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일시대 아동문학 정전의 가능성 —「토끼와 원숭이」를 중심으로

        마성은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8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3

        통일시대에 걸맞은 아동문학을 준비하려면 어떤 편견이나 사상・이념 등에 매몰되지 않은 채 북측 아동문학의 관점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 것이 전제조건이다. 통일시대 아동문학의 온전한 계보・정전을 모색하려면 남북이 모두 납득하고 인정할 수 있는 작가・작품을 내세워야 한다. 본고는 바로 마해송이 그런 작가이며, 그의 동화 「토끼와 원숭이」야말로 통일시대 아동문학의 정전으로 남북이모두 납득하고 인정할 수 있는 작품임을 논했다. 작품에서 원숭이가 된 토끼들은 친일파・친미파・친소련파를 풍자한 것이다. 토끼가 토끼로 살지 못하고 원숭이가 되려 하건 뚱쇠가 되려 하건 센 이리가 되려 하건 모두 노예근성일 뿐이다. 토끼는 어디까지나 토끼로 살아야 하며 그것이 자주성이다. 북측에서는 이 작품이 자주적인 사상의식을 가지지 못할 때 자기 운명의 주인으로 살지 못하고, 노예근성에 빠져서 살 수밖에 없음을 잘 보여준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토끼나라를 강점했던 원숭이들이 쫓겨난 뒤에 토끼나라는 자주적인 독립국가를 건설해야 했다. 그러나 원숭이가 된 토끼들은 변함없이 자주적 입장과 근본적으로 상반・대립되는 모습을 보인다. 따라서 북측에서는 이 작품이 노예근성을 풍자・비판하며, 아동 독자들에게 자주성의 중요성을 일깨워 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작품에서 노예근성을 비판하고 자주성을 강조한다는 점은 북측 아동문학에서 거듭 강조하고 있는 바와 일치한다. 따라서 「토끼와 원숭이」는 남북이 통일시대 아동문학의 정전으로 합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작품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토끼와 원숭이」는 진보적 민주주의를 표방하면서 통일과 민주주의를 지향했던 당시 마해송의 사상이 반영되어 있는 작품으로서, 작가는 우리 땅에 주둔하고 있는 외국 군대와 그들을 하느님처럼 떠받드는 노예근성이 통일과 자주적인 독립국가 건설의 걸림돌임을 지적했다. 북측의 관점에서 볼 때 토끼들은 스스로 주인이 되지 못하고 그 어떤 특별한 존재, 외세에 기대를 가지는 태도의 문제점을 잘 보여준다고 평가할 수 있다. 「토끼와 원숭이」가 완성된 1947년으로부터 3년 뒤, 토끼나라로 상징되었던 한(조선)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난다. 토끼나라와 다를 바 없이 참혹한 광경이 이 땅에 펼쳐졌으며, 무엇보다도 그 전쟁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다. 작품이 제3차 세계대전이나 핵전쟁을 예견한 것이라는 해석도 흥미롭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불과 3년 뒤에 한(조선)반도에서 일어날 전쟁을 예견했다고 볼 수 있다는 점이다. 광복이후에도 통일되고 자주적인 독립국가를 건설하지 못하고, 남과 북으로 갈라진 채 외국 군대가 계속 주둔해 있다면 결코 전쟁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이 핵심이다. 토끼들은 뚱쇠와 센 이리를 찾아가서 평화를 호소했다. 하지만 자주성을 실현할 통일되고 자주적인 독립국가를 건설하지 못한 상태에서 평화를 호소하는 것은 전쟁을 막을 수 없었다. 이를 통해 작가가 강조하고자 하는 점은 ‘자주가 평화의 전제’라는 것이다. 따라서 남북이 함께 「토끼와 원숭이」를 통일시대 아동문학의 정전으로 내세우는 것은 통일시대 아동문학의 역사적인 첫 걸음이 될 것이다. In order to prepare a complete genealogy and canon of children’s literature in unification era, both Koreas should present writers and works that can be understood and accepted. This study proved that Ma Haesong is such a writer, and that his children’s story The Rabbit and the Monkey is a children’s literary canon in unification era that both Koreas can be understood and accepted. The rabbits who became the monkeys are a satire on pro-Japanese, pro-American and pro-Soviet collaborators. It’s a servility that rabbits can’t live as rabbits and try to become other animals. The rabbits must live as rabbits and that’s independence. In North Korea, it will be evaluated as a work that shows that people can’t live as owners of their own destiny unless they have independence. After the monkeys who forced upon the rabbit country were driven out, the rabbit country had to build its own independent country. However, the rabbits who became the monkeys remain opposed to independence. Therefore, North Korea will evaluate this work as a reminder of the importance of independence to children’s readers, while satirizing and criticizing a servility. Criticizing a servility and In order to prepare a complete genealogy and canon of children’s literature in unification era, both Koreas should present writers and works that can be understood and accepted. This study proved that Ma Haesong is such a writer, and that his children’s story The Rabbit and the Monkey is a children’s literary canon in unification era that both Koreas can be understood and accepted. The rabbits who became the monkeys are a satire on pro-Japanese, pro-American and pro-Soviet collaborators. It’s a servility that rabbits can’t live as rabbits and try to become other animals. The rabbits must live as rabbits and that’s independence. In North Korea, it will be evaluated as a work that shows that people can’t live as owners of their own destiny unless they have independence. After the monkeys who forced upon the rabbit country were driven out, the rabbit country had to build its own independent country. However, the rabbits who became the monkeys remain opposed to independence. Therefore, North Korea will evaluate this work as a reminder of the importance of independence to children’s readers, while satirizing and criticizing a servility. Criticizing a servility andemphasizing independence in this work is like repeatedly emphasizing children’s literature in North Korea. Therefore, it’s likely that both Koreas agree that the work is a children’s literary canon in unification era. The Rabbit and the Monkey reflects the Ma Haesong’s ideas for unification and democracy while advocating progressive democracy. Ma Haesong criticized the foreign military stationed in our land and a servility supporting them like God as a stumbling block to unifi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nation. In North Korea, the rabbits will be judged by showing their attitude that they are not owners of themselves and are expected of foreign power. Three years after The Rabbit and the Monkey was completed in 1947, war broke out on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symbolized as the rabbit country. Just like the rabbit country, a horrible sight unfolded on this land. First of all, the war is still not over. It’s interesting to see that the work predicted World War III or nuclear war. But what is really important is that it predicted a war on the Korean Peninsula in just three years. The key point is that the war can’t be avoided if the foreign military remains in the presence of foreign forces, as it has not been able to establish a unified and independent nation after independence. The rabbits appealed for peace. However, without the construction of a unified and independent nation to realize independence, appealing for peace could not stop the war. Through this process, the writer emphasize that “independence is a precondition for peace.” ...

