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융합형 인재 개발을 위한 초등 역사 연극 만들기 연구

        김이경 한국연극교육학회 2022 연극교육연구 Vol.41 No.-

        This paper applies theatre-mak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imed at promoting creativity and cross-disciplinary talent development to Rhizome-based thinking. The introduction presents the two study questions on the current status of theat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he need for such education. The first question is, ‘Can Rhizome-based thinking be incorporated into theat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e second question is, ‘What are some examples of Rhizome-based theatre-mak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imed at promoting creativity and cross-disciplinary talent development?’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points where Rhizome-baed thinking could be incorporated into theatr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ere reviewed. First, Rhizome-based thinking needs to be incorporated into theatre for elementary students by moving away from theatre centered around text and language. Second, the principles of Rhizome of moving away from the territory must be incorporated into theatr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s to constantly generate new things that break away from the mold pf existing elementary school theatre. Lastly, the principles of ‘becoming’ need to be incorporated to focus more on the process rather than the result. In 2018 and 2019 when the researcher was workng as a specialized instructor, there were theatre-making for elementary students. The researcher conducted history theatre-making classes for two years at Elementary School A in Gongju, Korea. In 2018, the performance “The Gongsan Fortress is Alive (I am not alone” won the gold medla and in 2019 the ‘The Legend of the Roasted Bean Powder Rice Cake“ won the bronze medal in the overall category and two students were given awards for their acting. There are three types of historical theatre-making that incorporats Rhizome-based think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lot and format, design, and collaboration. As for plot, the performances of 2018 and 2019 both added a sub-plot featuring the students’ stories of here and now, to the original narrative. Students became more proactive in the theatre-making as their own stories were added to the historical narrative. In terms of format, a variety of formats was used. Just as in the principle of moving away from the original territory in Rhizome-based thinking, new things were created. The theatre pieces of the two years both used songs to capture the historical narrative and stories. Students were able to learn about history in an enjoyable manner by singing along songs. The theatres of those two years also used various objects, such as desks, fans, small hand-held drums, snap bags and LED light bulbs. For the design, the desk was used, along with banners to have students experience that many elements, in addition to acting, could be used in theatre. In 2019, due to the more affluent budget, a choreographer and music specialist were invited to offer students meet with new instructors and generate new points.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omposing of the story and the lyrics within the Rhizome-based theatre-making. In 2018, it was only about creating one’s own dance moves and lyrics, but in 2019, it also included creating raps and expressing one’s own opinion about formats. These example show that Rhizome-based thinking where horizontal attitudes are applied to roam, move away from the territory infinitely and recreating new territory, can be applied to historical theatre-making in elementary schools.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more varied approaches to the history theatre-mak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imed at promoting creativity and cross-disciplinary talent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이경란 ( Kyoeng Ran Lee ),박종호 ( Jong Ho Park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학적 태도 및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차이, 과학적 태도와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관계를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 방법은 독립표본 t검증과 상관 분석을 하였다. 연구 대상은 과학영재로 선발된 영재교육원의 과학영재 112명과 일반학급 학생 10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과학영재는 일반학생에 비해 과학적 태도의 모든 하위 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다. 둘째, 초등과학영재는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소인 대인관계, 활력성, 감정통제, 호기심, 낙관성이 일반학생에 비해 모두 유의미하게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초등과학영재는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 요소 중 긍정적 대인관계, 삶의 목적, 자아수용, 자율성에서 일반학생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넷째,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 모두 과학적 태도와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은 유의미한 상관을 가지고 있으며, 초등과학영재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더욱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과학적 태도를 높이는 과학 교육은 학생들의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 또한 높일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This study compar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ientific attitude and ego-resiliency,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the general elementary students. The comparison was made by using a t-test, finding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cientific attitude and ego-resiliency,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The comparison was made by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cientific attitude and the ego-resiliency,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general elementary students (108) and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 (112) who were identified as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by Gifted Center. Thes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have higher the scientific attitude than the general elementary students. Second, the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have higher the ego-resiliency than the general elementary students and significantly high the sub-fields of the ego-resiliency, which i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viability, curiosity, optimism, emotion control. Third, the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have high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e general elementary students and significantly high the sub-fields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is positive personal relations, the purpose of life, self-acceptance, autonomy. Fourth, the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have a stronger correlation between the scientific attitude and the ego-resiliency,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e general elementary students. These results are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ields of the scientific attitude and the ego-resiliency, psychological well-being.

