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립학교에서 종교교육의 자유와 학생의 신앙의 자유

        박종보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법학논총 Vol.24 No.3

        Freedom of religion guaranteed by Art. 20 Para. 1 of Korean Constitution comprises three elements: freedom of faith, freedom of confession of faith, and free exercise of religion. The respective elements have both active and passive aspects. The passive freedom of religion guarantees the freedom to refuse religious education, the freedom not to confess one's faith and the freedom not to participate in religious activities that one does not want to. The active freedom to exercise religion covers the freedom of religious education. Meanwhile the principle of educational independency prescribed in Art. 31 Para. 4 also guarantees the establishment of religion-based private schools and the freedom of religious education. The freedom of the religion-based private schools to educate students in religion may collide with the freedom of the students to refuse religious education. If this type of collision of constitutional rights occurred between purely private parties, it could be solv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 of the relation between them(eg. admission contract to a school).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urban regions in Korea where the "equalization policy" applies, however, cannot voluntarily choose the school to attend, but the school district allocates students without distinction to public and private schools including religion-based schools. Therefore the collision of rights is caused by the government. The Constitutional Court, as well as the Supreme Court, applies either "the doctrine of hierarchy of constitutional rights" or "the docrine of practical harmony" to solve the problem of collision between constitutional rights. The former cannot be applied here, because those rights which collide are the same freedom of religion. The latter requires that a harmonious way be sought to allow both colliding rights to show maximum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opinions of both Courts, the point of contact which harmonizes the colliding rights is to be found in the factual context where those rights apply. From my perspective, the point varies with the fact whether the students have the right to choose schools. If the students have such right, the point of contact might be the voluntariness of entrance to the school. In this case, the admission contract comprehends the agreement to comply with the school regulations including religious education, while the general educational law applies. Therefore I believe that religion-based private schools in the "non-equalzed school distrcts" may educate the students in specific religion and require them to participate in compulsory rituals. In the "equalized school district", however, the students' passive religious freedom should be respected more and the private schools enjoy only qualified freedom of religious education. The private schools cannot educate the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raining religious persons or of missionary work in the narrow meaning. On the other hand the private schools may educate their students in religion as a course of education for a whole person. But the schools may not impose upon the students compulsory course of specific faith. If the schools are to open a religious subject, they should also open alternative elective courses. The students should never be obliged to participate in religious ceremonies. In the long term the school lottery system should be abolished. In the short term the school district should allow the students to exclude schools established on specific faith or to be transferred to other schools. The more right of choice the students have, the more right of religious education the schools have.

      • KCI우수등재

        자유학기제의 ‘자유’의 의미와 교육적 방향 탐색

        이정인,유재봉 한국교육학회 2016 敎育學硏究 Vol.54 No.4

        As the Free-Semester Program(FSP) has expanded to every middle school since 2016, It is needed to examine what ‘freedom’ in FSP exactly means and how we appreciate educational meanings of thi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meanings of freedom in FSP and educational directions it sugges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FSP and 『A Comprehensive Manual for Operating Free-Semester Program』, freedom in FSP has two aspects: (1) the freedom in curriculum and (2) the freedom as educational directions. The freedom as educational directions has a negative freedom which means releasing students from the burden of examinations and a positive ones which are to pursue students' happiness, to foster each individual’s dreams and talents, and to cultivate future-oriented competencies.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logical grounds in FSP and validity of positive freedoms focusing on the freedom as educational directions. In light of education for the good life as an educational aim J. White argues, three positive freedoms should be reinforced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as for ‘to pursue students happiness’, pleasures in schools represented as happiness in FSP should be educational ones which occur by engaging and immersing in worthwhile activities. Second, as for ‘to foster each individual’s dreams and talents,’ all preference of students is not always accepted unconditionally but should be an ‘well-informed’ desire which can be justified by rational grounds. Finally, to cultivate future-oriented competencies should focus on the future as well as the present students live in, and social values as well as inner values of education. 자유학기제가 2016년부터 전면 확대되지만, 자유의 의미가 정확히 무엇이고 그것이 어떤 교육적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탐구와 성찰은 부족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자유학기제의 자유의 의미와 방향을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자유학기제의 개념과『자유학기제 운영 종합매뉴얼』의 자유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자유학기제의 자유는 크게 ‘교육과정상의 자유’와 ‘교육방향으로의 자유’로 나눌 수 있다. ‘교육방향으로서의 자유’는 ‘지필고사 면제’라는 소극적 자유와 ‘행복한 학교생활’, ‘학생들의 꿈과 끼 찾기’, ‘미래사회를 위한 역량 배양’이라는 적극적 자유로 나뉜다. 이 논문은 ‘교육방향으로서의 자유’에 초점을 맞추어 자유학기제의 자유의 이론적 근거를 분석하고, 자유학기제가 제시하는 교육적 방향이 타당한지 검토한다. 좋은 삶이라는 기준에 비추어 볼 때, ‘행복한 학교생활’은 학교 안에서 일어나는 행복으로 대표되는 즐거움이 교육 활동에의 참여와 몰두로부터 일어나는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즐거움이어야 한다는 점, ‘학생들의 꿈과 끼 찾기’는 학생 개개인의 선호가 무조건 다 수용되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타당한 근거를 동반한 식견 있는 욕구여야 한다는 점, ‘미래사회를 위한 역량 배양’은 그 초점이 미래에 국한되지 않고 현재를 아우르는 좋은 삶을 고려해야 하고, 사회적 가치뿐만 아니라 학생 내면의 성숙한 가치를 배양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보완이 요청된다.