      • KCI등재

        통일시대 아동문학 정전의 가능성

        마성은(??恩)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8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3

        통일시대에 걸맞은 아동문학을 준비하려면 어떤 편견이나 사상・이념 등에 매몰되지 않은 채 북측 아동문학의 관점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는 것이 전제조건이다. 통일시대 아동문학의 온전한 계보・정전을 모색하려면 남북이 모두 납득하고 인정할 수 있는 작가・작품을 내세워야 한다. 본고는 바로 마해송이 그런 작가이며, 그의 동화 「토끼와 원숭이」야말로 통일시대 아동문학의 정전으로 남북이 모두 납득하고 인정할 수 있는 작품임을 논했다. 작품에서 원숭이가 된 토끼들은 친일파・친미파・친소련파를 풍자한 것이다. 토끼가 토끼로 살지 못하고 원숭이가 되려 하건 뚱쇠가 되려 하건 센 이리가 되려 하건 모두 노예근성일 뿐이다. 토끼는 어디까지나 토끼로 살아야 하며 그것이 자주성이다. 북측에서는 이 작품이 자주적인 사상의식을 가지지 못할 때 자기 운명의 주인으로 살지 못하고, 노예근성에 빠져서 살 수밖에 없음을 잘 보여준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토끼나라를 강점했던 원숭이들이 쫓겨난 뒤에 토끼나라는 자주적인 독립국가를 건설해야 했다. 그러나 원숭이가 된 토끼들은 변함없이 자주적 입장과 근본적으로 상반・대립되는 모습을 보인다. 따라서 북측에서는 이 작품이 노예근성을 풍자・비판하며, 아동 독자들에게 자주성의 중요성을 일깨워 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작품에서 노예근성을 비판하고 자주성을 강조한다는 점은 북측 아동문학에서 거듭 강조하고 있는 바와 일치한다. 따라서 「토끼와 원숭이」는 남북이 통일시대 아동문학의 정전으로 합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작품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토끼와 원숭이」는 진보적 민주주의를 표방하면서 통일과 민주주의를 지향했던 당시 마해송의 사상이 반영되어 있는 작품으로서, 작가는 우리 땅에 주둔하고 있는 외국 군대와 그들을 하느님처럼 떠받드는 노예근성이 통일과 자주적인 독립국가 건설의 걸림돌임을 지적했다. 북측의 관점에서 볼 때 토끼들은 스스로 주인이 되지 못하고 그 어떤 특별한 존재, 외세에 기대를 가지는 태도의 문제점을 잘 보여준다고 평가할 수 있다. 「토끼와 원숭이」가 완성된 1947년으로부터 3년 뒤, 토끼나라로 상징되었던 한 (조선)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난다. 토끼나라와 다를 바 없이 참혹한 광경이 이 땅에 펼쳐졌으며, 무엇보다도 그 전쟁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다. 작품이 제3차 세계대전이나 핵전쟁을 예견한 것이라는 해석도 흥미롭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불과 3년 뒤에 한(조선)반도에서 일어날 전쟁을 예견했다고 볼 수 있다는 점이다. 광복 이후에도 통일되고 자주적인 독립국가를 건설하지 못하고, 남과 북으로 갈라진 채 외국 군대가 계속 주둔해 있다면 결코 전쟁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이 핵심이다. 토끼들은 뚱쇠와 센 이리를 찾아가서 평화를 호소했다. 하지만 자주성을 실현할 통일되고 자주적인 독립국가를 건설하지 못한 상태에서 평화를 호소하는 것은 전쟁을 막을 수 없었다. 이를 통해 작가가 강조하고자 하는 점은 ‘자주가 평화의 전제’라는 것이다. 따라서 남북이 함께 「토끼와 원숭이」를 통일시대 아동문학의 정전으로 내세우는 것은 통일시대 아동문학의 역사적인 첫 걸음이 될 것이다. In order to prepare a complete genealogy and canon of children’s literature in unification era, both Koreas should present writers and works that can be understood and accepted. This study proved that Ma Haesong is such a writer, and that his children’s story The Rabbit and the Monkey is a children’s literary canon in unification era that both Koreas can be understood and accepted. The rabbits who became the monkeys are a satire on pro-Japanese, pro-American and pro-Soviet collaborators. It’s a servility that rabbits can’t live as rabbits and try to become other animals. The rabbits must live as rabbits and that’s independence. In North Korea, it will be evaluated as a work that shows that people can’t live as owners of their own destiny unless they have independence. After the monkeys who forced upon the rabbit country were driven out, the rabbit country had to build its own independent country. However, the rabbits who became the monkeys remain opposed to independence. Therefore, North Korea will evaluate this work as a reminder of the importance of independence to children’s readers, while satirizing and criticizing a servility. Criticizing a servility and emphasizing independence in this work is like repeatedly emphasizing children’s literature in North Korea. Therefore, it’s likely that both Koreas agree that the work is a children’s literary canon in unification era. The Rabbit and the Monkey reflects the Ma Haesong’s ideas for unification and democracy while advocating progressive democracy. Ma Haesong criticized the foreign military stationed in our land and a servility supporting them like God as a stumbling block to unific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nation. In North Korea, the rabbits will be judged by showing their attitude that they are not owners of themselves and are expected of foreign power. Three years after The Rabbit and the Monkey was completed in 1947, war broke out on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symbolized as the rabbit country. Just like the rabbit country, a horrible sight unfolded on this land. First of all, the war is still not over. It’s interesting to see that the work predicted World War III or nuclear war. But what is really important is that it predicted a war on the Korean Peninsula in just three years. The key point is that the war can’t be avoided if the foreign military remains in the presence of foreign forces, as it has not been able to establish a unified and independent nation after independence. The rabbits appealed for peace. However, without the construction of a unified and independent nation to realize independence, appealing for peace could not stop the war. Through this process, the writer emphasize that “independence is a precondition for peace.” Therefore, it would be a historic first step in children’s literature in unification era for both Koreas to jointly present The Rabbit and the Monkey as a children’s literary canon in unification era.

      • KCI등재

        1960년대 사회와 문학적 상상력

        장영미(Jang, Young-mi)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7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4 No.-

