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수린,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6

        (Background and Purpose)As a result of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production facilities that were active in the structural changes of cities were left as idle industrial facilities. Public perception of these facilities is now changing; they are seen as valuable spaces that contain historical features. I would like to propose a direction to utilize diverse cultures through spatial characteristics by reproduc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with useful value as a multicultural space. (Method) In this study, we draw spatial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s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rough the nine characteristics of the regeneration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and the five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 by making a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the same as previous studies and summarizing the conten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symbolism, spatial complexity, artistic expertise, participation of culture, and accessibility of place, we select idle industrial facilities in Korea actively operated through various programs on the basis of their being used as complex cultural spaces. We chose five places: Seongsu-dong Daelim Warehouse Gallery Column, Insa-dong Insadong 1 Gil Culture Space, Bucheon art bunker B39, Busan F1963, and Jeollado Wanju Samnye culture art village. Through the case study, we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paces and drew conclusions by diagramming the analysis contents. (Results) The diagram showed that historical symbolism was the most characteristic of the five characteristic factors, which could be regarded as a basis for a high evaluation of the periodic value of idle industrial facilities. The study suggests the feasibility of using such facilities as complex cultural spaces, as they can bring various contents together through their spatial complexity. As artistic expertise was backed up, participation of culture also increased naturally, there were limitations in accordance with location; the accessibility of places utilized exist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For these characteristics, Daelim Warehouse Gallery Column could be regarded as a case well-suited 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as it showed a high level in the multi-faceted area. (Conclusions) This study emphasizes the historical importance of the idle industry and the spatial necessity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and concludes three points about spatial characteristics. First, it provides the experience of temporality through the value of time, and it becomes a sustainable space resource as educational material. Second, it can express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by utilizing flexible space. Third, users are encouraged to voluntarily participate, thereby enhancing the potential of local development by raising artistic and cultural activities. The complex cultural space utilizing idle industrial facilities is being utilized as a space in which users can participate voluntarily based on the value of the space’s original historical symbolism. (연구배경 및 목적) 탈산업화의 과정으로 도시 내 구조 변화와 함께 생산적 활동을 하던 다수의 생산시설들이 유휴산업시설로 남게 되었다. 이러한 목적성을 다한 유휴산업시설들이 현재는 시대적 역사성을 내포한 가치 있는 공간으로 인식이 바뀌어가고 있다. 활용적인 가치를 가진 유휴산업시설을 여러 가지 목적을 충족시킬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재생하여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다양한 예술·문화를 활용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유휴산업시설 재생과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선행연구를 통해 이론적 고찰을 하고, 유휴산업시설 재생의 특성과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을 종합하여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간적 특성요소 다섯 가지를 도출한다. 그 결과로 역사적 상징성, 공간적 복합성, 예술적 전문성, 문화적 참여성, 장소적 접근성의 다섯가지 공간적 특성 요소를 도출하여 각 사례에 적용한다. 사례분석으로 국내 유휴산업시설이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된 사례를 바탕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활발하게 운영 중인 곳으로 선정한다. 성수동 대림창고 갤러리 컬럼, 인사동의 인사1길 컬처 스페이스, 부천 아트벙커 B39, 부산 F1963, 전라도 완주 삼례문화예술촌의 다섯 장소를 선정하여 현 상황과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다이어그램 화하여 소결을 도출한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는 다섯가지 특성 요소 중 공통적으로 역사적 상징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유휴산업시설에 대한 시대적인 가치를 높게 평가한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높게 나타난 공간적 복합성은 다양한 컨텐츠를 한 공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연계될 수 있는 점에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에 부합하여,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특성으로 볼 수 있다. 이어서 문화공간의 가치를 형성하는 예술적 전문성이 기반이 되어야하며 이는 사용자의 관심을 유도하여 자발적인 문화적 참여성을 높인다. (결론) 본 연구는 유휴산업의 역사적 중요성과 복합문화공간의 공간적 필요성을 강조하며, 공간적 특성에 대하여 세 가지로 결론을 내린다. 첫째, 시대적 가치를 통해 시간성의 경험을 제공하여 교육적인 자료로써 지속가능한 공간자원이 되고 둘째, 유동적인 공간의 활용으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이 표현되어 다양한 목적을 수용할 수 있으며, 셋째, 작가들과 사용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예술·문화 활동을 높여 지역발전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하는 복합문화공간은 본래 가지고 있는 역사적 상징성에 대한 가치를 기반으로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 KCI등재

