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懲毖錄』의 성립과정과 서술의 변모-『亂後雜錄』과 초본 『懲毖錄』의 비교를 중심으로-

        강창규 동양한문학회 2022 동양한문학연구 Vol.63 No.-

        The first draft of 『Jingbirok』, 『Nanhu Japrok』, is a handwritten copy of Ryu Seong-ryong, which vividly shows the early records written by Ryu Seong-ryong. Ryu Seong-ryong wrote 『Nanhu Japrok』with his experience and knowledge since he returned to his hometown in February 1599, and based on this, the first draft 『Jingbirok』 was established.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review these two works to understand Ryu Seong-ryong's narrative change and to find out the intention and context contained therein. First, we looked into the timing of the writing. 『Nanhu Japrok』 is after examining the records of Kwak Jae-woo and Yi Sun-sin, it is estimated that they were mainly written around 1600. 『Jingbirok』 is estimated to have been around 1601-1604, after tha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system and composition of the two works, it was found that the preliminary history was strengthened, relatively rearranged in chronological order, and Ryu Seong-ryong's own activities were further reinforced. In the description, the difference between 『Jingbirok』 and Nanhu Japrok is as follows. First, the part of excessive criticism of wages and criticism of oneself was described by mitigating or deleting. Second, the article was further supplemented by collecting information. Information on righteous army activities in each region was further supplemented, and more information and organized descriptions were also seen in other descriptions. Third, the narrative about Yi Sun-sin was further strengthened. This change in narrative occurred after the war, in the process of strongly holding Ryu Seong-ryong responsible for the war. While staying in his hometown, Ryu Seong-ryong described how much he struggled for the king and the country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narrative strategies carried out to this end were successful. This is why we can remember 『Jingbirok』 and Yi Sun-sin more intensely today. 『난후잡록』과 초본 『징비록』은 류성룡의 친필본으로서 류성룡이 작성한 초기 기록을 생동하게 보여주는 글이다. 류성룡은 1599년(선조 32) 2월에 낙향한 이후 그동안의 경험과 견문을 담아 『난후잡록』을 작성하였고, 이후 이를 토대로 초본 『징비록』이 성립되었다. 본 연구는 이 두 작품을 비교 검토하여 류성룡의 서술변화를 파악하고, 그 속에 담긴 의도와 맥락을 알아보고자 한다. 먼저 집필 시기를 추정해보았다. 『난후잡록 은 곽재우와 이순신에 대한 기록을 통해 살펴본 결과, 1600년경에 주로 집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초본 『징비록』은 「種松」이라는 작품을 통해 그 이후인 1601~1604년경으로 추정된다. 두 저작의 체제 및 구성을 비교해 본 결과, 초본 『징비록』은 前史가 강화되고 비교적 시간순으로 재배치되었으며 류성룡 본인의 활동상황을 더 보강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서술에 있어 초본 『징비록』이 『난후잡록』에 비해 달라진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임금에 대한 지나친 비판과 자신에 대한 비난의 부분은 완화 혹은 삭제하여 서술하였다. 이는 퇴고의 과정에서 자신에게 불리한 기록을 삭제한 것이다. 둘째, 정보의 수집을 통해 사건의 정보를 더 보완했다. 각 지역에서 일어난 의병활동에 대한 정보를 더 보완하였으며, 여타의 서술에서도 더 많은 정보와 정연한 서술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이순신에 대한 서사를 더 강화했다. 자신이 등용한 이순신의 업적을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위해 사건을 역순으로 배치하기도 하고 뛰어난 면모를 드러내는 일화를 더 추가하였으며 애도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표현을 더욱 곡진하게 서술하였다. 이런 서술의 변화는 전란 이후 임금과 상대 당파인 북인이 자신에게 전란에 대한 책임을 강하게 묻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이라 파악된다. 삭탈관직 되어 고향에 머물면서 자신이 얼마나 임진왜란 시기에 임금과 나라를 위해 분투하였는지를 서술한 것이다. 이를 위해 수행한 서사 전략들은 성공적이었다. 현재의 우리가 『징비록』과 이순신을 더욱 강렬하게 기억하게 된 까닭이다.

