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반적 영역의 사회불안’ 유형과 ‘발표 영역의 사회불안’ 유형의 비디오 피드백 효과 차이 검증

        신혜린,이기학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4

        The present study examined if the subtype of social anxiety affected outcome of video feedback for social anxiety. The social anxiety subtypes were ‘pervasive social anxiety’ and ‘dominant public speaking anxiety’ which were identified in empirical approach. Repeated measures ANOVAs and t- test were performed for the differences of two social anxiety subtypes in the cognitive, physiologic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after video feedback. In the treatment responses, both subtypes showed the same degree of improvement after video feedback. It was, however, revealed that the individuals with ‘dominant public speaking anxiety’ improved moderately more than ‘Pervasive social anxiety’ right after the treatment.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he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of social anxiety individual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자연발생적으로 구분된 사회불안의 하위 유형에 따라 비디오 피드백 치료 효과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자연발생적으로 구분된 사회불안인 ‘전반적 영역의 사회불안’ 유형과 ‘발표 영역의 사회불안’ 유형에 따라 비디오 피드백의 반응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비디오 피드백 전에 발표를 한 후, 그리고 비디오 피드백 개입 후 발표를 다시 한 후의 인지, 생리, 행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이 특성들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s)과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유형 모두 유의한 치료적 효과를 보였으며 유형 간 치료적 반응성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러나 비디오 피드백 직후에는 ‘발표 영역의 사회불안’ 유형이 ‘전반적 영역의 사회불안’ 유형에 비해 높은 치료적 경향성을 보였다.

      • KCI등재

        인후두 역류질환의 최근 경향

        이상혁,허세형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11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54 No.8

        Laryngopharyngeal reflux disease (LPRD) refers to the retrograde flow of gastric content to the laryngopharynx, where it comes in contact with tissues of the upper aerodigestive tract. In Korea, up to 1 out of every 5 patients who visit otorhinolaryngology clinic is supposed to have LPRD with symptoms and physical findings. In the absence of definite diagnostic criteria, LP-RD is suspected when the history and laryngoscopy findings are suggestive of the diagnosis. A diagnosis of LPRD is usually based on response of symptoms to empirical treatment. Most patients with LPRD are treated with proton pump inhibitor with education of life style modification, but there is still little or no solid evidence on the treatment as well as the diagnosis. Failure to respond to a usual treatment suggests the need for confirmatory studies and con-sideration of alternative diagnoses. LPRD appears to be a common but controversial disorder, with conflicting data on pathophys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Whereas trends are observed and many clinical practices are accepted widely on the basis of experience, we need definitive, prospective, evidence-based studies. In this article, we will review current concept of diagnosis and treatment of LPRD.

      • KCI등재

        준 경험 생물막 모델(Semi-Empirical Biofilm Model)을 이용한 BAF 운전평가 및 적정 운전방안 도출

        유광태 ( Kwang Tae Yoo ),김종락 ( Jong Rack Kim ),윤주환 ( Zuw Han Yun ),황호재 ( Hojae Hwang ),이한샘 ( Han Saem Lee ),김성표 ( Sung Pyo Kim ) 한국물환경학회 2014 한국물환경학회지 Vol.30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 developed semi-empirical biofilm model can be applicable to real BAF pilot-scale wastewater treatment. In addition,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of BAF as a function of process variables such as organic loading change can be drawn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of model. The results will provide the economic and efficient BAF process design and operating control. As a result, developed semi-empirical biofilm model which is relatively simple compared to mathematical model can simulate three BAF processes consisted of 25 layers within 1 seconds. When this model was used for simulating real pilot scale BAF process and the simulated water quality values were compared to experimental ones, simulated TCOD, SCOD, TN, NH4 +-N, NOx --N, alkalinity values were different to experimental ones within 21%, 20%, 8.1%, 48%, 10%, and 23%, respectively. Therefore, if the BAF system was equipped with automatic control, the BAF process can be better efficiently adapted under the condition of significant change of influent loading.

