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변화하는 가족과 가족연구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모색:

        김은정(Kim Eun Jung)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3

        지금까지의 가족 연구는 일반적으로 가족을 ‘집단’으로 전제하고 수행 되어왔으며, 상대적으로 그 안에서의 개인은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나 ‘개인화’의 영향 하에서 가족은 해체, 변화하고 있어서 더 이상 기존의 방법을 이용해서 가족을 연구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가족 연구는 가족 구성원 개개인의 생애사를 추적하면서 이것이 어떻게 만나고, 유지되고, 해체되는가를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새로운 가족 연구를 위해 개인의 생애 발달을 분석하는 ‘라이프코스 퍼스펙티브(life course perspective)’ 연구방법이 제시되었는데 이 연구방법은 사회적, 역사적 환경 내에서 개인이 어떠한 위치에 있는가를 점검하면서 그 생애 발달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가족 내의 개인’이 ‘개인 내의 가족’으로 변화한 ‘개인화’된 사회에서 개인이 사회의 영향을 받으면서 새롭게 구성하는 가족에 대한 연구는 이 방법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한편, 한국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개인화’는 서구와는 달리, 주체적인 개인을 중심으로 한 개인화가 아니라 가족주의적 개인화이며 그럼으로써 한계가 있다는 비판도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에서의 개인화는 거스를 수 없는 추세로서 서구의 개인화와 그 과정은 다를 수 있지만, 결국은 개인화의 한 유형이며, 이로 인해 기존의 가족이 변화되고 있음은 분명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러므로 개인차원에서 출발하여 가족을 보아야 한다는 점은 여전히 의미가 있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연구 데이터를 기반으로 라이프코스 퍼스펙티브를 이용한 가족 연구의 사례를 제시하여, 앞으로의 가족 연구에 이 연구방법이 적용가능하며, 함의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search for a new approach in Korean family studies; the life course perspective. The Korean family studies analyzed a family as a collective group, rarely addressing a family member within. An individual within a family was considered to be invisible and ignored. ‘Individualization’ in Korea, which started in the late 1990s has helped ‘a family member’ or ‘individual’ in a strong patilineal kinship to discover one’s new self/identity apart from the collective family structure and to make a choice on one’s free will. As a result, there are the surprisingly varied untraditional family forms: divorced, remarriaged, single-parent, or dual income families. The Korean family studies are situated in the context of what is often referred to as a ‘family change’ or ‘family crisi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Korean family studies should address an individual within a family, utilizing the life course perspective in order to understand the rapidly changing Korean families. The life course perspective, also known as the life course approach, refers to an approach for analyzing people s lives within structural,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n this approach, the family is a collection of individuals with shared history who interact within ever-changing social contexts across ever increasing time and space (Bengtson and Allen 1993: 470). Adopting the life course perspective will shed a light on the Korean family studies which exclusively considered a family as a fixed and collective group, ignoring individuals within.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Korean studies with the life course approach could better understand the change of Korean family where individuals interact influenced by social/historical contexts. Lastly, this study presented a few examples of the Korean family studies with the life course perspective for the future research implication.

      • KCI등재

        ADDIE 모형 기반 <한국학> 수업 설계 사례 연구-외국인 교환학생을 대상으로-

        강병헌,주월랑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A Study on the Case of Designing the Korean Studies Coursewith the ADDIE Model-Focusing on Foreign Exchange Students-Byounghoun Kang & Woalrang Ju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Korean study course as general education for foreign exchange students and to present an actual example. Based on the ADDIE model, the class Korean Studies for foreign exchange students was designed and operated before evaluating the class’ performance. First, a demand survey was conducted on foreign exchange students to design the course. First of all, a survey on learners’ needs was conducted, and classes were conducted for three semesters by reflecting this. As a result of lecture evaluation for a total of three semesters, foreign exchange stud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Korean studies class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practical class cases that increase the needs and satisfaction of foreign exchange students by constructing Korean studies classes based on the learner-centered ADDIE model. Key Words: ADDIE Models, Foreign Exchange Students, Korean Study Course as General Education, Special Topics in Korean Studies, Course Operation Cases ADDIE 모형 기반 <한국학> 수업 설계 사례 연구-외국인 교환학생을 대상으로-강 병 헌*ㆍ주 월 랑**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교환학생을 위한 교양 한국학 수업을 설계하고, 실제 수업 사례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한 외국인 교환학생 대상 <한국학>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한 후에 수업 평가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우선 학습자 대상 요구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반영하여 세 학기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총 3개 학기 동안의 강의 평가 결과, 외국인 교환학생들은 한국학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의 ADDIE 모형 기반 한국학 수업을 구성하여 외국인 교환학생의 요구도와 만족도를 높이는 실제적인 수업 사례를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핵심어: ADDIE 모형, 외국인 교환학생, 교양 한국학 수업, 한국학 특강, 수업 운영 사례 □ 접수일: 2022년 11월 9일, 수정일: 2022년 12월 4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주저자, 서울시립대학교 국제교육원 객원교수(First Author, Professor, Univ. of Seoul, Email: clement.bh.kang@gmail.com)** 교신저자, 성균관대학교 한국어교육학과 초빙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SungKyunKwan Univ., Email: moon4005@hanmail.net)