        이 글은 마해송의 『모래알 고금』2와 3을 대상으로 하여 작품의 양상과 의미를 살피고, 이를 기반으로 작가의 문학적 상상력을 고찰한 것이다. 우리가 작품을 읽을 때, 문학과 사회, 그리고 작가의식의 발생론적 관계는 진부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유효한 명제이다. 이 명제에서 보다 중요한 것은 문학과 사회를 단지 형상화하는 것을 넘어서는, 즉 작가가 어떠한 의식을 갖고 사회적 구조 혹은 사회관계를 형상화하는가를 살피는 것이다. 다시 말해 작가의 비판의식이 작품의 형식과 주제면에서 새로운 변혁 시도가 중요하다. 이러한 접점에 마해송을 놓으면서 『모래알 고금』을 중심 텍스트로 연구하기로 한다. 마해송의『모래알 고금』2와 3은 전후 황폐하고 혼란스러운 시대를 배경으로 하여 적나라한 세계를 재현하였다. 이는 한편으로 어린이들에게 버거운 삶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어린이 또한 세계를 사는 구성원이라는 점에서 부정과 부패가 만연한 사회를 외면하지 않고 사실적으로 서술하여 세계를 인식케 한 것으로 여겨진다. 『모래알 고금』2는 분노와 미움이라는 감정이 사회적 환경에서 구성되었다는 점을 인식하였다. 또한 『모래알 고금』3은 1960년대 초반 사회의 변화와 변혁을 가져 온 하위주체들을 아동문학장에 호명하여 그들의 존재를 인식하고 작가는 물론 1960년대 아동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추동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이 글은 마해송 문학의 또 다른 가능성 (재)발견이라 할 수 있다. 물론 본고는 한 작가만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1960년대 사회를 조망하기에는 넓이와 깊이에서 부족하지만, 마해송의 『모래알 고금』2와 3을 통해 작가의 문학적 상상력을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e article explores the aspect of the works and the author`s literary imagination, based on the fact that it is based on the of Moraeal Goguem2, 3 Haesong Ma. When we read the work, literature, society, and author`s genetic relationship is still a valid proposition despite cliches. But the important thing in this thesis should be to look beyond the shapes of literature and society, to see what the writer embodies, the social structure or social relationships that embody the social structure. In other words, the author`s criticism of the author is that the new paradigm is important in terms of the format and theme of the work. At these points, it will be put to rest. Two and a half years ago, Moraeal Goguem2, 3 were reproduced in the context of the devastation of the post-war and chaotic times. It is also considered to be a harsh life for children, but on the other hand, it is believed that the world has become a true member of the world, and it is believed to be true to the world by denying the world of corruption and corruption. Moraeal Goguem2 have been realized that the feelings of anger and hatred have been formed in the social environment. In addition, Moraeal Goguem3 called subordinate subjects that brought about social change and transformation in the early 1960s to the children`s literary field, recognizing their existence and promoting new possibilities of children"s literature as well as writers in the 1960s. In this respect, this article is another possibility (re) discovery of the Haesong Ma literature. Of course, this article is only for one artist, so it is not enough to see the society in the 1960s.

      • KCI등재

        아동문학에 나타난 비인간캐릭터의 포스트휴먼적 기능 연구 - 마해송 동화를 중심으로 -

        최미경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9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4

        As part of the work to ascertain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nonhuman character shown in children's literature, the goal of this article is in revealing the function of the nonhuman character from a posthuman perspective, and for this purpose, the nonhuman characters in the works of Ma Haesong were analyzed. In this abstract, nonhuman characters are nonhuman beings who feel, speak and act like humans in the epic, and based on how nonhuman characters lie between humans and nonhuman characters, the nonhuman characters in children's literature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nonhuman speaking as human beings,’ ‘nonhuman speaking as nonhuman beings,’ and ‘objectively described nonhuman beings.’ As a result, the nonhuman character’s posthuman functions identified through the Ma Haesong’s works are as follows. First, expand the perception of nonhumanity, second, to reflect on human beings, third, to suggest humannonhuman relationships, fourth, it highlights children as a lost link between humans and nonhuman beings. At this time, the last function has an important meaning, especially in children’s literature. In children’s literature, nonhuman characters are displayed in front of children, along with their children’s representations. This is because child readers identify themselves as children’s representations, and children as ‘lost links between the world and humans’ can connect with themselves as actors, not as reactors. Nonhuman characters are epic devices that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nonhuman and nonhuman beings. Now that modern belief that humans have an edge over other creatures is greatly challenged, the nonhuman character in the posthumans ecosystem itself creates a new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other objects. From a posthumanitarian perspective, the task of examining the functions of nonhuman characters in children’s literature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serve the needs of our society, where issues such as animal rights and robot rights are emerging at the forefront, and as an experience to foster children’s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sensibilities, it can be a process to find meaning in children’s literature. 이 글은 아동문학에 나타난 비인간캐릭터의 가치와 의미를 확인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포스트휴먼적 관점에서 비인간캐릭터의 기능을 밝히고자 마해송의 동화 속 비인간캐릭터들을 분석한 것이다. 비인간캐릭터는 서사 속에서 인간처럼 느끼고 말하고 행동하는 인간 아닌 개체로, 이 논문에서는 이들이 인간과 비인간 사이에 어떻게 놓여있는가를 기준으로, ‘인간으로서 말하는 비인간’, ‘비인간으로서 말하는 비인간’, ‘객관적으로 서술된 비인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마해송 동화를 통해 확인한 비인간캐릭터의 포스트휴먼적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인간에 대한 인식을 확장한다. 둘째, 인간을 성찰하게 한다. 셋째, 인간-비인간의 관계를 제시한다. 넷째, 인간과 비인간의 잃어버린 연결고리로서 아동을 부각한다. 이때 마지막 기능은 특히 아동문학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아동문학에서 비인간캐릭터는 아동의 표상과 함께 아동 앞에 전시되고, 아동 독자는 아동의 표상을 통해 비인간캐릭터와 자신을 동일시함으로써, 대상이 아닌 행동 주체가 되어 세계와 인간의 ‘잃어버린 연결고리’로서 역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인간캐릭터는 비인간과 인간 아닌 존재의 관계를 드러내는 서사 장치이다. 인간이 다른 생물․사물보다 우위에 있다는 근대적 믿음이 크게 도전받고 있는 지금, 포스트휴먼 생태계에서 비인간캐릭터는 그 자체로 인간과 다른 대상 간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마련한다. 포스트휴먼적 관점에서 아동문학 속 비인간캐릭터의 기능을 살피는 작업은 동물권, 로봇권 등의 문제가 전면에 부상하는 우리 사회의 시대적 요구에 응하는 일이자, 아동의 환경․생태적 감수성을 키우게 되는 경험으로서 아동문학의 의미를 찾는 과정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 KCI등재