      • KCI등재

        沈守慶의 『遣閑雜錄』에 나타난 자기서사적 양상

        강성규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9 고전과 해석 Vol.28 No.-

        This study examined the Sim Su-Gyeong’s Gyeonhan japrok in a self-narrative. The period, from 1591 to 1599, when Sim Su-Gyeong recorded "Gyeonhan japrok", was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Sim Su-Gyeong's intention to write the book for the purpose of ‘Gyeonhan (遣閑)’ needs some focused review.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pride in long life's history’ and ‘the sorrow of the survivors recorded after the war’ in aspect of self-narrative that recorded past and present as a way of living in an age of war. In ‘pride in long life's history’, it is confirmed that he continued to reveal records of his ‘gwageo’ (科擧), ‘the first place’ (壯元), ‘office positions’ (官職) and ‘long life’ (長壽) as topics, revealing his pride in the four topics. In ‘the sorrow of the survivors recorded after the war’, it is confirmed the fact that ‘long life’ was converted into a sorrow watching the colleagues dying in a row. The aged Sim Su-Gyeong wrote a Gyeonhan japrok as a way of living in a war period. A Gyeonhan japrok containing his self-narrative is important in that it has secured points to see how it differs from the previous and after period at the historical flow of P'ilgi Chaprok. 본고에서는 聽天堂 沈守慶(1516∼1599)이 저술한 『遣閑雜錄』을 자기서사적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심수경이 『견한잡록』의 각 조목들을 기록한 1591년부터 1599년까지는 주지하는 것처럼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이 있었던 전란의 시기였다. 이러한 시기에 ‘遣閑’을 목적으로 각 조목들을 기록했다는 심수경의 저술 의도는 다시 한번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점을 고려하면서 심수경이 고령으로 전란의 시대를 살아가는 하나의 방식에서 기록한 자신의 과거와 현재를 자기서사적 측면에서 크게 ‘삶의 여정 끝에서 돌아본 이력에 대한 자부’와 ‘전란 뒤에 기록된 살아남은 자의 슬픔’으로 살펴보았다. ‘삶의 여정 끝에서 돌아본 이력에 대한 자부’에서는, 유력한 인물들과 자신을 나란히 언급하면서 ‘과거’, ‘장원’, ‘관직’, ‘장수’를 화제로 자신의 이력에 대한 기록을 지속적으로 드러내어 네 가지 화제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란 뒤에 기록된 살아남은 자의 슬픔’에서는, 함께 교유했던 인사들이 유명을 달리하게 되면서 자부하고 있는 ‘장수’가 오히려 먼저 떠나는 사람들을 차례로 지켜봐야만 하는 안타까움과 슬픔으로 전환되었다는 점을 살폈다. 특히 전란을 겪고 난 뒤에 살아남은 기쁨보다는 살아남지 못한 주변 사람들과의 추억과 슬픔이 수치로 환산되어 기록되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심수경의 『견한잡록』은 고령으로 전란의 시대를 살아가는 하나의 방식에서 외부세계에 대한 견문보다 자신이 중심에 놓여 있는 경험이 지배적인 저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기서사적 측면은 필기잡록류의 史的 흐름에서 『견한잡록』이 저술된 전후 시기의 양상과 비교할 수 있는 지점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후보

