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성폭력 위기개입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학교에서의 위기개입 방향을 중심으로

        유형근(Yu, Hyung-Keun),박선하(Park, Seon-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2

        본 연구 목적은 청소년 성폭력 위기개입에 관한 국내 연구들을 총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학교에서의 위기개입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활용하여 총 51편의 연구들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 시기, 대상, 방법, 내용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시기에 따라 주제와 개입방법이 점차 다양해졌다. 둘째, 연구 대상은 학생, 성폭력 피해 청소년, 성별 구성이 혼성인 연구들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 방법은 양적 연구, 질적 연구, 혼합 연구, 문헌 연구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넷째, 연구 내용을 개입 목적에 따라 예방적 개입과 치료적 개입으로 분류한 결과, 치료적 개입 연구가 예방적 개입 연구보다 더 많이 수행되었다. 위기개입 방법으로서 심리치료, 교육, 기타, 교육 및 심리치료, 활동 순으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주요 개입 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학교에서의 청소년 성폭력에 대한 위기개입 방향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direction for crisis interventio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scenes by comprehensively exploring the research trends and contents of adolescent sexual violence crisis interventions and analyzing them with a focus on the main intervention factors and effectiveness factors of crisis interventions. For this purpose, relevant literature was collected us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a total of 51 studies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research period, subjects, methods, and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shown that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of intervention gradually vary according to the research period. Second, the study targets were mostly students, teenagers affected by sexual violence, and mixed gender studies. Third, research methods were found to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order of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Fourth, as a result of classifying research contents as preventive interven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risis intervention, therapeutic intervention research was carried out more than preventive intervention research. Many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order of psychological treatment, education, other, education and psychological treatment, and activities as methods of crisis interven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ain intervention factors and effectiveness factors of each study,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crisis intervention for sexual violence in schools.

      • KCI등재

        청소년 고위기 상황 및 효과적 개입에 대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위기청소년 담당자의 인식 연구

        김동일,현은정,우예영,박준영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20 청소년상담연구 Vol.28 No.2

        With youth problem becoming more serious, as to lay the foundation for more effective intervention for high-risk youth,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the youth counselors’ perception on the definition of high risk youth and the effective interventions for them. 81 youth counselors including the head of the youth counseling welfare center and the team leader of community youth safety-net team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 meth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the high-level youth crisis was in 1 domain (definition of the high-level youth crisis) and 3 categories(problem types at the individual level, environmental level, and problem characteristics). Secondly, there were 4 domains about effective crisis intervention for high-risk youth. The first domain, ‘Infrastructure for effective high-level youth crisis interventions’ was classified into 2 categories: existence of external institution to engage and the attention and participation of the head of the agency. The second domain, ‘Effective intervention in the urgent high-level crisis of youth’ was categorized into 2 sections: to secure safety immediately and to work together through reporting and consultation. The third domain, ‘Competence of effective counselors for high-risk youth’ was put into 2 categories: professional attitude for high-level crisis intervention and professional knowledge for crisis intervention. The forth domain, ‘Individualized/multilateral intervention and management for resolving high-level youth crises’ was divided into 3 categories: multilateral intervention to resolve high-level crisis, case management and individualized intervention.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위기 청소년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위기 청소년 개입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청소년 고위기 상황이 무엇이고, 고위기 청소년들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이 무엇인지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위기청소년 담당자의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상담복지센터의 센터장 및 청소년안전망 팀장 등을 중심으로 위기 개입을 담당하는 8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합의적 질적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 고위기에 대한 인식은 1개 영역(청소년 고위기에 대한 정의)으로, 개인적 차원의 문제 유형, 환경적 차원의 문제 유형, 문제의 특성의 3개 범주가 나타났다. 둘째, 고위기 청소년에 대한 효과적인 위기 개입은 4개 영역이 나타났는데, ‘효과적인 청소년 고위기 개입을 위해 필요한 기관 인프라’ 영역은 연계할 수 있는 외부기관이 존재, 기관장의 관심과 참여의 2개 범주로, ‘청소년의 긴급한 고위기 상황에 대한 효과적 개입’ 영역은 즉각적인 안전 확보, 보고 및 협의를 통한 협업의 2개 범주가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 고위기에 효과적인 상담자의 역량’ 영역은 위기 개입을 위한 전문적 태도, 위기 개입을 위한 전문 지식의 2개 범주가 나타났고, ‘청소년 고위기 해결을 위한 개별화된 다각적 개입 및 관리’ 영역은 고위기 해결을 위한 다각적 개입, 사례관리, 개인맞춤형 방안 모색의 3개 범주가 제시되었다. 끝으로 주요연구결과에 대한 의의 및 시사점과 더불어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2020년 코로나와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경제위기의 원인과 대응: 시장실패와 정부개입의 비교를 중심으로