        현대일본영화에 나타난 조선인 표상 - '언덕을 넘어서(丘を越えて)'의 마해송을 중심으로 -

        장유리 일본어문학회 2019 일본어문학 Vol.84 No.-

        2000年代以降の日本映画において「在日」を描いたものは多数製作された。特に『GO』(2001)をはじめ、『パッチギ!』(2005)、『焼肉ドラゴン』(2018)など、大衆的に人気を得て商業映画として成功を収めた作品も珍しくない。しかし、現代の日本社会を生きる「在日」ではなく、植民地時代における朝鮮人を描いた現代日本映画は非常に少ないといえる。本稿では、植民地時代の朝鮮人が現代日本映画にどのように表象されているかについて2008年に公開された映画『丘を越えて』を中心に考察を試みる。『丘を越えて』は大正から昭和にかけて活動した文学者菊池寛と彼の女性秘書、そして朝鮮出身の青年馬海松という3人の実存人物をモデルにして作られた映画である。しかし、『丘を越えて』の全体的な設定はリアリティに基づいているものの、映画の軸になっている3人の関係はフィクションである。本稿では、そのリアリティとフィクションの狭間で作られた朝鮮人表象を分析することによって、現代日本の大衆文化が植民地時代においての朝鮮人をどのように認識しているかについて考えてみたい。 Japanese films which have been created since the 2000s contain many “zaini chi”-featuring works. In particular, there are a number of publicly popular films such as GO(2001), Pacchigi!(2005), and Yakiniku Dragon (2018). These films depict “zainichi”-people who live in contemporary Japanese societies. On the other hand, few films have been created which depict Joseon people of the colonial era. In this paper, we analyze Oka-o Koete(2008) in order to examine how Joseon people of the colonial era are represented in contemporary Japanese films. Oka-o Koete is based on three figures: the literature scholar Kan Kikuchi, who was active from Taisho period to Showa period, his female secretary, and Ma Haesong/Ma Kaishou(馬海松), a young man from Joseon. While the general picture of the film reflects the situation of the 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characters is a fiction.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 the representation of Joseon people in the interwoven textile of actual and fictional contexts, in order to reveal the ways in which Joseon people of the colonial time were recognized in the public cultures of contemporary Japan.

      • KCI등재

        아동문학에 나타난 비인간 캐릭터의 알레고리적 기능 연구 - 마해송 동화를 중심으로

        최미경 ( Choi Mikiou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9 동화와 번역 Vol.37 No.-

