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가계저축률 하락 요인에 관한 연구

        유경원 ( Kyeong Won Yoo ),이혜은 ( Hye Eun Lee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1 유라시아연구 Vol.8 No.1

        국내 개인저축률 하락 추세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가계저축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개인저축률 상승을 계기로 우리나라의 개인저축률 저하가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계저축 저하현상에 대해 일부에서는 예비적 저축동기 확산으로 저축률 상승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엄밀한 실증근거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가계저축률 저하현상을 미시 및 거시자료를 이용하여 보다 종합적인 시각에서 원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시계열자료를 이용한 분석결과 우리나라 개인저축률 저하의 원인으로 낮은 소득 증가율, 주택 등 자산가격의 상승, 사회보장 지출 확대, 소비자금융의 발달로 인한 가계부채 증대, 저금리기조, 소비패턴의 변화 등이 제시되었으며 무엇보다도 저금리와 가계부채의 증대가 주요 원인으로 제기되었다. 한편, 외환위기 이후 최근의 금융위기에 이르기까지 가계가 직면하고 있는 위험은 보다 확대되고 종류도 다양화 되어 짐에 따라 가계의 예비적 저축동기도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 불확실한 미래에 대비한 저축동기가 확대되고 있지만 이것이 실제 저축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은 다른 저축동기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 동 분석결과는 일반적인 예측과 달리 예비적 저축동기의 확산이 실제 개인저축률의 상승으로 나타나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Compared to increase in US saving rate due to the financial crisis, the issue of decreasing saving rate in Korea is recently getting more important. However, the issue, why the saving rate in Korea has dropped so rapidly compared to the other countries appears to get relatively little attention in Korea and relatively a few studies have been done in a rigorous way. One of the recent studies from the Bank of Korea implies that the saving rate in Korea would be increased due to the expansion of the precautionary saving motive but its empirical evidence appears to be insufficient. This study synthetically analyses the reasons of decreasing saving rate using micro and macro data in Korea. The results of time series analysis show that the main reasons for the decreasing saving rates are low income growth rate, increasing property price, expansion of social security, increasing household debt, low interest rate, change of consumption pattern in Korea. Using the Korean household panel data, KLIPS, we also find that the change in saving motives after the 1997 financial crisis appears to have a relation with the structural factor of decreasing saving rate. The quantile regression results that we used here show that the realized saving rate due to the precautionary saving motive among other motives is the lowest one. Our results imply that the expansion of uncertainty around the society in Korea after the 1997 financial crisis could be one of the major factor for this change.

      • KCI등재

        Effect of Income Distribution on Household Savings Rate in Korea

        조성원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effect of income distribution on household savings rate in Korea.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generally use a cross-country or a panel data, this paper utilizes the time series data of Korea to study the relationship. In the model, household savings rate is specified as a function of income growth rate, interest rate, stock price, housing price, and income distribution index. In addition to these conventional variables, household non-consumption expenditures is also included in the model as an independent variable. Based on the unit root tests and co-integration test results, error correction model is constructed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household savings rate. Estimation result of the error correction model reveals that income growth rate, interest rate, and income distribution are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 household savings in Korea. Empirical result shows that a rise in interest rate would increase household savings, whereas a rise in income inequality would decrease savings. Empirical results of this paper suggest that a monetary policy to normalize the interest rate and a fiscal policy to redistribute income would be effective in raising the household savings rate in Korea.

      • KCI등재

        한국의 가계저축률 하락 원인에 대한 분석

        유재원(Jai-Won Ryou),유병하(Byeong-Ha Yoo) 한국경제연구학회 2014 한국경제연구 Vol.32 No.4

        본고는 한국의 가계저축률 하락이 성숙경제로의 이행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인지, 아니면 1990년대 이후 노동시장의 구조적 변화와 금융 및 자산시장의 변화를 반영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와 달리 국민계정의 연도별 가계저축률을 가계조사 자료의 관련 변수를 이용하여 분기별 자료로 변환하여 표본수를 확충하였다.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성장률이 하락하는 가운데 가계의 처분가능소득이 더 빠르게 축소되었고, 고령화에 따른 노령인구 부양비율 증가, 연금제도 확대에 따른 가계의 연기금에 대한 지분증가 등이 가계저축률의 장기적 하락을 초래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경제성장의 고용흡수력 저하와 같은 노동시장 변화도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해외 직접투자 증가, 정보통신기술 혁신, 기업 구조조정으로 인한 퇴직자 증가 및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 등으로 가계의 소득기반이 약화되었다. 셋째, 외환위기 이후 금융기관들의 가계대출 및 신용카드 발급 활성화로 인한 가계부채의 증가, 주택가격 상승에 따른 원리금상환 부담 증대 및 주택마련을 위한 차입 증가는 가계저축률 하락을 초래하였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이러한 금융ㆍ자산시장 변수들이 다른 모습을 보이면서 가계저축률 반등에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요약하면 가계저축률의 하락은 경제성장률 저하, 고령화와 사회보장제도 확대라는 장기적 요인과 함께 가계부문에 대한 소득분배를 축소시키는 구조적 요인, 그리고 금융ㆍ자산시장의 변동요인을 반영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노동시장 의 구조 변화로 인해 가계의 소득기반이 대폭 약화되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Korea’ household saving turned to a decreasing trend in the early 1990s, and further fell after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We seek to explain Korea’s savings trend reversal more deeply than the naive story of Korea’s transformation into a mature economy, taking into account changes in labor, financial and asset markets. Differently from the previous studies, we convert annual observations of household saving rate from the National Accounts into the quarterly series using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results. Our empirical analysis on the period between 1990:Ⅰ and 2012:Ⅳ shows that slowdown of economic growth, ageing in the demographic trends, and strengthening of social security are the long-term factors contributing to the decreasing trend of the saving rate. Secondly, it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a decline in the employment absorption rate. Thirdly, fluctuation of the household saving rate after the 1997 crisis could be explained by easing of liquidity constraint faced by households, a sharp increase in household debt, and a rise in housing price. Reversal of trends of these factors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contributed to its rebound in the 2000s. The decline in the household saving rate is a long-run trend driven by slowdown of growth, ageing, strengthening of the social security system, and shrinking of labor income share. In particular, undermining of the households’ income foundation caused by “jobless growth” needs due attention in explaining why Korea’s household saving rate remains low.

