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평적 규제체계로의 전환에 대한 연구: 국민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김정환 ( Jung Hwan Kim ),박지은 ( Ji Eun Park ),김수원 ( Su Won Kim ),김성철 ( Seong Cheol Kim ) 정보통신정책학회 2014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1 No.1

        현행 방송통신 법체계는 방송, 통신, 융합, 언론 각 분야 별로 칸막이가 존재하는 수직적인 규제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방송 시장의 경우 시청자가 보기에 동일한 서비스에 방송법과 인터넷멀티미디어사업법을 상이하게 적용한다. 방송법 내에서도 사업자를 지상파방송사업자, 종합유선방송사업자, 위성방송사업자, 방송채널사용사업자, 공동체라디오방송사업자, 이동멀티미디어방송사업자 등으로 나누어 구분하고 있으며 진입과 소유겸영 등에서 각기 다른 규제 원칙을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해외 사례분석을 통해 현행 수직적 규제체계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확인하고 수평적 규제체계로의 전환 필요성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규제체계 전환에 대한 일반 국민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수평적 규제체계로의 전환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Current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regulation system in Korea is based on the vertical regulatory framework where broadcasting, telecommunications, and convergence media are separately governed by different regulation systems. For instance, some broadcasting services are regulated by ``Broadcasting Act`` whereas other similar broadcasting services are regulated by ``Internet Multimedia Broadcasting Business Act``. This situation creates confusion in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market. Though new and convergence services are constantly being introduced in the market, Korea``s current regulation system can not properly define or regulate them.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blem of vertical regulatory framework of Korean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market and discusses the necessity of the transition from the current compartmentalized, vertical regulation system to layered, horizontal system. This study first conducted a review on foreign cases including the European Union,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n order to confirm the necessity and basis for the adoption of layered regulatory framework. Additionally, an online survey to understand the public``s perspective was carried out using conjoint analysis method, and implications for the adoption of layered model in Korea were suggested.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given policy tasks, which are ``reorganization of broadcastings and communications authorities``, ``development of strategic vision``, ``R&D investment and experts training``, and ``reconfiguration of law and regulation``, the reorganization of broadcastings and communications authorities would be the most important and urgent. Reconfiguration of law and regulation turned out to be the least important, indicating that Korean people do not pay much attention to the necessity of regulatory framework change. This study concludes that (1) the adoption of layered regulation model in the broadcastings and telecommunications industry should be progressed gradually, considering the gap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ity. Without the public``s support, it may lead to social and political noise. Also, (2) researchers and regulators should begin to establish a concrete structure and details of regulatory framework reform, with an emphasis on critical issues such as layer classification alternatives. Finally, (3) because the adoption of layered regulation model has to pass through the political process, the govern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form a consensus in order to minimize unnecessary conflicts.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o inform and educate Korean people as their agreement and support are essential for successful regulatory framework reform.

      • KCI등재

        수평적 규제체계에서 방송콘텐츠 규제의 법적 문제점

        최우정 (사)한국언론법학회 2017 언론과 법 Vol.16 No.3

        Despite the diverse methods of transmission of broadcasting, related legislation, particularly broadcast legislation, does not demonstrate the pattern of coping with technological changes. While the convergence has already emerged in the broadcasting industry over 20 years, broadcasting legislation has produced a parallel between broadcasting and contents of broadcasting or broadcasting alike, without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without having to engage in fundamental and substantive discussions on this convergence. Worldwide trends in broadcasting laws are shifting from vertical regulatory frameworks to horizontal regulatory frameworks. Currently, it is believed that there is a widespread reform in the nation, but the fact that the content and telecommunication network is not yet implemented is a widespread trend. Any legal problems related to broadcasting content can occur in the event of a transition to a future horizontal regulatory framework. The most typical problems related to broadcasting contents in the horizontal regulatory system are regulation of contents of broadcasting contents, regulation of contents of broadcasting contents, restriction of regulation ratio of broadcasting contents, regulation of broadcasting advertisement,Problems of funding, regulation of public opinion concentration of broadcast contents, and the like. 방송의 전송방식이 다양하게 전개됨에도 불구하고 관련 법제, 특히 방송법제는 기술의 변화에 충실히 따라가는 양태를 보여주고 있지 못하다. 융합화라는 화두가 이미 방송계에서 대두된 것이 20년을 넘어서고 있지만 방송법제는 이러한 융합화에 대한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논의를 하지 않으면서 새로운 기술의 등장에 의해 현실화된 방송 또는 방송유사의 콘텐츠에 대한 규제를 병렬적으로 생산하기만 했다. 방송법제에 대해 세계적인 추세는 수직적 규제체계에서 수평적 규제체계로 전환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이에 대한 본격적인 법개정이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으나 콘텐츠와 전송망의 분리규제라는 점은 대세라고 판단된다. 향후 수평적 규제체계로의 전환이 이루어질 경우 방송콘텐츠와 관련된 법적 문제는 다양하게 발생할 수 있다. 수평적 규제체계에서 방송콘텐츠와 관련된 가장 대표적인 문제들로는 방송콘텐츠 내용에 대한 규제, 방송콘텐츠 내용의 규제기관, 방송콘텐츠의 편성비율에 대한 규제, 방송광고에 대한 규제의 문제, 방송콘텐츠와 방송통신발전기금의 문제, 방송콘텐츠의 여론집중도에 대한 규제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 KCI등재