      • KCI등재후보

        국정 교과서 제도의 합리성에 대한 비판적 논의 : 교사의 교육의 자유에 대한 법적 해석을 중심으로 Focused on the Legal Interpretation of Educational Freedom for School Teachers

        박창언 한국교육과정학회 2003 교육과정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교사의 교육의 자유에 대한 법적 해석을 중심으로 국정 교과서 제도를 비판적으로 논의함으로써 교육 내용에 대한 국가 중심적 관점의 타당성이 결여됨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교육의 본질과 교사의 교육의 자유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교육의 본질이 인간적인 성장 · 발달에 대한 믿음에 있다면, 교육은 이를 위한 교육 주체의 간섭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들 주체 가운데 교사가 가지는 교육의 자유에 논의의 초점을 두었다. 다음으로 국정 교과서 제도에 대해 헌법과 법률 및 그 하위법의 법적 근거와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헌법의 지도 원리와 하위법의 규정이 정합성을 획득하지 못하는 면이 발견되었고, 그 이유는 국가의 권한에 보다 많은 비중이 주어져 있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교육의 자유라는 관점에서 국정 교과서 제도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 논의는 교과서 저작, 채택, 사용이라는 주제로 행하였다. 논의 결과 교육 관련 주체의 역할 분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교사의 교육의 자유에 대한 제한은 물론이고, 나아가 학습권에 대한 침해를 가져올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terpret the government-published textbook system on the basis of the educational freedom of school teachers. This study also outlines reasons for the need to overcome the power of the government in regard to the school textbook system. First, it discusses the nature of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freedom of school teachers. The nature of education fosters the growth and development for children, which conforms to the fundamental law of education and the precedent. The educational freedom of school teachers includes the rights to decide on the curriculum permit teachers to protect the rights of children in learning and educational freedom. Second, it examines the legal ground related to the government-published textbook system. Textbook is an educational material that operates the curriculum. Also the textbook system is connected with the self-regulation for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Next, legal provision that directly stipulates the use of government textbook system is Constitution article 31 paragraph 6, fundamental law article 29, and rule on the educational curricular materials. According to these legal provisions, the educational freedom of school teachers is restricted by the government power. Third, the government-published textbook system, which has already been concluded illogical, discusses on the basis of authorship, choice, and employment of the educational curricular materials. It discusses the authorship with academic freedom, choice with the organization for the curriculum, and employment with the leading case on the government-published textbook. As a result, teachers must make their own textbooks for children to protect their rights to learn.