        遼東半島 細形銅劍文化의 양상과 변천 -尹家村類型을 중심으로-

        이후석 숭실사학회 2012 숭실사학 Vol.0 No.28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in the Liaodong peninsula was developed around Dalian District in the southern of Qianshan Mountain Range, and since the complex of remains and artifact such as tombs, bronze daggers and potteries revealed the separate characters in time and space, it is possible that this area designate the single regional culture of the Yinjiachun Complex(尹家村類型). The Tombs with wooden coffin filled stones and the Tombs with Cymbal-style jar coffin, and the Yinjiachun type Slender Bronze Daggers, the Yinjiachun type Potteries, Mounted Dishes are called Dou(豆), Pottery from Yan kingdom in Warring States Period also were main cultural elements. The Tombs with wooden coffin filled stones, which first appeared in Liaodong Peninsula, was not spreaded in the progress of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in the Korean Peninsula, but was adopted as a main tomb with Yan kingdom's iron culture in Korean Peninsula of the Early-Iron Age. The Tombs with cymbal-style jar coffin was related with the spread of tomb from Yan kingdom in Warring States Period, and it spreaded in Korean Peninsula. The adoption process of the Tombs with cymbal-style jar coffin closely linked with the progress of spread of the Yinjiachun type Potteries. The Yinjiachun type Slender Bronze Daggers were prevalent in Liaodong Peninsula, but it retrogress to the Sinsongri type Slender Bronze Daggers in northwestern area of Korean Peninsula. And we could not sure whether there is or is not the direct link between the Yinjiachun type Slender Bronze Daggers and the formation of the Korean type Slender Bronze Daggers in terms of period and type. The medium and large size pottery with handle, that is to say,Yinjiachun type Potteries spreaded in the Korean Peninsula were established the Myeongsari type Potteries, later The Tombs with cymbal-style jar coffin coffin became to extend. The Yinjiachun Complex revealed the aspects of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and the Early-iron Culture of native population in the Liaodong Peninsula. And it was the key to understand in the pottery culture of the Wiman Joseon(衛滿朝鮮) and iron culture of its surrounding, and the development progress of the culture of Jeomtode Pottery(粘土帶土器) with trianglated Rim. 요동반도의 세형동검문화는 대련지구를 중심으로 유행하였으며, 묘제와 동검, 토기 등의 유구·유물복합체가 특징적인 시·공간적 전개 양상을 나타내고 있어 ‘윤가촌유형’이란 지역문화 유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윤가촌유형은 적석목관묘와 합구식옹관묘가 주된 묘제이며, 직인형의윤가촌식동검, 중대형의 파수부호인 윤가촌식토기, 전국연계의 두형토기등이 주요한 문화요소이다. 요동반도에서 처음 확인되는 적석목관묘는 한반도의 세형동검문화 성립과정에서 파급되지 않고, 전국연계의 철기문화와 함께 한반도로 전해져서 초기철기시대 주된 묘제의 하나로 채택된다. 합구식옹관묘는 전국연계묘제의 요동지역 확산과 관련되며, 적석목관묘에 이어 한반도로 전해진다. 합구식옹관묘의 수용과정은 윤가촌식토기의 파급과정과도 밀접한 관련을지니는 것으로 이해된다. 윤가촌식동검은 요동반도에서 유행하였으나 서북한지역에서 신송리식동검으로 퇴화하였으며, 한국식세형동검의 성립과는 시기적인 측면이나형식학적 측면에서 직접적인 관련성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윤가촌식토기는 중대형의 파수부호로 대표되며, 이 기종이 한반도로 전해져서 명사리식토기가 성립되며, 이후 합구식옹관묘도 파급되기 시작한다. 윤가촌유형은 요동반도의 세형동검문화와 토착집단의 초기철기문화 양상을 보여주며, 위만조선의 토기문화와 주변지역의 철기문화, 그리고 삼각형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여 준다.