      • 초등학생의 진로포부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

        김동현(Dong-Hyun Kim),김형균(Hyung-Gyun Kim)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2 敎育論叢 Vol.5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진로포부와 진로성숙도를 분석하고 두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었다. 본 연구는 전국 17개 시·도 지역 중 충청권의 3개 지역(대전, 세종, 충남)의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306명을 임의로 표집하였고, 진로포부 검사와 진로성숙도 검사를 학년 및 학생 특성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이용하였으며, 지도교수와 경력교사들의 검토 등을 거쳐 검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통계 자료는 2020년 12월 1일부터 12월 11일까지 온라인 및 직접 배부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총 31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전량 회수하였다. 활용 불가능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06부의 설문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유효율 98.7%). 본 연구에 활용된 설문지는 SPSS 21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유의수준 p<.05에서 t-test, F-test,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진로포부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학년에 따른 초등학생의 진로포부와 그 하위요인들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6학년 학생들이 5학년 학생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년에 따른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그 하위요인들은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섯째, 진로포부와 그 하위요소의 수준이 높은 집단이 진로성숙도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초등학생의 진로포부와 진로성숙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를 높이는 방법으로는 진로교육에서 초등학생들의 진로포부 수준을 높여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현재 초등학생들의 진로포부 및 진로성숙도와 관련한 학습 및 체험 프로그램이 미비하므로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maturity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grade and gender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mong the 17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30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3 regions (Daejeon, Sejong, and Chungnam) were randomly selected and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maturity test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grade and student characteristics. Statistics were collected online and directly from 1 to 11 December 2020, and a total of 31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Except for unavailable questionnaires 306 questionnaires were finally used for the effectiveness 98.7% efficiency The questionnaires utilized in this study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the SPSS 21 program with significance levels p<.05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test, F-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p<.05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reer aspirations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gend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by gend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career aspira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sub-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ixth-grade students higher than fifth-grade students. Fourth,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sub-facto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Fifth, it was analyzed that groups with high levels of career aspirations and their sub-factors also have high career maturity. Sixth,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 significant static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run a program that can raise the level of career aspira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areer education as a way to improv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since there are currently insufficient learning and experience programs related to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llow-up research is required.

      • KCI등재후보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관계

        박종호 ( Jong Ho Park ),최여진 ( Yeo Jin Choi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 관계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과학영재로 선발된 영재교육원의 과학영재 61명과 일반학급 학생 1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자아존중감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 Pearson 상관 분석을 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과학영재는 일반학생에 비해 과학적 태도가 높으며,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 중 끈기성을 제외한 호기심, 개방성, 비판성, 협동성, 자진성, 창의성 요소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초등과학영재는 일반학생에 비해 자아존중감이 높으며, 자아존중감의 하위 요소인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교 자아존중감 모두 초등과학영재가 일반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초등과학영재는 과학적 태도와 자아존중감 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넷째, 일반학생의 과학적 태도와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상관을 가진 요소들이 거의 없었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초등과학영재는 일반학생에 비해 과학적 태도와 자아존중감 모두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초등과학영재는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와 자아존중감 하위 요소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일반학생에 비해 높은 자아존중감을 갖는 것이 영재의 특성임을 시사하는 것으로 영재판별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rrelation between scientific attitude and self-esteem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the general elementary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general elementary students(132) and the gifted elementary students(61) who were identified as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by Gifted Center. The comparison was made by using a t-test to fin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cientific attitude and self-esteem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and was made by Pearson corre1ation analysis between scientific attitude and self-esteem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se results are as fallow: First, the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have higher scientific attitude than general elementary students and significantly high curiosity, open-mindedness, critical-mindedness, cooperation, voluntariness and creativity but not endurance among sub-field of scientific attitude. Second, the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have higher self-esteem than general elementary students and significantly higher overal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family self-esteem and school self-esteem, Third, there was significant corre1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cientific attitude for the scientifically elementary student. Finally, there wasn`t an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cientific attitude and self-esteem of general elementary student. Gifted elementary student is higher than general student on all scientific attitude and self-esteem.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su1:>-fields of scientific attitude and self-esteem.