      • KCI등재

        사학의 자유 에 대한 재해석 연구

        황준성(Jun Seong Hwang) 大韓敎育法學會 2007 敎育 法學 硏究 Vol.19 No.2

        본 연구는 사학의 자유를 학교법인의 사학설립·운영의 자유라는 협의의 개념에서 벗어나 모든 국민의 사학교육에 관한 기본권으로 재개념·재구조화한 후 그에 따른 법리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사학의 자유의 연혁과 헌법적 근거 등을 분석하면서 사학의 자유에 대한 재개념화를 시도하였으며, 이어서 사학의 자유의 구체적 내용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새롭게 재개념화한 국민의 기본권으로서 사학의 자유의 법적 성격, 효력, 한계 및 제한 등의 법리를 분석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scaping from the existed narrow meaning on freedom of private school education, limited to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private school by school corporation, this study redefined and reorganized the meaning of freedom of private school education` as all citizens` freedom or fundamental human rights on private school education and then examined related law theory. This study is composed of three parts. Following issues were discussed in each chapter. In the second chapter, freedom of private school education was newly defined in the connection with educational fundamental human rights and its character as fundamental human rights in the Constitution was clarified by investigating the history of freedom of private school education and the value of private school education in democratic society. In the third chapter, based on the newly defined meaning on freedom of private school education, the subject of the freedom was analyzed. The constituents of freedom of private school was also clarified. They were as follows. (1)freedom of private school education(freedom to select private school, claim to aid citizen for private school education at public expense, the right to participate in private school education), (2)freedom to establish private school (freedom of establishment itself, protection from unreasonable school abolishment and security of due process) and (3)freedom to manage private school (freedom to create school foundation spirit, freedom to make independent school affairs, freedom to manage its educational employees, freedom to select students, freedom of finance and the claim to aid private school at public expense). In the fourth chapter, freedom of private school education-related law theory such as its legal character and validity, general limit, infringement type, aid measures and so on was discussed in the aspect of re-defined freedom of private school education as citizen`s fundamental right. Like other fundamental rights, freedom of private school education has dual aspects, both of subjective civil rights and objective value order with internal limitation including respect to others` fundamental rights, social ethics and public welfare. Especially, freedom of private school education has absolute limitation in ensuring educational fundamental human rights. As the type of infringement on freedom of private school education, there would be two kinds; infringement by state power and infringement by a third party. And the ways to stamp out these infringements are ultimately relied on constitutional justice though it can be changed by subject or nature. This thesis leads the following conclusions. Freedom of private school education is an axis of educational rights. It means not only freedom for school cooperation to establish and manage private school in the narrow sense but whole fundamental rights of all citizens including students and parents in a broader sense. With settling extended meaning of freedom of private school continuously, private school issue can find the resolution in the basic principle of guaranteeing and accomplishing educational fundamental rights.

      • KCI등재

        통일교육의 정치철학적 함의에 관한 연구 - 자유의 가치를 중심으로 -

        김경희,정경환 한국통일전략학회 2015 통일전략 Vol.15 No.1

        This thesis is on the political philosophical study on the unification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subject among the study subject of political philosophy is a value of freedom. Unification education cleaning of freedom can not be established and existed. That is to say, freedom and unification education is an inseparable relationship. In this respect, to analyse the meaning and its character of freedom value in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starting point in the study on the unification problem and North Korea’s problem. If I might analyse a political philosophical undertone with view of freedom, freedom is basic element of unification education. Therefore, unification education is always based on the feedom. Next, unification education is tired by freedom in the setting of unification education’s destination. The destin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is the founding of unification nation by the universal value, freedom. For this goal of unification education, the value of freedom is a core value. Finally, the value of freedom plays a central role on the setting of unification education’s ideology. 본 연구는 통일교육의 정치철학적 함의를 분석하고 있다. 정치철학의 주제에는 다양한 것이 있으나 가장 중요한 주제 중의 하나는 바로 ‘자유’라고 하는 가치이다. 자유를 빼고 통일교육은 성립하기 힘들고 존립하기도 어렵다. 즉, 자유가 전제되지 않은 통일교육은 무의미하다는 점에서 자유와 통일교육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골자이다. 그렇기 때문에 통일교육에 있어서 자유의 가치가 지니는 의미와 그 성격을 면밀히 분석하고 고찰하는 것은 북한 및 통일문제 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이고 본원적인 연구의 출발점을 이룬다고 하겠다. 통일교육의 정치철학적 함의를 자유의 가치를 중심으로 해서 분석해보면 우선 자유는 통일교육의 기초이자 전제라고 할 수 있다. 자유가 기초되지 않는 통일교육은 존립하기 어렵다. 통일교육은 오직 자유가 기초되고 전제되어야만 성립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일교육은 교육의 목적지를 정함에 있어서 자유의 가치에 의해 결정적으로 구속받는다는 사실을 지적할 수 있다. 통일교육의 목적지는 국가의 내적 기반조성을 통해 인류의 보편적 가치가 담보된 통일국가의 수립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통일교육의 목적을 위해 자유의 가치는 핵심적 가치임에 틀림이 없다. 마지막으로 통일교육의 이념을 설정함에 있어서 자유의 가치는 핵심적인 역할과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고전적 자유주의 관점에서 본 신자유주의 교육관의 이념적 한계

