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미술에 투영된 작가의 기억

        최정연(Jung Yeon Choi),김영인(Young In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1

        인간의 삶 속에서 그들의 살아있음을 확인하는 과정은 삶의 경험과 함께, 그들의 머릿속에 저장되어 있던 기억 속에서 이루어진다. 그들의 기억을 이루는 요소들은 늘 친숙하지만, 인식하지 못하는 사소한 주변의 대상이기도 하다. 예술가들은 그들의 삶속에서 작품의 소재를 찾으며, 그것들을 예술 작품으로 승화시킨다. 예술가들에 있어서 그들의 기억은 작품을 이루는 중요한 소재이며, 그 기억들은 과거에서 현재로의 전환되고, 그것들은 작가의 주관적 시간을 통해 창작 과정에서 재구성되어진다. 그렇게 형상된 작품은 작가마다의 개성의 표현으로 표현양식과 내용은 차이가 있지만, 그들은 자신만의 기억을 예술적 전환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그 맥락을 같이 한다. 본 연구는 난해해져 가는 현대 미술에서 작품을 통한 작가의 의미전달을 올바르게 이해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을 통한 미적경험과, 기억의 의미를 살펴보고, 인터넷과 서적을 통하여, 현재 활동하고 있는 작가를 선정, 그들의 섬유조형 작품을 발췌하여 그것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미적 경험의 의미와 기억의 정의, 그리고 섬유 조형의 개념과 역사, 자전적 기억을 중심으로 섬유 소재로 작품화한 설치 작가 서도호와 루이즈 부르즈아(Louise Bourgeois)의 경험적 기억과 섬유 조형작품 특성을 포함한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작가의 삶 속에서의 미적 경험과 그것을 저장하는 기억에 대하여 살펴보고, 현대 미술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으로, 섬유 재료를 통하여 작품을 형상화하는 현재 활동 중인 설치작가 서도호와, 루이즈 부르주아를 선정하여, 그들의 경험과 기억을 연관하여 작품을 분석하여 보았다. 연구 결과, 서도호는 타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삶속에서의 과거 한국에서의 경험을 기억을 섬유 소재의 투명성과, 색채, 형태 디테일의 변화로 표현하면서, 관객의 소통을 시도하였고, 루이즈 부르즈아는 유년 시절의 가족으로부터 받은 상처의 기억을 비균형적인 형태의 바느질 기법으로 작품을 형상화하여, 관객과의 소통을 꽤하고 있었다. 이 두 작가의 작품을 살펴본 결과, 작가마다 작품을 표현하는 형태와 기법은 다양하였으나, 작품에 투영된 작가의 기억은 그들의 내재된 삶 속의 경험이 바탕이 되었으며, 이렇게 표출된 작가의 기억은 현대 예술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작품과 관객의 소통을 돕는 중요한 소재임을 도출하였다. In addition to human-beings` experiences, their lives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y are alive or not through the memories recorded in their minds. The components composing the memory are the objects which are easily found around their lives but occasionally neglected. Artists are generally searching for the objects of the arts from their lives and express as the artistic products. For artists, their memories are the important subjects to create the arts and artists, in their creation process, reconstruct the memories transform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lthough the arts created by this process can be expressed variously by the artists` own way, their own memories are commonly used to create the arts. The aim of this study is providing an appropriate way to understand the artists` message through the obscure contemporary arts. The methods of the study,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literature, and examine the meaning of memory, through the Internet and books, the contemporary artists selected the current activities, and excerpts from their fiber sculptures of them were analyzed. This study covers the meaning of artistic experience, definition of the memory, the concept and history of the fiber plastic desig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s created based on the memories of Do-Ho Suh and Louise Bourgeois.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artistic experiences and memories in the artists` lives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s and experience from the works by Do-Ho Suh and Louise Bourgeo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Do-Ho Suh tried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through the works express his memories based on the experience in Korea by changing the transparency, colors and detailed shape of the fibers. In the case of Louise Bourgeois`s works, the painful experiences and memories were expressed by unbalanced sewing technique. From the works of these two artists, it was concluded that the artists` memories reflecting their lives are the significant materials for the arts although various techniques can be used.