      • KCI등재

        여러 가지 기체 단원에서의 예비 초등교사와 초등학생의 오개념 및 초등학생의 오개념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인식

        성승민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3 교육연구 Vol.87 No.-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elementary students’ misconceptions a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lementary students’ misconceptions in various gases uni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5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nrolled in the second grade of university of education and 123 elementary students in five classes, who were in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questionnaire items used in this study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based on science teacher’s guides and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understanding level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elementary students for various gas unit concepts differed depending on the item, and the predicted results and actual result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garding the frequency of misconceptions among elementary students also differed depending on the item.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dentifying misconceptions of elementary students is important in terms of understanding concepts, linking curriculum, and designing lessons, and that the impact of elementary students’ misconceptions on science classes was more of a useful effect than an intrusive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tried to derive implications.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기체 단원에서의 예비 초등교사와 초등학생의 오개념 및 초등학생의 오개념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교육대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 초등교사 25명과 초등학교 6학년으로 5개 학급에재학 중인 초등학생 123명이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설문 문항은 과학 교사용 지도서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여러 가지 기체 단원에 제시된 개념의 예비 초등교사 및 초등학생 이해 수준은 문항에 따라 차이가 있는것으로 나타났고, 초등학생 오개념 빈도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예측 결과와 실제결과도 문항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초등학생의 오개념 파악은 개념 이해, 교육과정 연계, 수업 설계 측면에서 중요하고, 초등학생의 오개념이 과학수업에 미치는 영향은 방해적 영향보다 유용한 영향이라는 인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학교급식 음료 선호도에 대한 초등학생과 영양사의 인식 비교

        배문희,서선희,Bae, Moon-Hee,Seo, Sun-H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8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초등학생 705명과 초등학교 영양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학교급식에서의 음료 선호도에 대한 인식과 제공 실태를 파악하고 영양사와 초등학생간의 음료 선호도 인식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교급식에서 나오는 우유 선호도에 대한 초등학생의 의견은 보통이다(35.2%), 좋다(22.0%), 싫다(18.3%), 매우 좋다(12.2%), 매우 싫다(12.2%) 순이었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학교급식 우유 선호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학생(평균=2.79)보다 남학생(평균=3.24)의 학교급식 우유 선호도가 높았다. 학교급식에서 나오는 요구르트 선호도에 대한 의견은 매우 좋다(39.9%), 좋다(35.1%), 보통이다(20.1%), 싫다(2.9%), 매우 싫다(1.9%) 순으로 우유 선호도와 달리 요구르트 선호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과 여학생의 학교급식 요구르트 선호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학생(평균=3.88)보다 남학생(평균=4.26)의 요구르트 선호도가 높았다. 학교급식에서 나오는 과일주스 선호도에 대한 의견은 매우 좋다(53.5%), 좋 다(30.4%), 보통이다(13.9%), 싫다(1.3%), 매우 싫다(0.9%) 순이었다. 