        이 글은 아동문학에 나타난 비인간 캐릭터의 가치와 의미를 확인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비인간 캐릭터의 알레고리적 기능을 밝히고자 마해송의 동화 속 비인간 캐릭터들을 분석한 것이다. 비인간 캐릭터는 비인간이라는 표면 형상에 인간적 속성이라는 이면의 의미가 부여된 서사 주체다. 이 논문은 비인간 캐릭터가 지닌 ‘알레고리의 심연’, 즉 표면의 형상과 이면 의미 사이의 간격에 주목하여, 이를 실제 인간과 인간적 속성 사이의 간격(간격ⓐ), 인간적 속성과 비인간 형상 사이의 간격(간격ⓑ), 실제 인간과 비인간 형상 사이의 간격(간격ⓒ)로 구분하여 마해송 동화속 비인간 캐릭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아동문학에서 비인간 캐릭터의 알레고리적 기능은 낯설게 하기, 전복, 안전감, 단순화로 확인되었다. 둘째, 이 기능들 가운데 낯설게 하기와 전복은 간격ⓑ가, 안전감과 단순화는 간격ⓒ가 확보될 때 두드러졌으며 간격이 커질수록 더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각각의 기능을 세부적으로 살피자면, ‘낯설게 하기’는 아동 독자의 시선을 끌고, 아동의 상상을 북돋우며, 아동이 알던 기존 정보를 환기하게 하고, ‘전복’은 기존 역학 관계에 의문을 제기하고 아동에게 통쾌감을 준다. ‘안전감’은 독자가 이야기를 관조적으로 바라보게 하고 심리적 보호막을 만들어 주고, ‘단순화’는 캐릭터에 대한 확실한 상을 제시하고 선명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고정관념을 덜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알레고리는 비인간 캐릭터 형상화의 기본 조건이자 아동문학의 특성과도 이어지는 주요 장치다. 이를 분석한 본 논문은 아동문학에 나타난 비인간 캐릭터의 기능을 밝히기 위한 기본 작업으로, 아동문학에서 비인간 캐릭터가 여전히 환영받는 까닭은 무엇인가, 비인간 캐릭터를 형상화하거나 평가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등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nonhuman characters in Ma Haesong's works to reveal the allegoric function of nonhuman characters as part of the work to identify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nonhuman characters shown in children's literature. The nonhuman character is an epic subject with the meaning behind human property to the surface shape of nonhuman. This study notes ‘the abyss of allegory’, the gap between the surface and the two-sided meaning of the nonhuman character, which is the gap between the real human and the human nature (interval ⓐ), the gap between the human attribute and the actual human shape (intervalⓑ) and the gap between actual human form and nonhuman form(intervalⓒ). As a result, the allegoric function of nonhuman characters in children's literature was identified by their defamiliarization, subversion, sense of safety and simplicity. Second, among these functions, defamiliarization and subversion were apparent when intervalⓑ is established, psychological safety and simplification were apparent when intervalⓒ established. And the greater the gap, the stronger it was. Third, to look at each function in detail. 'defamiliarization' attracts child readers' attention, encourages children's imagination, evokes child-knowledge existing information, and 'subversion' questions existing dynamics and gives children satisfaction. 'Sense of safety' makes the reader look at the story in an orchestration manner and creates psychological protection, while "simplification" performs the function of presenting a clear image of the character, delivering vivid messages and removing stereotypes. Allegory is a basic condition for impersonating nonhuman characters and a major device that also connect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literature. This study, which analyzed this, is a basic work to shed light on the functions of nonhuman characters shown in children's literature, and may help to ask for answers to questions such as why nonhuman beings are still welcome in children's literature and what needs to be considered when shaping or evaluating nonhuman characters.

      • KCI등재후보

        한국 아동문학의 환상성 연구 -Ⅰ

        신헌재(Shin, Heon-Jae) 한국아동문학학회 2014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7

