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인터넷 문화산업정책의 변천과정 연구

        유봉구 중앙대학교 외국학연구소 2018 외국학연구 Vol.- No.44

        The Internet culture industry policies have various names. As the name "Internet culture industry" suggests, the Internet culture industry in China has made growth along with the advancement of Internet technologies. It was on February 18, 1994 when China enacted its first Internet act, which created an opportunity for the Internet culture industry to develop as an industry. In China, the central government takes the initiative in the concepts and policies of the Internet culture industry all based on the "content industry." The definitions of the Internet culture industry are not unified with very complex patterns of their names across the globe, including in China. There are, however, several elements essential to the definition of the Internet culture industry: the first term is digital information; the second one is cultural content; the third one is digital technology; the fourth one is the fusion of cultural content and digital technology; and the final one is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lements in a new form based on the fusion of cultural content and digital technology throughout the Internet. The Internet culture industry is defined as the total combination of these elements. The changing process of the Internet culture industry policies in China has gone through three periods: the first one is the period of early development (1994~2004); the second one is the period of intensive development (2005~2012); and the third one is the period of mobile Internet and Internet Plus(+)(2013~2018).

      • KCI등재

        중국 ‘인터넷+ ’ 시대의 새로운 문화동력

        오혜정(Oh, Hye-Jung)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7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50

        Entering 21st century, “internet” has already become a word attracting the biggest attention over the world. .This is reflecting new characteristics of the era, and it means that we can share process and culture of the world’s industrial development in the same space in the back ground of internet. The newly rising term “internet plus” represents diverse types of industry combined with internet, and the existing industrial development through the internet has induced development strategies and policies with new characteristics. Utilizing internet platform and info-communication technology, “internet plus” is a strategy to create a new ecosystem for economic progress through integration of every industry with internet, and it represents a new paradigm of economic progress in China. Chinese cultural industry, which was emphasized from the year 2000, is continuing its rapid progress. This was possible through the interactive combination via internet platform, which implies that the culture plays the key role of economic & social progress in the era of internet plus. Especially, various fields of cultural industry such as film, animation, video games, cartoons, and travel are exercising major influence via internet on Chinese culture’s emerge into international market. Internet plus culture industry is an important measure to build a new growth engine for national economy by total confusion of service industries such as cultural, creative, and design services into real economy. In the process, leading enterprises in China will form industrial chain in cultural field through internet, make their own professional platforms to dominate and supply their outstanding contents resources, and continue their growth as more competitive enter prises. Furthermore, this will work as a major engine to encourage globalization of Chinese culture products.

