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패 경험이 자살 생각 경향 집단의 정서처리에 미치는 영향: 몰핑 기법을 활용한 얼굴표정 정서 인식 과제, 정서 스트룹을 중심으로

        나진형,이상일,장문선,곽호완 한국건강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1 No.2

        In this research,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of a group of people with a tendency to have suicidal ideation under normal and failure treatment conditions have been studied through emotional stroop and facial emotion recognition tasks with morphing techniques. In the concrete, the emotional stroop and facial emotion recognition tasks have been performed to confirm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emotion between the group having tendencies of suicidal ideation and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an analysis of whether there is any evidence of differences in emotion when presented with failure experiences between the group having tendencies for suicidal ideation and the control group was completed.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reaction time tests between the group having tendencies for suicidal ideation and the control group revealed that the non-contro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biases in the emotional stroop, and also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ain effect in the sensitivity level between groups and emotional types for the recognition of emotion by a facial recognition task. In the comparison for the reaction time after presenting a failed experience, the non-control group indicated a significant negative-emotional bias in the emotional stroop task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non-control group displayed a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emotional types and groups, and the interactive effect between the emotional types and the groups. In conclusion, the group having tendencies for suicidal ideation showed a lowered level of threshold for emotional recognition sensitivity and displayed a negative emotional bias.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environmental stress can affect the emotion of the group having tendencies of suicidal ideation. Synthesizing the implications from the study, further discussion on the issue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has been followed. 본 연구는 정서 스트룹 과제와 몰핑 기법을 이용한 얼굴표정 정서 인식 과제를 수행하여 자살 생각 경향 집단의 정서처리 특성과 실패 처치 조건에서 정서처리 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자살 생각 경향 집단이 통제 집단과 비교하여 정서 차이가 있는지 정서 스트룹 과제와 얼굴표정 정서 인식 과제를 실시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실패 경험을 제시하여 자살 생각 경향 집단이 통제 집단과 정서처리 특성에서 차이가 있는지 정서 스트룹 과제와 얼굴표정 정서 인식 과제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살 생각 경향 집단과 통제 집단의 반응시간을 비교한 결과, 정서 스트룹 과제에서 자살 생각 경향 집단은 통제 집단과 비교하여 부정 및 긍정 정서 편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얼굴표정 인식 과제에 의한 정서 인식 민감도에서 집단 간 주효과 및 정서 유형 간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실패 경험을 제시한 후 반응시간을 비교한 결과, 정서 스트룹 과제에서 자살 생각 경향 집단은 통제 집단과 비교하여 부정 정서 편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얼굴표정 인식 과제에 의한 정서 인식 민감도에서 집단 간, 정서 유형 간 주효과와 집단과 정서 유형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자살 생각 경향 집단은 실패 경험에 의해 정서 인식 민감도의 역치가 낮아졌으며, 부정적 정서 편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환경적 스트레스 상황이 자살 생각 경향 집단의 정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추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 KCI등재