        이 논문은 1920년대 이후부터 1960년대까지 마해송, 강소천, 김요섭의 아동문학에 나타난 환상성을 통해 그들의 문학적 성취를 가늠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들의 작품이 한국 아동문학의 정체성을 키워오는데 어떠한 성과를 보여왔는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그들은 우리 민족이 일제 강점기 이후 60년대초에 이르기까지 악착한 현실을 겪어오는 동안 동화를 통해 희망과 꿈을 심어주기 위해 환상성을 보여주었다. 굴곡진 한국의 근대와 함께 그들의 작품을 환상성을 중심에 두고 각 시대적별 정리·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봉건체제 하의 가부장적 사회가 주는 문제 상황이나 일제 치하의 갈등과 같은 시대적 문제 상황에 대해서는 의인법적 환상성과 더불어 단군신화적 방식이나 하늘의 도움 등으로 해결해나가는 환상성을 구사하고 있음을 본다. 둘째, 일제 착취로 인해 유랑민으로 전락하는 식민지 상황에 대해서는 다소 소극적으로 대처한 편이지만 그래도 돌멩이, 차돌이 등으로 의인화시켜 기술하면서 우의적 방식으로 환상성을 구사하고 있다. 셋째, 6.25 전쟁과 남북분단으로 인하여 고향상실의 상처를 비롯한 암울한 상황에 대처해서는 꿈모티브를 통한 환상성과 더불어 자유와 활기를 상징하는 새의 모티브 및, 바람 모티브까지 동원하여 환상적인 행복한 결말에 이르도록 하고 있다. 넷째, 상이군인과 전사자의 귀환 등, 전쟁의 참혹성으로 인한 문제 상황에 대해서는 클라리넷과 같은 악기소리 뿐아니라, 달빛, 바람, 및 꿈 모티브까지 동원함으로써 시적이고 몽환적인 애조띤 분위기를 조성하여 이를 위무하고 극복시키고자 한다. 다섯째, 후진국형 독재 체제인 자유당 정권과의 갈등 상황에 대해서는 「꽃씨와 눈사람」에서처럼 의인화를 시킨 뒤, 아무리 큰 눈사람이라 하더라도 따뜻한 봄날이면 녹아내릴 수밖에 없는 자연의 순리에 기대어서 저 가녀린 작은 꽃씨가 도리어 승리한다는 우의법적 환상성을 구사하고 있음을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the literary achievement which was fulfilled through fantasy in children’s literature of Ma Haesong, Gang Socheon and Kim Joseph during the period from 1920s to 1960s. So it was intensively analyzed what effects their works made to develop the identific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of Korea. They demonstrated fantasy in order to plant hope and dream through fairy stories as our nation endured the harsh reality after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till the early 1960s. With the fantasy of their literature focused on, their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along with the crooked modernization of Korea are stated and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y utilized fantas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atic situation generated by patriarchal society under the feudal system or the problematic situation of the times under Japanese occupation with the help of personified fantasy, and with the help of the way of Dangun mythology or the heavens. Second, they utilized the fantasy in the allegorical way by describing with personification of Stony, Pebbler, and etc. in order to solve the colonial situation where the people under Japanese exploitation were degraded to the wandering people, even though it can be said that they coped with it more or less in a passive way. Third, they reached to the happy ending of fantasy by utilizing fantasy through dream motif, bird motif which symbolizes freedom and vitality, and wind motif in order to cope with the dark situation and wound of Heimatlosigkeit caused by Korean War and Division of Korea into South and North. Fourth, they attempted to soothe and overcome the problematic situations caused by cruelty of war such as returns of disabled soldiers and war dead by mobilizing not only instruments such as clarinet, but also motifs such as moon light, wind, and dream, and by creating not only poetic but also dreamlike mournful atmosphere. Fifth, they utilized the allegorical fantasy in order to solve the conflictive situations against the government of Liberal Party which is typical in underdeveloped country with personification as in “Flower seed and snowman”, and the by relying on the laws of nature that no matter how big the snowman is, it melts down in spring days, and at last the tiny flower-seed wins the day.