      • KCI등재

        두 개의 “별들의 고향”과 “청년문화”의 의도적 접속

        송아름 ( A Rum Song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人文論叢 Vol.73 No.2

        우리나라에서의 청년문화에 대한 논의는 1970년대 초 소설과 영화의 영역에서 발표돼 유례없는 흥행기록을 세운 ‘별들의 고향’을 기점으로 폭발한다. 이에 ‘별들의 고향’은 마치 청년문화의 집약체인 것처럼 간주되지만 아직 청년문화의 정체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이에 관한 적극적인 논의들은 두 개의 ‘별들의 고향’이 발표된 이후라는점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별들의 고향’을 통해 청년문화를 확인하는 것이 아닌, 과연 무엇이 두 개의 ‘별들의 고향’과 ‘청년문화’의 접속이 가능하게 했는지에 대한 논의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두개의 ‘별들의 고향’은 독자와 관객들의 감각을 자극하는 방식으로 표현되었다는 점에서 1970년대의 대중들을 끌기에 매우 적절한 작품이었다. 이 감각적이라는 특징은 한편으로 아주 대중적이면서도 이 작품을 새롭다고 평가하게 한 원인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새롭게 유입된 젊은 수용자들과의 접속을 자연스럽게 했다. ‘별들의 고향’에 반응한 젊은이들은 1960년대부터 꾸준히 서구 청년문화를 소개해오던 언론을 통해 돌출적인 것으로 간주되었고, 이후 한국의 청년문화에 관한 논의로 번져간다. 서구의 청년문화를 기준으로 후진국의 청년문화라는 콤플렉스를 드러내면서도 교묘하게 선진문화와 우리나라의 청년문화를 동등하게 비교하고자 하는 양가성은 청년문화 논쟁에 불을 지피게 된다. 논쟁이 시작되면서 대학생들은 ‘별들의 고향’이라는 대중성 강한작품에서 ‘청년’이라는 명칭이 호명되는 것에 반발, 젊은 지식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되찾고자 청년문화를 다시 규정하고자 하였다. 이때의 청년문화는 청년문화 논쟁의 그것과 다른 의미로 전환되고, 더 이상의 논쟁은 일어나지 않는다. 즉, 1970년대 청년문화는 단일한 하나의 개념으로 볼 수 없으며, 청년문화의 시작 혹은 초기의 청년문화는 두 개의 ‘별들의 고향’의 새로움에 대한 청년들의 반응에 당대의 욕망이 결합된 것으로 뚜렷한 실체가 있다기보다 그것이 놓인 상황이나 호명의 주체에 따라 유동하는 개념이었다고 볼 수 있다. Discussions on youth culture in South Korea exploded starting from Heavenly Homecoming to Star, which set an unprecedented box-office record in the areas of novel and film in the early 1970s. Thus, Heavenly Homecoming to Star is considered as if it is an integration of youth culture, but the identity of the youth culture has not been clearly proven, and it should be made clear that active discussions could be achieved after the publication and release of the two versions of Heavenly Homecoming to Star. Therefore, instead of confirming youth culture through Heavenly Homecoming to Star, a discussion on what really made it possible to connect two versions of Heavenly Homecoming to Star and ‘youth culture.’ The two versions of Heavenly Homecoming to Star were the works very appropriate for attracting the public in the 1970s in that they were expressed in a way that they stimulate the readers and audiences’ sensibility. This characteristic of sensibility can be considered a cause that made people evaluate them novel on one hand and very popular on the other hand, which made natural its connection to young consumers newly flowed in. Young people who responded to Heavenly Homecoming to Star were considered abrupt through the media that had continued introducing Western youth culture since the 1960s, and then, discussions on the youth culture of South Korea spread. The ambivalence to reveal the Korea’s complex about its youth culture as that of an underdeveloped country as compared to those of the West and at the same time, cleverly compare advanced cultures with Korean youth culture equally made a fire in a controversy of youth culture. As the controversy began, college students would redefine youth culture to regain their identity as young intellectuals, opposing to the interpellation of the name of ‘youth’ in the work of Heavenly Homecoming to Star. Youth culture, at this time, is converted to a meaning different from that in the controversy of youth culture, and no controversy occurs anymore. In other words, youth culture in the 1970s cannot be viewed by a single concept, and the beginning of youth culture or early youth culture is a combination of young people’s response to the novelty of the two versions of Heavenly Homecoming to Star with the desire of the times, and it is a concept that is floating,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which it is placed or the subject of interpellation, there is a clear substance.