학교급식에 나오는 과일주스 선호도는 우유나 요구르트보다 비교적 높게 나다났으며 남학생(평균=4.37)과 여학생(평균=4.32)의 과일주스 선호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초등학생의 과일주스 섭취빈도 조사 결과 설문 응답자의 41.8%가 과일주스를 일주일에 2-3번 섭취하고 설문 응답자의 21.5%가 한 달에 2-3번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일주스를 마시는 동기로는 과일주스 맛을 느끼고 싶을 때(30.1%), 간식(27.3%), 갈증해소(24.2%)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이 가장 좋아하는 과일주스는 오렌지주스(34.1%), 사과주스(20.77%), 포도주스(17.5%) 순이었으며 가장 자주 마시는 과일주스로는 오렌지주스(57.3%), 포도주스(13.8%), 사과주스(8.1%) 순으로 조사되었다. 초등학생이 선호하는 과일주스와 가장 자주 마시는 과일주스 1순위로 모두 오렌지주스를 선택하였으며 사과주스와 포도주스는 선호도에 비해 섭취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사를 대상으로 학교급식에서 과일주스 제공 실태 조사 결과 응답자의 과반수 이상이 한 학기에 1회 미만(61.0%)으로 과일주스를 제공한다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급식에서 과일주스 제공빈도가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감귤주스와 사과주스가 학교급식에서 자주 제공되는 과일주스로 꼽혔으며 영양사들은 학교급식에서 1인용 과일주스의 포장용기로 종이팩이 가장 적당하다고 대답하였다. 현재 57.8%의 학교 급식에서 1인당 125 mL의 사과주스를 제공하고 있고 14.7%의 학교급식에서 1인당 100 mL 의 사과주스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양사들이 인식하는 적당한 1회용 과일주스 양은 125 mL(58.1%). 100 mL(31.4%) 순이었다. 학교급식 메뉴로서 과일주스보다 요구르트를 더 선호하는 이유로 유산균 및 칼슘 보충가능, 저렴한 가격, 선호도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영양사들은 초등학생들이 과일주스보다 요구르트를 더 좋아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실제 초등학생들의 과일주스에 대한 선호도는 우유와 요구르트의 선호도보다 매우 높았다. 초등학생의 우유 선호도에 대해 영양사들은 초등학생들의 실제 우유 선호도보다 초등학생들이 우유를 좋아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양사가 인식하고 있는 초등학생의 요구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beverage preference and dietitians' perception in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phases: (1) 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survey administratio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2) survey administration to dietitians who were in charge of the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 and (3) comparison of beverage preferences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ietitians. In phase I, 703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surveyed from July 11 to July 19. In Phase II, 100 school food service dietitians in Seoul participated by mail survey from September 15 to October 30, 2006. Based on the resul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nded to show a neutral milk preference (mean=3.04), whereas dietitians perceiv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lower milk preference (mean=2.67). Also dietitians perceived higher yogurt preference (mean=4.27) than the re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ference (mean=4.02). T-test results showed the gender difference on milk and yogurt preference. Male students had higher milk preference (t=4.912, p<0.001) and yogurt preference (t=3.621, p<0.001) than female stude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high fruit juice preference (mean=4.34); however, dietitians perceived lower fruit juice preference of students (mean=3.92).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on fruit juice preference. Though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higher fruit juice preference, the frequency of fruit juice served in school lunch was quite low. Over half of the dietitians reported that they served fruit juice less than once a semes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e existence of distinctiv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fruit juice preference and school lunch menu offerings.

