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릿의 요인구조 분석 및 목표 구체화를 통한 그릿의 효과: 고등학교 영어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황명환,이희경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018 영어교육연구 Vol.30 No.3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ost appropriate grit factor structure for Korean high schoolstudents and to see the impact of goal-specific grit (English grit) on English achievementcompared to that of general grit. The data were obtained from a total of 488 Korean high schoolstudents by using the Grit-S(Grit-Short) and an adapted Grit-S for English grit. Confirmatory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appli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suggested that two-correlated factor structure of grit outperformed its rival models such as onefactorand bi-factor models. In addition, the sub-constructs comprising goal-specific English gritwere found to be more influential predictors than those of general grit in predicting Korean highschool students’ English achievement.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outcomes from priorstudies. Lastly,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further propose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most appropriate grit factor structure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nd to see the impact of goal-specific grit(English grit) on English achievement compared to that of general grit. The data were obtained from a total of 488 Korean high school students by using the Grit-S(Grit-Short) and an adapted Grit-S for English gri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appli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uggested that two-correlated factor structure of grit outperformed its rival models such as one-factor and bi-factor models. In addition, the sub-constructs comprising goal-specific English grit were found to be more influential predictors than those of general grit in predicti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English achievement. The results were consistent with the outcomes from prior studies. Lastly,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further proposed.

      • KCI등재

        Grit과 학습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김우철(Woocheol Kim),김지영(Jiyoung Kim),박민주(Minju Park) 한국기업교육학회 2018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0 No.2

        최근 HRD분야에서는 심리학․교육학 등에서 시작된 ‘장기적 목표에 대한 인내와 열정’을 뜻하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인 Grit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그간 실시된 HRD분야에서의 Grit과 관련된 연구는 HRD분야에서 성과와 학습 관점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성과와 관련된 변수와의 연구만 일부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RD분야에서 Grit이라는 개념에 대한 연구 및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Grit과 학습과 관련된 국내외 문헌을 바탕으로 Grit과 학습의 관계를 살펴보는 통합적인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을 검색하고, 검색한 문헌을 단계적으로 검토하는 단계를 거쳤으며, 최종선정 된 문헌을 대상으로 종합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Grit과 학습에 대한 연구 논문의 기본정보를 분석하여 연구수행연도, 수행국가,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 게재학술지, Grit 변수의 역할 등을 도출하였다. 둘째, 문헌분석 결과 문헌들을 Grit이 높은 사람이 훈련프로그램에서 가져오는 결과, Grit이 높은 사람이 공식교육에서 가져오는 결과, 열악한 상황 속에서 Grit이 높은 사람의 결과, 기타 환경 개선의 필요성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Grit defined as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 term goals is an emerging topic in the field of HRD, psychology and education. So far,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performance was only explored in the HRD field, even though there are learning and performance sides in HRD. The relationships between grit and learning have yet to be explored.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grit and learning to provide various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HRD through the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For this purpose, searching, reviewing the articles using staged review approach and synthesizing and analysing the final selected articles. The result provided that, first of all, basic information of selected articles such as publication year, country, research method, name of the journal and role of the grit. Second, synthesizing results are categorized into 4 topics: case of the training program, case of the formal education, case of the poor environment and the need of environment impro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academic/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Work-Grit의 개념과 HRD 분야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지영,김우철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18 휴먼웨어 연구 Vol.1 No.2

        최근 심리학·교육학 등의 분야에서는 ‘장기적 목표에 대한 인내와 열정’을 뜻하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인 Grit의 개념이 좋은 성과의 전제조건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그간 밝혀진 Grit의 개념과 Grit이 가진 특성은 조직의 맥락에서 조직 내 구성원들에게도 적용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HRD 분야에서는 아직 Grit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rit에 대한 기존 연구와 HRD 관련 이론 및 연구들을 중심으로 HRD 분야 내에서의 Grit에 대한 활용가능성을 살펴보는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HRD 분야에서의 Grit을 Work-Grit이라 명명하고, ‘조직의 목표와 연계한 개인의 목표달성을 위해 장기적인 열정과 긍정적 성장 믿음을 바탕으로 자신을 조절하고 지속적으로 실천하려는 노력’으로 정의하였다. Work-Grit의 하위요소로 목표추구 지속성, 노력에 대한 인내, 긍정적인 성장 믿음, 자기조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HRD 맥락에서의 Work-Grit이라는 개념적인 틀을 제시하고,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Grit defined as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 term goals is an increasing issue as a great personality which predict outstanding performance. However, the links between grit and HRD have yet to be explored. S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usage of ‘Girt’ in the context of HRD from the literature. It develops a concept of ‘Work-Grit’ and a conceptual framework. From the research, we defined ‘Work-Grit’ as perseverance and passion with positive growth mind set and self control for personal long term goal related with organizational goal. The conceptual model of ‘Work-Grit’ elaborated on grit-HRD linkage based on goal-setting theory and job characteristics theory. Moreover, academic/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long with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중학생의 그릿 유형에 따른 행동조절과 자기결정동기의 차이

