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주거교육 연구의 동향육학회지와 일본가정과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장상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rends of education researches on the housing in Korea and Japan. It was based on th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Journal of the Japan Associ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the inquiry, 49 articles(20 from Korea and 29 from Japan) were collected from 1989 to 200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the articles of housing education was not quantitatively enough compared to the other fields in Korean and Japan. Second, regarding research fields, there were lots of articles about ‘the perception of housing education’ and ‘teaching-learning method & teaching materials’ in Korea. On the other hand in Japan, articles about ‘teaching-learning method & teaching materials’ and ‘the evaluation of education’ were major fields. Third, the major research topic was ‘overall of the housing education’ in Korea, while ‘living space’ in Japan. Fourth, the major data collecting method were questionnaire surveys and experiments, mostly targeting students and teachers from junior and high schools.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ies, percentages and means were most often used for data analyses. 주제어(Key Words) : 주거교육(housing education), 연구동향(trends of research), 한국가정과교 육학회지(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일본가정과교 육학회지(Journal of the Japan Associ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이 연구는 주거교육 관련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주거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와 일본가정과교육학회지를 대상으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창간 시점인 1989년부터 2006년까지의 한국과 일본의 주거교육 연구의 동향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회지의 발행 현황은 한국과 일본의 모두 주거교육 관련 연구가 양적으로 많지 않았는데 일본의 경우가 한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았으나 최근으로 올수록 한국에서의 주거교육 관련 연구가 더욱 활발하다. 연구영역은 한국에서는 교과인식과 교수학습방법 및 교재연구가 많은 반면, 일본의 경우는 교수학습방법 및 교재연구와 교육평가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주제단원은 한국에서는 주생활 단원 전반이 가장 많았던 반면, 일본은 주거공간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연구방법은 한국과 일본 모두 조사연구와 실험연구 방법을 적용시킨 연구가 상당부분 차지하는데, 한국은 조사연구의 비율이 실험연구에 비하여 매우 높았고, 일본은 조사연구와 실험연구의 비율 차이가 많지 않은 편이었다. 연구대상은 한국과 일본 모두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한 비율이 높았고 일본의 경우 연구대상의 범위가 다양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규모는 한국과 일본 모두 300명대 이하의 연구가 대체로 많은 편이었다. 분석방법은 두 나라 모두 기술통계를 가장 많이 적용하고 있었다.

      • KCI등재

        실과(기술·가정)교육 분야 연구의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

        이윤정,김은정,김지선 한국실과교육학회 2019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social network among co-authors, focusing on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JKPA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JKHEE), and Journal of Korean Technology Education(JKTE). The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was adopted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es and structural attributes of co-author networks, the centrality indices of researchers, and the academic influences and relationships among auth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ntage of co-authored works in the three journals was 72.5% through 79.5%, which is relatively high, and the percentage for JKTE was the highest among the three. In case of JKPAE, the number of single author works was the highest, yet more two-author works were included in JKHEE and JKTE. Over 60% of the authors were professors in JKPAE and JKHEE, compared to 45.5% in JKTE, which indicates more diverse authors published in JKTE. For JKTE, the percentage of student authors was low, and the percentage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researchers, and others were higher than the other two journals. Second, the three journals’ co-author network analysis revealed that the density and average degree were highest for JKPAE, and lowest for JKHEE. JKHEE had twice as large the number of components than the other two journals, and the number of components size over 5 was also larger, with smaller mean distance and mean diameter. Third, the co-authors’ in-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node-betweenness centrality, and eigenvector centrality in the networks were calculated in order to identify the influential researchers in the fields. There were overlapping authors between JKPAE and JKTE, but not between JKPAE and JKHEE. Also, the influential authors among authors of JKPAE were more likely to be in the technology education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more interactions among the researchers are needed in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Education, through integrative and collaborative research. 이 연구는 실과(기술․가정)교육 분야의 연구자 간 학술 네트워크의 구성을 파악하기 위해 SNA를 활용하여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2010년부터 2018년 8월에 발간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한국기술교육학회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NetMiner 4를 이용하여 공저자 네트워크를 구성하였으며, 그 구조적 속성과 연구자들의 중심성을 파악하여 저자의 학술적 영향력 및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 학술지의 공저논문의 비율은 72.5%에서 79.5%로 높은 편이었으며, 그 중 한국기술교육학회지의 공저비율이 가장 높았다. 한국실과교육학회지는 저자수 1명,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와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저자수가 2명이 가장 많았다. 특히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8명 이상의 다수 저자가 공저한 논문도 많았다. 학술지 저자의 직업은 한국실과교육학회지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경우 60%이상이 교수였으나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45.5%로 교수 외의 저자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실과교육학회지는 학생의 비율 낮으며, 한국기술교육학회지는 교사, 연구원, 기타의 비율이 다른 두 학술지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 둘째, 세 학술지의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 결과 네트워크의 밀도와 평균 연결도는 실과교육 분야가 가장 높았고 가정교육 분야가 가장 낮았다. 또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경우 컴포넌트의 수는 다른 두 학술지의 2배가 넘었으며, 5개 이상의 노드를 가지고 있는 컴포넌트수도 많았고, 평균 거리와 네트워크 지름도 다른 학술지에 비하여 짧은 편이었다. 셋째, 세 학술지의 공저자 네트워크의 연결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아이겐벡터 중심성을 계산하여 각 연구 분야에서 높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연구자들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와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저자들은 공통저자가 많은 데 비하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 저자들은 한국실과교육학회지의 저자들과 공통된 경우가 많지 않았다. 또한 실과교육 분야의 저자들 중 영향력이 높은 집단은 대체로 기술교육 분야의 저자들임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실과(기술․가정)교육이 다양한 학문 공동체로서의 연구자들 간의 상호 교류를 통한 통합적, 융합적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이용한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이윤정,김은정,김지선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in home economics education using network text analysis method. The 586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between July, 2003 and December 2018 were examined using Neckinger 4, a social network analysis software. The frequency and centrality measures(degree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were calculated for the words appeared throughout the whole period, and the centrality analysis and LAD(Latent Dirichlet Allocation) were conducted for the four sub-peri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words are parents, culture, unit, health, career, consumption, practicality, etc. The words such as parents and management scored high in degree centrality; parents and male students in closeness centrality; and male students and units in betweenness centrality. Second, when divided into four periods, the words such as education, family, purpose, class, middle school, and school appeared most frequently across the periods; but some words such as ‘purpose’ (in period 3 and 4), or ‘process’ (in period 4) were salient only in certain periods. Third, the words with high centrality were consistent regardless of the types of centrality within each period. Fourth, the topic analysis using LAD showed that curriculum, textbook, family healthiness, teaching-learning, evaluation, dietary life, appearance management, and consumption were the topics consistently appeared across all periods. The topics have become diversified and deepened. New topics such as teacher training and safety appeared in later periods, possibly due to the curriculum and national policy changes, and housing as a less represented topic is suggested as an area that needs further research attent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 in that it allows researchers to identify the major research interests and the trends in research by researchers in home economic education.