      • KCI등재후보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유머감각,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 비교 및 관계 분석

        강정란,유미현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6 과학영재교육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ense of humor, self-leadership and interpersonal skills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and to analyze its relationship. For this research, a survey about sense of humor, self-leadership and inter-personal skills was conducted, targeting 121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selected and educated in a gifted education institute affiliated with Gyeonggido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123 general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created more humors than general students; a positive attitude toward humors was constructed and the sense of humor was higher. Second, it was shown that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used action, reward and mind strategies more actively and have higher selfleadership compared to general students. Third, it was shown that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were outstanding in all formation of relationships, positive communications and problem solving and their interpersonal skills were higher than those of general students. Fourth, it is shown that among scientif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the higher sense of humor was, the higher self-leadership and inter-personal skills. To combine these results, it was learned that sense of humor played a positive role in increasing self-leadership and inter-personal skills. Hence, having elementary gifted and average students to grow sense of humor and abilities to use and create humors would positively help to actively utilize self-leadership strategy and to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영재의 유머감각, 셀프리더십, 대인관계능력에 대해서 일반학생들과 비교하고 또, 유머감각, 셀프리더십, 대인관계능력이 서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교육청 영재학급 초등 5, 6학년 영재학생 121명과 경기도 일반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123명을 대상으로 유머감각, 셀프리더십, 대인관계능력과 관련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과학영재가 일반학생보다 유머를 더 많이 생성하며 유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형성되어 유머감각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과학영재가 일반학생보다 행동전략, 보상전략, 사고전략을 더 적극적으로 사용하며 셀프리더십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과학영재는 일반학생보다 관계 맺기, 긍정적 의사소통, 문제해결에서 각각 뛰어났으며 대인관계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과학영재는 유머감각이 높을수록 셀프리더십과 대인관계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머감각의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에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초등과학영재 중 유머감각이 뛰어난 학생이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유머감각이 셀프리더십과 대인관계능력을 높이는 데에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등과학영재 및 일반학생에게 유머감각을 키우고 유머를 사용, 창조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셀프 리더십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긍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코딩교육이 초등학생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이규완,남현욱 한국실과교육학회 201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1 No.4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a coding education program and expected that the lesson program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nking 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ding education program on the computing thinking ability of the elementary school sixth graders. First, we constructed a coding education program that could be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sixth graders. Second, we tested the effects of coding education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7 students from 2 classes in K-6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city, Gyeonggi-do. Participants were assigned in either experimental or control class. A total of 17 lesson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by using the actual teaching time and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time, and the results were examined through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the computing competency of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on the computing competency of the control group. It can be seen that the general classroom teaching method did not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nking of computing.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in the control group. It can be seen that the coding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nking skills. Third, applying the coding education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gorithm and procedural thinking ability. Fourth, the results from the post-test of the two group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general class instruction and the coding education program application on the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nking ability.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mprovement of algorithm and procedural thinking ability.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ding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for impro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gorithm and procedural thinking ability rather than general class teac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application of the coding education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algorithm and procedural thinking ability among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uting thinking factor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thinking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sides the codi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improve the thinking ability such as abstraction and data analysis, and conducting further study on in-depth study should be conducted. 본 연구에서는 코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광주시 K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 57명이다. 6학년 6개 학급 중 2개 학급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1개 학급과 통제집단 1개 학급을 선정하였다. 통제집단에는 일반 교과 수업을 하였고, 실험집단에는 코딩교육 프로그램을 실과시간과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총 17차시 적용하였으며, 두 집단의 컴퓨팅 사고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검사지를 통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집단의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일반 교과 수업 방법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는 도움이 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실험집단의 컴퓨팅 사고력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코딩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코딩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초등학생의 알고리즘과 절차 사고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일반 교과 수업과 코딩교육 프로그램 적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두 집단의 사후검사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알고리즘과 절차 사고능력 향상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코딩교육 프로그램 적용 수업이 일반 교과 수업보다 초등학생의 알고리즘과 절차 사고 능력 향상에는 효과적임을 밝힐 수 있다. 이를 종합해 볼 때 코딩교육 프로그램은 컴퓨팅 사고력 중 자료 분석 능력과 추상화 사고 능력보다는 알고리즘과 절차 사고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KCI등재

