to be the oldest Silla Stone Monument. Many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translate the contents of the on this monument for 2 years since its discovery in 2009, but so far the contents has not been translated clearly. It is all researchers who attempted to translate the contents claim that their own translations are correct.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this, but basically it is due to lack of our information and understanding on the circumstances at the time of this Stone Monument established. Among these reasons, this author determined that especially the approach method not deeply considering the position of the writer at that period. Therefore, this author asserted the importance of analysis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writer for the sentence structures and attempted a new approach accordingly. As a result, this author was able to make a significant achievement for determining the sentence structures, revealing the outline of the contents clearly. However, still some specific details of the contents remain unsatisfactory. These details are put on for future projects in order to avoid complexity.

      • KCI등재

        <浦項中城里新羅碑>의 宮과 本波

        이수훈(Lee, Su-Hu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7 한국민족문화 Vol.62 No.-

        본 논문은 <포항중성리신라비>(501년)의 (豆智沙干支·日夫智)宮과 本波를 새롭게 검토하여, 이 비에 기록된 분쟁의 실체를 밝혀보고자 작성되었다. 그 내용을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포항중성리신라비>에서 분쟁을 일으킨 주체는 4개 촌락(居伐·蘇豆古利村·那音支村·珎伐)의 유력자들이며, 분쟁의 대상물은 豆智沙干支宮과 日夫智宮이고, 두 宮을 억울하게 빼앗겼다가 처리(판결·집행) 과정을 통해 본래대로 되돌려 받은 쪽은 牟旦伐이었다. 둘째, <포항중성리신라비>의 (豆智沙干支·日夫智)宮은 단순히 집이나 가문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宮에 부속된 토지(田莊)의 관리권을 의미한다. 분쟁이 宮의 소유자인 豆智沙干支와 日夫智가 배제된 채, 제 3자(牟旦伐과 4개 촌락의 유력자들) 사이에 벌어진 만큼, 宮의 소유권을 둘러싼 문제는 아니었다. 어디까지나 宮에 딸린 토지(田莊)의 관리권―토지(田莊) 소유자를 대신하여, 토지(田莊)와 경작자를 직접 관리·감독하거나, 수취를 관장하면서 파생되는 권리―을 차지하기 위한 분쟁이었다. 셋째, <포항중성리신라비>의 本波와 喙을 ‘本波喙’으로 묶고, 이를 신라 6부의 하나인 ‘本彼部’로 볼 근거는 없었다. 실제 6세기 신라의 금석문 중에서, ‘本彼部’를 ‘本波喙’으로 지칭한 사례는 아직까지 확인되지 않는다. 오히려 <포항중성리신라비>의 本波는, <성산산성목간>의 本波(직명)가 ‘檢數’ 작업과 관련된 사례를 참고할 때, ‘檢證人’ 정도로 이해함이 좋을 듯하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gung(宮) and bonpa(本波) in Pohang Jungseongri Silla Stone Monument and reveal the reality of the conflicts recorded in the monument. The summary is as follows. First, in the conflicts in the monument, the subject was the heads of four villages, the object was gung in dujisaganji(豆智沙干支) and ilbuji(日夫智), and the victim was modanbeol(牟旦伐). Secondly, gung in the monument don’t simply refer to the house. It means the management right of the land attached to gung. Thirdly, it is difficult to see bonpa in the monument as bonpibu, one of Six Divisions. Rather, it is understood as a ‘verifier’, given the case that the title named bonpa in the monument is related to inspection work.

      • KCI등재후보

        포항 중성리신라비와 영일 냉수리신라비의 재질특성과 산지해석 및 훼손도 진단

        이명성,한민수,김재환,김사덕 국립문화재연구원 201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3 No.3