        패설과 소화, 패설 속의 소화

        李康沃(Lee Kang-ok) 대동한문학회 2006 大東漢文學 Vol.24 No.-

          본고는 패설과 소화의 다양한 정의와 용법의 실상을 정리하고 분석함으로써 학계 차원에서 의견을 조정할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문제 해결을 위한 하나의 출발점으로서 ‘소화’를 규정했고 앞으로 학계가 함께 검토해야 할 과제도 설정하였다.<BR>  패설론은 패설을 잡록집 전체 혹은 일부를 지칭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한 경우, 패설을 필기와 대립하는 갈래로 설정한 경우, 필기 속에 패설이 하위 영역으로 포함되는 갈래로 설정하는 경우로 나눠진다. 패설을 교술적인것까지 포괄하는 거대 갈래로 볼 것인가? 민중들의 다채로운 생활이야기를 지칭하는 중위의 갈래로 볼 것인가? 우스운 이야기 혹은 우습게 만드는 이야기로 국한시킬 것인가? 앞으로 이에 대한 분명한 관점을 분명하게 해야 할 것이다.<BR>  소화론의 경우 소화와 일화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다. 소화의 개념을 매우 넓게 설정한 연구자들은 소화가 설화를 대표하거나 최소한 일화를 포함하는 갈래라고 보았다. 조선 초기에 웃음을 특별한 방식으로 창출하는 소화들이 많이 나타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어떤 사건이나 사람에 대한 특별한 사실을 전하려 하였던 일화들은 더 많았다. 그래서 소화와 일화를 구분한 연구자들도 많았다<BR>  소화의 등장인물은 어떤 인간형을 극도로 단순화하여 유형화한 것이다. 이 유형화는 사람이 가질 수 있는 어떤 속성을 과장하였기에 가능했다. 그런점에서 소화는 독자나 청자가 쉽게 느낄 수 있을 정도로 작위성이 강하다.<BR>  소화는 다양한 단형 서사 갈래와의 관계 속에 존재한다. 그래서 소화와 다른 단형 갈래와의 관계와 차이를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소화는 주인공에 대한 서술자의 태도에서 민담과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민담의 서술자는 주인공에 대해 관심을 집중하여 주인공이 어떤 고난에 봉착하여도 결국 그것을 극복하게 만들어준다. 이에 반해 소화의 서술자는 그 주인공에 대해 애착을 갖지 않는 경우가 많다. 주인공을 조롱하거나 주인공이 봉변당하게 만들거나 상대인물과의 다툼에서 주인공이 패배하게 만들기도 한다. 또 민담의 서술자는 주로 단순한 어른이나 어린이의 눈으로 세상을 보는 반면 소화의 서술자는 성숙한 어른의 눈을 가지고 있다.<BR>  소화는 일화와도 구분된다. 단지 우스운 내용이라고 하여 모두 일화가 아니고 소화라 할 수 없듯이, 실제로 일어난 이야기라 해서 모두 소화가 아니고 일화라 할 수는 없다. 무엇보다 소화는 과장되고 꾸며진 것인데 비해 일화는 있었던 그대로가 제시된 것이라는 점에서 구분된다. 소화의 서술자가 기본적으로 주인공을 희화화하는 서술태도를 취하는데 비해, 일화 서술자는 설사 심각한 자세로 그 인물을 묘사하지는 않는다 하더라도 일관된 희화화의 태도를 취하지는 않는다.<BR>  소화는 서술자의 역할이 두드러진다는 점에서 우화와 비슷하다. 우화는 패설집이나 소화집에 적지 않게 들어있다. 소화의 위상을 정립하는데 우화의 존재를 인정하고 소화와 상호 조명하는 작업이 요긴하다.<BR>  패설이나 소화에 대한 검토는 구연과 기록을 함께 대상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는 기록된 것이 치중되었다면 앞으로 구연까지 고려한 논의가 충분하게 이루어져야 하겠다.<BR>  패설이나 소화를 재조명하는 과정에서 교술적인 작품을 잘 살펴야 하겠다. 교술과 서사는 갈래론에서 가장 상위에 속하는데 이 둘이 잡록집에 함께 들어있다. 우선 교술과 서사를 구분하고 양자가 잡록집에서 공존하게 된 내외적 논리를 살펴야 하겠다. 그 맥락에서 패설과 소화의 자리를 찾아주어야 할 것이다.   Paeseul and Sowha are genre terms which indicate the funny short narrative works. But scholars have used them with various concepts and denotations, which caused serious problems. To help solving those problems, I summarized and criticized those aspects case by case.<BR>  The scholars who used the term Paeseul started their theoretical arguments based on the previously published books, Japrok(雜錄). They had accepted the arguments of Sadaebu(士大夫) of Koryo and Chosun dynasties. However, because Sadaebu"s theories were not consistent, the scholars have to make their own theoretical system in order to close the gaps.<BR>  The scholars who use the term Sowha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first group insists that Sowha contain Anecdote. They argue that Sowha was the representative genre of the 14-16th century short narratives. The scholars of second group separated Anecdote from Sowha. Although Anecdote resembles Sowha in many aspects, Sowha cannot contain Anecdote. It become clear if only we read some anecdotes.<BR>  I would argue that Sowha should become foundation for the short narrative genres and that it is urgent to make accurate definition of Sowha. To define Sowha accurately and clearly, the relationships between Sowha and other short narrative genres, especially Anecdote, Fable, Legend etc should be firmly established.<BR>  In this article, I made some suggestions to overcome contradictions in the discussion of short narrative genres. Firstly, we have to consult not only the written records but also the oral performance. Secondly, we should consider about patriarchy and class distinction in Paeseul or Sowha. Thirdly,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we study the didactic works which exist in the same anthologies of the narrative works.