      • KCI등재

        인터넷전문은행 도입에 따른 법적 쟁점에 관한 소고- 금산분리 완화 문제를 중심으로 -

        박철호,윤창술 한국법정책학회 2018 법과 정책연구 Vol.18 No.4

        인터넷전문은행은 기존의 일반은행과 달리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금융거래 방식을 택하면서 기존의 일반 시중은행들이 가지지 못하는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진 금융기관으로 2017년 이후 인정되었다. 낮은 대출이자, 높은 예금금리, 저렴한 수수료와 같은 가격경쟁력과 거래의 시간적・장소적인 제약이 적다는 장점을 가진 인터넷전문은행은 도입 초기부터 선풍적인 관심을 받았다. 그러나 인터넷전문은행으로 인가받았던 케이뱅크나 카카오뱅크는 곧 자본금확충의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러한 고충을 해결하기 위해 산업자본의 투자를 기대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현행 은행법상 여러 가지 제약 중 특히 산업자본과 금융자본의 결합을 제한하는 금산분리의 원칙 등이 인터넷전문은행의 자본금 확충이 걸림돌로 작용하게 되었다. 이에 그 해결책으로 국회에서는 은행법을 개정하는 방안과 특별법을 제정하는 방안을 검토하다가 “인터넷전문은행 설립 및 운영에 관한 특례법”의 제정하기에 이르렀다. 동법은 비금융주력자(이른바 산업자본)가 은행의 발행주식 총수의 34%까지 소유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어 인터넷전문은행으로 하여금 자본금을 유치할 기회를 제공하게 되었다. 동법은 이와 동시에 금산분리를 완화함에 따라 나타나게 될 문제점에 대비해서 대주주나 재벌기업에 대한 신용공여를 제한 및 금지하는 규정, 대주주에 대한 편법적 신용공여나 대주주에 대한 부당지원 등을 원천봉쇄하는 규정 등도 아울러 규정하였다. 은행법이 금산분리의 원칙을 인정하여 산업자본과 금융자본을 나누고 서로 유기적인 투자를 차단했던 것은 재벌인 대기업이 은행을 소유함으로서 은행이 재벌의 사금고화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동법은 이러한 금산분리에 대한 예외로서 산업자본이 은행에 자본을 투자하는 길을 열어주고 있는 것이다. 금산분리라는 규제방식은 외국의 입법례에서도 보기 드문 사례로서 금산결합을 통한 금융시장의 활성화를 저해할 우려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세계 추세에 발맞추어 금산분리를 완화하는 방향으로 법적・제도적 장치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 일환으로 국내 금융산업에 대한 지나친 규제를 철폐하고, 금산분리에 관한 현행 금융관련법들의 중복적인 규제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국내 금융지주회사에 관한 규정들을 정리하고, 금융시장에 투자가 가능한 산업자본 즉 비금융주력자의 개념을 명확히 함으로써 장차 금산분리의 완화 내지 금산결합의 허용을 준비하여야 할 것이다. Internet Only Bank, which has been recognized since 2017, is a bank that trades online and has many advantages that ordinary commercial banks do not. In other words, Internet Only Banks received a lot of attention from the start because of the advantages of price competitiveness, such as low loan interest, high deposit rate and cheap fees, and of low time and location restrictions for financial transactions. However, K-Bank and Kakao Bank, which received approval from Internet Only Banks, soon met with difficulty in securing enough capital and came to expect investment from industrial capital to resolve these difficulties. However, among the various limitations of the Banking Act,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Finance and Industry, which limits the union of industrial capital and financial capital, has been an obstacle to the expansion of capital of Internet Only Banks. As a solution, the National Assembly enacted the "Special Act o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Internet Only Banking(IOBA)". The Act(IOBA) opened the way for industrial capital to own up to 34% of the total number of shares issued by banks, and Internet Only Banks had the opportunity to supplement their capital. The Act(IOBA) also stipulated that the restriction or prohibition of providing credit to major shareholders or chaebol corporation should be imposed because of the problems that would result from alleviating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finance and industry, and that the expedient provision of credit to major shareholders or unfair support to major shareholders is prohibited. The reason why the Banking Law separated the industrial capital and financial capital and prevented them from investing in each other in recognition of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finance and industry was to prevent banks from turning into private safes for chaebols through ownership of banks. The Special Act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Internet Only Banking (IOBA), as an exception to this Principle of separation and finance and economy, opens the way for industrial capital to invest capital in banks. However, the regulatory framework of separation of finance and industry is a rare example even in foreign law, which could hamper the revitalization of the financial market through a combination of finance and industry. Because of this, laws and regulations should be created and modified to mitigate separation of finance and industry in line with global trend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abolish or reduce excessive regulations on the domestic financial industry and to organize redundant regulations under the current financial law related to the separation of the financial industry. In addition, the laws related to domestic financial holding company should be organized and the concept of industrial capital company that can be invested in the financial market should be clarified in order to prepare to mitigate the separation of finance and industry or to allow the union of the finance and industry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중국 인터넷 게임산업의 발전과 특징

        장환조,김상욱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11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6 No.4

        This paper analyse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internet game industry in China.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T industry and cultural industry, the internet game industry becomes the new growth industry which lead the economic development. Generally speaking, the online game industry could classifies the internet game industry, mobile game industry and PC game industry. And, the internet game industry is most important industry in the online game industry. In the base of nation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policy support, the internet game industry take a good opportunity after 2000. In particular, the growth of the domestic enterprises more rapid than the foreign enterprises after 2005. The domestic internet game enterprises use the Chinese traditional culture concept, developed the game production. The domestic internet game enterprises mainly located in the economic development high level region, as Beijing, Shanghai and Guangdong region. The domestic internet game enterprises mainly use MMORPG pattern. And, in the base of domestic competitiveness, the domestic internet game enterprises entered the foreign game market.