        제3차 전파진흥기본계획에 따른 수평적 규제체계로의 전파법 개정 제안

        오병철 한국전자파학회 2019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30 No.6

        In January, 2019,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nnounced the third edition of Master Plans for Radio Wave Promotion, effective from 2019 to 2023. The focus of this plan is to implement market based radio wave policy and horizontal regulatory framework. Although it appears to be past due, such change in the radio wave policy is not only fair and structured, but also unprecedented and ground breaking in legality.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market based radio wave policy and horizontal regulatory framework, we must implement identical radio wave license based on license with consideration and time-limited usage. Through this, efficient distribution of finite radio wave resource may come to reality. Furthermore, there must be an effort to include life style regulation on license into radio wave act in the future.

      • KCI등재

        OTT 성장과 방송 규제체계 개편

        문재완 세계헌법학회한국학회 2023 世界憲法硏究 Vol.29 No.3

        The media content market is rapidly reorganizing around global OTTs. Global OTTs are leading the domestic content industry. The problem that arises here is the regulatory imbalance between traditional broadcasting and new OTT. The Broadcasting Act is based on a terrestrial-centered broadcasting regulatory system and has evolved to include new media as they emerge due to technological advancements. As a result, traditional broadcasting, which is subject to the Broadcasting Act, is heavily regulated, while OTT, a new platform, is excluded from regulation. There is a strong argument for bringing OTT and broadcasting under the same regulatory framework. Since OTT does not transmit to the public, it does not fall under the concept of broadcasting under the Broadcasting Act. Those who argue for a constitutional broadcasting concept believe that the legislator can form a broadcasting concept, so it is possible to regulate OTT by amending the Broadcasting Act. However, the constitutional broadcasting concept is a legal concept from the past when the influence of terrestrial broadcasting was huge, and it is not valid in today's diversified media environment. Legislation that includes OTT in the broadcasting concept goes against the very nature of broadcasting. It is necessary to enact legislation that creates a new concept that encompasses both OTT and broadcasting, such as the European Union's Audiovisual Media Services Directive. It is not an easy task to completely reorganize the broadcasting law and establish a horizontal regulatory system that regulates all video services, including OTT. In Korea, revising the broadcasting law is a highly political issue. The task of reducing the strong public ideology of the broadcasting law and ensuring fair competition among video services is likely to lead to political debate. As the environment of the media content ecosystem is rapidly changing, it is important to prioritize the reform of the regulatory system. It is most urgent to revolutionize the excessive regulations imposed on traditional broadcasting to enable fair competition between traditional broadcasting and OTT. It is realistic to pursue a horizontal regulatory system transformation, including OTT, as a mid- to long-term task. Considering the public's high expectations for public responsibility in broadcasting, legislation that separates public media from commercial media is a feasible way forward.

