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생태비평에 대한 수사학적 분석

        김경미(KYOUNG-MI KIM) 한국수사학회 2005 수사학 Vol.0 No.3

        This paper is an attempt to approach rhetorical analysis on the eco-criticism. In recent years the study of rhetoric is very active. Rhetoric concerns about various fields, that is language, advertisement, economics, pop culture and writings etc. Also in recent years the study of rhetoric emphasizes the rhetoric of discovery. Therefore, Rhetoric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critic method. This paper suggests that to analysis on the eco-criticism based on Rhetoric be an important practice to discover some rhetorical skills on the study of eco-criticism. In this paper, I've tried apply the methodology of western rhetoric to making an analysis of the eco-criticism article, "For the Green Literature", written by Nam-Ho Lee. This article is an example for rhetorical approach. He insists that literature should be green. I analyzed rhetorically whether his argument is a right opinion or not and what he intended in the article. On the base of rhetorical concepts, I did meta analysis on the article. Especially, I've tried to apply "kairos" and "stasis", a put of Invention, of Rhetoric concepts to this study. This paper argued how to use rhetorical factors in order to persuade the reader. Although sometimes his opinion was wanting in consistency, he(Nam-ho Lee) properly used those rhetoric concepts to persuade the reader in his work. As a result, Rhetoric is very useful way to analyze a literary criticism without being prejudiced against a person who has a difference between schools, regions, and ideologies. I think that Rhetoric can give us new critic method of a literary criticism including the eco-criticism. However, we mist not forget to make rhetorical concepts an appropriate measure to analyze a literary criticism. This study is not a completion but an attempt of analyzing based on rhetoric. I hope to put the last hand to my work in the future.

      • KCI등재

        『문학과 환경』10년간 한국 생태시 연구의 성과와 과제 : '우주의 언어' 읽기와 '인간의 언어' 빚기

        임도한 문학과 환경학회 2012 문학과 환경 Vol.11 No.1

        This study evaluate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Korean ecological poetics published in Literature and Environment, in celebration of its 10th anniversary. The subjec to fanalysisis an assortment of 42 papers. The papers can be arranged into four categories. 1. Those that illuminate ecological significance of pieces according to their foremost characteristic values; (e.g., critiques of anthropocentrism an dindictments of modernization, reflections on the 'web' of interdependent entities that form the world, praises for the vitality of nature, essays on eco-centric implications of Buddhist philosophy, observations of poets' underlying eco-poetic traits as Taoist, explorations of fundamental purpose of ecological ethics, etc.) 2. Those that newly bring into light the eco-poetic aspects of renowned poets; 3. Those that review the current level of eco-poetic production and research; 4. Miscellaneous studies of children's poetry, comparative-literary researches, among others. The achievements of these papers can be organized as follows: 1. Confirmation of eco-literary consciousness in poems and clarification of their significance in eco-literature; 2. Re-discovery of major figures in Korean poetry as eco-poets; 3. Introduction of unknown eco-poets; 4. Emphasis on prospect efforts in aesthetic aspects of eco-poetry in order to resolve a certain contrived rigidity observed in some works; 5. Exploration for ecological implications in otherwise ordinary works. This study proposes a list of areas for future efforts in eco-poetics in order to further the aforementioned achievements and overcome confronting limitations: 1. Continuing efforts to read and interpret diverse works from an ecological point of view; 2. Further developing eco-poetics so as to establish a higher aesthetic standard; 3. Standardizing the critical terminology of eco-poetics in order to encourage more systematic studies; 4. Promoting interdisciplinary studies; 5. Concentrating efforts on the education of ecological literature to promote ecological consciousness and expand scholarship.