      • 공간 설치예술에서 컨셉 구현에 관한 연구

        이선민(Lee, Sun-Min),이정욱(Lee, Jeung-Woo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0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2 No.3

        Not like the pure art, Interior design has a difficulty to express designer’s idea freely. Furthermore, there is not any clear process which deducts design in space. To solve these two problems, the study regarding conceptualization of Installation art which covers a range of between arts and space is here below. Conceptualization has various performance elements for imaginative thought and metaphorical expressions that enable designer’s ideas to show clearly. By studying performance elements and metaphorical expression, I analyze Suh Do-Ho, Olafur Eliasson, Tokujin Yoshioka. Suh Do-Ho embodies his works by using the empathy. Moreover, he makes good use of transparency in fabric, thereby his works are shown to be voluminous and profound. By embodying natural elements directly to his works, Tokujin Yoshioka’s visualized image can communicate with viewers. Moreover, his space is constructed organically with repetitive usages of equal materials. A variety of tendencies are captured in Olafur Eliassons’ works such as direct realization of art form and metaphorical thought. The obvious design is formed by arranging object geometrically in space. I hope three elements; metaphorical expression, formation, space construction from eminent artists give a big help to construct the free formation.

      • KCI등재후보

        서도호의 설치작업을 중심으로 본 공동체에 대한 질문들

        이지은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2 No.-

        Suh Do-ho's installation of houses questions aspects of dualism by coupling of two seemingly opposite terms such as the past and the present, east and west, and the individual and the collective. Folded and packed into a suitcase, the house in fabric is portable. It also fits the artist’s lifestyle, since he relentlessly travels from one place to another for projects and exhibitions. Nomadism, as Rosi Braidotti explains, “consists not so much in being homeless, as in being capable of recreating your home everywhere.” In case of Suh, this definition of nomadism suits well. But the artist’s ‘homes’ play roles that are different from their mundane counterparts. Far from being a nest for rest, the house in fabric contests and criticizes the notion of belongingness that we use to define the meanings of one’s home and community.

      • 글로벌 시대의 탈중심화와 한국현대미술의 흐름 - 이동, 경계 그리고 혼종을 중심으로

        사승현(SA SEUNG HYUN)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19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8 No.-

        1989년 냉전이 끝나고 신자유주의 시대로 들어서면서 몇몇 나라들이 독점하던 자본과 정보, 기술과 문화는 탈중심의 길을 걷게 된다. ‘중심’과 ‘주변’의 관계가 아니라 ‘주변’과 ‘주변’의 시스템이 구축되면서 도시의 역할이 대두되고 지역의 특수성 강조됐다. 이에 따라 서구 미술이 중심이던 예술계도 비서구 미술에 대해 급격히 관심을 키우게 되었고, 1980년대부터 유럽과 미국 이외의 지역 미술을 국제 전시에서 소개하기 시작했다. 또한 비엔날레와 같은 국제 전시들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지역의 작가들이 세계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이에 따라 한국의 동시대 미술계에서도, 단지 지역 작가라는 특수성만으로 주목받는 것이 아니라, 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사이에서 고민하고 그 경계에서 작품을 창조하는 작가들이 생겨나기 시작했고 대표적으로 서도호 양혜규가 있다. 그들은 세계를 여행하고 경험하며 주변과 중심의 경계를 흐리는 사이 공간을 탐구하며 ‘집’과 ‘중간 유형’ 시리즈와 같은 작품들을 생산했다. 두 작가가 사이 공간에서 만들어낸 담론을 통해서 본 논문은 글로벌 시대의 시작에서부터 현재까지 한국의 동시대미술이 세계미술계에 합류하게 된 흐름을 고찰한다. Capital, information,technology, and culture that had been monopolized by select countries has begun to de-centralize as the world has entered the Neoliberalist era after the end of the Cold War in 1989.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margin-to-margin” system-which differs from the “center-to-margin” system-the role of individual cities came to the fore, and local characteristics were emphasized. As a result, the Eurocentric art world began to place interest on non-Western art, introducing art from areas other than Europe and North America through exhibitions since the 1980s. Furthermore, the explosion of international shows, such as biennales, fostered local artists to work globally. Accordingly, artists who created works that pondered on cultural specificity versus universality and made works on the boundary appeared in the Korean contemporary art scene, such as Do-ho Suh and Haegue Yang. While traveling and experiencing the world, the two artists created works such as the Home series and the Intermediates series, respectively, exploring “in-between spaces” that blurred the boundary between the center and the marginal. Through the discourse of “in-between spaces”formed by Do-ho Suh and Haegue Yang, this thesis explores the convergence of Korean contemporary art with the international art world since the beginning ofthe global era.