      • KCI등재

        복합문화공간 전시 관람 활성화 연구 - 유럽 복합문화공간의 사례를 중심으로 -

        조정란,정금희 유럽문화예술학회 2021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2 No.2

        산업화 이후 과학기술의 발달이 가져온 다원화된 사회 현상은 문화예술계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 다. 문화예술 향유 욕구의 확산과 더불어 발전해 온 복합문화공간은 공연, 전시, 교육, 회의 등이 한 곳에서 진행되어 사람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우리보다 선진 문화예 술을 자랑하는 유럽의 대형 복합문화공간의 전시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통해 나날이 늘어나고 있는 복합문화공간 전시에 대한 방향을 살펴보는 것은 장르의 통합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문 화의 발전방향을 위해서도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이 연구는 유럽의 복합문화공간 중 파리의 퐁피두센터와 런던의 바비칸센터의 전시 사례를 중심으 로 하여 전시 관람을 통한 복합문화공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유럽 최대 규모의 소장품을 자랑하는 퐁피두센터의 대규모 기획 초대 전시와 바비칸센터의 적극적인 작가 지원 등은 예술의 전당이나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같은 국제적 규모의 국내 복합문화공간의 전시 운영에도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fter industrialization, the diversified social phenomenon has brought many changes to the cultural and artistic world. In addition to the spread of the desire to enjoy culture and arts, attempts were made to enjoy various contents in one place. The cultural complex is played in one place, with performances, exhibitions, education, and conferences serving various needs of people. Although research on the contents of cultural complex should be conducted more diverse than a single professional institution that only shows one content, not much research has been done so far. It would be meaningful for the development of modern culture, which characterizes the integration of genres, to look at the current status of large cultural spaces in Europe, which boast advanced cultural arts. With the aim of promoting revisit of cultural complex, this paper focuses on exhibitions of the Pompidou Center in Paris and the Barbican Center in London among European cultural complexes, The large scale exhibition of the Pompidou Center, which boasts Europe's largest collection, and the active support for artists of the Barbican Center, which transcends countries and genres, have many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the international cultural complex.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ly their exhibition cases to most cultural complexes in Korea, which are operated on a small budget. As a result, if the benefits of cultural complex are utilized to the fullest by operating exhibition-linked programs using various facilities, exhibition will be the best content for revitalizing cultural complex.