        강창동 한국교육사회학회 2011 교육사회학연구 Vol.21 No.1

        Universally neoliberal education is expanded rapidly since 1990s'. Neoliberal education is intended to increase an educational excellence-oriented productivity by integrating the market competition into the public education. Neoliberal education centered on the choice, freedom, accountability, give us the ideological illusion as if it opens the new field of public education. Neoliberal education is facing a harsh criticism by reason of transforming human into the commercialization of market competition. Classical liberalism recognize that the dignity of man, the natural rights of man, is realized by freedom and equality, and ownership and the market is recognized as social protective device supporting freedom and equality. In neo-liberalism, the fair competition of ownership and market is understood as ideological system protecting freedom. In the concrete, Classical liberalism seeks for the dignity of man, neo-liberalism for the market competition. So, classical liberalism education and neoliberal education have different view of education. Classical liberalism education seeks for 'human based process value', neo liberal education for 'competition based outcome value'. Neoliberal education has the distorted system that rejects classical liberalism, the theoretical root of itself. Neoliberal education makes to the contradiction logic of the market competition that freedom represses other freedom and autonomy autocracy that autonomy controls other autonomy. In neoliberal education, exists only market, the mutant of classical liberalism, not human. Neoliberal education is only distorted ideological child of classical liberalism. Neoliberal education contains the paradoxical value that it is not education for human and freedom, only for market and competition. 1990년대 전후로 신자유주의 교육은 세계적으로 급속히 확대되었다. 신자유주의 교육은 기업의 시장경쟁 원리를 공교육에 접목시켜, 수월성 위주의 교육적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선택, 자유, 책무성 중심의 신자유주의 교육은 공교육의 신천지를 여는 것처럼 이념적 착각을 준다. 신자유주의 교육은 인간을 시장경쟁의 상품화로 전락시킨다는 이유로, 거센 비판에 직면한다. 자연히 세계적으로 신자유주의 교육에 대한 비판적 연구가 활성화되면서 급속히 확대된다. 이런 비판적 연구에서도 신자유주의의 이념적 뿌리인 고전적 자유주의와 연계한 분석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그 이유는 고전적 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는 사상적 측면에서 큰 차이가 없다는, 보이지 않는 선입견의 작용 때문일 것이다. 고전적 자유주의는 천부권인 인간존엄성을 자유와 평등에 의해 실현되며, 소유권과 시장을 자유와 평등을 유지하는 사회적 보호장치로 인식한다. 신자유주의는 소유권과 시장의 공정한 경쟁이 인간존엄성과 자유를 수호하는 이념체로 파악한다. 외형적으로 두 사상체계는 큰 차이가 없어 보인다. 실제적으로 고전적 자유주의는 인간과 자유를, 신자유주의는 소유권과 시장을 최고의 가치로 삼는다. 고전적 자유주의는 인간존엄성을, 신자유주의는 시장경쟁을 추구한다. 그러므로 고전적 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는 상이한 교육적 시각을 가진다. 고전적 자유주의 교육은 ‘인간 위주의 과정적 가치’를, 신자유주의 교육은 ‘경쟁 위주의 결과적 가치’를 추구한다. 신자유주의 교육은 자신의 이론적 뿌리인 고전적 자유주의를 거부하는 왜곡된 논리 체계를 갖게 된다. 구체적으로 교육시장의 자유경쟁은 수월성 위주의 비인간화 교육을 정당화시켜서, 교육주체인 교사와 학생의 인간존엄성과 자유를 억압한다. 신자유주의 교육은 자유가 자유를 억압하는 시장경쟁의 ‘모순 논리’와 자율이 자율을 통제하는 ‘자율 독재’를 성립하게 한다. 신자유주의 교육은 인간은 없고, 시장만 존재하는 고전적 자유주의의 변종에 불과하다. 신자유주의 교육은 고전적 자유주의의 왜곡된 이념적 자식이다. 신자유주의 교육은 ‘인간과 자유를 위한 교육’이 아니라, ‘시장과 경쟁을 위한 교육’이라는 역설적 가치를 내포한다.