      • KCI등재

        Routine Intraoperative Bacterial Culture May Be Needed in Complicated Appendicitis

        Jung Tack Son,Gue Chun Lee,김형욱,김태운,이동현,Sung Ryol Lee,정경욱,김흥대,전호경 대한대장항문학회 2020 Annals of Coloproctolgy Vol.36 No.3

        Purpose: Choosing the appropriate antibiotic is important for treatment of complicated appendicitis. However, increasing multidrug resistant bacteria have been a serious problem for successful treatme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bacteria isolated from patients with complicated appendicitis and reveal their susceptibilities for antibiotic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atient clinical course. Methods: This study included patients diagnosed with complicated appendicitis and examined the bacterial cultures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of the isolates. Data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from medical records of Kangbuk Samsung Hospital from January 2008 to February 2018. Results: The common bacterial species cultured in complicated appendicitis were as follows: Escherichia coli (n=113, 48.9%), Streptococcus spp. (n=29, 12.6%), Pseudomonas spp. (n=23, 10.0%), Bacteriodes spp. (n=22, 9.5%), Klebsiella (n=11, 4.8%), and Enterococcus spp. (n=8, 3.5%). In antibiotics susceptibility testing, the positive rate of extended-spectrum beta lactamase (ESBL) was 9.1% (21 of 231). The resistance rate to carbapenem was 1.7% (4 of 231), while that to vancomycin was 0.4% (1 of 231). E. coli was 16.8% ESBL positive (19 of 113) and had 22.1% and 19.5% resistance rates to cefotaxime and ceftazidime, respectively. Inappropriate empirical antibiotic treatment (IEAT) occurred in 55 cases (31.8%) and was significantly related with organ/space surgical site infection (SSI) (7 of 55, P=0.005). Conclusion: The rate of antibiotic resistance organisms was high in community-acquired complicated appendicitis in Koreans. Additionally, IEAT in complicated appendicitis may lead to increased rates of SSI. Routine intraoperative culture in patients with complicated appendicitis may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appropriate antibiotic regimen.

      • KCI등재후보

        고려와 조선시기 고유 치료경험의 의학지식화 과정 : 풍엽(楓葉)과 풍고(楓膏) 처방을 중심으로

        이경록(Lee, Kyung-Rok) 의료역사연구회 2021 의료사회사연구 Vol.8 No.1

        이 글에서는 풍엽(楓葉, 단풍나무잎) 치료법의 역사를 통해서 고유한 치료경험이 의학지식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다루었다. 전근대 의학지식의 형성 과정을 탐구하는 작업의 일환이다. 원래 고려의 민간에서는 눈이 충혈되면서 붓고 가려울 때 단풍나무잎[楓葉]을 달여서 눈을 씻는 치료법이 있었다. 동아시아의학(한의학)과 무관했던 단풍나무잎 치료 경험은 신상서방및 향약구급방에 수록되는 과정에서 동아시아의학의 병리학⋅본초학 개념과 결합하였다. 풍엽 처방은 조선의 의방유취에 이르기까지 충실하게 사용되면서 그 효과를 인정받았다. 하지만 눈이 충혈되는 증상 치료법으로 풍엽 처방만 존재했던 것은 아니었다. 조선초기까지로 한정하더라도 14개의 처방이 병존하였다. 풍엽 처방이 다른 처방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는 방법은 환자와 의료인에게 신뢰를 얻는 것이었다. 그 결과 의림촬요와 동의보감에서는 풍엽 처방이 풍고(楓膏) 처방으로 발전하였다. 이 풍고 처방은 조선의 민간에서 끝까지 강한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풍엽 치료법의 변천을 살펴보면 약재의 증산이나 약물 가공법의 발전 같은 의료 환경의 개선 역시 처방이 변화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그러므로 의학지식을 규정하는 요소는 치료의 반복을 통한 처방 간의 경쟁과 발전, 의료 환경의 변화, 의료 당사자들의 판단 등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This article covers the history of Liquidambar taiwaniana leaves prescription. Based on the case of Liquidambar taiwaniana leaves prescription, I am trying to explore the formation process of pre-modern medical knowledge. Originally, in the Goryeo era, there was a treatment for washing the eye by boiling Liquidambar taiwaniana leaves when the eyeball was swollen and itchy due to congestion symptoms. The experience of treatment with Liquidambar taiwaniana leaves, unrelated to East Asian medicine, was combined with the pathology and herbalism concepts of East Asian medicine in the process of being recorded in Shinsangseobang(愼尙書方) and Hyangyakgugupbang(鄕藥救急方). Liquidambar taiwaniana leaves prescription had been faithfully used up to Uibangyuchwi(醫方類聚) in the Joseon, and its effectiveness had been recognized. However, Liquidambar taiwaniana leaves prescription was not the only treatment for eye congestion symptoms. Even if limited to the early Joseon Dynasty, 14 prescriptions coexisted. The way for Liquidambar taiwaniana leaves prescription to survive competition with other prescriptions was to gain trust from patients and medical professionals. As a result, Liquidambar taiwaniana leaves prescription developed into Liquidambar taiwaniana ointment prescription in Uilimchwalyo(醫林撮要) and Donguibogam(東醫寶鑑). This Liquidambar taiwaniana ointment prescription had a strong influence in the private sector until the end of the Joseon. Looking at the history of Liquidambar taiwaniana leaves prescription, the improvement of medical conditions such as increased production of medicinal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drug processing methods also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 prescription to change. Therefore, the main factors in the formation of medical knowledge can be summarized as competition and development between prescriptions through repetition of treatment, changes in medical conditions, and judgment of medical parties.