        박준우 ( Jun Woo Park ) 한독경상학회 2021 經商論叢 Vol.39 No.3

        현재 진행 중인 COVID-19는 전 세계적인 금융 패닉을 불러오며 글로벌 경제위기를 발생시켰다. 이에 본 연구는 현 상황을 효과적으로 극복하는 방안으로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와 2020년 COVID-19 인한 경제위기를 종합적으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이 두 경제위기의 원인을 각각 도덕적 해이와 부정적 외부효과로 인한 시장실패로 검토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개입의 양상을 주요 경제 지표와 대응 행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시 정부개입은 기업과 금융기관의 구조조정 실패로 국민과 기업 모두에게 피해를 주는 부작용을 초래하여 정부실패로 평가된다. 반면 여전히 진행 중이긴 하지만 COVID-19는 발생 초기부터 각국 정부들의 신속한 국제적 공조 및 경제정책 등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었고, 이는 정부개입의 성공 요인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코로나 위기상황 극복을 위해 향후 정부개입의 목표는 성장촉진이나 분배구조 개선과 같은 단순한 경제정책이 아니라 현재 위기상황에 가장 신속한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가계와 기업 등에 안정적인 자금지원과 원활한 유동성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또한 바이러스 변이 등의 또 다른 팬데믹 사태에 대비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강력한 국제공조 시스템 구축과 같은 정부의 협력과 개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준비가 필요하다. 오늘날 경제위기는 그 원인이 매우 다양하고 파급효과로 인한 피해 역시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하다. 본 연구의 대상인 COVID-19로 인한 경제위기가 아직 완전히 종식되지 않은 상황에서 정부의 개입과 대응을 몇 가지 사례를 통해 평가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과거의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현 코로나 경제위기를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그에 따른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 또한 존재한다. The ongoing COVID-19 crisis has created a global economic crisis, bringing about global financial panic. In an effort to effectively overcome the current crisis, this study comprehensively compared and analyzed the subprime mortgage crisis in 2008 and the economic crisis caused by COVID-19 in 202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two economic crises were caused by market failure due to moral hazard and negative externalities, respectively, and aspects of government intervention to solve the crisis were evaluated in terms of major economic indicators and responses. Government intervention in 2008 during the subprime mortgage crisis was evaluated to be a since it adversely affected both the public and businesses due to the failure of restructuring by corporate and financial institutions. On the other hand, although it is still ongoing, rapid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economic policies by governments since the beginning of the COVID-19 outbreak has been able to minimize damage, which is considered a successful factor in government intervention. To overcome the coronavirus crisis, the goal of government intervention in the future is not just economic policies such as growth promotion or improvement of distribution structure, but to come up with the fastest countermeasures to the current crisis. Therefore, governments should consider ways to provide stable funding and smooth liquidity for households and businesses. It is also necessary to prepare for effective government cooperation and intervention,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 strong international cooperation system involving various stakeholders, in preparation for another pandemic such as virus mutations. The causes of economic crisis today are diverse, and the damages caused by ripple effects are also much more serious. As the economic crisis caused by COVID-19, the subject of this study, continues to affect the world,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it has positively evaluated government intervention and response with a limited number of examples. Howe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systematically diagnosed the current economic crisis caused by COVID-19 by using past cases of failure as lessons to learn from and proposed effective countermeasures.