        2009년 5월에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중성리 도로개설 공사현장에서 발견된 중성리신라비는 부정형 암석의 한 면에 200여 개의 글자가 음각되어 있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신라시대 비석 중 가장 오래된 영일냉수리신라비보다 먼저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성리신라비의 구성암석은 흑운모가 다량 함유된 흑운모화강암이며 냉수리신라비는 장석과 각섬석이 반정을 가지고 있는 화강섬록반암으로 추정된다. 이 암석에서는 유색광물의 집합체인 포획암과 작고 불규칙한 공동이 관찰되며, 신광면 일대에 분포하는 흑운모화강암 및 기계면 일대에 분포하는 화강섬록반암과 유사한 암석으로 판단된다. 중성리신라비와 냉수리신라비에 나타나는 훼손현황은 변색에 의한 오염과 부분적으로 관찰되는 균열과 부재의 탈락이다. 이는 비의 안정성에는 특별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이나 중성리신라비의 전면에 걸쳐 발생된 흑색 및 갈색 변색은 미관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성리신라비에서 관찰되는 흑색변색은 상대적으로 Mn과 Fe이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갈색변색 부분은 Fe가 높게 측정되었다. 중성리신라비와 냉수리신라비의 초음파속도 분포 경향과 전체적인 풍화도를 비교 분석해보았을 때, 두 비 모두가 중간풍화단계(MW)에 해당되나 중성리신라비가 넓은 초음파 속도 분포를 보이며 평균적으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는 최근 발견되기까지 아무런 보호시설 없이 매장 및 자연환경에 노출되어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향후 보존처리와 더불어 적절한 보존환경을 마련하는 등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Silla Stone Monument in Jungseongri was found during the road-construction in Pohang. It has approximately two hundreds of letters inscribed on the surface of one side, and it is estimated to be older than Silla Stone Monument in Naengsuri which had been known for the oldest stele in Silla Period. This monument is made of fine to medium-grained biotite granite, while the Silla Stone Monument in Naengsuri is made of fine-grained granodioritic porphyry bearing feldspar and amphibole phenocrysts. Both rock types of the monuments are interpreted to be cognate with biotite granite in Shinkwangmyeon, and with granodioritic porphyry in Gigyemyeon. They are characterized by xenolith and miarolitic cavity. Damage aspects in both monuments are discoloring, cracking and breaking. These damages do not cause structural instability of the monuments, but attenuate aesthetic value. Black and brown discoloring contaminants on the surface of the Jungseongri Monument contain a high amount of manganese and iron. As a result of ultrasonic test, both monuments were evaluated to be medium-weathered (MW), although the velocity of the Silla Monument in Jungseongri was slightly lower than the Silla Monument in Naengsuri. This is because the Monument in Juengseongri had been exposed to outdoor environment for long time until the discovery. It is necessary for Silla Monuments to be protected by appropriately environmental control and management.