      • KCI등재

        기독교 상담의 효과 - 기준과 과제 -

        반신환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7

        기독교 상담의 효과에 대한 관심이 높다. 효과의 기준을 상담과 심리치료의 기준에서 분석한다. 실증치료법에서 효과의 기준은 실험연구, 구체적 문제와 대상, 그리고 상담 매뉴얼이다. 실험연구는 연구설계와 연구절차의 객관성을 의미한다. 구체적 문제와 대상은 상담개입의 대상이 되는 문제와 사람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규정한다. 그리고 상담 매뉴얼은 상담개입의 방법과 과정에 대한 구체적이고 객관적 규정이다. 이것들은 모두 연구방법과 연구절차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건이다. 그리고 이 기준을 통과한 상담과 심리치료의 모형만이 효과적이라고 판정되었다. 그러나 증거기반실천에서 목표는 객관성이 아니라 효과에 있다. 상담개입의 목표는 내담자에게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기준은 더 포괄적이다. 그러므로 실증치료법에서 강조하는 객관성은 기준의 일부분이다. 증거기반실천은 하나의 연구에 국한에서 방법론적 객관성을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두지 않는다. 오히려 여러 연구결과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유효성의 핵심으로 삼는다. 그리고 이 연구증거도 기준의 일부분에 불과하다. 다른 기준은 상담자의 임상적 전문성과 내담자의 문화와 가치이다. 상담자의 임상적 전문성은 상대개입의 실효성을 증진하는 상담자의 능력이다. 이것은 내담자의 평가, 상담관계의 형성, 상담전략의 구성, 그리고 상담기술과 함께 스스로 계속 계발의 능력과 외부 전문가의 도움을 확보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내담자의 문화와 가치는 임상적 전문성의 한 분야이면서, 동시에 증거기반실천의 기준이기도 하다. 내담자의 문화, 특성, 가치관, 그리고 선호도를 수용하고 존중해서 실효성을 증진한다. 우리나라 기독교 상담의 현재 특징을 효과의 분석이라는 기준으로 3개로 구분한다. 이것은 기독교 상담의 모형과 원리의 구성, 구성요인의 확인, 그리고 효과적 기독교 상담의 모형의 구성이다. 기독교의 문제를 심리적 이론으로 모형을 구성하거나 일반적 문제와 해결에 대한 모형을 구성하는 과정에 심리학과 기독교적 개념이나 신학을 사용한다. 구성요인의 확인은 기독교 모형에 구성요인이 되는 개념들을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그 효과를 분석한다. 그리고 효과적 기독교 상담의 모형의 구성이다. 이것은 우리나라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모형을 구성하고 그것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들이다. 우리나라 기독교 상담의 효과를 증진하기 위한 4개 과제를 제시한다. 첫째는 기독교 상담의 효과에 대한 연구와 연구결과들의 체계적 분석이다. 둘째는 내담자의 문제와 특성에 대한 구체적 분석이다. 셋째는 기독성의 특징과 범위에 대한 분석이다. 그리고 넷째는 기독교 상담자의 전문성과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분석이다. The criteria of the effects of Christian counseling have been adopte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e criteria of the Empirically Supported Treatments and the Evidence-Based Practices in psychology. The criteria of the Empirically Supported Treatments include efficacy, specificity, and standardization with a treatment manual. Efficacy is typically based on more than two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Specificity is a client who is conceptualized to have a disorder, problem, or a component. They overemphasize the objective methodology. A treatment manual contains a definitive description of the principles and techniques of the counseling intervention, to formulate standardization of the intervention with reducing variability. The Evidence-Based Practices transfers their attention to the consequential effects of their clients. Therefore, they expand their criteria. Their criteria includ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as well as efficacy. In other words, the clients’ characteristics and cultures, the counselor’s clinical expertises, and the current best research evidences are included in the criteria for the Evidence-Based Practices. The current best research evidence is typically based on not a couple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but their systematic reviews. The clinical expertises contains many competencies that promote positive outcomes, such as assessments, clinical decisions, interpersonal expertise, continuing self-development, and seeking available resources. The clients’ characteristics and cultures imply that counseling interventions are most effective when responding to their specific problems, strengths, personality, cultures, and preferences. Thre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Christian counseling have been suggested in terms of their effects. They are constructing its guidelines or models without analyzing its effect, identifying its variables through analyzing their efficacy, and analyzing its newly constructed models’ effects through analyzing their efficacy and effectiveness. To enhance its effects, four suggestions have been provided. They are high-quality systematic reviews of the results in its empirical researches, comprehensive classifications of its clients’ specific problems and personalities, systematic reviews of effects of its Christian features, and systematic reviews of clinical expertises and decision-making processes of its counselors.