      • KCI등재

        Religious Freedom in Colonial Korea: The Conflicting Interpretations of Protestant Missionaries and Japanese Colonialists

        이병성 한국기독교학회 2019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3 No.-

        Japanese colonialists viewed religious freedom as a modern and “civilized” value, and promised to guarantee religious freedom to Protestant missionaries. However, missionaries’ interpretations of religious freedom we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colonialists. The civilization-oriented understanding of Protestant missions provided a broad view of religious freedom. Missionaries saw the public role of religious practices, educational freedom, and the institutional autonomy of religious institutions as constituting elements of their religious freedom. However, Japanese colonizers saw such a liberal understanding of religious freedom as a political threat. Colonialists sought to monopolize the political and educational domains, and so the colonial power put a fundamental limit on the political dimension of religious freedom by privatizing and depoliticizing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excluding religious influences from public education, and encroaching upon the institutional autonomy of Protestant institutions. This colonial policy on religious freedom necessarily brought colonialists into conflict with Protestant missionaries. Nevertheless, most Protestant missionaries were not antagonistic toward Japanese, at least until the rise of Shinto controversy in the mid-1930s. They supported colonial political order, offering theological legitimation to the regime. Missionaries saw political stability and public security as a necessary condition for religious freedom.

      • 교육에서 자유의 의미 -자유교육과 아동중심교육을 중심으로-

        반채익 ( Chae Ik Ban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교육문제연구소) 2006 慶熙大學校 敎育問題硏究所 論文集 Vol.22 No.1

        본 연구는 교육에서 자유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를 밝히기 위해 자유교육과 아동중심교육에서의 자유의 관점을 검토하였다. 자유교육에서의 자유는 교육의 결과 가지게 되는 마음의 상태에 비추어 의미가 규정된다. 자유교육에서의 자유는, 교육의 결과 자유로운 마음의 발달이나 이성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게 될 때, 그러한 마음이 나타내는 특질이라는 점에서 적극적 자유를 강조하는 것이다. 반면에, 아동중심교육에서의 자유는 교육의 과정에서 `아동을 어떻게 취급해야 하는가`에 대한 관점을 제시하며 아동의 흥미와 자발성을 방해하는 외적 요소를 제거해야 한다고 본다는 점에서 소극적 자유를 강조하는 것이다. 교육에서 소극적 자유와 적극적 자유는 다같이 중요한 것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소극적 자유인 구속이나 강제로부터의 자유는 이성적 능력과 같은 적극적 자유를 위한 조건으로 그 중요성을 갖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an educational bearing of freedom in the liberal education and child-centered education. Liberal education aims at seeking knowledge itself while child-centered education attaches importance to child`s spontaneity and his independent participation as the process of education. First, in terms of the liberal education, freedom is the one in the sense that education makes human mind to free, which leads the man to speculate the world. `Liberal man` as its purpose of education is its ideal. This is the meaning of freedom which the liberal education implies. On the other hand, freedom in terms of child-centered education is the one in the sense of respecting child`s interest and need. This regards education as a liberal activity through his spontaneous participation, taking his interest and need into consideration. In this reason, its content is mainly found in the actual life which can stimulate his interest and need. Also, its process of learning is focused on his own activity and his own life. Shown above, when we divide the meaning of freedom into positive and negative, liberal education falls within a positive meaning of freedom, while child-centered education falls within a negative meaning of freedom in that Rousseau emphasizes child-centered education by nature. In addition, Dewey`s thought includes the two, positive and negative, in that he emphasizes not only simply child`s interest but child`s capacity of self-control and reflective thinking in course of education.