      • KCI등재

        エコクリティシズムと東アジア文化・文学の自然観 - 日韓比較論とその先を見据えて -

        소메야토모유키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1 일본학연구 Vol.34 No.-

        This report suggests two rough frameworks about eco-criticism, culture and literature; “How can we approach a worldwide environmental problem through cultural and literary side?” In addition to natural sciences and life sciences, the humanities, culture, and literature are also connected to environmental problems. Various results of researches based on this view are reported nowadays. In this report, I will mention horticulture in Japan and Korea. Then, I will pick up some haiku and sijo( Korean poetic form) representing short poem literatures of both two countries and argue about this theme. The other one is “Environmental problem is international and transnational problem.” However, theories of culture and literature are still argued nationally. To consider environmental problems through cultural and literally side, having an international and transnational view is essential. In this report, I will think about the meaning of culture and literature through international and transnational view by widening problems from Japan and Korea to East Asia. 본고에서는 생태비평(Eco-criticism) 문화‧문학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청사진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지구의 문제인 환경문제에 대해 문화와 문학의 측면에서 어떤 기여나 접근이 가능한가 하는 것이다. 이 문제를 생각할 때 중요한 것은 환경문제가 자연과학‧생명과학의 문제인 동시에 인문과학적인, 문화‧문학적인 문제라는 것을 명확히 하는 것에 있다. 오늘날 이와 같은 관점에서 다양한 연구성과가 보고 되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한일 양국의 원예문화의 모습을 단초로 하여 한일 단시문학을 대표하는 홋쿠(発句,하이쿠(俳句)) 와 시조를 중심으로 이상에서 언급한 문제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두 번째로는 환경문제가 국경을 초월한 국제적인, 트랜스 내셔널(Transnational) 한 문제라는 점이다. 그러나 종래 일본에서 국제적이라고 불린 문화론‧문학론은 일본문화‧문학론, 또는 중일‧한일 비교론이라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여전히 국가라는 틀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환경과 문화‧문학을 교차시켜 생각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문화‧문학쪽에서도 국제적인, 트랜스 내셔널한 사고가 요구된다. 본고에서는 앞서 언급한 한일 비교를 통하여 제시된 문제를, 동아시아까지 그 범위를 확대시킴으로서 국가와 민족을 초월하여 문화‧문학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의 의미에 대해서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비평과 생태학적 비평-현단계 생태비평의 좌표

        신철하 상허학회 2007 상허학보 Vol.21 No.-

        새로운 시대적 감수성에 대한 호응과 근대 이데올로기가 파장한 유무형의 모순을 생태적 사유는 성찰적 명제로 내재화한다. 현 단계 생태비평의 최고 위계를 김지하, 장회익, 김종철, 문순홍의 담론들은 개성적으로 보여준다. 문순홍의 생태비평이 지향하는 키워드는 생물지역론과 생태여성론이며, 그 궁극은 녹색사회이다. 장회익의 온생명론은 나쁜 의미에서의 과학주의가 안고 있는 지적 폐쇄성과 사회적 그것에 대한 통렬한 성찰이자 새 과학문화를 향한 외침이다. 김지하의 ‘율려’와 김종철의 교양주의는 직관과 삶의 체득으로 파악한 우리사회의 대안문화운동으로 명명된다. 그런 면에서 양자의 생태담론은 더 나은 삶과 세계를 향한 새로운 휴머니즘의 옹호이기도 하다. Ecological deliberation has its own inherent introspective hypothesis on the tangible and intangible inconsistencies derive from the responses to new era sensitivity and contemporary ideology. The discourses of Kim Ji-ha, Jang Hoi-ik, Kin Jong-chul and Moon Soon-hong illustrate the hierarchy of ecological criticism of the present stage along with their personal touches. The keywords of eco-criticism by Moon Soon-hong are eco-regionalism and eco-feminism, and it ulti- mately aims at the ‘green society’. The theory of global life by Jang Hoi-ik is the intellectual closure which scientific possesses, bitter intro- spection on that of society and cry for the new scientific culture. ‘Yul- Yeo’ by Kim Ji-ha and intellectual inclination by Kim Jong-chul are designated as the alternative cultural movements of our society. In that sense, the ecological discourses of these two writers could be considered as their support to the new humanism to reach the better life and world.