        아동학대 경험에 따른 얼굴표정 정서인식의 차이

        하혜주(Ha, Hyeju),심은정(Shim, Eun-J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아동학대 경험, 특히 학대 유형에 따른 얼굴표정 정서인식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아동기피학대 경험 척도 점수로 아동학대 유형을 학대(n =9), 학대 및 방임(n =10) 및 통제(n =15)의 세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세 집단을 대상으로 상향 및 하향과제로 구성된 몰핑된 얼굴 과제를 실시하였다. 상향과제에서는 정서가가 0%인 중립 얼굴표정에서 100%인 극단 얼굴표정까지 2% 간격으로 몰핑한 네 가지 얼굴표정(i.e., 기쁨, 분노, 두려움, 슬픔) 자극을 순차적으로 제시하여, 정서를 인식한 시점의 정서 강도 및 인식한 정서 유형을 측정하였다. 하향과제에서는 극단 얼굴표정을 제시하여 인식한 정서 유형을 측정한 후, 극단에서 중립 얼굴표정으로 변하는 과정에서 정서가 사라졌다고 인식하는 강도를 측정하였다. 아동학대 유형에 따른 얼굴표정 정서인식 관련 측정치 분석 결과, 학대집단과 학대 및 방임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슬픔 표정에 대한 정서인식 정확성이 낮았으며, 이를 분노로 오해석하는 경향이 유의하였다. 더불어 학대 및 방임집단은 학대집단에 비해 기쁨 표정에 대한 낮은 정서인식 정확성을 보였으며, 기쁨을 분노로 오해석하였다. 반면 정서인식 민감성에서는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학대를 경험한 성인이 얼굴표정 정서인식에서 보이는 분노에 대한 편향 가능성과 학대와 방임을 함께 경험한 사람들이 더 심각한 양상의 정서인식 편향을 보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얼굴표정 정서인식과 심리사회적 부적응 및 정신 병리의 관련성을 고려할 때, 아동학대 경험이 있는 개인에게 나타나는 얼굴표정 정서인식 편향을 다루는 개입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experience of childhood maltreatment affected facial emotion recognition, and whether this impact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maltreatment. Two groups that experienced maltreatment (an abuse only group (n=9) and a group with both abuse and neglect (n=10)) and a control group without the experience of maltreatment (n=15) were classified. These groups participated in ascending and descending morphed facial tasks. In the ascending task, sequences of neutral faces slowly changing to full-intensity happy, angry, fearful, and sad expressions were presented, and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spond when they identified emotions in facial expression. In the descending task, the same stimuli were presented in reverse order, and participants responded when they recognized the disappearance of an emotion in facial expres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with a history of childhood maltreatment were less accurate in recognizing sad expressions than the control group, and more likely to misinterpret sad facial expressions as angry ones. Moreover, compared to the abuse only group, the group with both abuse and neglect showed a lower level of emotion recognition accuracy with regard to happy facial expressions, and were more likely to misinterpret happy facial expressions as angry on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emotion intensity. The results suggest that childhood experiences of maltreatment are associated with facial emotion recognition biases in adulthood, especially in terms of anger. Furthermore, adults with a history of both abuse and neglect have more severe biases than individuals with only experiences of abuse. The current results warrant the need for addressing facial emotional recognition biases in individuals with experiences of childhood maltreatment, given its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psychosocial maladjustment and psychopathology.

      • KCI등재

        ADHD 아동의 정서인식 능력 – 몰핑기법을 이용한 얼굴표정 정서인식과제를 중심으로

        곽윤정,이효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8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7 No.4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인터넷 중독 실태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경우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 활동보다 혼자 즐기는 활동에 더 빠지기 쉬운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학령기가 되면서 인터넷 중독을 가질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인터넷 사용 실태와 인터넷 중독 실태를 파악하였고 인터넷 사용 실태의 변인에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인터넷 중독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6세에서 17세 아동의 110명에게 설문지를 보내어 회수된 81명의설문지를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인터넷 사용 실태와 중독 실태에 대한 빈도분석이 이루어졌고, 사용 실태 변인에 따라 일상생활장애, 현실구분, 긍정적 기대, 금단, 일탈, 내성에 대한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에 따라 논의를 통하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향후 지도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motion recognition between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6 children with ADHD, who were in the first to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64 normal children. The Computerized Facial Morphing Task was adopted to measure their emotion recognitio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and Scheffé test was used for post-hoc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differences in the emotion recognition between children with ADHD and normal children. Regarding the Facial Morphing Task, children with ADHD showed lower recognition than normal children. Second, both of ADHD and normal children showed the best recognition on the emotion of joy, while the worst on the emotion of fear.Thir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emotion recognition between ADHD children with and without taking medication.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discussed that contents related emotion recogni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ADHD.

      • KCI등재

        Empathy and Social Attribution Skill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oral Lobe Volume and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Ability in Schizophrenia

        정민지,Seung Yeon Baik,Yourim Kim,Sungkean Kim,Dongil Min,Jeong-Youn Kim,Seunghee Won,이승환 대한정신약물학회 2020 CLINICAL PSYCHOPHARMACOLOGY AND NEUROSCIENCE Vol.18 No.3

        Objective: While impaired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has been closely associated with reduced temporal lobe volume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whether empathy and social attribution affect such a relationship. Methods: A total of 43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43 healthy controls underwent a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task (FERT)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Basic empathy scale and the social attribution task-multiple choice were used to measure empathy and social attribution. Results: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total temporal lobe volume and the FERT-accuracy (FERT-ACC). Diminished temporal lobe volume predicted the impaired facial emotion recognition ability. Both empathy and social attribution played roles as moderators of the path from the left amygdala volume, left fusiform gyrus volume, both sides of the superior temporal gyrus volume, and left middle temporal gyrus volume to the FERT-ACC. In contrast, empathy alone functioned as a moderator between the right fusiform gyrus volume, right middle temporal gyrus volume, and FERT-ACC. No significant interaction was found for healthy control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social cognition remediation training on empathy and social attribution, could buffer the negative effects of small temporal lobe volume on interpersonal emotional communica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KCI등재