      • KCI등재

        교육을 받을 권리의 중층적 성격과 심사기준에 관한 연구

        강태수,길성용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경희법학 Vol.54 No.4

        The right to education originated from the freedom of education to rule out intervention and interference of the State. Later, social fundamental rights were added to impose the obligation of the State to guarantee the right to be equally educated, in order to ensure practical freedom of education. The right to education as an equal right emerged to address the problem of inequality in education. The subject of learning rights is not limited to children or students, but also to citizens who are adults. The right to education is a social fundamental right that demands active benefits from the State. The right to education is at the same time a special right of equality. However, there is controversy over whether the right to education includes a liberal right character. In contemporary times, theories that traditionally classify basic rights according to the nature and set the criteria for examination cannot be maintained. This needs to be determined individually. The right to education as a social fundamental right may require the State to improve its educational conditions. It can also actively ask for equal guarantees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The right to education as an equal right means equality in school and further study. This means that arbitrary discrimination against school admission should be prohibited. Freedom of education first means freedom from the regulation of the State in private education. It also means freedom from public education. This includes the freedom to set up and manage private schools. Freedom to establish private schools means that the State does not monopolize the area of education. Restricting freedom in the school education system is not a limitation of inherent freedom, so strict screening criteria cannot be applied. Rather, it must be a review of the legitimacy of the legislator. 교육에 대한 권리는 부모의 자녀교육권을 전제로 국가의 교육영역에 대한 개입과 간섭을 배제하는 교육의 자유에서 출발하였다. 19세기에 접어들면서 국가는 개인이 자유로이 학교를 설치・운영하고 자유롭게 교육을 받으며, 자녀의 교육내용을 결정할 권리가 부모에게 있다는 교육의 자유를 개별 법률과 헌법에 규정하기 시작했다. 교육의 자유가 보장되고 있어도, 이는 법적・형식적 자유의 보장에 그치고 교육을 받을 경제적 능력이 부족한 사회적 약자에게는 교육기회가 제공되지 못하므로, 교육의 기회는 사실상 경제력을 가진 특권계급에만 허용되었다. 교육의 자유의 실질적 보장을 위하여 국가로 하여금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할 의무를 부과하는 사회적 기본권 내지 교육평등권으로서의 교육을 받을 권리는 교육의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그 후에 등장한 기본권인 것이다. 학습권의 주체는 제31조에서 모든 국민이라고 규정하고 있는 바와 같이, 아동이나 학생에 국한되지 않고 성인인 국민도 포함된다. 교육을 받을 권리는 기본권 체계나 문구상 국가의 적극적인 급부를 요구하는 사회적 기본권이라는 점에서는 의견의 일치를 보이고 있다. 교육을 받을 권리는 동시에 능력에 따라서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라는 문구에서 드러나 있듯이 헌법 제11조의 일반적 평등권에 대하여 교육영역에서 특별히 평등할 것을 요구하는 특별 평등권의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교육을 받을 권리에 자유권적 성격이 포함되는지의 여부에 관하여는 헌법재판소의 판례와 학설상 논란이 있다. 현대국가에서 기본권은 사회경제적 변화에 따라서 새로운 기본권의 내용이 더해지고 다양하게 분화되어서, 전통적으로 기본권의 본질이나 성격에 따라서 기본권을 유형화하고 그 심사기준을 정하는 이론은 유지되기 어렵다. 오히려 개별 기본권에서 나오는 구체적인 보호이익과 국가의 제한조치 및 당사자의 주장 등을 고려하여, 사안에 따라서 국가의 작위 또는 부작위를 요구하는 것인지와 그에 적합한 심사기준을 확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적 기본권으로서 교육을 받을 권리는 국가에 의한 교육조건의 개선・정비와 교육기회의 균등한 보장을 적극적으로 요청할 수 있는 권리이다. 평등권으로서 교육을 받을 권리는 ‘취학・진학의 기회균등’, 즉 각자의 능력에 상응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학교 입학에 있어서 자의적 차별이 금지되어야 한다는 차별금지원칙을 의미한다. 교육을 받을 권리는 근대 국가에서 사실상 특정 계급에게만 교육기회를 부여하였던 봉건체제에 대항하여 헌법에 도입된 기본권으로 본래 평등권적 성격을 내포한 권리였다. 교육영역에서 자유는 일차적으로 사교육 영역에서 모든 국가의 규제로부터의 자유와 국가에 의한 공교육을 받지 않을 자유를 의미한다. 여기에는 사립학교 설립 및 운영의 자유도 포함된다. 사립학교 설립의 자유가 기본권에 의하여 보장된다는 것은 국가의 학교독점권에 대한 부정을 의미한다. 국가가 교육을 받을 권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학교교육 제도에서 교육과정 등을 제한하는 것은 국가의 강제나 금지에 대한 금지명령인 본래적 의미의 자유권 제한이 아니므로 과잉금지원칙을 적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이는 교육영역에서의 형식적인 자유와 평등을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하여 국가가 제공한 공교육 제도 안...