      • KCI등재

        미래 ICT 법제체계 개편방향

        최경진(Choi, Kyoung-Jin) 한국정보법학회 2013 정보법학 Vol.17 No.1

        우리나라의 산업발전에 큰 기여를 한 ICT를 진흥하기 위한 법령이 지난 30여년 동안 제⋅개정되어 왔고, 법령의 내용이나 체계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이 글에서는 과거 우리의 ICT법제 체계의 변화를 뒤돌아보고, 현재 우리의 상황과 미래 ICT의 예측을 토대로 ICT법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고찰의 대상으로 삼았다. 먼저 ICT법제의 발전 흐름을 살펴보고, 미래 정보 사회의 구현 및 ICT 경제 재도약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바람직한 ICT 법체계 개편 방향을 도출하고자 시도하였다. 과거 ICT법제의 변화 중에서 특히 지난 5년여 동안을 돌아보면 여러 법제 개편의 노력이 있기는 했지만, 실제 입법이 이루어지고 법률이 운용되는 과정에서 각 법률 사이의 융⋅복합 및 조화는 잊혔고, 신산업의 창출, 융⋅복합의 활성화, 기존 ICT의 고도화, 수평적 규제체계로의 전환이라는 중요한 이상(理想)은 실현되지 못했다. 결국 이러한 중요한 목표들은 현재까지도 과제로 남겨져 있다. 또한 현행 ICT법령은 법제의 중복 또는 법체계 사이의 정합성이 미흡한 부분이 존재한다. 또한 법령상 거버넌스 측면에서 ICT 진행정책의 추진체계가 분산되어 있다는 문제도 지적할 수 있다. 나아가 융⋅복합 산업 등 새로운 산업의 출현에 따른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법령상의 곤란함도 일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바람직한 ICT 법제체계를 구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는 체계적 정합성 제고, 글로벌 관점에서의 접근, 탈규제 측면의 미래 한국 사회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ICT 법제의 구현, 새로운 ICT 거버넌스와의 조화 및 효과 극대화, ICT의 기본정신(개방, 중립, 참여, 공유, 자율)을 존중하는 법제의 구현 등이 있다. 이러한 점들을 바탕으로 우리의 ICT법제는 미래 ICT 환경에 적합한 규제체계로의 법제체계 전환, 즉 ICT 혁신 및 재도약기로의 전환을 꾀하여야 한다. 미래 ICT의 비전(미래 혁신 및 고도화 기반으로서의 ICT, 복지 로서의 ICT, 안전으로서의 ICT)을 담는 법제체계의 구현도 중요한 방향의 하나이다. 이를 위하여 ICT 혁신 및 재도약을 위한 플랫폼(Platform) 형 기본법 제정이 필요하며, 불필요한 중복 제거 및 조정기능을 강화하면서도 개별 영역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보장할 수 있는 법제이어야 만들어 나아가야 한다. 이 글에서 법령 및 조문 차원의 세부 적인 개선방안이나 제⋅개정안까지 도출하지는 못했지만 전체 체계적 관점에서 “신 ICT법제체계”를 하나의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앞으로 시대가 요구하는 사명에 맞게 ICT법제를 살아있게 만들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전개해야 할 것이다.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content or system of ICT laws which contributed to industry development of Korea during last 30 years. This paper retrospects the previous Korean ICT legal framework and examines its future based on prediction of future ICT technology and environment. For the study, it deals with history of ICT laws and tries to introduce the desirable direction of future ICT legal framework. Looking back on last five years, there were many efforts to amend ICT laws. But the attempt did not succeed and it resulted in still remaining of several problems; harmonization or convergence of related laws, creation of new industry, advancement of ICT, transfer to vertical regulatory system, etc. Another problem is overlapping of regulation among ICT-related laws, breakup of ICT policy propellant, unflexibleness on market change. To resolve the above problems, we must consider the following; systematic coordination, gloable aspect, deregulation, sustainable ICT legal framework, harmonization with new ICT governance, respect of ICT’s basic spirits(openness, neutrality, participation, share, autonomy. This paper cannot provide detail reform plan, but suggests “New ICT Legal Framework” from whole systematic perspective.

      • KCI등재

        OTT 제도화와 수평적 규제체계 도입 전략

        이상원,강재원,김선미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연구 Vol.25 No.4

        OTT(Over-the-Top) services are perceived as next-generation media, which reflect the trend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may bring growth and efficiency in media markets. Employing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examines rule-making for OTT services under the horizontal regulatory framework.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gulatory classification of OTT services under the horizontal regulatory framework and horizontal regulatory framework introduction strategy. OTT(Over-the-Top)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추세를 반영하면서 성장과 효율성을 동시에 가져올 수 있는 차세대 미디어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분석을 바탕으로 미디어 시장에서 기술 중립적 규제를 통하여 시장에서의 경쟁을 촉진할 수 있으며, 방송통신 융합 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규제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써 OTT 제도화를수평적 규제체계의 도입을 통해 해결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연구결과는 수평적 규제체계 하에서의 OTT 서비스의 지위와 함께 단계적 도입전략을 제시한다.