      • KCI등재

        해외 교수자 수요 분석에 따른 한국학 학술 확산 방안 연구 - 고려대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사례를 중심으로 -

        강은진,김은진 국제어문학회 2024 국제어문 Vol.- No.100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emand for Korean studiesamong professors and researchers in overseas universities offering Koreanstudies with the aim of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the internationalacademic dissemination of Korean studies. A survey targeting professors inKorean studies in 22 overseas universitie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current status of local Korean studies programs and the demand foradditional courses. In particular,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tential forpromoting Korean studies through online platform education in the endemicera by identifying the demand for offline and online courses. Resultsshowed an increased demand for advanced-level Korean studies, in-depthand specialized courses, and translation and localization of textbooks. Based on the key demands identified in the survey, this study designedand operated 10 online open courses to verify their effectiveness andreceived feedback and evaluations of course operations from the target audience. Effective measures were derived to address the drawbacks ofexisting online courses, such as local collaboration to supplement thelimitations of MOOCs and enhance background knowledge of Koreanculture and hist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serve as indicators forestablishing specific directions for the activation and dissemination ofoverseas Korean studies, including customized exchange methods centeredon online courses. 본 연구는 한국학 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해외대학 교수자 및 연구자를 대상으로 해외 한국학 수요를 파악하여 한국학의 국제적 학술확산을 위한 토대자료로 삼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해외 22개 거점대학의 한국학 교수자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현지 한국학 과정 운영 현황 및 추가 개설 희망 수요를 조사하였다. 특히 오프라인 강좌 수요와 온라인 강좌 수요를 변별하여 의견을 청취함으로써 엔데믹 시대 온라인 플랫폼 교육을 통한 한국학 활성화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 조사를 통해 한국학 전공 수준 심화 강좌에 대한 수요 증가, 심층적이고 세분화된 강좌 수요 증가, 번역 및 현지화 교재에 대한 수요증가 등 실질적이고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조사에서 도출된 핵심 요구를 반영한 10개 온라인 공개강좌를 설계하고 운영하여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수요자 집단에게 강좌 운영 실증 사례에 대한 의견과 평가를 받았다. MOOC 방식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현지 협력, 한국의 문화 및 역사에 대한 배경지식 설명 강화 등 기존 온라인 강좌의 문제점을 보완할 실효성 있는 방안이 이를 통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강좌를 중심으로 한 현지 맞춤형 교류 방안을 비롯해 해외 한국학 활성화 및 확산을 위한 구체적 방향성을 수립하는 데에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Live-streaming Korean Course’s Effect on Cultivating Chinese College Students’ Interests in Studying Korean

        두보(涂波) 부산대학교 중국연구소 2023 Journal of China Studies Vol.26 No.1

        Since the formal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in 1992, there has been a trend of warm exchanges between the two sides. However, the advent of COVID-19 spread suddenly across the world and brought an unprecedented infectious disaster to human society and had a huge impact on the exchanges between two countries. With the prolonged outbreak, the "coexistence" with human beings during the COVID-19 has become a "new normal". Under the background of the normalization of the pandemic, people from all walks of life have begun to try to open new ways of people-to-people exchange, one of such attempts is the live-streaming of Korean courses. Som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es in South Korea’s Universities are offering live-streaming Korean courses to Chinese college students, hoping to boost their interest in the language and culture. If more and more Chinese college students are interested in the Korean language, Korea’s Universities can continue the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Chinese Universities and help them realize their desire to study in Korea, thereby promoting international exchanges between the Universities. From a national perspective, people-to-people exchanges between the two countries can thus be continued in the context of the pandemic, and bilateral relations can continue to move forward. However, there is no relevant explanation in academic circles as to whether online Korean courses will help to cultivate Chinese college students' interest in Korean. The data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was subjected to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SPSS 26.0 platform. It was observed that the live streaming of Korean language courses to Chinese college students, which were carried out by a Korean local University language institute, improved the students’ Korean level a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They remained interested in the Korean language. With regards to interest intensity,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interest intensity in the Korean language remained unchanged, about 10% of the students' interest intensity increased, while about 30% decreased. Therefore, live streaming of Korean courses did not achieve the purpose of improving college students' interest in Korean.