      • KCI등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의「인간발달․가족」분야에 대한 20년 연구 동향 분석;성과와 과제

        조병은,이현정,이종희,주현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1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the research trends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whi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for last 20 years. A total of 93 studies were analyzed in the area of nature and philosophy of Home Economic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learning method and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Research topics mainly examined in the area of curriculum development,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psychological and school adjustment of the adolescent and family relations. Reviews in methodological issues result in the heavy usage of survey metho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convenient sampling and descriptive studies. Although research on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in Home Economic Education has increased in quantity, there are greater needs to develop studies with representative subjects, various research methods, teaching - learning methods, and teaching materials to capture the rich complexity of individual development and family life. Limitations on previous studie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에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에 실린 인간발달과 가족분야에 관한 논문을 교과교육학(가정과교육철학과 교사의 전문성, 가정과교육과정, 가정과교수ㆍ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교과내용학(인간발달, 가족학)으로 나누어 연구주제, 연구방법 측면에서 분석하여 연구동향과 성과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총 93편의 논문을 5영역에서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육철학과 교사의 전문성 연구는 다른 주제의 연구에 비해 연구가 매우 부족하였으며, 주로 가정과 교육의 본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가정교과의 당위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가정과 교육과정의 이해 연구는 최근 들어 연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가정과 교육과정의 체계, 가정과 교육과정과 수업과의 관계, 가정과 교육과정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주된 연구는 가정교과 교과서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였다. 이론을 적용하여 교과서를 분석한 연구는 매우 적었고, 주로 출판사별로 비교하거나 외형적인 분석을 하고 교과내용의 구성을 연구한 경우가 많았다. 셋째, 가정과 교수ㆍ학습 및 평가에 관한 연구는 가정과 교수ㆍ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과 교수ㆍ학습방법과 실제에 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가정과 평가방법과 실제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가정과 교과교육학의 발전을 위해 가정과 평가에 대한 연구가 더욱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넷째, 인간발달과정에서 청소년기를 중심으로 발달 특성과 문제를 다루고, 부모됨과 부모역할에서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역할을 주로 다루어 대부분의 연구가 청소년의 긍정적 발달을 위한 가정과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섯째, 가족관계와 가족문제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가족환경 특히,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심리적 적응에 긍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교과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교과내용에 관한 연구보다 적어 가정과 교육의 현장적용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 연구되어져야 한다. 또한 편의표집으로 설문지를 통한 한사람의 응답으로만 수행된 조사연구가 많아 다양한 연구방법, 현장적용연구의 확대 등의 문제는 향후연구가 극복해야 할 과제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