      • KCI등재

        생태계 요소를 반영한 방송통신 규제체계의 정립 방안

        홍대식,최동욱 한국법제연구원 2011 법제연구 Vol.- No.41

        The discussion on the adoption of the horizontal regulatory framework is underway to overcome the problems regarding the vertical regulatory framework resulting from a convergence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services. Recently, however, the horizontal regulatory framework shows its limitation to regulate the ecosystem established mainly by Google and Apple. The existing horizontal regulatory framework does not ful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sided market and the change in the competition structure in the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sector. What is important to note is that if the existing horizontal regulatory framework is simply applied to the ecosystem, a regulatory imbalance can be caused among ecosystems. The existing horizontal regulatory framework, which is subject to a value chain structure, categorizes business entities into either contents layer or transmission layer and applies the same regulation to all business entities in the same category. However, in the ecosystem, a keystone-player can be categorized into different layers depending on its strategy. Therefore, if the existing horizontal regulatory framework is applied as it is, the regulatory imbalance between keystone-players located in less regulated areas and keystone-players located in more regulated areas occurs resulting in a distortion of competition. There are two possible ways to establish a new regulatory framework to prevent the distortion of competition likely to be caused by the adoption of a horizontal regulatory system. First, a new ecosystem regulatory framework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can be established. Second, the horizontal regulatory framework can be modified to reflect the ecosystem elements. The first approach is hard to adopt given the current situation as the approach requires the analysis of all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ecosystems including mobile and wired services; currently research and study on the competition conditions in the ecosystems is not enough. Therefore, this paper supports the second approach proposing a modified horizontal regulatory framework through the improvement of institutions and remedies suitable for accommodating the ecosystem elements. This paper intends to propose a way to regulate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ecosystem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ecosystem elements on top of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Broadcasting Act, IPTV Act, the competition condition evaluation system of the Basic Act on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Development, and regulation on common carriers under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급격한 방송통신 융합 현상의 진전으로 인해 기존 수직적 규제체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수평적 규제체계 도입이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수평적 규제체계도 생태계 산업구조의 등장으로 인해 한계를 노출하고 있다. 방송통신 생태계가 구축된 경우의 경쟁상황은 개별 사업자간 경쟁을 전제한 경쟁상황과는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중추적 사업자의 사업전략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생태계가 존재하게 되고, 이러한 중추적 사업자의 역량이 생태계 간 경쟁의 핵심이 된다. 그런데, 중추적 사업자의 특성이나 사업 전략에 따라 그가 존재하는 계층 영역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생태계 간 경쟁 환경에 수평적 규제체계를 그대로 적용할 경우 일반적으로 경제적 규제의 강도가 약한 콘텐츠 계층에 중추적 사업자가 존재하는 생태계는 전송 계층에 중추적 사업자가 위치하는 생태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규제를 받게 되어 생태계에 따라 규제 차등화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생태계간 경쟁왜곡 현상을 초래하는 제도적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쟁왜곡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생태계 요소를 반영한 방송통신 규제체계로는 전혀 새로운 규제체계를 정립하는 방안과 기존 제도를 활용하는 두 가지 방안을 상정할 수 있다. 그러나 방송통신 생태계가 너무 복잡하여 다양한 시장변화 동인 모두를 적절하게 포괄하는 유효경쟁에 관한 단일한 기준을 도출하기 어려운 현 상황에서 전혀 새로운 규제체계를 마련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수평적 규제체계를 전제로 하면서도 생태계 요소를 반영하는 규제체계를 정립하는 방안으로 경쟁상황평가제도에 생태계 요소를 반영하고 경쟁상황평가제도와 구체적인 규제수단 마련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방안은 수평적 규제체계를 집행하기 위한 사업자분류체계로서 논의되는 2단계 분류체계나 3단계 분류체계 어느 것과도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분류체계에 의하더라도 전송 기능을 담당하고 있지는 않지만 최근 디지털 콘텐츠 유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앱스토어 등은 규제 영역 밖에 놓이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플랫폼으로 파악해 규제할 수 있도록 플랫폼 개념을 확대하고 이러한 플랫폼을 제공하는 사업자를 2단계 분류체계 또는 3단계 분류체계 내로 위치지우는 방식으로주제어:수평적 규제체계, 생태계, 전송단계, 콘텐츠 단계, 중추적 사업자, 상당한 지배력을 가진 사업자(SMP), 방송법, 통신법 사업자 분류체계를 구성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미디어 산업에 대한 규제 체계의 패러다임 변화

        김대호(Dae-Ho Kim)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07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4 No.1