      • KCI등재

        신라의 분쟁 처리와 지방지배-중성리비와 냉수리비 비교분석-

        서지영(Seo, Ji-young) 신라사학회 2021 新羅史學報 Vol.- No.53

        「중성리비」와 「냉수리비」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서술방식의 차이는 있지만, 분쟁을 처리하는 절차와 구성원의 역할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하급의 실무진이 사건을 조사하고, ‘간지’급 이상의 고위 지배층이 판결한 뒤 교를 내렸으며, 도사 등의 실무진이 판결내용을 집행하였다. 다만 下敎를 내린 의결집단과 집행을 담당한 실무 집단의 소속부와 관등의 양상은 차이가 있었다. 「중성리비」는 왕을 비롯하여 탁부, 사탁부인으로 의결이 이루어졌지만, 「냉수리비」는 탁부, 사탁부 이외 본피부와 사피부의 "간지" 계층도 참여하였다. 「냉수리비」의 "간지"들은 신라 왕의 소집 명령을 받아 국정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비록 과거 사로국 단계의 위호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었지만, 신라 왕에게 용인 받은 세력으로 관료집단으로 편제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냉수리비」에서 본피부와 사피부인이 의결집단에 참여한 것은, 部의 수장적 지위보다 국왕의 관료로 편제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본피부와 사피부인이 보유한 간지 관등은 기존 部主의 전통적 지위를 명목상 인정해 준 것으로, 일원적 관등체계가 마련되기 전 명예적 성격이 강한 간지를 예우하는 과도기적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집행을 담당한 중앙의 실무진은 두 비 모두 탁부와 사탁부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나마 이하 하급관등자와 도사가 중심이었다. 「냉수리비」는 판결을 집행한 실무진을 ‘典事人’으로 하여 하나의 직군으로 기록하였지만, 「중성리비」는 역할에 따라 분산된 채 기록되어 있었다. 판결을 알리는 방식도 「중성리비」는 典書 여모두가 판결 사실을 기록하고 심도리를 통해 널리 알린, 반면 「냉수리비」는 중앙의 ‘典事人’이 “煞牛拔誥” 한 뒤 ‘故記’하였고, 이것을 다시 촌주가 “世中了事”하고 故記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냉수리비」에서의 사건 처리는 중앙 왕경인 집단의 판결 집행, 지방 촌주의 확인이라는 이중적 절차를 행한 것이며, 중앙에서 지방으로의 ‘敎令’ 전달 체계를 알 수 있다. 두 비의 분쟁은 모두 경제적 이권을 둘러싼 다툼이다. 「중성리비」의 분쟁은 두지사간지와 일부지가 빼앗은 4개 촌을 모단벌탁으로 다시 돌리는 수취와 관련된 문제이고, 「냉수리비」는 절거리 개인의 재산과 관련된 다툼이었다. 이 두 비는 농업생산력 증대와 이에 따른 재화의 유통, 市肆와 東市의 설치 등 당시의 경제적 상황을 잘 보여준다. 또 「냉수리비」는 "별교"의 형태로 상속자를 명시하였고, 패소측에게 이의를 제기하면 중죄를 받을 것임을 서약하도록 하여 법을 강제하였다. 이것은 지역, 촌에서 일어난 분쟁에 신라중앙이 개입하여 판결을 내리고, 이를 준수하도록 강제하여 지방에 미치는 중앙의 통치력을 확인할 수 있다. 6세기 초 신라 중앙은 이러한 방식을 통해 지방에 행정력을 발동하고, 지방지배를 실현해나가고 있었다. Jungseong-ri Silla Stone Monument, Naengsu-ri Silla Stone Monumen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e aspects of disputes and their handling process were examined. The two inscriptions were different in the way they were written. The procedure for handling disputes was the same. All the voting groups were high-ranking officials above the kan-ji(干支). The working group consisted of people who held official positions such as nama-gwan-deung(奈麻-官等) or lower-ranking officials. Judgment and execution of disputes were centered on the king, the people of Tak-bu(喙部) and Satak-bu(沙喙部). The operation of the state was decided only by the king, Tak-bu(喙部) and Satak-bu(沙喙部) without going through a six-bu(6部) agreement. In the public opinion group of Naengsu-ri Silla Stone Monument, people such as Gan-ji-gwan-deung(干支-官等) and others from Bonpi-bu(本彼部) and Sapi-bu(斯彼部) participated. This indicates that he belongs to the royal priesthood, not the head of the bu(部). Bonpi-bu, Sapi-bu, and Jamtak-bu of Naengsu-ri Silla Stone Monument, Bongpyeong-ri Silla Stone Monument took part in state affairs by referring the kan-ji. This is an undifferentiated bureaucracy used in the governance structure of small countries in the past. They were discriminated against by the king"s religious group. Modanbeol-tak (牟旦伐喙) and bonpa-tak(本波喙) are the structures of kan-ji-ilbeol(干支-壹伐) for public opinion-group. The Ch"on(村) shows a similar form in the structure of kan-ji-ilgeumji(干支-壹金知). Tak-bu(喙部) and Satak-bu(沙喙部) revealed their superior status through the use of differentiated kanji series including ilganji(壹干支). bu of Modanbeol-tak(牟旦伐喙), bonpa-tak(本波喙) and Ch"on(村) use different government structures, and a social structure that is divided into stages appears.

      • KCI등재

        포항 중성리신라비 비문의 형식과 분쟁의 성격

        박성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1 한국문화 Vol.55 No.-

        Pohang Jungseongri Silla Stone Monument was discovered in 2009 and has been studied for over 2 years. However, its inscription couldn’t be understood because there are many lists of names and a few verbs. There is a gyo (敎, king’s order) in the inscription, but it has not been agreed on what the content of the gyo is. I think that it is because the inscription is not the record of the gyo itself, but that of the procedure to resolve a dispute by the gyo. The gyo was issued in the first sentence, but the content of it was not revealed. That was proclaimed by two officials dispatched to the place where the troubled object was located. The content of it was that the houses of Duji Saganji and Ilbuji should return the something to the farmers of Modanbeolwhe (牟旦伐喙). In the latter part of the inscription, a servant of Saganji said, “If someone raises objection, he will be heavily punished.”The words of the servant can be interpreted as a vow that his master would revive such a illegal act. Silla was formed of 6 bus (部, tribes) and was operated by them. Each bu possessed farmlands around the capital. Hwe-bu (喙部) and Sahwe-bu (沙喙部)directly under the king got to have more power by the early 6th century. Some relatives and close subjects of the king were transformed into aristocrats. Duji Saganji and Ilbuji seems to had been aristocrats from the relatives of the king. The dispute in the inscription was that the rising aristocrats’ families stole the farmland which Modanbeolhwe-bu had possessed. The judgement was to return the farmland immediately. However, the aristocrats weren't punished and their servant just vowed not to revive such a disseis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