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러닝 (e-learning) 구성요인과 사용자만족 및 재구매의향에 관한 연구

        김상현,이형주,윤성준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08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0 No.2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s technologies has allowed both face-to-face teaching method and Internet-driven e-Learning to spread at a rapid face. Since e-Learning is part of 'education', it has to be carried out through active mutual interaction among learners, with emphasis on the learnable contents and operational efficiency. Therefore, how to effectively provide and operate multiple instructive services has become to determine the success of e-Learning business. In conducting this study, e-learning characteristics deemed to boost learning effects of e-Learning have been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adhering to educational technology paradigm, and they are e-learning contents, mutual interaction, operation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 user characteristics, which formed the basis of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to be verified by this study. Besides those factors, this study set 'learning motivation' of consumers as a mediating variable of overall satisfaction. Also, the study verified a moderating role of 'prior user experience' as it was viewed to affect relationship between e-learning characteristics and overall satisfaction. This attempt to verify moderating and mediating roles of e-learning us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fers logical ground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rol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ffecting user-based satisfaction of e-Lear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overall satisfaction is a strong predictor of re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learning motivation was found to serve as a mediating variable as hypothesized and user's prior experience was found to moderate between e-learning characteristics and overall satisfaction.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전통적인 면대면(오프라인) 수업이 갖는 시간적, 공간적 한계를 극복한 인터넷 기반의 이러닝이 빠른 속도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온라인 교육시장이 성장함에따라 이러닝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 간의 경쟁도 치열해 지고 있다. 이러닝 프로바이더가 경쟁이 치열한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온라인 학습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이러닝 학습자의 특성과 이러닝이라는 제품/서비스와의 관계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습자(고객)의 소비후 만족과 재구매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소비자의 학습효과를 높이는 요인들을 교육공학적 패러다임의 선행연구에서 찾아보았고, 이들 요인들이 다시 기존 마케팅패러다임에서의 사용자 만족 및 재이용의향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만들고 가설을 설정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특히, 이러닝이라는 제품/서비스를 소비하기 위해서는 ‘학습’이라는 소비행위가 수반되므로 본 연구에는 사용자의 ‘학습동기’를 전반적 만족의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매개적 역할을 검정하였다. 또한 ‘사전경험’을 전반적 만족의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조절적 역할을 검정하였다. 이는 이러닝 연구에 있어 지금까지 시도되지 않았던 접근방법이며, 이러닝의 사용자 만족에 학습자의 특성들이 어떤 관계구조가 존재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연구모형 확장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반적 만족은 재이용의향의 강력한 예측변수라는 기존의 마케팅패러다임이 본 연구에서도 입증되었다. 그리고 개인적 특성인 학습동기가 전반적 만족의 매개변수로 작용할 때, 사전경험이 조절변수로 작용할 때, 만족과 재이용의향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지금까지 교육공학에서 다루어졌던 학습자의 개인적 특성인 학습동기와 사전경험이 마케팅 패러다임의 사용자 만족에 매개 및 조절변수로 작용하면서 이러닝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관계구조를 밝혔다는 점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2022년 국내 기관의 이러닝 운영 현황 및 발전 방안 연구

        윤혜림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e-learning in Korea and to analyze e-learning operation cases in Korean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Indeed, through the aforementioned steps, the present study discusses e-learning operation issues and measures to develop e-learning in the future. Via literature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e-learning is examined. Moreover, e-learning operation cases are investigated by visiting the e-learning websites of Korean public and private institutions that offered e-learning in 2022. Using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SWOT analysis is conducted, and based on the analyzed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e-learning, plans for e-learning operations are discussed. The study results identify e-learning (Interactive, Edu-tech, Metaverse) issues and present solutions. It is true that the content of this study has limitations, since it only examines a few institutions. However, the study is significant, as it identifies the reality of e-learning and puts forth diverse perspectives on the direction of e-learning by assessing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of Korean e-learning.