      • KCI등재

        위기가구 지원을 위한 사회복지전달체계 구축 방안 연구

        황미경 사회복지법제학회 2023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model that integrates social welfare laws with the practice of social welfare. To this end, this resea rcher sought an educational method to integrate theoretical and legal practice to provide emergency aid and intervene with crisis in the welfare delivery sys tem for supporting households in crisis. Here, this study is going to propose a n integrated education method for social welfare legislation and practice groun ded on the service delivery system to support households in crisis including t he emergency aid and support system, Integrated Care Management, or crisis intervention. First,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nvolved in supporting families in cris is, it needs guidelines for integrated intervention of social welfare laws and th eories, such as the definition of crisis situations, disasters and disasters, legal definitions related to new social risks, support targets, support scope, and cris is intervention. Second, in order to provide those needing support in crisis with appropriate emergency aid and customized services, it needs to apply special laws first to be necessary. Also, when receiving the same support, it is necessary to build a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model that enables follow-up management by insight into the principle of not providing support under the 「Emergency Welf are Support Act」 and the range of support systems related to crises and disa sters that can occur several times. Third, concerning clear concepts like a disaster vulnerable group, safety vul nerable group, or disaster vulnerable group, education for social welfare legislation and practice should dealt with detailed legal concepts about households i n crisis for disasters. Also, in terms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and welfa re management, integrated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perform danger m anagement, crisis management, and safety management all for prevention and f ollow-up measures. Fourth, as a method of integrated education for social welfare legislation an d practice to support households in crisis, it should include customized benefit s under the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Integrated Care Manage ment under the Social Security Benefits Act」, and emergency aid, the practic e of crisis intervention, and follow-up management under the 「Emergency Ai d and Support Act」. In addition, when establishing a service delivery system to support households in crisis, it should emphasize the principles of compreh ensiveness, integration, and expertise so that circular cooperation can be reali zed between integrated community care and professionals for Integrated Care Management to cope with new crises. Fifth, since emergency aid and support for households in crisis follows the principle of supporting those who actually live in the region,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Social Security Benefits Act」 or establish special regulations to allow them to apply for customized benefits where they actually live (Si/Gun/G u/Eup/Myeon) even if the address on the resident registration card is different from where they actually live. Sixth, as households in crisis are the area needing pan-governance protecti on involving livelihood, medicine, and psychological recovery and restoration, t his study suggests an educational model that integrates social welfare legislati on and practice to realize legal practice applying the 「Social Security Benefit s Act, Emergency Aid and Support Act」, 「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Act」, 「Disaster Safety Act」, 「Disaster Relief Act」, 「Suicide Prev ention Act」, 「Domestic Violence Prevention Act」 or 「Sexual Violence Prev ention Act」 and also practice crisis interven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위기상황과 재난환경에서 위기가구 지원을 위한 복지전달체계에서 긴급복지지원과 위기개입을 위한 이론과 법적 실천의 통합적 방안을 모색하는데있다. 이에 긴급복지지원법상 서비스의 즉시성과 접근성이 강조되는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구축과 통합사례관리, 위기개입 등의 통합적 개입 역량 강화를 위한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교육의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위기가구 지원에 관여하는 공공과 민간 영역에서 준용해야 할 위기상황의 정의, 재난과 재해, 신사회적 위험에 관련된 법적 정의, 지원대상, 지원범위 및 위기개입등 사회복지법제와 이론의 통합적 개입 지침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위기상황에 처한 지원대상자에 대한 긴급복지지원과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위하여는 특별법의 우선 적용이 필요하다. 동일한 지원을 받으면 긴급복지지원법상의지원을 실시하지 않는 원칙과 여러번 새로이 발생될 수 있는 위기와 재난 상황에 관련된 지원 제도의 범위를 통찰하여 사후관리가 가능한 사회복지전달체계 모형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재난취약계층, 안전취약계층, 재난약자 등에 대한 지원을 위하여 사회복지법제와 실천 교육 과정에서는 재난으로 인하여 위기상황에 처한 가구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고, 복지기관 운영상의 재난 예방과 사후대처를 위한 위험관리·위기관리· 안전관리의 통합교육 방법이 실시되어야 한다. 넷째, 위기가구 지원을 위한 사회복지법제와 실천의 통합적 교육 방안으로 사회보장기본법에 의한 맞춤형 급여, 사회보장급여법에 의한 통합사례관리, 긴급복지지원법에 의한 긴급지원, 위기개입 실천과 사후관리의 절차가 포함되어야 한다. 아울러 위기가구 지원을 위한 사회복지전달체계의 구축은 즉시성·통합성·전문성의 원칙을 강조하여 새로운 위기의 발생에 따라 지역사회 통합돌봄과 통합사례관리 영역의 다학제적케어 전략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순환적 협업이 가능해야 한다. 다섯째, 긴급복지지원의 원칙은 실제 사는 곳에서 지원함이 원칙이므로 사회보장급여법의 일부 개정으로 주민등록 주소지와 달라도 현재의 거소에서 복지급여를 신청할수 있도록 하는 노력하는 바와 같이, 위기가구의 통합돌봄과 통합사례관리 개입을 위한 보건소, 복지기관, 공공병원 및 사회서비스 광역 연계·제공을 위한 특례 신설이 촉구된다. 여섯째, 위기상황과 위기가구에 처한 위기가구는 생계, 의료, 심리적 회복과 복구등을 포괄하는 범 거버넌스적 영역으로 사회보장급여법, 긴급복지지원법,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재난안전법, 재해구호법, 자살예방법, 가정폭력방지법, 성폭력방지법 등을 적용한 법적 실천과 위기개입 실천에 의한 사회복지법제와 실천의 통합적 교육 모델을 제안한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사회과학적 개념과 실천으로서의 "위기" : 위기 개념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의 모색