      • KCI등재

        한국형 융합 집합주거문화 계획 연구-정세권의 개량한옥 계획을 대상으로-

        최호순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4

        The Study aims at carrying out basic research on the future housing culture plan by the aging and low fertility phenomenon which is the most serious problem that Korean society faces today. In the future, the housing culture will be transformed into a ‘convergence housing complex’s residential culture’ that can be coexisted with households with various members, rather than a housing type represented by apartments today, due to the phenomenon of nuclear family and the increase of one resid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a basic study on the housing complex culture of Korea. It is not that the hosing complex culture has been imported from the western society today, but the Korean traditional housing complex’s culture proposed by Korean first developer Segwon Jeong has already existed in Korea urban and architectural perspective. In the early 20th century, Segwon’s improved Hanok planned to complement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hanok and the modernization of hanok such as the standardization of hanok, moreover the most important point is the beginning of the Korean style housing complex by modernization of the inner space of hanok.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for Segwon’s housing complex of improved hanok will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Korean-style convergence residential culture plan needed for our society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오늘날 대한민국 사회가 당면한 가장 심각한 문제인 고령화와 저출산 현상에 의한 미래 주거문화 계획에 관한 기초연구수행을 목표로 한다. 향후 주거문화는 핵가족화 현상과 1인 주거민의 증가로 오늘날 아파트로 대표되는 집합주거형태가 아닌 여러 구성원을 가진 세대가 공존할 수 있는 ‘융합 집합주거문화’로 진전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집합주거문화의 기초연구로서 오늘날 집합주거문화가 서구사회에서 수입되어 온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일제강점기 당시 우리나라 최초의 부동산개발업자 정세권에 의해 한국형 집합주거문화가 이미 존재했음을 도시적 그리고 건축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20세기 초반에 정세권이 계획한 개량한옥은 기존의 한옥의 단점을 보완하며 한옥의 표준화와 같은 한옥의 물리적인 측면의 현대화의 가치도 있지만, 한옥 내부공간의 현대화는 한국형 집합주거문화의 시초라는 관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수행한 정세권의 개량한옥 주거단지는 향후 우리사회에 필요한 한국형 융합 집합주거문화 계획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창조경제와 지역문화융성의 발전소

        류재한(Ryu, Jaehan)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14 디아스포라 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2015년 개관을 앞두고 있는 광주광역시 소재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창조경제와 지역문화의 융성을 견인하는 발전소로서 어떤 기능을 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발전소의 핵심 엔진인 5 개원 (민주평화교류원, 아시아문화정보원, 문화창조원, 아시아예술극장, 어린이문화원)은 어떤 콘텐츠로 창의적인 문화산업의 발전을 유도할 수 있는 지를 연구·분석한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자료, 특히 창조경제와 문화융성 관련 보고서와 문화체육관광부의 보도자료, 콘퍼런스자료집을 토대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창조경제와 지역문화 융성의 관계 등을 2015년 개관을 앞두고 있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 적용하여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창조경제와 지역문화융성의 발전소임을 보여주고자 했다. 연구 결과 창조경제와 지역문화융성의 발전소인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5 개원, 즉 민주평화교류원, 아시아문화정보원, 문화창조원, 아시아예술극장, 어린이문화원은 ‘상상력 기반의 콘텐츠산업 육성’의 핵심 엔진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5개원 각각은 창의성을 바탕으로 ‘5월’의 역사적 경험을 공유하는 ‘감성적 공감의 경로 만들기’의 서사콘텐츠의 산업화(민주평화교류원)와 ‘아시아문화원형의 창의적 활용을 위한 원천소스의 산업화’(아시아문화정보원), ‘미래형문화예술콘텐츠의 산업화’(문화창조원), ‘K-PERFORMANCE 콘텐츠의 산업화’(아시아예술극장), 어린이 문화예술교육 콘텐츠의 산업화(어린이문화원)를 만들어내는 핵심 엔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창조적인 상상력과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하는 창조경제와 문화융성(특히 지역문화 융성)에 있어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문화예술을 통한 창조경제 이끌기의 핵심적인 축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Prior to the opening of the Asian Culture Complex (hereinafter referred as ACC) in 2015, this study analyzes how ACC can function as a power-plant for Creative Economy and local culture prosperity, and how its related five agencies (Democracy- Peace Exchange Agency, Asian Culture Information Agency, Culture Promotion Agency, Asian Arts Theatre, and Children Edu-Culture Agency) can adopt various contents to successfully lead the creative culture industry development as core engines. The key to success of Hub City of Asian Culture is to combine ACC contents with Asian culture assets and Gwangju’s spiritual, social, and cultural values. Thus the distinctive location and symbolism of Gwangju can be made by circulating those values around Gwangju. Consequently, Gwangju will keep its identity and leap forward into the world. This process can be developed into local culture prosperity and connects the Creative Economy that is the prosperity through local culture. It is fair to say that the successful opening of ACC depends on how we contain the values of Asia, Korea, and Gwangju with creative imagination and ideas. ACC in particular has to assume an active role in making a dynamic engine of national and local Creative Economy and also play core roles in accomplishing government policy directives in pursuing the nation’s happiness through culture prosperity. To meet those requirements, ACC must carry out roles as Culture R&D and Culture Plant to connect creativity (humanistic imagination and ideas) with culture technology in Asian culture factors. In other words, ACC must be a laboratory and power plant for making contents to combine culture with industry in an organized fashion.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suggested that five agencies (Democracy- Peace Exchange Agency, Asian Culture Information Agency, Culture Promotion Agency, Asian Arts Theatre, and Children Edu-Culture Agency) should function as a core engine of promoting contents industry based on imagination and as power plant for creative economy and local culture prosperity. First, based on imagination, Democracy-Peace Exchange Agency could function as an engine to lead narrative contents industrialization for making an emotional sympathy pathway by sharing the spirit of the May 18 Democratic Movement. Second, Asian Culture Information Agency could assume a role to be responsible for industrializing the source code to utilize the Asian culture prototype creatively. Third, Culture Promotion Agency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industrializing future-oriented culture & arts contents. Fourth, Asian Arts Centre could take on a role in industrializing K-PERFORMANCE contents. Fifth, Children Edu-Culture Agency could lead roles in industrializing children’s culture & arts contents. In addition to those roles, ACC should produce the urban-growth model which creatively utilizes culture and arts assets to invigorate local creative economy, also achieving a goal in flourishing local culture. In sum, ACC has a mission to vitalize culture prosperity in Gwangju, Korea, and Asia, which must be accompanied by Asian’s growth. This means ACC is a power plant for Creative Economy to produce creative imagination and ideas.