      • KCI등재후보

        인터넷플러스시대 중국 TV미디어산업의 현주소

        이태형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7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6 No.4

        본고는 21세기 중국 문화산업으로 새롭게 급부상하고 있는 TV미디어산업을 중심으로 그 현황과 과제를 살펴보았다. 중국 문화산업은 2000년대에 와서 매우 중시되었고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뉴노멀 즉 신창타이(新常態)이다. 2014년 중국에서 새로운 문화산업으로서 추진되고 있는 인터넷플러스(+) 사업이다. 2015년 3월에 국무원에서 “중국제조 2025” 프로젝트를 공표했다. 이것은 중국 제조업을 인터넷 기술 혁명을 통하여 국가 간의 경쟁에서 이겨내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인터넷플러스(+) 개념의 핵심이다. 인터넷플러스(+) 전략은 문화정책을 시작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이것은 문화산업과 인터넷의 상호 융합을 통한 플랫폼이다. 중국 문화산업과 관련한 여러 부처 중에서 TV방송영상콘텐츠 산업 관련한 정책을 주로 담당하는 역할을 하는 부서는 국가광전총국(SARFT)이다. 여기서 방송 미디어 및 방송 프로그램, 영화 등의 미디어콘텐츠 관련 정책이나 규제 마련, 관리 및 감독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최근에는 중국TV방송 규제 및 해외 방송콘텐츠 온라인 플랫폼으로 몰리면서 유통 규제를 하고 있다. 중국이 인터넷플러스(+) 시대에 TV미디어 산업이 발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새로운 인터넷플러스(+) 용어의 등장은 다양한 산업모델과 인터넷이 융합하여 산업 발전에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의 등장과 확산, 그것을 이용할 수 있게 된 환경으로의 전환은 그것 자체로 사회적 변화이면서 동시에 또 다른 사회적 변화를 야기했다. 중국의 TV미디어산업에서 네트워크 플랫폼 기술과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인터넷+ 사고를 통하여 시청자와 제작자가 쌍방간 소통, 현장 디스플레이, 상호 작용, 재미와 경험, 가상현실과 같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새로운 미디어 디스플레이 기술로 문화를 전파해야 한다. 이처럼 ‘인터넷플러스시대 중국의TV미디어산업은 높은 시장가치와 높은 수익률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형태의 산업 가치사슬로, 국경 없는 인터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여 유망한 비전을 지향하는 비즈니스모델을 추구한다.중국 미디어 관련 기업들은 지속 가능한 경쟁력을 가지면서 다양한 변화에 대응할 수있는 인터넷 문화산업의 새로운 지평을 구축하기 위해, 플랫폼+콘텐츠의 혼합형, 자본결합의 통합 작용 그리고 네트워크 산업 사슬의 역방향 확장 등의 다양한 방법들을 모색하고 있다. In early period of 21st century, supported by the goverment, china cultural industry has developed in different scale in different areas. however, there exist some problems. This paper Summarizes the core issues and problems of the China's Internetplus(+) TV Media Culture Industry. Chinese cultural industry, which was emphasized from the year 2000, is continuing its rapid progress. it is becoming the ‘xinchangtai(新常態)’. China obtained an approval for its “Internetplus(+)” at the national level in 2014, and its State Council announced “China Manufacturing 2025” in May, 2015, making an attempt at a revolutionary transition of its manufacturing industry. The keyword of the “Internetplus(+)” concept,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Internetplus(+) policy in the cultural industry. Among various departments related to the culture industry, the State Administration of Radio, Film, and Television(SARFT) is mainly in charge of policies on broadcasted TV contents. As the Chinese government strengthened the regulations on TV broadcasts, Lastly, the authority now focus on controling the importation of programs and program formats. This was possible through the interactive combination via internet platform, which implies that the culture plays the key role of TV Media progress in the era of internet plus. The newly rising term “internet plus” represents diverse types of industry combined with internet, and the existing industrial development through the internet has induced development strategies and policies with new characteristics. Especially, various fields of cultural industry such as television broadcasting is exercising major influence via internet on Chinese culture’s emerge into international market. The new generation of network TV & Mass media Platform business model shows revolutionary innovation power in today’s business. “Internetplus(+)” plan will encompass creations in entirely new meanings through the connection and fusion of the Internet and industry. Moreover, it is recommended for us to promote joint ventures with Chinese drama production companies after finding out sources preferred by the Chinese viewers, or target niche markets by developing video contents that cannot be produced by the local companies.