      • 호중구감소성발열 환자에서 이트라코나졸 초기 투여의 효과

        최영진 부산대학교 병원 암연구소 2008 부산대병원학술지 Vol.- No.24

        Background : The early diagnosis of fungal infections is difficult and persistent fever may be the only symptom. A delay in treatment, while pursuing the diagnosis, may lead to increased mortality and morbid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efervescence and response rate of early initiation of Itraconazole in febrile neutropenic patients. Patients and methods : This was an observational study between early initiation group and historical gourp. Early initiation group defines simultaneous providing of itraconazole and broad spectrum antibiotics in neutropenic fever patients, and historical group defines providing of itraconazole in persistent fever patients in spite of 5 days of broad spectrum antibiotics. Results : A total of 88 patients were enrolled. 64 patients received itraconazole early, and 24 patients were received itraconazole conventionally. Demographic and baseline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in both group. The defervescence rates were 85.94% vs 65.2% (p-value 0.015). The overall response rates were 67.3% vs 52.6% (p-value 0.57). Adverse events including liver dysfunction and renal dysfunction were similar both group(p-value 0.78, p-value 0.33). Conclusion : Early initiation of itraconazole has similar efficacy and toxicity to conventional treatment of itraconazole. 목적 혈액 종양 질환으로 항암 화학 요법 치료 혹은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환자에서 발생하는 호중구 감소성 발열의 원인이 초기에 진균 감염으로 확진 되는 비율이 2~10%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혈액 종양 질환 환자에서 호중구 감소성 발열이 발생했을 때 초기 경험적 항생제와 동시에 이트라코나졸을 투여함으로써 이전의 초기 항생제 투여 후에도 5~7일 이상 발열이 지속되는 경우 이트라코나졸을 투여한 historical 군과 비교하여 효과와 안전성을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방법 부산 및 경남 지역 대학 병원에서 혈액종양질환으로 항암 치료 혹은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 받는 환자들 중 호중구<0.5 X 10^(9)/1가 최소한 7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면서 호중구 감소성 발열이 있는 16세 이상의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호중구성 발열 제1일에 이트라코나졸을 항생제와 같이 투여한 군과 초기 경험적 항생제를 사용하고도 호중구 감소성 발열이 5-7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 1차로 이트라코나졸을 사용한 환자를 historical 군을 대상으로 하여 그 반응과 해열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Itraconazole군은 64명, historical 군은 24명이었으며 총 88명 중 남녀비율은 43명 : 45명으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중간 나이는 itrconazole 군이 48세, historical 군이 50세 였고 두군다 기저 질환으로 AML이 가장 많았다. 해열이 된 사람은 전체 88명 중 70명 이었으며 itraconazole 군 55명 (85.94%) historical 군 15명 (62.5%) 였으며 (p=0.0152) 반응율은 itraconazole 군이 67.3 %, historical 군이 52.6 % (p-value 0.57)로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독성으로는 간독성이 발현된 경우가 총 88명 중 3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신독성이었다. 결론 상기 연구에서 itraconazole을 호중구성 발열 환자에게 조기에 투여하는 것이 명백한 이득을 준다는 것을 밝히지는 못하였으나 혈액종양환자의 진균감염 치료에 있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불안 및 관련 장애들의 근거기반치료: 기준, 연구 이슈, 논평 및 제언