      • KCI등재

        遼東半島 細形銅劍文化의 양상과 변천 - 尹家村類型을 중심으로-

        李厚錫 숭실사학회 2012 숭실사학 Vol.0 No.28

        遼東半島 細形銅劍文化의 양상과 변천 -尹家村類型을 중심으로- 李 厚 錫 요동반도의 세형동검문화는 대련지구를 중심으로 유행하였으며, 묘제 와 동검, 토기 등의 유구․유물복합체가 특징적인 시․공간적 전개 양상 을 나타내고 있어 ‘윤가촌유형’이란 지역문화 유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윤가촌유형은 적석목관묘와 합구식옹관묘가 주된 묘제이며, 직인형의 윤가촌식동검, 중대형의 파수부호인 윤가촌식토기, 전국연계의 두형토기 등이 주요한 문화요소이다. 요동반도에서 처음 확인되는 적석목관묘는 한반도의 세형동검문화 성 립과정에서 파급되지 않고, 전국연계의 철기문화와 함께 한반도로 전해져 서 초기철기시대 주된 묘제의 하나로 채택된다. 합구식옹관묘는 전국연계 묘제의 요동지역 확산과 관련되며, 적석목관묘에 이어 한반도로 전해진다. 합구식옹관묘의 수용과정은 윤가촌식토기의 파급과정과도 밀접한 관련을 지니는 것으로 이해된다. 윤가촌식동검은 요동반도에서 유행하였으나 서북한지역에서 신송리식 동검으로 퇴화하였으며, 한국식세형동검의 성립과는 시기적인 측면이나 형식학적 측면에서 직접적인 관련성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윤가촌식토기 는 중대형의 파수부호로 대표되며, 이 기종이 한반도로 전해져서 명사리 식토기가 성립되며, 이후 합구식옹관묘도 파급되기 시작한다. 윤가촌유형은 요동반도의 세형동검문화와 토착집단의 초기철기문화 양 상을 보여주며, 위만조선의 토기문화와 주변지역의 철기문화, 그리고 삼 각형점토대토기문화의 전개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 여 준다. A Study for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in the Liaodong Peninsula -Focused on the Yinjiachun Complex- Yi, Who Seok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in the Liaodong peninsula was developed around Dalian District in the southern of Qianshan Mountain Range, and since the complex of remains and artifact such as tombs, bronze daggers and potteries revealed the separate characters in time and space, it is possible that this area designate the single regional culture of the Yinjiachun Complex(尹家村類型). The Tombs with wooden coffin filled stones and the Tombs with Cymbal-style jar coffin, and the Yinjiachun type Slender Bronze Daggers, the Yinjiachun type Potteries, Mounted Dishes are called Dou(豆), Pottery from Yan kingdom in Warring States Period also were main cultural elements. The Tombs with wooden coffin filled stones, which first appeared in Liaodong Peninsula, was not spreaded in the progress of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in the Korean Peninsula, but was adopted as a main tomb with Yan kingdom's iron culture in Korean Peninsula of the Early-Iron Age. The Tombs with cymbal-style jar coffin was related with the spread of tomb from Yan kingdom in Warring States Period, and it spreaded in Korean Peninsula. The adoption process of the Tombs with cymbal-style jar coffin closely linked with the progress of spread of the Yinjiachun type Potteries. The Yinjiachun type Slender Bronze Daggers were prevalent in Liaodong Peninsula, but it retrogress to the Sinsongri type Slender Bronze Daggers in northwestern area of Korean Peninsula. And we could not sure whether there is or is not the direct link between the Yinjiachun type Slender Bronze Daggers and the formation of the Korean type Slender Bronze Daggers in terms of period and type. The medium and large size pottery with handle, that is to say, Yinjiachun type Potteries spreaded in the Korean Peninsula were established the Myeongsari type Potteries, later The Tombs with cymbal-style jar coffin coffin became to extend. The Yinjiachun Complex revealed the aspects of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and the Early-iron Culture of native population in the Liaodong Peninsula. And it was the key to understand in the pottery culture of the Wiman Joseon(衛滿朝鮮) and iron culture of its surrounding, and the development progress of the culture of Jeomtode Pottery(粘土帶土器) with trianglated Rim.