        한수연,박용한 한국교육방법학회 2018 교육방법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그릿(grit)의 두 가지 구성요소인 끈기와 흥미유지의 정도에 따라 청소년에게 존재하는 그릿 유형을 확인하고, 그 유형을 예측하는 환경 요인이 무엇이며 그릿 유형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의 주요 요소인 행동조절 및 자기결정동기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학생 5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그릿의 두 가지 구성요소인 끈기와 흥미유지의 정도에 따라 총 6개의 그릿 유형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유형의 분류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학생 및 환경 요인은 성별, 가정에서의 자유로운 의사소통, 학교에서의 친구지지 등이었다. 또한, 그릿 유형과 자기조절학습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그릿이 높은 학생일수록 행동조절을 잘 하고 내재적 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그릿은 긍정적인 학습 특성과 관련이 깊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환경에 따라 그릿이 증진될 수 있으며 그릿의 증진은 청소년에게 필요한 자기조절학습역량인 자기결정동기 및 행동조절의 증진과 연결된다는 결과를 통해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 of grit present in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two components of grit, perseverance of effort and consistency of interest. In addition, the research examined which environmental factors predict the type of grit and the differences in behavioral regulation and self-determined motivation based on the type of grit.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administered 532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in the grade 2. As a result, grit was classified into 6 typ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wo components of grit. Especially gender of students and free communication at home, and friendship in school significantly predict the classification of grit.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 of grit and self-regulated learning showed that students with higher grit showed better behavioral regulation and higher intrinsic motivation indicating that grit is related to positive learning trai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it can be promoted by the environment, and that the development of grit leads to the enhancement of self-determined motivation and behavior regulation, which are necessary for adolescents.

      • KCI우수등재

        남자고등학생의 건강체력, 학업성취, Grit의 관계

        천항욱(CheonHanguk)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1

        본 연구는 남자고등학생들의 건강체력, 학업성취, Grit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체육수업에의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 A고등학교 남학생 873명을 연구대상으로 건강체력점수, 학생부 성적, Grit을 자료로 수집하였다. 이후 PASW 18.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남자고등학생들의 체력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저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남자고등학생들의 학년에 따른 Grit의 차이는 없었다. 셋째, 남자고등학생들의 체력과 성적 간에 관련은 없었다. 넷째, 남자고등학생들의 건강체력은 Grit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남자고등학생들의 Grit은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건강체력과 성적 관계를 Grit이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체육수업 시수 및 내용의 개선, 체육수업을 통해 Grit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가능성, 체육수업에서 비인지적 개인 특성을 학습하는 것의 가치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fitness, academic achievement, and Grit of male high school (MHS) students, also focus on obtaining implications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To accomplish these goals, 873 of MHS students in the Seoul area were participated in surveys; based on this collected data - health fitness scores, grades, and Grit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e - 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implemented by using the PASW 18.0 statistical program, also AMOS 18.0 program was used for path analysis. The results were following: first, the physical fitness of MHH students was found to be decreased as their grade increased;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Grit results among those MHS students’ grades; thir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MHS students’ grades; fourth, health fitness of students was found to affect Grit; fifth, it was confirmed that Grit affects MHS students’ grades directly; sixth, Gri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fitness and grades. From the results, study discussed about the value of improving the level of physical education class contents, raising level of Grit by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learning the non- cognitiv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성장마인드와 자기조절, 그릿(Grit), 운동참여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김인수(Kim In-Soo) 한국체육교육학회 2018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3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체육에 대한 성장마인드, grit과 자기조절이 운동참여의도에 어떤 구조적 관계에 있는지를 밝히고자 성장마인드를 외생변인으로 하고 grit, 자기조절과 운동참여의도를 내생변인으로 한 구조모델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6학년 554명(남: 266명, 여: 288명)을 대상으로 성장마인드, grit, 자기조절과 운동참여의도 척도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성장마인드를 외생변인으로 하고 grit과 자기조절, 운동참여의도를 내생변인으로 한 구조모델은 이론모델(χ²(df=53)=117.68, RMR=.033, GFI=.969, NFI=.974, TLI=.978, CFI=.985, RMSEA=.047)로 유의한(p<.01)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적 지수분석에서 성장마인드 → grit, 자기조절, 운동참여의도, grit → 자기조절, 운동참여의도의 경로가 유의한(p<.01)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grit은 성장마인드를 매개하여 운동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기조절을 매개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causal relationship among growth mind, self-regulation, grit, and intention of athletic particip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A total of 554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les: 266, females: 288)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used a growth mind scale(Kim, 2017), a self-regulation scale(Hu, 2003), a grit scale(Duckworth & Quinn, 2009), and an intention of athletic participation scale(Booth, 2000) to examine theoretical structure model. Results: The model assumed growth mind as an exogenous variable and self-regulation, grit, and an intention of athletic participation as endogenous variables. The model was examined by the general indexes(X² (df=53)=117.68, RMR=.033, GFI=.969, NFI=.974, TLI=.978, CFI=.985, RMSEA=.047).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aths: 1) growth mind → grit, self-regulation, and intention of athletic participation, 2) grit → a self-regulation and an intention of athletic participation. Grit showed mediated effects between growth mind and intention of an athletic participation, and growth mind and self-regulation.