      • KCI등재

        한국 동시대미술 속 군대 표상에서 드러나는 정치성 - 푸코의 권력이론을 통한 박경근, 서도호, 오인환의 작품 분석

        김영인(Youngin Arial Kim)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0 No.-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미술사에서 군대 표상에 관한 연구는 한국전쟁기(1950-1953) 혹은 1960-1970년대 군사정권시기에 제작된 작품을 집중적으로 다뤄왔다. 한국전쟁기의 군대를 묘사하는 작품은 주로 전장의 상황이나 전쟁의 참상을 재현하며, 기록적 성격을 띤다. 나아가 박정희 정부(1961-1979)의 주도로 만들어진 기념 동상이나 민족기록화 속의 군대 이미지는 해당 정권이 내세운 국가건설과 민족문화진흥이라는 테제를 반영한다. 위 두 시기의 작품에 대한 미술사적 서술은 비교적 축적되어 온 반면, 군 표상을 다룬 한국 동시대미술 작품에 대한 종합적 연구는 흔치 않다. 이 논문은 한국 동시대미술에서 발견되는 군대 표상의 정치적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늘날의 대한민국은 탈냉전 시대에도 여전히 휴전 중인 분단국가로서, 헌법에 국방의 의무를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 남성 국민은 병역의 의무를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은 특수한 정치적 조건을 목도하거나 직접 경험한 동시대 미술가들은 다양한 형식의 미술실천을 통해 군대 표상을 다루어 왔다. 본고는 특히 박경근(1978- ), 서도호(1962- ), 오인환( 1965- )의 2000년대 이후 작품에서 군인, 군 조직, 병영문화, 군대문화 등 군대를 상징하는 이미지를 분석한다. 세 작가의 작품을 연구하는 데 있어 본고는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 (Michel Foucault, 1926-1984)의 권력이론을 개념적 틀로 사용한다. 푸코는 권력이 사회제도와 결합하여 개인의 삶에 영향을 끼치는 방식에 천착했다. 본 연구는 푸코의 권력이론 중에서도 특히 그가 저서 『감시와 처벌(Surveiller et punir)』(1975)에서 논구한 규율권력 개념을 통해 박경근, 서도호, 오인환의 작품 속 군대 표상을 분석하고, 규율권력의 정치적 특성이 드러나는 부분을 규명한다. 정치철학 담론을 미술사 연구에 적용하고자 시도한 본 연구가 한국 동시대미술 작품 속 군대 표상에 대한 담론을 보다 확장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delves into military images in Korean contemporary artworks, applying the theory of disciplinary power by French theorist Michel Foucault (1926-1984). It summarizes the history 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disciplinary power and refers to them to analyze military images in the works of Kyung Kun Park (1978- ), Do Ho Suh (1962- ), and Inhwan Oh (1965- ). Identifying how they reflect the politics of disciplinary power, this paper also compares the artists’ varying perspectives regarding the disciplinary power in the army: ambivalent or critical.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zation (1910-1945), research on military images in Korean art has mostly focused on the two historical periods: the Korean War period (1950-1953) and the military regime in the 1960s and the 70s. Military images from the former period are mostly limited to those of soldiers and troops fighting in the battlefields. Public monuments and the National Documentary Paintings promoted by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1961-1979) consist of military images from the latter period. Heroic soldiers and battles won were frequently portrayed, reflecting the regime’s agenda of nation-building and the promotion of national culture. While research on the military images from these two periods has been accumulated, few are available on those in Korean contemporary art. This paper investigates this so far overlooked topic. As the Korean War has not officially ended since the ceasefire in 1953, all males over the age of eighteen in South Korea are required to complete their military obligation. Korean contemporary artists affected or inspired by these circumstances have incorporated military images representing soldiers, military organization, and military culture in their artworks. This paper examines the examples in the contemporary works of Kyung Kun Park, Do Ho Suh, and Inhwan Oh since the 2000s. Employing the political theory of power to interpret their artworks, it aims to expand the academic discussion on military images in Korean contemporary ar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