        백영경 ( Young Gyung Paik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4 韓國文化人類學 Vol.47 No.1

        인류학 연구에서 위기는 낯선 주제가 아니다. 최근 들어 대규모 후쿠시마 지진과 그에 이은 원자력 발전소 사고나 태풍이나 지진, 지진 해일 등의 자연재해를 통해서 위기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되기는 하였지만, 재난과 재해 외에도 금융위기나 경제위기, 전쟁과 폭력, 사회적 재생산의 위기나 개인 삶의 위기, 건강의 위기 등 인류학자들은 다양한 영역에서 위기를 연구하고 다루어 왔다. 그러나 많은 위기에 대한 연구에서 이러한 인류학적인 통찰이 잘 발휘되고 있는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이는 위기라는 것 자체가 일어나고 경험되는 어떤 현상을 지칭하기도 하지만, 위기는 사회과학적 개념이기도 하며 지식의 실천이라는 사실을 간과하기 때문이다. 또한 과학기술의 문제나 기술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인류학이 다루어야 할 문제가 아니라고 보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현재 사회과학 연구들이 위기를 어떤 식으로 다루고 있는지를 검토하는데 에서 시작하여 위기라는 개념은 어떻게 사회과학적인 개념으로 등장하게 되며, 위기에 대해서는 어떠한 종류의 지식이 생산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인류학은 현재 위기 논의에 깔린 전제들, 위기에 관한 자연과학적·사회과학적 지식과 실천을 만들어 내고 있는 학문적 제도와 관행에 대해 지금보다 훨씬 더 명시적으로 연구하고 문제 삼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Crisis has been a topic often explored in the study of anthropology. Even before the recent "crises”in the form of natural disasters and nuclear accidents started to stir up public interests in the topic, anthropologists have been investigating the crises in the society and in people`s lives, such as financial crises, economic crises, war and violence, reproductive crises, personal crises and health crises. Yet, one can observe that the anthropological research on “ the Crisis” often lacks the usual anthropological insights. This paper presents the argument that the reasons for the lack of anthropological insights are firstly, that crisis has been regarded as a thing that is “ out there” and not as a social scientifically constructed concept; secondly, that many cultural anthropologists have avoided the subject of science-technology and technological intervention,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se are not proper social scientific research objects. In this frame, this paper provides an exploration of the ways that "crisis” has emerged as a social scientific concept and how the know ledges of crises are constructed and produced. In conclusion, this paper emphasizes that anthropologists need to more explicitly question and challenge the underlying assumptions in the current discussions about “ the Crisis” as well as the institutional practices producing the knowledges and practices implicated in the crises.

      • KCI등재

        유엔 인도주의적 개입, 선택된 인도주의적 위기 1989-2014: 왜 몇몇 인도주의적 위기 사례는 유엔의 인도주의적 개입으로부터 외면당하는가?