      • KCI등재

        청소년 초기의 그릿(Grit) 발달의 영향요인과 결과요인 검증

        김진아 한국청소년학회 2020 청소년학연구 Vol.27 No.11

        This study is to ver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 of grit in early adolescents and the resulting factors, and to examine the role of grit in these relationships. To this end, the study set academic enthusiasm, teacher behavior, grit, learning time and academic achievement as variables based on the theoretical model proposed by Creemers and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first year of the 2018 panel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and the final 2,434 people were analyzed with 1,321 men and 1,113 women.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rough the study. First, academic enthusiasm and teacher behavior significantly predicted the grit development. This is the result that shows that academic engagement and teacher behavior are closely related to grit. Second, grit positively predicted learning time and academic achievement. It was confirmed that Grit could increase his efforts and opportunities for learning and lead to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he effect of grit on learning time showed relatively low academic achievement. Third, academic enthusiasm and teacher behavior significantly predicted learning time an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grit. This confirms that grit can play a major role in academic situ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s person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on the development of grit and reveals that grit is a mechanism to predict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청소년 초기의 그릿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에 따른 결과요인을 검증하고, 이들 관계에서 그릿의 역할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Creemers가 제시한 이론적 모델을 근거로 학업열의, 교사행동, 그릿, 학습시간과 학업성취도를 변인으로 설정하고, 이들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2018년 중1패널의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남자 1,321명, 여자 1,113명으로 최종 2,434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업열의와 교사행동은 그릿 발달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업열의, 교사행동이 그릿과 실제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둘째, 그릿은 학습시간, 학업성취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그릿이 학습을 위한 노력과 기회를 높이고 학업성취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릿이 학습시간에 미치는 영향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학업성취를 나타내는 양상을 보였다. 셋째, 학업열의와 교사행동은 그릿을 매개로 학습시간과 학업성취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업적 상황에서 그릿이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그릿의 발달에 미치는 개인적, 환경적 변인을 탐색하고, 그릿이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기제임을 밝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해서 교육적 함의 및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학업열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

        김대명,유계환 한국아동교육학회 2022 아동교육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ersistence and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nd academic enthusiasm perceived by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3,491 male students (49.7%) and 3,528 female students (50.3%), totaling 3,491 male students (49.7%), using data from the 1st to 3rd year of the 4th-grade elementary school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YCPS 2018)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7,019 people were selected as the study subjects. For this stud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such as warmth, autonomy support, structure provision and grit, academic enthusiasm,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were examined togeth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persistence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academic enthusiasm.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warmth and autonomy support was fully mediated, while structure provision was partially mediated. As a result of examining gender differences in structural models through multi-group analysis,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were confirmed. Also, looking at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according to gender, in the case of male students, grit completely mediates the effects of parental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such as warmth, autonomy support, and provision of structure on academic enthusiasm.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warmth, and a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ademic enthusiasm,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through grit. Among academic enthusiasm, grit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levance to previous studie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학업열의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와 성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YCPS 2018)의 초등학교 4학년 1∼3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남학생 3,491명(49.7%), 여학생 3,528명(50.3%), 총 7,01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인 따스함, 자율성지지, 구조제공과 그릿(Grit), 학업열의와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에 따른 차이를 함께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학업열의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따스함과 자율성지지는 완전매개하고 있으며, 구조제공은 부분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집단 분석을 통해 구조모형의 성별에 대한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가 확인되었다. 또한 성별에 따른 그릿(Grit)의 매개효과를 보면, 남학생의 경우에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인 따스함, 자율성지지, 구조제공이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그릿(Grit)은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여학생의 경우에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인 따스함은 학업열의에 유의한 영향이 없으며, 그릿(Grit)을 통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율성지지와 학업열의 사이에서 그릿(Grit)은 완전매개를, 구조제공과 학업열의 사이에서 그릿(Grit)은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의 관련성과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어머니의 그릿과 자녀의 그릿 간의 종단적 관계