      • KCI등재

        생태인문학의 이론적 배경: 바이오 휴머니티

        권택영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2 No.-

        It is not an entirely new topic for us to consider the human relationship with his environment and Nature. We have a cultural heritage of myth, folklore, romantic poetry, and paintings of landscape. However, the recent movement for ecology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e former concerns, particularly reflecting urgent need for preventing the contamination of the Earth. On the one hand, the renewal of the aesthetics attempts to subvert the anthropocentrism in terms of the reservation of animal and things: the Medieval aesthetics of Tomas Aquinas returns as an alternative of the modern aesthetics and Phenomenology returns in the wake of the Postmodernism. On the other hand, the fields of biology, psychology, and neuroscience, which has been incompatible with the humanities since the Plato, are coming up with humanities.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explores the tendency of the consilience: the eco-criticism and aesthetics in the harmony with the natural sciences. One thing conspicuous in these movements is, among others, the revival of the phenomenology initiated by physics of Heisenberg, biology of Darwin, and psychology of William James. After the brief summary of eco-criticism in the literary realm, I will survey James's fluid consciousness, Uexkull's environments, and Edelman's neural Darwinism. Those investigations are followed by ontology of Heidegger and Merleau-Ponty.

      • KCI등재

        종말론과 크리스천의 환경 책무 : 베드로후서 3:10-13을 중심으로

        송영목(Young Mog Song)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1 갱신과 부흥 Vol.27 No.-

        환경 상태가 급격하게 악화일로에 처해 있다. 이렇게 악화되는 현상은 성령론적 생태신학, 종말론적 생태신학, 생태여성신학, 그리고 생태정의와 같은 생태신학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촉진시켜 왔다. 그런데 연구자의 종말론은 본인의 연구의 방법과 결론 모두에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이 사실을 염두에 둔 채, 본 연구자는 종말론과 그리스도인의 환경 책무의 관련성을 베드로후서 3:10-13을 주해함으로써 탐구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 단계를 따라 진행된다. (1) 여섯 개의 이문들을 분석함으로써 베드로후서 3:10의 본문비평을 시도한다. (2) 베드로후서 3장의 담론분석을 시도한다. (3) 지구 소멸과 지구 재창조 사이의 관계성을 밝히기 위하여 베드로후서 3:10-13을 자세히 주해한다. 그리고 (4) 베드로후서의 기록 목적과 세상 갱신설의 빛 하에서, 예수님의 재림을 기다리는 크리스천의 환경 책무가 무엇인지 탐구한다. 크리스천은 세상 갱신을 추진 중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동역자가 되기 위하여 하나님의 신성한 성품에 마땅히 참여해야 한다. 본 연구는 베드로후서의 종말론과 크리스천의 환경 책무를 연결하여 종합함으로써, 지역 교회는 물론 개별 크리스천이 환경에 대해서 어떤 자세를 취해야 하며 어떻게 실천해야 할 것인지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The environmental condition has rapidly been worsening. This phenomenon has resulted in diverse researches on eco-theology including pneumatological eco-theology, eschatological eco-theology, eco-feminism, and eco-justice. The eschatology of the investigator affects the way and result of the research. Keeping this in mind the present researcher delve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eschatology and Christians’ eco-responsibility by interpreting 2 Peter 3:10-13. To this end, the following four steps are utilized: (1) textual criticism of 2 Peter 3:10 by analyzing six textual variants; (2) discourse analysis of 2 Peter 3, (3) exegesis of 2 Peter 3:10-13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world annihilation and world re-creation, and (4) understanding the eco-responsibility of Christians who are waiting for the second coming of Christ in terms of the purpose of 2 Peter and of the re-creation of the world. Christians have to be coworkers of the renewing work of Christ by participating in the divine characteristics. By integrating the eschatology of 2 Peter and Christians’ environmental responsibilities, this study is to provide insights into what individual Christians as well as local churches should stand and practice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 KCI등재

        한강과 페퇴츠 언드라쉬의 소설에 나타나는 생태비평 비교 연구:

        유진일(Jinil Yoo)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헝가리의 대표적인 생태비평 작가라 할 수 있는 한강과 페퇴츠 언드라쉬(Petőcz András)의 작품을 생태여성주의 관점에서 상호 비교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양국의 전반적인 생태비평의 경향을 살펴보고 동시 에 동시대 문학 속에서 한국과 헝가리를 대표하는 두 생태여성주의 작가의 문학기법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본다. 한강과 페퇴츠 언드라쉬 작품의 사상적 기반이 되는 생태여성주의는 현대사회에서 인류에게 가장 큰 위협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 환경문제의 원인과 해법을 인간과 자연,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관계에서 찾고 또 해결하려는 생태비평 중 하나이다. 이들은 환경오염 문제를 여성주의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산업화이후 진행된 인간들의 자연 개발과 환경 파괴 문제를 수렵문화 이후에 진행된 남성의 여성 지배와 동일한 관점에서 바라본다. 그러나 이들은 인간과 자연, 그리고 남성과 여성을 서로 대립적 관계에서 바라보고 않고 오히려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동반자로 바라보고 있다는 점에서 미래지향적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 서 분석한 작품 <채식주의자>와 Sárga virág a feleségem의 작가가 각각여성과 남성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관점에서 작품을 창작할 수 있었던 것도생태여성주의의 이러한 동반자 의식에서 기인한다. 인간과 자연, 그리고 남성과 여성의 관계를 동일한 인식 속에서 바라보는 한강과 페퇴츠 언드라쉬의 유사한 관점에도 불구하고 작품 속에 드러나 있는 문학적 기법들은 서로 독창적임을 볼 수 있다. 먼저 가부장적 사회로 인한 여성의 파멸을 한강은 육식주의자 아버지와 채식주의자 딸의 대립을 통해 보여주고 있는데 비해 페퇴츠 언드라쉬는 자연과 대도시의 대립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또생태여성주의자들은 가부장적 사회는 반드시 가시적, 혹은 비가시적 폭력을 동반한다고 보고 있는데 이 폭력과 관련하여 <채식주의자>에는 남성의 가시적이고 직접적인 폭력이 드러나 있는 반면 Sárga virág a feleségem에는 남성 과 유사한 의미망에 속하는 도시의 비가시적이고 간접적인 폭력이 드러나 있다. 다음으로 두 작품에 공히 등장하는 여성의 식물로의 변신 모티프는 <채식주의자>에서는 꿈의 형식을 통해 나타나지만 Sárga virág a feleségem에서는 실재 현실 속에서 일어난다는 차이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생태여성주의의 핵심 사상 중의 하나인 ‘타자에 대한 사랑’이 채식주의자에서는 유방으로 상징화되는 둥근 것에 대한 갈구의 형식으로 표출되고 있는 반면 Sárga virág a feleségem에서는 날카로운 것으로 인한 고통을 강조하는 형식으로 나타나고있다. 그런데 한 가지 흥미로운 사실은 한강과 페퇴츠 언드라쉬가 둘 다 1998년에 미국 아이오와 대학에서 주최한 국제창작 프로그램에 참가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과 한강의 채식주의자가 2007년에 발표되었고 페퇴츠 언드라쉬의 Sárga virág a feleségem이 2005년에 발표되는 등 두 작품의 발표시기가 비슷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작가가 국제창작 프로그램에서 생태비평 혹은생태여성주의에 관한 의견 교환이 있었거나 한 작가가 다른 작가에게 혹은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받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エコクリティシズムと東アジア文化・文学の自然観 - 日韓比較論とその先を見据えて -