      • KCI등재

        일본의 사물인터넷 정책과 향후 전망

        송정현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9 전자무역연구 Vol.1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icy ‘internet of things’ of Japan. The focus of discussion is that analyze the recent movement of policy and the task of Japan to expand the market share as ICT industry is transformed from Sensor Network (RFID/USN) to Machine to Machine of one-to-one communication and Internet of thins of N to N communication. Composition/Logic: Internet of things of Japan has introduced since 2005. The terms of Internet of things are widely used from wireless sensor network and relative technique to various application which are based information of device. This study focus on these questions; First, what the appearance of internet of things does mean? This study reviews appearance of internet of things. Second, what's the government policy to utilize internet of things? This study review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IT headquarter, the policy of internet of thins of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Findings: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policy of the internet of thins in Japan. These are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through analyzing. First, the industry of internet of things grows rapidly. World market size of internet of things on 2013 is about $1.3 trillion and is expected to expand to $3.04 trillion on 2020. Average annual growth rate is expected around 13% from 2013 to 2020. Second, there is economic growth strategies through utilizing internet of things. Japan intends to entice governmental effectiveness through adopting e-Government and industrial structure revolution as setting up internet of thing as economic growth strategy policy. Third, there is policy competition over internet of things industry among government ministry. Government ministry has its own policy sector which often overlap each other. Government ministry tends to fix its own policy sector emphasizing overlapping part. Originality/Valu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eeks for government's development strategy as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existing market trend of internet of things. As utilizing internet of things is expanded, encouraging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government level and political countermeasures get bigger. Life qualitative improvement by internet of things, continuous economic growth and enhancing national productivity are expected. Japan government take up a positive attitude on policy enforcement.