        사물놀이 활동이 초등학생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성우 ( Seong Woo Park ),정은경 ( Eun Gyeong Ju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5 예술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사물놀이 활동이 초등학생의 인성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으며, 연구 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 U 초등학교의 학생 중 사물놀이 수업에 참여한 6학년 남학생 13 명, 여학생 9명의 총 22명과 동아리 활동으로 사물놀이에 지원한 4∼6학년 남학생 4명, 여학생 8명, 총 12명을 합하여 34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기간은 2014년 3월에 설문을 실시하고 사물놀이 활동 사전 연구를 토대로 4월부터 5월까지 사물놀이 활동을 시작하였다. 연구 도구는 총 4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진 설문 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인성검사 문항은 이종승(2000)이 개발한 5개의 인성검사 요인(성취성, 활동성, 안정성, 사회성, 지배성)에서 3개의 요인(성취성, 안정성, 사회성)을 실시하였다. 각 요인은 10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사물놀이와 관련해 15문항을 추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물놀이 활동은 초등학생들의 성취성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물놀이를 통해 기초 기능이 향상되고 강약 살리기, 빠르기 조절 등 표현력이 향상되어 학생들의 자신감, 자존감이 높아지고 연습에 성실한 태도로 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사물놀이 활동은 초등학생들의 안정성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사물놀이를 경험한 이후에 스트레스가 해소됨과 함께 충동 조절 및 감정 조절을 할 수 있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사물놀이 활동은 초등학생들의 사회성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활동 과정에서 호흡을 맞추고, 속도와 소리를 조절하기 위해 서로를 바라보면서 연주하며 일체감을 형성하였다. 넷째, 초등학생들의 성취성 . 안정성 . 사회성의 변화는 사물놀이 활동 과정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악기의 준비와 정리, 연습하는 동안 자발적인 모습을 보이며 서로의 악기를 챙겨주거나 연습을 도와주는 등 나눔과 배려를 실천하는 것을 확인할 수있었다. 다섯째, 사물놀이 활동은 초등학생들의 사물놀이에 대한 인식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선율이 없어 재미없다고 생각했던 사물놀이가 재미있어지고, 악기 연주에 대한 흥미도가 높아져 다른 악기도 연주해보고 싶고, 앞으로도 계속 사물놀이를 배우고 싶다고 응답했다. 이상과 같이 사물놀이 활동은 초등학생들의 인성발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물놀이 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사물놀이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사들에게 사물악기 지도를 위한 연수와 강습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학생들이 마음껏 연주할 수 있도록 방음 시설이 갖추어진 교실의 확보가 필요하며 악기의 구입 및 수리도 적극적으로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effects of samulnori activities o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sonality, and as for the research subjects, among the students of U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13 male students and 9 female students on the six grade who had participated in samulnori lessons, and 4 male and 8 female students on the 4th, 5th or 6th grade who had applied for samulnori as a club activity, 34 in total, were selected. Regarding the study period, a survey was conducted in March, 2014, and samulnori activities were done from April to May, based on the study in advance on samulnori activities. The research tool was the survey consisting of 4 areas in total, and the questions of the personality test used in this study adopted three factors(achievement, stability, sociality) from the five elements of a personality test(achievement, activity, stability, sociality, dominance) developed by Lee Jong-seung(2000). Each factor was made up of 10 questions, and 15 questions were added in relation to samulnori.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amulnori activities were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hange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hievement. It was verified that samulnori helped the subjects to improve their basic functions and expressions, such as bringing out strong and weak rhythms and controlling speed, and that, therefore, the students`` self-confidence and self-esteem were enhanced and they engaged in the practice sincerely. Second, the samulnori activitties were turned out to affect the change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ability in a positive way. The students answered that after they experienced samulnori, their stress got released, and they also could control their impulses and emotions. Third, it was found out that the samulnori activities exerted a positive impact on the change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ity. During the activity, they were attuned to one another, played while looking at one another to control speed and sound, and created the sense of unity. Fourth, the change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hievement, stability and sociality were clear during the process of the samulnori activities. The subjects showed spontaneity while preparing, arranging and practicing instruments, and were confirmed to practice sharing and consideration by taking care of others`` instruments or helping others to practice, etc. Fifth, the samulnori activities were prov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hange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ognition, too. They answered that they became interested in samulnori that they used to regard as boring because of lack of melody and in playing the instruments, so they wanted to play other instruments, too, and to continue to learn samulnori. As stated above, the samulnori activities were concluded to be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sonality. Based on these study results,teachers have to be given the opportunity of training and learning in order to teach students the instruments for samulnori so that they can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amulnori activities and teach students samulnori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Moreover, classrooms with soundproof facilities should be secured so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play as much as they like, and positive support needs be given for the purchase and repair of instruments.

      • KCI등재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공감능력과 성공지능의 비교 및 관계 분석

        백영선,손승현 韓國英才學會 2017 영재교육연구 Vol.2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difference of empathy ability and success intelligence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elementary general students and the effect of empathy ability on successful intelligence look different between groups. For this, a total of 183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89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94 elementary general students. The result is that both empathy ability and success intelligence were high in elementary gifted students. In general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s. However, when comparing the empathy abilities of elementary general female students and elementary gifted male students, elementary gifted male students were found to be higher. This means that gender as well as giftedness also plays an important variables in the level of empathy ability. Finally, among the sub-factors of successful intelligence, sub-factors of empathy ability affecting analytic intelligence were analyzed and it was found that cognitive empathy influenced analytic intelligence. However, these causal relationshi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for elementary general students. 본 연구는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공감능력과 성공지능의 차이와 성공지능에 대한 공감능력의 영향이 집단 간에 어떻게 다른 양상을 보이는 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영재학생 89명, 일반학생 94명 총 183명의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는 공감능력과 성공지능 모두영재학생이 높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일반여학생과영재남학생의 공감능력을 비교하면, 오히려 영재남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성별과 영재여부에서의 상호작용효과로 인한 결과로 설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성공지능의 하위요인 중 분석적 지능과 관련이 높은 공감능력의 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 인지적 공감과 분석적지능이 가장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초등영재학생보다 일반학생에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