        染谷智幸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1 일본학연구 Vol.34 No.-

        본고에서는생태비평(Eco-criticism) 문화‧문학에대해서다음과같은두가지청사진을제시하고자한다. 첫번째는지구의문제인환경문제에대해문화와문학의측면에서 어떤기여나접근이가능한가하는것이다. 이문제를생각할때중요한것은환경문제가 자연과학‧생명과학의문제인동시에인문과학적인, 문화‧문학적인문제라는것을명확히 하는 것에 있다. 오늘날 이와 같은 관점에서 다양한 연구성과가 보고 되고 있는데, 본고에서는한일양국의원예문화의모습을단초로하여한일단시문학을대표하는홋쿠(発句,하이쿠(俳句)) 와시조를중심으로이상에서언급한문제에대해서고찰해보았다. 두 번째로는 환경문제가 국경을 초월한 국제적인, 트랜스 내셔널(Transnational) 한 문제라는점이다. 그러나종래일본에서국제적이라고불린문화론‧문학론은일본문화‧문학론, 또는중일‧한일비교론이라는명칭에서알수있듯이, 여전히국가라는틀로부터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환경과 문화‧문학을 교차시켜 생각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문화‧문학쪽에서도 국제적인, 트랜스 내셔널한 사고가 요구된다. 본고에서는 앞서 언급한 한일비교를통하여제시된문제를, 동아시아까지그범위를확대시킴으로서국가와민족을 초월하여문화‧문학에대해서고찰하는 것의 의미에 대해서검토해보고자하였다. This report suggests two rough frameworks about eco- criticism, culture and literature; “How can we approach a worldwide environmental problem through cultural and literary side?” In addition to natural sciences and life sciences, the humanities, culture, and literature are also connected to environmental problems. Various results of researches based on this view are reported nowadays. In this report, I will mention horticulture in Japan and Korea. Then, I will pick up some haiku and sijo( Korean poetic form) representing short poem literatures of both two countries and argue about this theme. The other one is “Environmental problem is international and transnational problem.” However, theories of culture and literature are still argued nationally. To consider environmental problems through cultural and literally side, having an international and transnational view is essential. In this report, I will think about the meaning of culture and literature through international and transnational view by widening problems from Japan and Korea to East Asia.

      • KCI등재

        모리슨의 여성생태학적 전망

        이영철 ( Young Cheol Lee ) 한국아메리카학회 2010 美國學論集 Vol.42 No.2

        This study aims to discuss Toni Morrison`s eco-feministic perspectives in Sula. Morrison focuses on woman`s physical connection with the natural principle as a result of her rhythm and cycle, as eco-feminists do. More specifically, she shows that nature interacts with women`s bodily processes through mutual ecological relations. This tendency of Morrison`s eco-feministic perspectives also shows that she takes a subversive attitude against the rational idea and absolute value of the male-dominated society. It is in this context that Morrison criticizes the male-dominated society, for she sees it as a epicenter which emphasizes the conceptual linkage between women and animals, women and the body, or women and nature, and considers these categories as inferiorities. Therefore, Morrison reflects her subversive attitude against the male-dominated society on Sula`s sensual self. Sula is characterized on the basis of the connection between sexual behaviors and natural cycles. Her sexuality of this kind drives her community people to erotophobia and reduces their moral code to a unnecessary device. Sula doesn`t care about the moral code that puts a taboo on a black woman`s sex with a white man and with her old friend`s husband. And her violation of the moral code reflects Morrison`s subversive attitude against the anti-ecofeministic values of the male-dominated society.

      • KCI등재

        기후 위기와 생태 문제에 대한 라틴아메리카 비판담론의 기여: 생태해방신학과 부엔비비르담론을 중심으로

        조영현(Jo, Young-Hyun) 부산외국어대학교 중남미지역원 2023 이베로아메리카 Vol.25 No.2

        Latin American critical thought is a perspective aimed at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the reality of Latin Americ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outlook of two of the most prominent ecological philosophies within Latin America: Eco-liberation theology and Buen Vivir discourse. Furthermore, it seeks to identify the specific themes and ecological issues they emphasize. In the late 20th century, as the climate crisis escalated, both Eco-liberation theology and Buen Vivir discourse gained prominence. Eco-liberation theology asserts that social injustice and ecological injustice share common roots, emphasizing the need to address both to overcome the climate crisis. Buen Vivir discourse criticizes development policies that rely on extractivism because such policies are ecologically destructive. Both of these philosophies share a common perspective of linking ecological and social issues from the viewpoint of the Southern Hemisphere, the underprivileged, and the marginalized. This perspective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thought within Eco-liberation theology and Buen Vivir dis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