      • KCI등재

        A Study on the Recent Movement and the Policy on the Internet of Things of Japan

        Jung-Hyun Song(송정현)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9 전자무역연구 Vol.17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정책을 분석하는 것이다. 논의의 쟁점은 ICT산업이 센서 네트워크(RFID/USN)에서 1대1 통신의 사물지능통신(Machine to Machine, 이하 M2M), N대N 통신의 사물인터넷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세계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한 일본의 정책동행과 과제를 분석하는 것이다. 논문구성/논리: 일본에서 사물인터넷은 2005년경부터 ICT업계 내에서 소개되기 시작하였다. 사물인터넷 용어는 무선센서 네트워크 및 관련기술 또는 디바이스의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이르기 까지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가 살펴보고자 하는 바를 질문 형식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물인터넷의 출현이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 출현까지의 변화를 검토한다. 둘째, 사물인터넷 활용방안에 대한 정부정책은 무엇인가?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총무성, IT본부, 경제산업성의 사물인터넷 관련정책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결과: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 시장 확대를 위한 일본정부의 정책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전개하였다.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사물 인터넷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3조 400억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 된다. 또한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13%의 성장률이 예상되고 있다. 둘째, 사물 인터넷 산업을 활용한 경제성장 전략이다. 일본은 사물인터넷 산업이 확대되면서 경제 성장 전략의 중심산업으로 설정하여 파급효과에 의한 산업구조 개혁과 전자정부을 도입하여 정부 효율성을 유인하려 하고 있다. 셋째, 사물인터넷 산업을 둘러싼 정부부처 간의 정책경쟁이다. 정부부처는 고유의 정책영역이 있다. 정책영역이 겹치는 부분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정부부처는 정책영역이 겹치는 것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한다. 각 부처는 겹치는 영역을 강조하여 자신들의 영역을 확고히 하려는 경향이 있다. 독창성/가치: 기존 사물인터넷 시장동향과 발전방향을 중심으로 전개하고 있는 선행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물인터넷 산업에 대한 정부의 발전방향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활용이 확대되면서 정부차원의 기술개발장려와 정책적 대응이 커지고 있다. 사물인터넷을 통한 생활의 질적 향상과 지속적 경제성장 및 국가경쟁력 제고의 역할이 기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목적에서 일본정부는 정책주진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icy ‘internet of things’ of Japan. The focus of discussion is that analyze the recent movement of policy and the task of Japan to expand the market share as ICT industry is transformed from Sensor Network (RFID/USN) to Machine to Machine of one-to-one communication and Internet of thins of N to N communication. Composition/Logic: Internet of things of Japan has introduced since 2005. The terms of Internet of things are widely used from wireless sensor network and relative technique to various application which are based information of device. This study focus on these questions; First, what the appearance of internet of things does mean? This study reviews appearance of internet of things. Second, what s the government policy to utilize internet of things? This study review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IT headquarter, the policy of internet of thins of Ministry of Economy, Trade and Industry. Findings: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policy of the internet of thins in Japan. These are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through analyzing. First, the industry of internet of things grows rapidly. World market size of internet of things on 2013 is about $1.3 trillion and is expected to expand to $3.04 trillion on 2020. Average annual growth rate is expected around 13% from 2013 to 2020. Second, there is economic growth strategies through utilizing internet of things. Japan intends to entice governmental effectiveness through adopting e-Government and industrial structure revolution as setting up internet of thing as economic growth strategy policy. Third, there is policy competition over internet of things industry among government ministry. Government ministry has its own policy sector which often overlap each other. Government ministry tends to fix its own policy sector emphasizing overlapping part. Originality/Valu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eeks for government s development strategy as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existing market trend of internet of things. As utilizing internet of things is expanded, encouraging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government level and political countermeasures get bigger. Life qualitative improvement by internet of things, continuous economic growth and enhancing national productivity are expected. Japan government take up a positive attitude on policy enforcement.