        이 연구에서는 유럽 연합의 규제 프레임워크와 레이어 모델을 통해 수평적 규제 체계를 미디어 산업에 적용하여 살펴 보았다. 이를 위해 유럽 연합의 규제 프레임워크와 레이어 모델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유럽 연합의 프레임워크는 그 자체가 규제 체계이지만, 레이어 모델은 미국에서 융합 규제 체계를 위한 기반 이론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수평적 규제 체계의 쟁점들을 규제 완화, 서비스에 대한 규제 차이, 공정 경쟁, 공익성 등의 이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미디어 산업에 대한 수평적 규제체계의 적용은 무엇보다도 사후 규제와 진입 규제 완화 등의 규제 완화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수평적 규제 체계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중심의 정책과 규제 방향으로부터 서비스 전달 중심의 규제로 변화하는 모델이다. 그러므로 여기에는 서비스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여 더 나은 시장 환경을 만들고자 히는 전제가 깔려 있다. 이는 경쟁을 활성화하고자 하며, 따라서 공정 경쟁 정책이 중요한 정책 이슈가 된다. 특히 미디어 산업에서 늘 문제가 되는 공익성의 확보에 대해서는 수평적 규제 체계에서 공익을 전송 및 서비스 계층으로부터 분리하여 콘텐츠 계층의 문제로 보고 콘텐츠 계층에서의 규제를 통해 확보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그러므로 수평적 규제 체계를 미디어 산업에 도입하는 것은 미디어 신업의 특성을 살리면서 융합 환경에서의 변화를 수용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커다란 장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ddresses horizontal regulatory model applicable for media industry through European Union's regulatory framework and layered model discussed in the US. Both approaches focus on service characteristics rather than underlying technological traits. In particular, this research emphasizes on deregulation, fair competition, and pubic service. Horizontal regulatory model is closely related with ex-poste regulation and deregulation of entry in the media industry. This approach encourages competition in the market which raises anti-trust and fair competition issue. For the public service issue, it can be regarded as content layer issue rather than transmission or service layers. It becomes clear that the horizontal model could be adopted to move away from sector-specific regulation in media industry.

      • KCI등재

        유료방송 콘텐츠 계층의 집중 제한 방식 고찰

        김남두(Kim, Nam-Doo) 서울대학교 공익산업법센터 2014 경제규제와 법 Vol.7 No.2

        이 논문은 현재 국내 방송법령에 의거하여 시행되는 소유·겸영 제한 규정들이 방송 부문의 집중 제한 수단으로 얼마나 적합한지 평가하는데 목적을 둔다. 특히 PP 매출점유율 33% 상한제가 ‘유료방송 콘텐츠 계층 내 시장 집중제한’의 규제 목적 달성에 얼마나 적합한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방송 부문의 미디어 집중도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플랫폼-콘텐츠 계층 분류 모델을 반영한 관련 시장획정과 아울러 경제적·사회문화적 영향력을 종합 반영할 수 있는 측정기준의 선정이 필요하다. 현 PP 매출점유율규제는 유료방송 콘텐츠 계층 내 수평적 집중을 제한하는 규제 수단으로 도입되었지만, 규제 수단의 효용성 측면에서 중대한 결함을 안고 있다. 원론적으로, 점유율 측정기준이 되는 기업 매출점유율은 방송콘텐츠 서비스 특유의 사회문화적 영향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지표일 뿐 아니라, 실제로 이 지표를 적용하여 PP사업자들의 매출점유율을 신뢰할만한 수준으로 산정하는 데에 커다란 운용상의 난점들이 존재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운용상의 난점들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현 PP매출점유율의 대안으로 시청점유율 지표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한다. This essay makes an assessment of the current ownership rules and their related regulatory instruments that have been brought into the Korean broadcasting law to limit media concentration. Specifically,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s the market share threshold rule of 33% on the basis of sales proceeds for the PP (program providers) market. In order to measure media concentration in the broadcasting sector, essential are relevant market definition and choice of a measurement criterion. First, considering the phenomenon of telecommunications-broadcasting convergence, the market definition used for the threshold rule should be consistent with a horizontal regulatory approach that makes a distinction between platform and content. Second,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media services as sociocultural goods, the measurement criterion should be sensitive to both the economic power of a media business and the sociocultural effect of media content. Given these, the current 33% market share threshold rule for the PP market is flawed. First, the actual market definition in practice is not identical with the scope of TV content services in the pay-TV media sector. Second, the sales proceeds, i.e., the revenue-based measurement criterion, is highly problematic because it fails to consider the sociocultural effects of TV content on media consumers and, furthermore, it fails to yield reliable measures in the calculation of the total sales proceeds specific to the PP market. After a close examination of several problems with the market share threshold rule for the PP market, this paper discusses an alternative option of using TV audience share as a measurement criterion as a regulatory tool of limiting concentration within the content layer of the pay-TV media secto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