      • KCI등재후보

        문화 및 여가를 위한 커뮤니티시설의 기능에 관한 연구

        양영근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08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24

        This study examined the various cultural facilities such as local culture & art center, culture center of a department store and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 We found that there were gaps between the quantity of culture & art center and the rate of utilization and also between the user's satisfaction according to various curriculum and expensive charge for lecture in culture center of a department store. Therefore we took notice of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 and assumed to act all in a the day's work for cultural activities and use of spare time in apartment complex in company with typical cultural facilities of public and civil parts. Because cultural facilities must be close to housing so as to have plenty of time and distanc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at community facilities have the function and possibility as cultural space or facility to be close with housing through the research and analysis according to the user's satisfaction and needs on community facilities for support of cultural want and effective use of spare time

      • KCI등재

        12세기 시칠리아의 노르만-아랍-비잔티움 문화의 융합과 발전 -로제 2세 시대와 윌리엄 2세 시대를 중심으로-

        김차규 ( Chy Gyu Kim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2013 지중해지역연구 Vol.15 No.4

        IIThis article focus on a complex of the Norman-Arab-Byzantine Culture in Sicily in the 12th century. A new culture in Sicily in the 12th is a complex of features held by the interaction of the Norman, Arab and Byzantine culture following the Norman conquest of Sicily from 1061, to around 1250. An intense Norman-Arab-Byzantine culture developed, exemplified by rulers such as Roger II of Sicily, who had Islamic soldiers, poets and scientists at his court. The Norman Kingdom of Sicily under Roger II was characterised by its multi-ethnic nature and religious tolerance. Normans, Muslim Arabs, Byzantine Greeks, Longobards and “native” Sicilians lived in harmony. Interactions continued with the succeeding Norman kings, for example under William II of Sicily. We find the Norman-Arab-Byzantine Culture in art, architecture and law. This Culture resulted from numerous exchanges in the cultural and scientific fields, based on the tolerance showed by the Normans towards the Greek-speaking population and the Muslim settlers. As a result, Sicily under the Normans became a crossroad fo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Norman-Catholic, Byzantine-Orthodox and Arab-Islamic cultures. Indeed, at that time Sicily provided the model for medieval Europe of how a diversity of peoples, races and tongues could be governed by a system of tolerance and law.