      • KCI등재

        인터넷전문은행 규제체계에 관한 소고

        이채진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홍익법학 Vol.19 No.1

        An internet-only bank means a bank which manages its ‘banking business’ through its online/mobile service platforms only. It is differentiated from online/mobile banking of commercial banks in that the online/mobile service platform is the only way through which an internet-only bank provides financial services; and that it offers tailored services for its customers utilizing huge amount of their non-financial as well as financial information. The history of an internet-only bank started in the U.S. in 1995. Various cases in other countries imply that the success of an internet-only bank depends on securing a fixed range of customers and its capability to provide them with innovative and differentiated services. Moreover, as the leve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penetration rate of mobile devices are higher than ever, alliance with ICT companies is the key element to the success of an internet-only bank. Recently the first and the second internet-only bank of Korea, K Bank and Kakao Bank, launched their businesses. They look successful, for now, since not long after their opening they accomplished outstanding business performance, which drove commercial banks to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But the prospect is not bright enough. K Bank is struggling with raising capital. Their financial products are not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commercial banks. ICT companies cannot actively participate in operating the internet-only banks. This is partially due to applying the same regulatory scheme to internet-only banks as applied to commercial banks regardless of characteristics of internet-only banks. For the internet-only bank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o which they are confronted, regulatory scheme for internet-only banks needs to be redesigned which includes alleviation of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financial and industrial capital for an internet-only bank and restriction of the banking activities permissible for them so that it should support the settlement and growth of internet-only banks. 인터넷전문은행은 ‘주로 인터넷·모바일 등 온라인 기반 통신시스템이나 ATM 등 비대면채널을 통해서 은행업을 영위하는 자’로서 이러한 비대면채널이 고객과의 주요 접촉지점으로 기능한다는 점, 금융소비자의 금융정보 뿐만 아니라 다양한 채널을 통해 취득한 비금융정보를 빅데이터화 하여 이를 활용하여 거래고객에게 맞춤형 상품을 제공한다는 점 등에서 일반은행 및 일반은행이 영위하는 온라인/모바일 뱅킹과 구별된다. 해외에서는 이미 20년 전부터 인터넷전문은행이 영업을 시작하였는데 해외 인터넷전문은행들의 예에서 보건대 고정고객층을 확보하여 그들에게 다른 금융회사와 차별화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 여부, 특히 최근에는 인터넷전문은행이 ICT 기업과 연계하여 혁신적인 금융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이 인터넷전문은행의 성공을 위한 핵심요소로 꼽힌다. 우리나라에서는 2017년 들어 국내최초의 인터넷은행인 ㈜케이뱅크 은행과 한국카카오은행(주)이 영업을 시작하였다. 이 두 은행은 일단 시장진입에는 성공한 것으로 보이나, 자본금 확충이 수월하지 않은 점, 업무가 일반은행 및 인터넷전문은행 상호간에 차별화되지않는 점, ICT 기업의 은행영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데 제약이 있는 점에서 전망이밝지만은 않으며, 이러한 한계는 부분적으로는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한 규제가 그의 특성을반영하지 않은 채 은행과 동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전자적 방법에 의한 금융서비스는 4차산업 시대에서 국가경쟁력 지지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그 중심에 있는 인터넷전문은행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계속적인 제도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인터넷전문은행은 분명 은행으로서의 성격도 지니지만, 정책적으로 인터넷전문은행을 지원해야 할 필요성, 은산분리규제의 완화가 ICT 기업의적극적인 참여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 인터넷전문은행 업무영역 및 거래수행 방법상의특수성, 그리고 금융시장에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이 지니는 중요성 등을 고려하면 은행과는 그 규제의 틀과 내용이 다르게 설계되어야 한다.

      • KCI등재

        IDC산업의 입지적 특성 및 지역경제파급효과 -김해지역 사례연구-

        이우배 ( Woo Bae Lee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5 지역개발연구 Vol.47 No.1

        IDC산업은 신경제시대의 도래와 함께 최근 국가 및 지역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세계 주요 도시들이 이들 인터넷데이터센터 유치를 위해 경쟁을 벌이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최근까지 IDC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및 성장 잠재력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KT-SB 글로벌데이터센터가 입지한 김해지역을 사례로 IDC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및 성장 잠재력을 분석해 보았다. 먼저 사례지역의 산업구조 분석 결과 김해는 우리나라 대부분 지방산업도 시와 마찬가지로 전통 제조업에 특화에 있으며 IT산업은 집적도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여건을 감안해 볼 때 새롭게 입지한 IDC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는 단기적으로는 그다지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자치단체의 노력이나 정부의 지원 노력이 뒤따른다면 IDC산업이 지역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는 잠재력도 발견된다. 첫째, 지역에 특화해 있는 기계금속산업이나 수송기계부품산업이 미래 지식집약형 기계산업으로 발전해 가기 위해서는 클라 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특화 솔루션 개발이 요구되며 지역의 IDC가 이를 실현해 가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을 위해 새롭게 요구되는 그린 IDC산업 수요에 대응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효율 저전력소비 장비 및 솔루션 도입, 전력설비 개선 등이 요구되며 이에 특화된 핵심기술 확보 및 제품개발과 관련한 후방산업의 성장도 기대된다. 셋째, IDC의 코로케이션 서비스 활용을 위한 국내외 기업이 입주할 경우 지식정보산업의 새로운 클러스터로 발전해 갈 수 있을 것이다. In the era of new economy, Internet Data Center(IDC) industry draws interests of many policy makers as an emerging industry of information technology. Many cities in the world now compete to attract internet data centers to their region. Despite these interests, there have not been any considerable research on the location of IDC industry and its economic impacts on the local economy. This research aims to find out economic impacts and growth potential of the IDC studying a case of KT-SB Global Internet Data Center in Gimhae area. Without KT-SB Global IDC, Gimhae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Korea has been specialized in metal and mechanical engineering industry. Considering its economic structure of the area, immediate impacts of the IDC on the local economy are not expected to the great extent. Nevertheless, with public interests and further policy supports, we can find some possibilities of IDC to grow as a new locomotive of local economic development. First, cloud services and specialized solution provided by IDC can assist local traditional industries of metal and mechanical engineering to be transformed to a new knowledge-intensive high tech industries. Second, growing demands for more energy-efficient IDC industry in future will help its backward industry of tools and instruments of green IDC to grow in the area. Third, with additional location of firms seeking to use co-location services of IDC, Gimhae area can grow as a new economic cluster of information industry.