      • KCI등재

        이러닝 환경에서 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이러닝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조절 학습역량과 이러닝 수용의도의 매개효과

        정지은 ( Jeong Ji-eun ),남창우 ( Nam Chang-wo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3

        본 연구는 이러닝 환경에서 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자기조절 학습역량과 이러닝 수용의도를 매개로 하여 이러닝 학습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A중학교의 1학년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과 소벨 테스트(Sobel-test)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이러닝 환경에서 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자기조절 학습역량을 매개로 하여 이러닝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러닝 환경에서 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이러닝 수용의도를 매개로 하여 이러닝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학생의 이러닝에 대한 긍정적 학습태도의 향상을 위해,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자기조절 학습역량 및 이러닝 수용의도를 고려한 수업설계 및 수업전략의 개발과 운영이 필요함을 함의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적합한 중학교 이러닝 환경 구축 및 효과적인 교수·학습전략 설계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digital literacy on their e-learning attitude mediated by self-regulated learning competency and e-learning acceptance intention in e-learning environment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28 the first grade students in an a middle school, Busan city,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tes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digital literacy on their e-learning attitude mediated by self-regulated learning competency in e-learning environment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f middle school students’ digital literacy on their e-learning attitude mediated by e-learning acceptance intention in e-learning environm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se main results imply that instructional design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by considering middle school students’ digital literacy, self-regulated learning competency and e-learning acceptance intention to improve learners’ e-learning attitude.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basic data which can be used to construct suitable middle school e-learning environments for the Post-Covid-19 era and design effective teaching-learning strategies.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e-러닝 학습양식과 성격유형에 관한 연구

        김미영,최완식,이자희 대한공업교육학회 2006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styles in an e-learning according to the major field and learning styles in an e-learning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typ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field made no difference to the learning styles in e-learning. E-learning styles of University student are as follows : the environment-depend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style, positive and cooperative learning style, environment-independ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style. Second, In comparison with the boys and girl's the learning styles in e-learning,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But the environment-dependent and self-taught learning style was the highest learning style in Boys and Girl's but, especially there was more high in Girl's. Third, Amount to use internet made no difference to the learning styles in e-learning. The difference of learning styles in an e-learning environment according to Extraversion-Introversion, Sensing-Intuition, Thinking-Feeling among Psychological Types were statistically meaningless. 이 연구에서는 성격유형 검사 도구와 e-러닝 학습양식 도구를 이용하여 대학생의 계열별, 성별, 인터넷 사용량과 e-러닝 학습양식의 관계를 알아보고, e-러닝 학습양식과 성격유형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계열별(공과계열, 인문․사회계열, 예․체능계열) 대학생간에 e-러닝 학습양식의 유형은 같다. 대학생들이 주로 사용하는 e-러닝 학습양식은 환경의존적 자기주도 학습형, 적극적 협동 학습형, 독자적 자율 학습형, 소극적 학습형의 순서이다. 둘째, 성별 e-러닝 학습양식은 다르다. 남,녀 모두 환경의존적 자기주도 학습형이 많지만 특히 여학생의 경우 더 높게 나타났으며 남학생은 적극적 협동학습형이 상대적으로 높다. 셋째, 인터넷 사용량에 따른 e-러닝 학습양식의 차이가 없다. 넷째, 성격유형 즉, 외향/내향, 감각/직관, 사고/감정, 판단/인식형에 따른 e-러닝 학습양식의 차이는 없다. 따라서 성격유형은 e-러닝 학습양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KCI등재후보

        e-Learning에 대한 태도가 e-Learning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한진환 한국콘텐츠학회 200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6 No.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f the attitude of e-learning on the effectiveness of e-learning and the antecedents of e-learning. For this stud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who had attended a cyber lecture at university.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 of this empirical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the attitude of e-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learning effectiveness. Second, ease of use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learning motivation, information quality of learning contents has positive effect on the attitude of e-learning, but usefulness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has no effect on the attitude of e-learning.Therefore, the former consists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learning contents and information quality that are provided by e-learning and the latter means learning motivation. 본 연구는 e-learning에 대한 태도가 e-learning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e-learning에 대한 태도의 선행요인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은 대학에서 가상강좌를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다.분석결과 첫째, e-learning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e-learning 유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learning 학습관리시스템에 대해 지각하는 사용용이성, 학습동기, 학습콘텐츠의 정보품질은 e-learning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e-learning 학습관리시스템에 대해 지각하는 유용성은 e-learning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e-learning을 통하여 학습관리시스템, 학습 콘텐츠와 정보품질이 제공되어야 하며 그리고 학습자의 학습동기가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공학교육을 위한 이러닝 컨텐츠의 활용에 관한 사례 연구

        박형근 ( Hyung-kun Park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 2017 실천공학교육논문지 Vol.9 No.2