        윤희철 ( Huicheol Yun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20 동북아연구 Vol.35 No.2

        이 연구는 유엔의 인도주의적 개입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유엔은 인도주의적 개입(Humanitarian Intervention)과 보호책임 (R2P, Responsibility to Protect)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인종청소, 대량학살과 같은 인도주의적 위기에 처한 일반 시민을 보호하기 위해 유엔평화유지군을 파병하였다. 유엔평화유지군은 인권을 보호하는 효율적인 수단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1989-2014년의 831개의 인도주의적 위기 중단지 28.51%의 위기만이 유엔으로부터 보호를 받았다. 반면 594개 (71.47%)의 인도주의적 위기는 유엔으로부터 보호를 받지 못했다. 어떤 결정 요인이 인간보호를 위한 유엔의 인도주의적 개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에서는 유엔의 개입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요인을 상정한다. 이는 강대국의 이익, 유엔 평화유지군이 파병되는 목적지 국가의 특징, 그리고 인도주의적 개입의 목적이다. 1989-2014년 사이의 유엔 평화유지군의 파병에 대한 양적, 경험적 분석에서 유엔의 인도주의적 개입은 파병의 목적지 국가의 특징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밝혀졌다. 특히, 강대국의 경제적 이익, 파병의 목적지 국가의 특징 (군사력, GDP, 인구수), 그리고 민주주의 체제가 유엔의 인도주의적 개입에 영향을 미친다. 역설적으로 인도주의적 위기에 따른 사망자수는 유엔의 파병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인도주의적 개입에 대한 국제거버넌스의 진정한 모습을 보여준다. The United Nations developed the concept of humanitarian intervention/R2P (Responsibility to Protect) and deployed PKOs (Peace Keeping Operations) to protect civilians from the dangers of humanitarian crisis like massacre and genocide. Peacekeeping operations are recognized as effective tools to protect human life. However, of the 831 humanitarian crises that occurred in the period 1989-2014, only 237 (28.51%) were subjects of UN PKO deployment. What determinants influence the deployment of UN PKO for protecting human life? I posit three determinants that impact the likelihood of the UN’s humanitarian intervention: the interests of power nations, characteristics of target nations, and objects of humanitarian intervention. In a quantitative empirical analysis of the UN’s deployment of PKOs between 1989-2014, I find that humanitarian crises are selected depending on target nations’ economic/political value. Specifically, the economic interests of power nations, target nations’ characteristics such as military power, GDP, population, and democratic system influence the UN’s humanitarian intervention. The number of deaths in a humanitarian crisis does not influence the UN’s humanitarian intervention. These results show the true face of international governance on humanitarian intervention.

      • KCI등재

        A Religious Comparative Study on Death Perception for a Desirable Death Awareness Intervention when Facing Crisis Situation

        Jeongyee Bae,Yoonjung Kim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7 Journal of Safety and Crisis Management Vol.7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death according to religion and the direction of crisis intervention. Human life is inseparable from death, and there is no life beyond death. He is preparing to die, fearing death.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ial society, the lives of modern people can be exposed to various crisis situations that threaten various diseases and safety. Therefore, interest in crisis intervention is increasing day by day. For crisis intervention suitable for the subject, firs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what is perception of individual death and what kind of death is related to religion. Religion is an important source of influence on individual beliefs and understanding how they deal with crisis situ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hope that I will take a step forward in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and use it in the development of expert education and intervention program in crisis intervention.