      • KCI등재

        시모무라 가이난의 조선 체험과 공유

        윤미란 ( Yun Mira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9

        일본의 저널리스트이자 정치가, 관료였던 시모무라 가이난은 약 8회에 걸쳐 조선을 체험하고 그 체험을 글로 남겼다. 1928년 조선 기행문에서 시모무라는 조선에 관한 섣부른 판단을 지양하는 한편 석진형, 마해송과 같은 조선인과의 교류를 사실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다. 한편 시모무라는 패전 이후 일본인들의 조선에서의 종전의 경험을 조사하고 재창작하여 일본의 독자들과 공유하고자 하였다. 후지와라 데이가 『흐르는 별은 살아 있다』를 통하여 전쟁에서 여성으로서 직접 겪어야 했던 고통을 드러내려 한 반면 시모무라는 후지와라 데이의 소설을 제국주의적 이상주의의 관점에서 「조선탈출기」로 재창작하였다. 그는 이를 통해 조선과 일본의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를 뛰어넘은 인간애를 기반으로 역경을 이겨낸 한 일본 남성 가장의 인양성공기를 독자들과 공유하고자 하였다. Simomura Kainan(下村海南), a Japanese journalist, politician, and bureaucrat, experienced Joseon about eight times and wrote about the experience. In the 1928 travel document of the Joseon, Shimomura tried to avoid premature judgments about Joseon, and to reveal realistic exchanges with Koreans such as Seok Jinhyeong(石鎭衡) and Ma Haesong(馬海松). Meanwhile, Shimomura sought to share with Japanese readers by researching and recreating the Japanese experience of the end of the Pacific War in Joseon after the defeat. Hujiwara Tei(藤原てい) tried to reveal the pain she had to suffer as a woman in the war through “The Flowing Star Is Alive”. On the other hand, Shimomura re-created Fujiwara's novel as "Escape from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imperial idealism. Through this, he attempted to share with his readers the success of a Japanese male head who overcame adversity based on humanity that transcend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Japanese of dominating and dominated.

      • KCI등재

        한・중 동화의 일제(日帝)에 대한 알레고리 연구 —「토끼와 원숭이」와 『금오리제국』을 중심으로

        두전하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2018 아동청소년문학연구 Vol.- No.23