        본 논문에서는 전기전자공학전공의 필수과목 중의 하나인 전기회로교과를 이러닝 컨텐츠로 개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활용한 사례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제시한다. 전기회로 이러닝 컨텐츠를 이론학습은 멀티미디어형을 기반으로 하였으며 실습부분은 동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개발하였다. 이러닝 컨텐츠는 실제 오프라인 수업에 블랜디드 수업 형태로 활용하였다. 이러닝 컨텐츠의 구성요소별 학습효과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전기회로에 적합한 이러닝 컨텐츠의 유형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러닝 컨텐츠를 오프라인 수업에 활용할 때 효과적인 활용방법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이러닝 컨텐츠의 사례조사를 통해 공학교육에 있어서 효과적인 컨텐츠의 회차구성, 회차당 길이 및 유형과 활용방법을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lectric circuit e-learning content as one of the required courses in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Theoretical learning of electric circuit e-learning contents is based on multimedia type and the practice part is based on moving picture. The e-learning contents were used for a blended learning in actual offline class. We investigated the learning effect of each component of e-learning contents and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type of e-learning contents suitable for class of electric circuit. In addition,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effective ways to utilize e-Learning content for offline teaching. In this paper, we show how to construct effective contents, length types and utilization methods in engineering education through the case study on the e-learning content.

      • KCI등재

        e-Learning 교수설계자 자격종목 개발 연구

        나현미,장혜정,정란 한국정보교육학회 200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3 No.2

        산업자원부(現, 지식경제부)와 한국전자거래진흥원에서 실시한 2005년도 e-Learning 산업의 실태조사에 의하면 61.1%의 기업이 평균 3.1명의 인력이 부족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직종별로 살펴보면 교수설계자가 부족하다는 응답은 32.8%로 가장 많았다. 늘어나는 산업규모에 대비하여 e-Learning 인력수급이 부족한 실정이며 이는 e-Learning 전문인력을 배출하고 양성하는 공급 구조가 변화되지 않는 현 상황에서는 해결이 어려운 문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부족한 e-Learning 인력의 공급을 늘리는 한편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e-Learning 전문 자격제도의 개발과 운영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장 수요가 높은 교수설계자를 중심으로 기업 e-Learning 전문 인력 자격 종목 개발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로는 기업과 학교 및 관련 기관의 의견수렴과 전문가의 검토 등을 통하여 필요로 하는 전문 인력에 대한 규명과 이에 따른 자격 종목의 선정과 직무내용, 검정방법 및 출제기준 등을 제시하여 현장 활용도가 높은 자격 종목을 개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qualification system of instructional designer in e-Learning field in order to provide e-learning experts for industry. The shortage of human resources is a serious problem in the e-learning industry. The following set of objectives were formulated to fulfill the study purpose. First,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s and suggestions of the e-learning expert. Second, to analyze current states of private qualification administration/qualification administration authorization in e-learning field. Third, analyze the needs of universities and companies in e-learning qualification administration. Finally, based on the above three objectives, the study developed the practical qualification system, job analysis, methods and questions for an examination of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er.

      • KCI등재

        초등학생의 e-러닝 학습전략 요인 분석

        서순식,조나영,서원석 한국정보교육학회 200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3 No.4

        이 연구는 e-러닝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인 학습전략의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초등학생에게 효과적인 e-러닝 학습전략의 구조 변인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기존에 e-러닝 수강 경험이 있거나 현재 e-러닝을 수강하는 수도권 소재 초등학생들이며, 면대면 학습 상황과 e-러닝 학습상황의 학습전략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학습전략 검사 도구를 분석하여 e-러닝 환경에서 초등학생이 사용하는 학습전략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등학생의 e-러닝 학습전략은 학습활동전략, 학습태도전략, 자원활용전략, 계획전략, 과부하관리전략의 다섯 가지로 규명되었으며, 각 전략은 제시한 순서대로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strategy, one of the predictor variables that have influence on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in e-learning environment and to define the factors of e-learning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ceding studies on face-to-face strategy and e-learning strategy, and existing face-to-face and e-learning strategy test sheets were analyzed. Questions a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to make clear the area of leaning strategies us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e-learning environment and to analyze the e-learning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the e-learning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shown in five areas including strategy for learning activity, strategy for learning attitude, resource use strategy, planning strategy, and overload management strategy. It was found that five strategy areas have explanatory power in the order of strategy for learning activity, strategy for learning attitude, resource use strategy, planning strategy, and overload management strategy.