      • KCI등재

        코로나19 시대에 자유 관련 논쟁과 고전 읽기를 바탕으로 한 교양교육의 의미와 가능성

        이진숙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1 사고와표현 Vol.14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meanings and possibility of general education based on freedom-related controversy and reading classics in the COVID-19 era. The COVID-19 became a chance to express conflicts between individuals’ freedom as a basic right of democratic citizens who naturally enjoyed it, and national quarantine system that prioritized public interest. Moreover, the Corona pandemic situation is asking for answers to questions like ‘What the freedom and public interest are?’ and ‘how much freedom of individuals could be restricted by a state?’. Thus, handling the issue of freedom in general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era, could provide an educational place for expressing one’s own opinions about the urgent issue of the time, promoting the solution of problems by approaching such socially-unsolved problems in the creative perspective, and developing the creative/logical thinking skills. As a method to approach and understand the freedom-related problems in general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era, this study suggested Agamben’s argument of thinking and reading classics. Handling the controversy related to the COVID-19 is a method to clearly show the problems between governmental power for public interest and individuals’ freedom connected to the national quarantine system. Also, the classics like Hobbes’ Leviathan, Locke’s The Second Treatise of Government, and Mill’s On Liberty could help the readers to maintain the correct position and also provide the proper theoretical foundation for solution when critically thinking the freedom-related problems under the COVID-19 situation, and seeking for the solution measures. By handling the dilemmatic problems related to freedom in pro-con debate or PBL activity class based on those two approaches, it would be possi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seriously think about freedom and also to make their thinking about freedom more elaborate through classics.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대에 자유 관련 논쟁과 고전 읽기를 바탕으로 한 교양교육의 의미와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코로나19는 지금까지 당연히누려왔던 민주주의 시민의 기본권으로서 개인의 자유와 공익을 우선시한 국가의방역체계 사이에 갈등을 표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아울러 코로나 팬데믹 상황은‘자유’와 ‘공리’가 무엇인지, ‘국가가 개인의 자유를 얼마만큼 제한하는 것이 적절한지’ 등에 대한 답을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교양교육에서 코로나19 시대에 자유 문제를 다루는 일은 당면한 시대적 문제에 자기 입장을 표명하고 사회적으로해결되지 않은 문제에 독창적인 시각으로 접근하여 문제 해결을 도모하고 창의적ㆍ논리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적 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양교육에서 코로나19 시대 자유 관련 문제에 접근하고 이해하는 방법으로 아감벤의사유를 둘러싼 논쟁과 고전 읽기를 제언하였다. 코로나19와 관련한 논쟁을 다루는 것은 국가의 방역체제와 결부된 개인의 자유와 공리를 위한 공권력 사이에 존재하는 문제를 선명하게 드러내기 위한 방법이다. 또한 홉스의 리바이어던, 로크의 통치론과 밀의 자유론과 같은 고전은 코로나19 상황에서 불거져 나온자유와 관련한 문제를 비판적으로 사유하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할 때, 올바른 입장을 견지할 수 있고, 나아가 해결을 위한 적절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접근법을 통해 자유와 관련한 딜레마적인 문제를 찬반토론이나 PBL 활동 수업으로 구상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유에 대해 성찰하고 고전을 통해 자유에 대한 사유를 좀 더 정교화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