      • KCI등재

        국창쇄록(菊窓瑣錄)의 일화 선택과 이상적 인물 형상

        이강옥(Lee, Kang-ok) 국어국문학회 2013 국어국문학 Vol.- No.165

        This article analyses Kukchangsheorok(菊窓?錄) edited by Whoweon Lee (李厚源). Kukchangsheorok(菊窓?錄) represents the image of ‘ideal king’, ‘ideal Sadaebu(士大夫)’, and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kings and Sadaebus. Ideal king is very strict in reflecting himself and generous in taking care of retainer and people. He practices filial piety towards his parents, and strictly disciplines his children. The most important virtue of ideal king is the ability to choose the wise men and to listen to their expostulation. Ideal Sadaebu holds fast to his principle and ideology. He leads a sincere and austere life. He willingly remonstrates with the king about his foolish conduct and behaviors. Keeping his belief and cause is the most important value, He would not confer with the vulgar people not to taint his principle. Promoting public interests and keeping justice are his priorities. Prerequisite to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king and Sadaebu is king’s will and ability to find the talented subjects without being confined to the traditional measures of appointing officials. Once chosen, the subject would have king’s total support. The king would listen to the remonstrance of the retainer, reflecting on himself. In return, the retainer should demonstrate extraordinary ability in administration or scholarship, and remonstrate with the king without any reservation. Whoweon Lee(李厚源) tried to find a solution of the crisi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and retainer of his time by selecting those anecdotes which incorporated ideal relationship between king and his subjects. Kukchangsheorok(菊窓?錄) tried to give lesson not only to king but also to Sadaebu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the ideal cases. Rather than following the tradition of Japrok(雜錄), Kukchangsheorok(菊窓?錄) selected the episodes from didactic books. Kukchangsheorok(菊窓?錄) highlighted frugality, filial piety, expostulation and uprightness as the essential virtues of ideal king and his retainers, while avoiding adapting the negative anecdotes of unworthy kings. By foregrounding the positive parts of the past society, Whoweon Lee(李厚源) wanted to console his contemporary society and to give the model example which people could emulate. Kukchangsheorok(菊窓?錄) used epitaph as a significant source of anecdotes. Since epitaph aims to announce the owner of the tomb and to explain his life to the posterity, epitaph inclined to take the tone of praise and commemoration. The positive perspective and narrative method of Kukchangsheorok(菊窓?錄) came from those of epitaph. It can be concluded that Kukchangsheorok(菊窓?錄) is a kind of epitaph written on papers, enabling many model kings and Sadaebus’s virtuous personalities to shine. Future generations would try to emulate their virtuous personalities and principles, by reading Kukchangsheorok(菊窓?錄).