      • Relevance’s of using E-Learning Systems & Technology in INDIA : Tutoring Practice

        M. R. M. VeeraManickam,M. Mohanapriya,Debnath Bhattacharyya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u- and e- Service, Scienc Vol.9 No.8

        Traditional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are not in full-fledged utilizing latest new technology for teaching learning system at various college levels which in high demand. This article describe valuable concept to get awareness to the principal governing educational sector in India to the vital need of shifting from traditional system to an e-learning practice system using Data centers deployments and latest technology. In advance it focuses on significance necessity of infrastructure which is high demand to use in educational institute to improve effectiveness and value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rough e-learning. Major issues are in Indian Educational Sector is e-learning system decentralized model and proposed model provides solution for centralized system features and illustrate its importance of Cloud Datacenter model-Dac and its significances.

      • KCI등재

        e-Learning 체제에서의 학습자 중심 시교육 설계

        김남희 ( Nam Hee Kim ) 국어교육학회 2007 國語敎育學硏究 Vol.29 No.-

        e-Learning이란 인터넷을 기반으로 상호작용을 극대화함으로써 분산형의 열린 학습 공간을 추구하는 교육 유형으로, 전통적 교육 방식인 교수자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 중심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교육 체제라는 점에서 변화된 교육 환경에서 특별한 주목을 받고 있다. 학습자의 ``문학 활동``이 문학교육의 근간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e-Learning 체제를 통해 문학 활동이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을 바탕으로 수행될 수 있다면, 문학교육에서 역시 e-Learning은 매력적인 교수-학습 체제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e-Learning 체제에서 문학교육, 특히 시교육은 오프라인 학습의 교수-학습 내용을 온라인으로 교재화하는 정도에 그침으로써 e-Learning 체제의 교육적 가치를 충분히 부각시키지 못하고 있다. e-Learning의 기반이 되는 디지털 환경의 참여적 특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도입된 ``스토리텔링형`` 콘텐츠의 경우에도, 학습자로 하여금 텍스트의 향유 활동에 몰입하게 하기보다는 과제의 해결 활동에 몰입하게 하는 양상으로 구현되고 있다. 시교육을 위한 e-Learning 체제가, 학습자들로 하여금 텍스트를 이해의 대상이 아닌 체험의 대상으로 받아들이게 하고 텍스트 향유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기 위해서는 콘텐츠의 내용 차원 및 상호작용 차원에서의 세심한 설계가 요구된다. 내용 차원에서는 학습 주제의 성격에 부합하는 스토리텔링형 콘텐츠의 설계를 통해 학습자의 내러티브적 사고를 돕고, 개방적 활동 및 단계적 활동, 적절한 하이퍼텍스트를 제공함으로써 텍스트에 대한 창조적 수용을 유도할 수 있다. 상호작용 차원에서는 학습 주제와 심미적, 기능적으로 조화됨으로써 학습 내용에 대한 직관적 수용을 지원하는 UI 설계를 통해 학습자들로 하여금 콘텐츠의 학습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몰입하게 하고, 게시판 및 토론방 등의 요소를 설계에 적극 고려함으로써 학습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E-Learning is kind of lecturing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internet, and it provides a diversified and classified virtual learning opportunity by increasing interactions between students and lecturers. Recently, e-Learning has been a booming issue in Korean education. It is because educational circumstances are rapidly changing and e-Learning makes it possible to perform student centered education and it can overcome the drawbacks of traditional teaching system which empathize the role of lecturer over the role of the students. Contrary to those traditional philosophy, we strongly believe that students should play a key role in learning activities. In this paper, we are specifically concerned with literary activities, especially poetry education. If we were able to lead students to perform literary activities by themselves, e-Learning could be one of the most attractive education system in literary education. However, we have faced some difficulties in applying this system to literary education-especially poetry education, and we have experienced a limitation in terms of translating the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raditional education system to that of a student-centered learning system, Therefore, the educational worth of e-Learning system has not been embraced until now. Recently, so-called concept of story-telling contents, which empathizes the problem-solving process has been widely introduced to maximize the interactive characteristics of on-line education. However, it also has the possibility that students may feel uncomfortable with this new method. Very careful design of contents and interaction activities in e-Learning system should be considered to assist students in enjoying the understanding of poetry actively, and to have the students feel the poetry content as part of the overall literary experience. In this paper, we will show that the concept of story-telling contents may help students to think narratively, and induce the creative understanding of literatur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lead students to become immersed in the content of poetry through the technology of UI, which supports the intuitive perception, and is consistent with the objective of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