      • KCI등재

        고위험군 위기개입 경험에 대한 대학내 유관기관 상담자들의 인식 탐색 : A대학교를 중심으로

        이혜은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6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college counselors regarding their experiences in crisis intervention for high-risk students, specifically at University A. We gathered data through an online survey, which was disseminated via emails and announcements on school bulletin boards from March to August 2022. The intended respondents were counselors employed at counseling organizations, such as the Student Counseling Center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Development Center at University A, as well as those in counseling offices at other colleges and universities. We aimed to include counselors who willingly responded to the survey, resulting in a total of 30 subjective responses. We used the Modified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CQR-M) method to examine perceptions of crisis intervention experiences with high-risk students. A consensus team was established to analyze the data, which included the processes of distillation and categorization, coding, and frequency analysis. The analysis revealed three major domains, five intermediate domains, 11 sub-domains, and 36 categories. We found that college counselors on campus experienced pressure and continuous anxiety because of their lack of expertise in crisis intervention. The lack of a professional support system further exacerbated these challenges. In response to these crises, university counselors strived to improve their crisis intervention skills through personal coping strategies and advocated for the creation of an active support system and increased support at the university level.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significan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propose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A대학교를 중심으로 고위험군 위기개입 경험에 대한 대학상담자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실시되었다. 자료수집을 위해 2022년 3월부터 8월까지 약 6개월 동안 A대학교 내 학생상담센터, 교수학습개발센터등 상담유관기관 및 단과대학 상담실 등에 근무하고 있는 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이메일, 학교 게시판 공지사항을통하여 온라인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발적으로 연구에 응답한 상담자로 최대한 표집하여 최종 30명의 주관식 설문응답 자료가 수집되었다. 고위험군 위기개입 경험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수정된 합의적질적연구(CQR-M)방법을 적용하였고 합의팀을 구성하여 영영 및 범주 구성, 코딩 및 빈도 분석 단계의 과정을 거쳐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3개의 대영역, 5개 중영역, 11개 하위영역 및 3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캠퍼스 내대학상담자들은 위기개입에 대한 전문성 부족으로 압박감과 상시 불안을 경험하였고 전문적으로 도움받을 수 있는지원체계의 미흡으로 더욱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대학상담자들은 개인적으로 나름의 대처를하면서 위기개입 전문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였고, 대학 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체계 구축 및 지원에 대해 요청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한계점을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대학 상담기관 자살위기개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상담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권호인,김소라,윤경선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12 No.2

        This study examined the problem of suicide crisis intervention of university counseling agency and to present improvement of suicide crisis interventions. After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conducted targeting 12 counselors of college counseling center, we analyzed it for the study. As a result, a total of four categories, the concept of the 13 sub-regions were derived as the problems of suicide crisis intervention which the college counselors would think. Four categories were absence of written guidelines for the crisis intervention, lack of the systems and management of the college counseling center, lack of awareness of the suicide problem and difficulties of referral process. In addition counselors said that change in the perception of the suicide problem across the college, establishing a management system for crisis students, preparation of written crisis intervention guidelines, training for counselors and post intervention were necessary effective suicide crisis intervention. Finally they proposed th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대학 상담기관 자살위기개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 상담 기관의 상담자 12명을 대상으로 3개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 상담자들이 생각하는 대학 상담기관의 자살위기개입의 문제점으로 총 4개의 범주, 13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4개의 범주는 위기개입에 대한 지침 부재, 대학 상담기관의 체계 및 관리 부족, 자살 문제에 대한 인식 부족, 연계 과정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상담자들은 효과적인 자살 위기개입을 위해서는 학교 전반의 자살문제에 대한 인식 변화, 위기학생에 대한 관리체계 구축, 문서화된 지침 마련과 구체적 훈련, 사후 개입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학생 위기개입 과정에서의 교사경험에 대한 연구

        명소연,이동훈,정보영,강은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학생의 위기문제를 개입한 교사들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학생 위기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1명의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Krippendorff의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의 위기문제를 개입한 교사들의 경험은 4가지 차원, 22개의 범주, 64개의 의미단위로 분류되었다. 교사가 학생의 위기문제를 개입하면서 경험한 4가지 차원은 ‘위기문제 접촉’, ‘위기개입 과정’, ‘위기개입 체계’, ‘위기개입 교육’ 으로 구분되어 각각 교사들이 위기문제를 개입하면서 경험한 어려운 점과 보완점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교사들이 학생의 위기문제를 개입할 때 필요한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intervention of student crisis by taking a closer look at the experience of teachers involved in student crisis problems. In this study, 11 high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Krippendorff 's cont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s that the teachers' experiences of students' crisis problems were classified into 4 dimensions, 22 categories and 64 semantic units. The four dimensions of teachers' involvement in the student crisis were classified as ‘crisis problem contact', 'crisis intervention process', 'crisis intervention system', 'crisis intervention education'. Teachers could identify difficulties and supplement points by intervening crisis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for high school teachers to intervene in students' cri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