      • KCI등재

        초대형 복합쇼핑몰에 나타난 몰링문화 현상에 관한 연구

        엄경희(Eom, Kyoung Hee),표재연(Pyo, Jae Youn)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6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2 No.1

        국내 패션업계는 장기 불황 속에서 기존에 존재하는 백화점과 패션 복합쇼핑몰의 성장 한계 대안으로 쇼핑 뿐 아니라 다양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는 신 개념 초대형 복합쇼핑몰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초대형 복합쇼핑몰의 등장은 한 장소에서 백화점 · 면세점 · 대형마트 · 호텔 등의 숙박시설 ·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 휴식 공간 · 오피스텔까지도 포함하고 있어 몰이라는 한 장소에서 원스톱(Ons-Stop)으로 모든 것을 즐길 수 있는 새로운 소비 형태를 뜻하는 몰링(Malling)을 즐기는 “몰링문화” 현상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제 복합쇼핑몰은 점점 더 대형화 되고 멀티화 되어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복합쇼핑몰의 정의 및 특성을 고찰하고, 초대형 복합쇼핑몰에 나타난 몰링문화 현상을 분석함으로써 한국 복합쇼핑몰의 발전 가능성을 파악하고, 적용 가능한 방향을 제시함으로서 패션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되어졌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인터넷 자료조사, 관련업체와 기관의 보도 자료를 통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초대형 복합쇼핑몰의 특성 및 발달과정을 분석하였으며, 현재 국외에 운영되어 지고 있는 초대형 복합쇼핑몰의 특성을 조사 분석하고 몰링문화가 나타나는 현상 및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대형 복합쇼핑몰은 가족단위를 포함해 전 연령대가 함께 즐길 수 있는 새로운 생활문화의 개념으로 쇼핑뿐 아니라 놀이, 볼거리, 즐길 거리, 휴식 공간, 여가를 즐기는 공간으로까지 확대되면서 다양한 라이스타일을 한 곳에서 이루고 싶어 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유통구조로 미국과 일본은 이미 정착되어진 트렌트이며, 한국은 그 발전 단계라고 할 수 있었다. 이에 초대형 복합쇼핑몰의 형태와 규모는 점점 더 대형화 멀티화 되어 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도시 전체가 몰로 구성된 초대형복합쇼핑몰이 급증하는 현상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현재 이러한 초대형 복합쇼핑몰들이 대도시 중심으로 급격히 확산되어 있고 다양성이 높아지면서 오랜 시간 지속된 경제 불황속의 패션 시장에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되어진다. In Korea, the fashion industry not only provides shopping as an alternative of department store and fashion shopping mall which has reached a growth boundary, but also pushes forward mega complex shopping mall providing various leisure facilities. Such appearance of mega complex shopping mall has established “Malling Culture” phenomenon meaning a new form of consumption that consumers can enjoy various one-stop cultural experiences including shopping, recreation, performance, hotel, and restaurant in one place. This study has its purpose to understand a development potential of Korean complex shopping mall by analyzing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ega complex mall and malling culture phenomenon. In addition, this study has also analyzed to provide fundamental data which can be utilized in fashion industry by suggesting applicable direction. As a research method, literature investigation, internet research, theoretical consideration through reports of related enterprises and institutions have practice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process of mega complex shopping mall, and to analyze phenomenons and cases appeared from malling culture which is newly established with an appearance of mega complex shopping mall. As a result, a mega complex shopping mall is not only a new living culture concept that ell ages can enjoy together, but also a global trend of distribution system which can satisfy consumer desire to enjoy various life styles including shopping, recreation, spectacles, entertainment, and rest area in one place. In addition, it can be a new mean of escape for fashion industry which has met depression, because mega complex shopping mall is rapidly spreaded from metropolis to enhance d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