        This study analyzed allegory of Japanese imperialism in Korean and Chinese children’s story, focused on The Rabbit and the Monkey and The Golden Duck Empire. Korea was the colony of Japan, so allegory of Korea was also analyzed in this study. In The Rabbit and the Monkey and The Golden Duck Empire, can check the allegory of Korea and Japan in common. The Rabbit and the Monkey and The Golden Duck Empire also has an allegory about the king of Japan. The king monkey in The Rabbit and the Monkey shows the aggressiveness and imperialism of the monkey country. The Golden Duck Empire parodies the story from the creation of the Bible, and there is an interesting feature that the Golden Duck God creates the duck god and the duck poo goddess. This is a satire on the Japanese king and queen. The Golden Duck Empire also has an allegory about chivalry of Japan. The Rabbit and the Monkey and The Golden Duck Empire also has an allegory about the exploit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The Rabbit and the Monkey satirized the colonial exploit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and criticized it through allegory. The Golden Duck Empire has detailed alleg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surrounding Korea at that time. This confirms that Zhang Tianyi was very interested in the process of colonizing Korea by Japanese imperialism. Zhang Tianyi’s creation reminds Asian readers who are opposed to imperialism and fascism and try to overcome the internalization of racism,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and orientalism again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solidarity. Children in Korea and China can get a sense of question about imperialism and fascism easily and interestingly by reading The Rabbit and the Monkey and The Golden Duck Empire. The two works can be evaluated as excellent examples of children’s story that use allegory. 한・중 아동문학과 서방 아동문학의 차이가 두드러지는 원인 가운데 핵심적인 요인은 한・중 아동문학이 식민지・반식민지 상태에서 발생했다는 것이다. 식민지・반식민지의 아동문학이 반제국주의 의식을 반영하는 것은 역사적 과제이자 시대적 사명이었다. 그런데 아동문학은 아동 독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반제의식을 반영하더라도 쉽고 재미있어야 했다. 동화는 알레고리를 활용하여, 쉽고 재미있게 반제의식을 반영할 수 있는 장르였다. 본고에서는 「토끼와 원숭이」와 『금오리제국』을 중심으로, 한・중 동화의 일제에 대한 알레고리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일제의 식민지였던 조선에 대한 알레고리도 함께 분석했는데, 「토끼와 원숭이」와 『금오리제국』에서는 공통적으로 조선과 일본에 대한 알레고리를 확인할 수 있다. 「토끼와 원숭이」에서는 조선을 토끼나라, 일본을 원숭이 나라로 빗대는 알레고리를 활용했다. 『금오리제국』에서는 조선을 대부도, 일본을 금오리제국에 빗대는 알레고리를 활용했다. 「토끼와 원숭이」와 『금오리제국』에서는 일왕에 대한 알레고리도 확인할 수 있다. 「토끼와 원숭이」에서 “천하의 왕”을 자임하는 왕 원숭이는 일왕에 대한 알레고리인데, 왕 원숭이의 이야기를 통하여 원숭이 나라의 침략주의・제국주의적 속성을 알 수 있다. 『금오리제국』에서는 성서의 창세설을 패러디하여, 금오리하느님이 오리신과 오리똥여신을 창조하는 흥미로운 대목이 있다. 오리신・오리똥여신은 황제・황후라고 불리는데, 이는 일왕 내외에 대한 풍자이다. 『금오리제국』에서는 무사도에 대한 알레고리도 확인할 수 있는데, 1931년에 발표된 정철의 동화「두더지나라와쥐나라젼쟁」에도 무사도에 대한 신랄한 풍자가 들어 있다. 「토끼와 원숭이」와 『금오리제국』에서는 일제의 수탈에 대한 알레고리도 확인할 수 있다. 「토끼와 원숭이」에는 일제의 식민지 수탈을 풍자하며, 알레고리를 통하여 창씨개명/신사참배 강요・황국신민화 교육 등을 통한 조선인/조선어 말살정책을 비판했다. 『금오리제국』에는 당시 조선을 둘러싼 국제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알레고리가 들어 있는데, 이를 통해 장톈이가 일제의 조선 식민지화 과정에 무척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국의 아동문학 작가로서 이웃 조선이 일제의 식민지가 되는 과정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며 분노하고, 구체적인 알레고리로 풍자하며 비판했던 장톈이의 창작활동은 제국주의・파시즘에 반대하며 인종주의・사회진화론・오리엔탈리즘의 내면화를 극복하고자 하는 아시아의 독자들에게 국제연대의식의 중요성을 새삼 일깨운다. 한・중 아동독자들은 「토끼와 원숭이」와 『금오리제국』을 읽으면서, 제국주의・파시즘에 대한 문제의식도 쉽고 재미있게 얻을 수 있다. 두 작품은 알레고리를 활용한 동화의 훌륭한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마해송의 수필 속 개성 한옥 고찰

        김버들 한국건축역사학회 2022 건축역사연구 Vol.31 No.6

        개성의 살림집 연구는 북한에 있기 때문에 현장 조사가 어렵다. 한국전쟁을 지나면서 원형도 많이 잃어버렸다. 현재로서는 개성의 경험을 기억하고 있는 사람들의 기록은 이 분야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작가 마해송은 개성 출신으로 본인의 개성집을 여러 번 기록으로 남겼다. 개성 이외도 본인이 머물렀던 여러 집들을 기록하였고, 고전속의 이상적인 한옥과 다른 나라의 살림집과 비교하는 글도 남겼다. 한옥에 대한 남다른 관심과 식견이 있었다. 본 연구는 마해송 작가의 개성기록을 바탕으로 마해송의 개성집을 추정하고 그 내용을 큰 아들인 마종기 시인과 이메일을 주고받으며 보완한 것이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작가 마해송의 개성집은 고급주택지였던 동해랑에 위치하며 상업에 종사하였던 전형적인 부유한 상인의 살림집의 모습임을 확인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