      • KCI등재

        가계 저축율의 변화 추이와 영향요인 분석

        이성림 ( Seong Lim Lee ) 대한가정학회 2011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49 No.8

        Using the 1987-2008 quarterly aggregated data of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influencing household saving rate.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AR regression model were the GDP growth rate, shares of the total household expenditure allocated to tax & social insurance, and education, the variables reflecting the conditions of the asset market including interest rate, stock market index, and real estate price index, and the variables representing the social economic conditions including the index of aging and income inequality. Among the independent variables interest rate, stock market index, and income inequali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household saving rat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redistribution and financial market policies favorable to savers may be effective for raising the household saving rate.

      • KCI등재

        조세부담이 가계저축률에 미치는 효과 분석

        정유석 한국세무학회 2008 세무와 회계저널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the impact of tax policy on household saving rate using the total tax revenue/GDP ratio, income tax revenue/GDP ratio, social security contribution revenue/GDP ratio and consumption tax revenue/GDP ratio. This paper analyzes the empirical determinants of household saving using data from 17 OECD countries for 1970~2005. The empirical evidence reported in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negative impact of total taxes, income taxes, and consumption taxes on the household saving rate is compelling and robust. This paper suggests important implication that tax burden should be minimized to promote household saving. 본 연구에서는 OECD 국가의 조세부담이 가계저축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OECD 주요 17개국을 대상으로 1970~2005년의 기간동안 가계저축률에 대한 결정요인으로서 소득증가율, 부양비율, 실질장기이자율, 총조세부담률, 소득세부담률, 사회보장기여부담률 및 소비세부담률을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총조세부담률, 소득세부담률 및 소비세부담률이 가계저축률에 대하여 부(-)의 효과를 미치고 있어 조세부담이 가계저축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기존의 가계저축률 결정요인으로서 중요하게 고려된 소득증가율, 실질장기이자율, 부양비율보다도 오히려 조세부담이 가계저축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실증분석결과에 기초해 볼 때 가계저축률 제고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조세부담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효율적이라는 점을 시사해준다.

      • KCI등재후보

        코호트분석을 이용한 가계저축률 실증연구

        윤종인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6 경영컨설팅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코호트분석(cohort analysis)을 이용하여 가계저축률 프로파일에 대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가계저축률에 대한 미시자료(micro-data)를 이용하였는데, 이 자료가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보기 어려웠기 때문에 본 연구는 비모수적인 방법(nonparametric techniques)을 이용하였다. 이에 따라 커널추정(kernel estimation)에 의해 5개 코호트의 가계저축률 프로파일을 추정하였고 이로부터 라이프싸이클효과(life-cycle effects)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metric entropy 검정을 이용하여 5개 코호트의 동일연령 저축률이 같다는 귀무가설을 검정하였고 이로부터 코호트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몇 가지 의미있는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첫째 5개 코호트 모두에서 20대 저축률이 같다는 귀무가설은 기각되었고 40대 이후 저축률이 같다는 귀무가설은 기각할 수 없었다. 둘째 다른 코호트와 비교할 때, 1975, 1980년생 코호트의 20대 저축률은 낮았다. 결론적으로 1960, 1965, 1970년생 코호트와 1975, 1980년생 코호트의 20대 저축률에서는 코호트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모든 코호트의 경우 40대 이후 저축률에서는 라이프싸이클효과가 지배적이었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household saving rate profiles using cohort analysis. Because of the non-normality of micro-data, we use nonparametric techniques. We estimate household saving rate profiles using kernel estimation. Also, we test the null hypothesis that saving rates of the same age and 5 different cohorts are equal using metric entropy test. We obtain some meaningful results. First, saving rates for different cohorts were found to be different in 20s, but not in 40s and after. Second, saving rates in 20s were found to be lower for 1975, 1980 cohorts than for those of other cohorts. Our results say that cohort effects were significant between 20s of 1960, 1965, 1970 cohorts and 1975, 1980 cohorts, and life-cycle effects were dominant in 40s and after of all cohorts.

      • KCI등재
      • KCI등재

        연령반응함수를 이용한 한국과 일본의 인구구조 변화와 저축률의 관계 분석

        안지희,송철종 한국경제통상학회 2022 경제연구 Vol.40 No.4

        이 연구는 1980년부터 2020년까지 한국의 5세 단위 인구구조의 변화가 가계저축률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비모수 및 준모수 추정법을 사용하여 가계저축률의 연령반응 함수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의 경우 가계저축률의 연령반응함수는 3차 함수 형태로 추정되었다. 또한 인구분포 자체를 분석에 사용함으로써 인구구조의 변화와 저축률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첫째, 지속적인 저출산은 가계저축률을 높이는 영향을 준다. 둘째, 10대에서 30대의 인구 비중 감소와 40대부터 60대의 인구비중 증가는 가계저축률을 하락시키는 요인이다. 셋째, 70대 이상 인구 증가는 가계저축률을 상승시킨다. 일본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인구구조의 변화가 가계저축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장기 침체와 같은 거시경제 상황을 통제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