      • KCI등재

        『계서잡록』 4권 소재 야담의 서사방식 -『동패락송』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권기성 ( Kwon¸ Ki-sung )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80

        본 논문은 일사본 『계서잡록』 4권에 수록된 야담 중 18세기 『동패락송』과 동일한 유화를 공유하는 23편의 이야기의 문장 표현 및 서사 구성 방식을 비교한 것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계서잡록』이 『동패락송』에 비해 소설적 변용을 꾀하고 있다 분석하였으나 본 논문에서는 『동패락송』 대비 『계서잡록』을 축약과 생략, 추가와 확장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비교하였다. 이에 따라 『계서잡록』은 『동패락송』과 서사의 전개 방식은 동일하나 현실적 문맥은 서사적 도구로 간단히 처리하고 있으며, 상황 설정이나 묘사 및 대사의 확장 등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음을 밝혔다. 이는 『계서잡록』이 『동패락송』을 직접 수용하였다 보기 어려울만큼 큰 변화를 수반하는 것이며, 『계서잡록』이 당대 사대부 가문의 이야기판에서 벌어지던 야담의 구연화를 반영한 결과로 인식할 수 있다. 『계서잡록』의 편찬자 이희평은 당대 야담을 향유하던 노론 가문과 교유하였기 때문에 『동패락송』을 접했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고 이 경험이 그의 글쓰기 전략과 연동되면서 『계서잡록』에 나타난 것으로 파악된다. 요컨대 『계서잡록』 4권의 이야기들은 전대 야담의 기억 및 견문경험이 특정 작가를 만나며 발현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compares the sentence expressions and narrative compositions of 23 stories that share the same oil paintings as the 18th century Dongpae-RakSong among the four books of the book, Gyeseo-Japrok. Previous studies have analyzed that Gyeseo-Japrok is trying to make a novel change compared to Dongpae-RakSong. In this paper, however, Gyeseo-Japrok was compared in two dimensions: abbreviation and omission, addition and expansion. Accordingly, Gyeseo-Japrok said that although the way the story unfolds and the narrative is the same, the realistic context is handled simply with narrative tools, and that the setting of the situation, description, and expansion of the lines are taking place actively. This involves a change that is hard to see from the direct acceptance of Gyeseo-Japrok in Dongpae-RakSong which can be recognized as a result of the narratives of the family. Lee Hee-pyeong, the editor of Gyeseo-Japrok is likely to have encountered Dongpae-RakSong because he was associated with the Noron family who enjoyed the yakdam of the time. And it was found that this experience appeared in Gyeseo-Japrok in conjunction with his writing strategy. In short, the stories in the fourth book of the Book of the Book of Worthies are the result of the creative expression of the memory experience expressed when the narration of Yadam meets a certain writer.