        언어 정보와 얼굴 표정의 정서가 불일치할 때, 3세 아동은 어떤 정보에 주목하여 타인의 정서를 판단할까?: 점화 과제 연구

        박윤희,Itakura Shoji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7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타인의 표정을 인식할 때 함께 제공되는 언어 정보가 정서 인식에 영향을 주는 현상이 관찰되는 연령의 하한계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학령전기 아동을 대상으로 언어 정보와 얼굴 표정을 순차적으로 제시하는 점화 과제를 실시하여 언어 정보에 따른 아동의 정서 인식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 대상은 의료기관으로부터 언어장애나 정서발달장애 진단을 받은 경험이 없는 3세 0개월에서 3세 11개월 사이의 아동이었다. 점화과제에서 참가자에게 형용사(예-기뻐요, 슬퍼요)나 정서 상황(예-생일 선물을 받다, 키우던 강아지를 잃어버렸다)에 대한 언어 정보를 청각적으로 제시한 후, 5세 아동의 기쁨 또는 슬픔 표정 사진을 제시하여 사진 속 주인공의 정서를 판단하도록 요청하였다. 언어 정보는 형용사만 제시되는 단순한 언어 정보 조건(예-기뻐요), 정서와 관련성이 높은 상황 정보가 제시되는 구체적 언어 정보 조건(예-생일 선물을 받아서 기뻐요), 정서와 관련성이 낮은 상황 정보가 제시되는 애매한 언어 정보 조건(예-문을 열어서 기뻐요)으로 구성되었으며, 참가자들은 세 가지 조건 중 한 가지 조건에 무선 배정되었다. 모든 참가자들은 언어 정보와 표정의 정서가 일치하는 시행과 불일치하는 시행에서 사진 속 주인공의 정서를 판단하였고, 주인공의 얼굴 표정에 따라 정서를 판단하였을 경우 정답으로, 언어 정보에 따라 정서를 판단하였을 경우 오답으로 처리하여 각 집단 별 점화 과제 점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모든 언어 정보 집단에서 언어 정보와 얼굴 표정의 정서가 불일치할 때 점화 과제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3세 아동이 다양한 상황 간의 정서적 의미의 강도를 비교하는 것을 어려워하지만, 언어적으로 제시된 상황 정보와 얼굴 표정의 정서가 불일치할 때, 얼굴 표정보다는 언어적으로 제시된 형용사로 타인의 정서 상태를 추론함을 보여 준다. 또한, 적어도 생후 3년 이후에서 타인의 정서 인식에 대한 언어 정보의 영향이 관찰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결과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언어 정보의 구조의 특성, 연령에 따른 정서의 원인에 대한 이해 발달 차이, 3세 아동의 형용사 이해의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 설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정서 및 언어 발달 장애 연구에의 응용에 대해 논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whether three-year-old children in normal emo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more focus on linguistic contexts about emotional situations than facial expressions to judge the other’s emotions, expecially when emotions of the situation and the facial expression are not congruent. Using priming task paradigm, a linguistic context sentence was acoustically presented as primer stimulus, after that, a happy face or a sad face was immediately presented on the monitor as target stimulus. There were three linguistic information groups: a) Simple information(SI)-emotional adjectives, b) Elaborative information(EI)- emotional adjectives with situa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adjectives, c) Ambiguous information(AI)-emotional adjectives with situational information not related to the adjectives. Participants asked to judge the emotional states of protagonists of facial expressions. The priming task score was calculated and compared among groups. As a result, all group’s task score were decreased when emotions of the situation and the facial expression are not congruent. Three-year-old children may struggle to compare emotional intensity of elaborative context and that of ambiguous context. However, sentences of all linguistic context contained emotional adjectives, happy and sad. Hence, it seems that three-year-old children focus on and use the adjectives to infer the other’s emotional state when emotions of the situation and the facial expression are incongruent. In discussion, we discussed the result of the present study in terms of three perspectives: structural feature of the linguistic information, developmental difference on understanding of reason for emotion, and easiness to use emotional adjectives to infer other’s emotional state in three-year-old children. Finally, we suggested that this study could applicate to future investigation to explore how children with emotional and language impairment perceive and recognize the interaction between language and emotion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