        조용래 한국임상심리학회 2017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6 No.4

        This article is an introduction to the special section of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on evidence-based treatments (EBTs) of anxiety and anxiety-related disorders: panic disorder, social anxiety disorde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riteria for EBTs or empirically supported treatments, issues concerning psychotherapy research on anxiety and anxiety-related disorders, and comments on review articles in this special section are described. Finally, methods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EBTs to clinical practice and bridge research and practice are suggested in terms of evidence-based practice.

      • KCI등재

        근거기반실천과 심리치료

        임민경,이지혜,이한나,김태동,최기홍 한국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2 No.1

        Evidence-based practice in psychology(EBPP) is defined as a “decision-making process of a therapist combining his/her clinical expertise and psychotherapy with best research evidence while keeping the client's needs, value and preference in mind”(APA Presidential Task Force on Evidence-Based Practice, 2006). This movement was suggested to increase the provision of effective psychological treatments and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health through an integrative approach covering key service dimensions such as psychometric evaluation, case formulation, and working alliance(APA, 2006). Following the paradigm of empirically supported treatments, there were criticisms and opinions calling for various important factors other than efficacy. As a result, a more integrative paradigm of evidence-based practice was introduced and now actively implemented in many countries including the U.S. and the U.K. This review article aimed to promote understanding on evidence-based practice and facilitate evidence-based practice in Korea by (1) introducing the widely accepted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evidence-based practice, (2) providing answers to common misconceptions about evidence-based practice, and (3) making suggestions to implement evidence-based practices in Korea. 심리학에서의 근거기반실천(Evidence-based practice)이란 “연구를 통해 증거가 확보된 심리치료를, 임상적으로 숙련된 치료자가, 환자의 필요, 가치와 선호 등의 맥락을 고려하여 내담자에게 적용하는”(APA Presidential Task Force on Evidence-Based Practice, 2006) 의사 결정 과정이며, 궁극적으로 증거를 기반으로 한 심리측정, 사례개념화, 치료관계와 개입 등 통합적 접근을 통해 심리학적 치료의 효과를 증진시키고 공중보건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제안되었다(APA, 2006). 경험적으로 지지된 심리치료(empirically supported treatments) 패러다임 이후, 최선의 심리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치료의 효능(efficacy) 뿐 아니라 다른 요소들 (즉, 내담자의 선호 및 가치, 임상적 전문성)이 통합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 결과, 더욱 통합적 패러다임인 증거기반실천 운동이 시작되었으며 현재 미국 및 영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들에서 근거기반실천으로의 이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관 논문에서는 근거기반실천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한국에서의 근거기반실천 시행에 기여하기 위하여 (1) 근거기반실천의 정의 및 근거기반실천의 각 구성 요소를 소개하고 (2) 근거기반실천에 대한 흔한 오해를 개괄한 뒤 이에 대한 답변을 제시하며, 마지막으로 (3) 근거기반실천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소개하였다.

      • 백혈구 감소증하 발열시 경험적 항진균요법의 효과

        배현주,김양수,신형식,백경란,정문현,오명돈,최강원,우준희 대한화학요법학회 1991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9 No.2

        The clinical value of empiric therapy of amphotericin B in 19 patients who were still febrile and granulocytopenic despite coverage of broad-spectrum antibiotics for 6 days was investigated. The clinical response rate was 52.6% on NCI criteria and 21% on EORTC criteria. The mortality rate was 36.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