      • KCI등재

        『송계잡록(松溪雜錄)』과 〈송계곡(松溪曲)〉 27수(首) : 17세기 초 평해(平海) 선비 박응성(朴應星)의 시가 창작

        권두환 ( Du Hwan Kwon ) 韓國古典文學會 2012 古典文學硏究 Vol.42 No.-

        This paper is to introduce a writer, who wrote 28 sijos and 1 gasa in early 17th century, to the academic world. The importance of this discovery speaks for itself: the case in which, by this era, a writer who had written more than 10 sijos is rare; more so is the case a writer wrote, concurrently, sijo and gasa. This writer is discovered through the book of Songgye-japrok 松溪雜錄.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owns this 52-page medieval menuscript. The first half of the book consists of 3-year diaries; from April 1632 to May 1635. The contents of the diary are simple, but these valuable records let us glimpse the everyday life and human emotions of a scholar who lived in Pyeonghae(平海) province 380 years ago. It is certain that the writer himself created this collection of his works since this book consists of diaries, then Chinese poems, sijos, funeral orations, and a gasa at the end of the book. Of all the contents, there are 27 sijos which the writer named Songgyegok 松溪曲 and 1 gasa named Chaeran-sangsagok 彩鸞相思曲. There has been one obstacle to analyze and study Songgye- japrok and Songgyegok in depth: name of the writer. Songgye- japrok is self-created collection of one`s works. It is true that the contents of first half diaries helps in reconstructing social status or lifestyle of the writer. But the basic characteristics of diary keep the writer from revealing himself in the contents.To reveal the identity of this writer, this paper puts all the small clues in order and follows all the deducible records and documents in phases. And this paper will introduce the identity of this writer: Park Eung-Seong(朴應星, 1581-1661). Furthermore, by confirming the fact that Park Eung-Seong never left Pyeonghae province during his lifetime, this paper will show the spread of poetry within the unique cultural background, shared by civil functionary and military nobility, in the countryside community after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이 논문은 17세기 초에 시조 28수와 가사 1편을 창작한 한 작가의 존재를 학계에 보고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이다. 이 시기까지만 하더라도 한 작가가 10수 이상의 시조를 창작한 경우가 매우 드물고, 시조와 가사를 동시에 창작한 작가의 수는 더욱 드문 것이 시가사의 현실이기 때문에 이 자료 발굴의 의의는 자명하다고 하겠다. 이와 같이 보기 드문 작가의 발굴은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松溪雜錄』을 접하게 되면서 비롯되었다. 이 책은 분량이 총 52면밖에 되지 않는 필사본 고도서이다. 이 책의 전반부를 차지하는 일기는 1632년 4월부터 1635년 5월까지 만 3년여에 걸쳐 쓴 것이다. 매우 간략한 내용이기는 하지만 지금으로부터 380년 전 평해 지역에 거주했던 어느 선비의 일상과 희로애락을 살펴볼 수 있는 소중한 기록을 담고 있다. 일기에 이어 한시와 시조, 제문과 한시를 수록하고 마지막에 가사를 덧붙여 놓은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작가 자신이 생전에 정리한 일종의 개인문집인 것을 알 수 있다. 이 가운데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松溪曲〉이라 이름 붙인 27수의 시조와 〈彩鸞相思曲〉이라 명명한 가사 1수라는 점은 두말할 나위도 없는 일이다. 그러나 『송계잡록』과 〈송계곡〉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연구하는 데에는 크나큰 장애 요소가 하나 남아 있다. 그것은 작가의 성명조차 확인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송계잡록』은 개인문집의 성격을 지니고 있고, 그 대종을 이루는 일기의 내용이 작가의 신분이나 생활상을 재구성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바로 그 일기라는 글의 기본적인 성격 때문에 작가는 좀처럼 문면에 그 정체를 드러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이 논문은 작가의 정체를 밝히는 데에 도움이 될 만한 작은 단서들을 빠짐없이 정리하고, 그로부터 유추할 수 있는 모든 문헌 기록들을 단계적으로 추적함으로써, 그 작가가 박응성(1581~1661)이라는 사실을 학계에 보고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그가 일생동안 평해 지역을 멀리 벗어난 적이 없는 향반이라는 사실을 밝힘으로써, 임진란을 경험한 향촌사회에서 문반과 무반이 공유했던 특수한 문화적 배경 속에서 시조와 가사 등 시가문학의 영역이 확산되어 나간 현상을 읽을 수 있다는 점을 말할 수 있게 된 것이다.