        김지영,정은정,정수경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1

        본 연구는 어머니 그릿에 따른 자녀 그릿의 장기적인 변화를 살펴보는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 데이터로 2018년 기준 중학교 1학년과 부모 총 2,590명 총 4개년 자료를활용하여 최종 분석 대상자는 주요 변수 총 4개년 자료 중 2개년 이상 자료가 있는 자녀 및 어머니2,275쌍이다. 분석자료는 SPSS 28.0과 M-plus 8.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잠재성장모형 무조건적모형과 조건적 모형의 2단계에 걸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와 자녀의 그릿은 시간의 지남에 따라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어머니 그릿 초기값이 높을수록 아동 그릿 초기값이 높았으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녀 그릿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어머니 그릿의 변화율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머니 그릿이 완만하게 감소할수록 자녀 그릿은 완만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어머니의 그릿과 자녀의 그릿의 관계를 종단적 분석을 통해 어머니 그릿이 자녀 그릿에 미치는장기적인 영향을 확인하고 자녀 그릿 발달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to examine the long-term changes in children's grit according to maternal grit. The analysis data utilized the 2018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consisting of a total of 2,590 1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over a period of 4 years. The final analysis included 2,275 pairs of children and mothers who had data for at least 2 years among the 4 years of major variable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8.0 and M-plus 8.0 programs, and latent growth modeling was analyzed in two stages: unconditional and conditional model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both maternal and child grit decreased over time. In other words, higher initial maternal grit led to higher initial child grit, but child grit sharply decreased over time. Furthermore, the rate of change in maternal grit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 rate of change in child grit, with a gradual decrease in maternal grit corresponding to a gradual decrease in child grit over time.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long-term impact of maternal grit on child grit through longitudinal analysis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study of child grit development.

      • KCI등재

        근로자 그릿의 의미와 구성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지영 한국인력개발학회 2022 HRD연구 Vol.24 No.2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of employee-grit meaning in the workplace and what are the component of employee-grit.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eight employees depth-interview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analysis procedure of qualitative data, open coding was carried out and constant comparison method was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research participants generally recognized that employee need grit. It turns out that grit is a necessary concept to achieve goal related organizational vision, individual's career development or positional desire and is emphasized by many organizations though the terminology used is different. Employee-grit is necessary for individuals who have goals that go beyond doing their job. And employee-grit turned out to be more demanding when employees have to solve problems, are placed in an unclear situation, and have a high degree of difficulty. Second, the components of the employee-grit were derived as consistency of interest, perseverance of effort, deep inquiry, pursuit of small success, resolution of obstacle factors, and positive attitud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further research about detailed exploration of the employee-grit goal and the development of employee-grit measurement were presented as suggestions. 본 연구는 근로자에게 그릿이 의미하는 바와 근로자 그릿의 구성요인은 무엇인지 탐색하기 위하여 근로자 8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인터뷰자료를 포괄적 분석절차에 따라 개방코딩을 실시하고, 반복적 비교방법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근로자 그릿은 업무목표·경력목표·지위목표 달성에 필요한 개념이고, 많은 조직에서 이미 강조되는 개인특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업무수행을 넘어선 목표가 있는 개인들에게 필요한 개념으로, 직종이나 업무의 특성이 문제해결을 요구하는 일, 명확하지 않은 상황에 처한 일, 난이도가 높은 일 등에서 더욱 요구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근로자 그릿의 구성요인으로 목표추구 지속성, 노력에 대한 인내, 깊이있는 탐구, 성취추구, 장애요인 해결, 긍정적인 태도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근로자 그릿 목표에 대한 세부탐색, 근로자의 그릿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의 개발 등을 연구의 제언으로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