      • KCI등재

        인터넷전문은행 활성화를 위한 은산분리법제 고찰

        정주호(Jeong, Juho),최선규(Choi, Sun-Kyu)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論叢 Vol.37 No.-

        우리나라는 ICT기술과 금융을 융합한 혁신적 은행모델로서 주목받는 인터넷전문은행이 내년 1월 중 출범을 앞두고 있다. 인터넷전문은행은 도입 논의 과정에서 핀테크를 이용한 혁신적 금융모델로서 많은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법제상 산업자본의 은행업 진입을 엄격하게 규제하는 은산분리규제 때문에 새롭게 출범하는 인터넷전문은행이 도입목적에 부합하는 경쟁력을 갖추기 어렵다는 우려가 높다. 특히 인터넷전문은행 경쟁력 제고에 있어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산업자본이 은행 의결권 지분의 4%이상, 의결권 없는 은행 지분의 10% 이상 보유하는 것을 금지한 은산분리규제이다. 인터넷전문은행은 은행업의 특성상 초기자본이 많이 소요되고, 핀테크 및 빅테이타 활용기술이 반드시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인터넷전문은행의 설립주체가 되고 있는 케이뱅크나 카카오뱅크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기업으로서 산업자본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은산분리규제가 계속 유지될 경우 지분취득이 제한되어 추가적인 투자집행과 경쟁력있는 서비스개발이 제한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해당 ICT기업들이 은산분리규제에 따라 인터넷전문은행의 안정적인 경영권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ICT기술과 금융의 혁신적 결합을 통한 금융서비스 제공이라는 본래 취지를 살리지 못할 것이다. 이는 인터넷전문은행이 금융 중심의 기존 은행에서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또 다른 형태의 상호저축은행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리나라 인터넷전문은행이 경쟁력을 갖춘 성공적인 금융기관으로 안착되기 위해서는 은산분리완화를 통하여 산업자본이 적극적으로 인터넷전문은행에 참여할 수 있는 유인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Korea is expected to launch an Internet Primary bank in January next year,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innovative bank model that combines information technology and finance. The Internet Primary Bank attracted much attention as an innovative financial model using Fin-Tech in the process of introduction. However, there is a high concern that the newly launched Internet Primary Bank will not be able to compete in line with the purpose of the introduction due to the policy of segregation of capital, which strictly regulates the entry of industrial capital into the banking industry. In particular, the most problematic issue in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Internet Primary Bank is the restriction on the segregation of silver that prohibits the industrial capital from holding more than 4% of the bank"s voting stake and more than 10% of the bank"s stake. In the Internet Primary Bank, the initial capital is required due to the nature of the banking industry, and the technology of pin-tec and big-data is indispensable. However, the K-bank or cacao bank, which is currently the foundation of Korea"s Internet Primary Bank business, is classified as an industrial capital as an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 company. It is a situation that can not be limited. Therefore, if the telecommunication companies fail to secure the stable management rights of the Internet primary Bank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on the segregation of capital, they can not escape from the original purpose of providing financial services through innovative combin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finance, It is likely to fall into another form of mutual savings bank. Therefore, in order for Korea"s Internet Primary Bank to become a successful and successful financial institu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centives for industrial capital to actively participate in Internet Primary Bank through mitigation of the segregation of seg-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