      • KCI등재

        이수광(李睟光)(1563~1628)과 정경세(鄭經世)(1563~1633)의 도문론(道文論)과 사상적 차이

        오세현 ( Oh¸ Se-hyun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3

        조선 초기 과거제 시행 과정에서 등장했던 강경이라는 경학 시험과 제술이라는 문장 시험의 힘겨루기는 문장의 사회적 역할과 가치관에 대한 공감대가 이미 오래전부터 지속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문장의 사회적 역할과 가치관에 대한 공감대에 대한 문제제기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 것이 바로 16세기 후반과 17세기 즈음이었다. 문장가 이수광은 문장의 역할과 가치관에 대한 공감대의 지속을 대표한 인물이고, 정경세는 그러한 공감대에 문제제기를 제기한 대표적 인물이다. 이수광은 도학이 근본이고 문장은 말단이라는 도본문말론의 원칙론에 공감했지만, 동시에 문장의 실제적인 효용성과 가치에 대해서도 긍정했다. 도학과 문장의 관계에 관한 이수광의 이러한 태도는 조선 중기에 새롭게 등장한 모습이 아니라 그 이전부터 지속되어 왔던 것이다. 반면 성리학에 대한 이해의 확산과 더불어 예학이 심화되고 예서의 편찬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조선 중기에 정경세는 도학이 근본이고 문장이 말단이라는 주희의 견해를 근거로 하여 뜻을 전달하는 것으로 문장의 역할을 제한고자 했다. 정경세는 이수광의 격물치지에 대한 이해를 비판하거나, 「채신잡록」의 곳곳에 대해 양명학은 물론 노장철학과 불교와의 연관성을 제기하며 비판했다. 이러한 정경세의 비판은 문장가로 명망을 얻었던 이수광의 사상적 다양성에 대한 지적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이수광과 정경세의 도문론과 사상적 차이는 16세기 후반과 17세기 전반의 조선사회에서 이수광을 비롯한 다수의 문장가들에 의해 지속되었던 문장에 대한 집중과 그 집중의 연장선에서 만나게 되는 불교와 노장철학에 대한 관심과 인정, 그리고 이에 관한 정경세를 비롯한 일부 성리학자들에 의한 강력한 문제제기와 비판이라는 역사적 특징을 말해준다. The struggle between the scripture test called Gang-gyeong(講經) and the sentence test called Je-sul(製述), which appeared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ast system in the early Joseon Dynasty, means that a consensus on the social role and values of sentences has been maintained for a long time. It was around the late 16th and 17th centuries that the question of the consensus on the social role and values of these sentences began to appear in earnest. Literary writer Yi Soo-gwang(李睟光) represents the continuation of consensus on the role and values of sentences, and Jeong Gyeong-se(鄭經世) is a representative person who raises a problem with such a consensus. Yi Soo-gwang sympathized with the principle of the Dobonmunmallon(道本文末論) that Dohak(道學) is fundamental and sentences are the end, but at the same time affirmed the practical utility and value of sentences. This attitude of Yi Soo-gwang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ohak and sentence was not a new appearance in the mid-Joseon period, but had been maintained since before. On the other hand, with the spread of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in the mid-Joseon period, Ritual study(禮學) deepened and the compilation of Ritual study books(禮書) actively proceeded. Based on Zhu-Xi(朱熹)'s view that Dohak is fundamental and sentences are the end, Jeong Gyeong-se tried to limit the role of sentences to conveying meaning. Jeong Gyeong-se criticized Yi Soo-gwang's understanding of Gewuzhizhi(格物致知), or criticized various places in 「Chaesin-Japrok(采薪雜錄)」 by raising the connection between Yangmyonghak(陽明學) as well as the Taoism and Buddhism. These criticisms of Jeong Gyeong-se led to a point on the ideological diversity of Yi Soo-gwang, who gained a reputation as a literary writer. These differences in Domunron and ideology between Yi Soo-gwang and Jeong Gyeong-se are related to the concentration on texts that were continued by Yi Soo-gwang and many other literary writers in Joseon society in the late 16th and early 17th centuries, and Buddhism and Taoism encountered in the extension of the concentration. It tells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interest and recognition, and strong questioning and criticism by some Neo-Confucian scholars including Jeong Gyeong-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