      • KCI등재후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집중학습 과정― 성균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훤,신영지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6

        The Liberal arts only for foreign students in University College of SungKyunKwan University, Intensive Study Course, is a new course to solve the academic problem due to the lack of ‘Korean’ ability in particular the foreign students face during their study in Korea. The University College of SungKyunKwan University manages this course focused on ‘academic Korea’ required for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liberal arts. The course is aimed at increasing Korean skill in short time by teaching ‘academic Korean’ for communication in each field and selecting a multiple syllabus for repeated expansion. In addition, liberal arts as well as Korean class are opened to help them increase academic ability suitable for university. It is verified that the students’ Korean ability has been increased during this course, helping them not only in academic field but also in overall university life and major subjects. In terms of objective index such as the student’s fail rate and lecture evaluation, it was verified that ‘Intensive Study Course’ for foreign students enhances their Korean ability and academic ability. 최근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유학생의 증가에 따라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대학은 유학생의 유치와 교과과정 운영 등의 제반 문제에 당면하고 있으며 외국인 유학생들 역시 대학의 적응과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국내 유학생의 증가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맞춤형 외국인 전용 교양교과목(학문 목적 한국어를 중심으로 한)의 개설 및 운영 방안을 모색하려는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 세 가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증가와 그로 인한 문제점을 살피고 둘째, 외국인 전용 교과목으로서의 한국어 관련 교과목의 개설 필요성을 밝히고 셋째, 2014년 1학기 성균관대학교에서 개설한 외국인 유학생 전용 교육과정인 ‘교양집중학습과정(ISC)’의 개설과 운영에 대해 소개하였다.현재 외국인 유학생이 겪는 가장 큰 문제는 도구 언어로서의 ‘한국어’ 능력의 부족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유학생들에게 필요한 학습의 매개인 한국어가 일반목적 한국어와 변별되는 ‘학문목적 한국어’임을 인지하고 유학생 전용 교양 교과목으로 갖는 의미와 유효성을 지적하였다. 특히 성균관대학교의 ISC과정의 개설과 그에 따른 교과 운영 및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외국인 전용 교양 교과목의 개설 및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AKS 문화강좌 한국어 수업 개선 방안

        최지영 ( Jiyoung Choi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본 연구는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매년 1회 실시하는 한국문화강좌 중 한국어강좌의 효과적인 수업 방안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문화강좌는 한국학을 전공하는 외국인 대학생들에게 한국의 언어와 문화 체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증진시켜 미래의 한국(어)학 연구자를 육성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중급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동)유럽 학생들은 한국의 전통 문화, 고전 문학과 더불어 한국학에 대한 관심과 사전 지식이 있는 반면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학생들은 실용적인 목적의 언어를 중심으로 학습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4주간의 한국문화강좌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한국학 주제 특강과 관련한 어휘와 문법을 중심으로 하는 한국어 수업 설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어)학을 전공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의 국내 단기 프로그램의 한국어 수업 설계에 활용할 수 있다. The research is aimed at suggesting effective ways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course during the Korean Culture Course, which is held annually by the AKS. The Korean Culture Course is the goal of nurturing an overall understanding of Korea with the opportunity to directly learn and experienc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thus study Korean in the future. In this study, a surve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tudents who took intermediate classes from 2015 to 2018 and as a result, it was necessary to design a class based on grammar and vocabulary related to Korean culture course. This study can be used to design Korean language classes for foreign learner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studies.

      • KCI등재

        유럽 지역 한국학에서 한국 경제 강좌 탐색-영국과 독일 주요 대학을 중심으로

        정재윤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2023 국제문화연구 Vol.16 No.2

        This study analyzes courses on the Korean economy in British and German universities, noting the high popularity of Korean studies in Europe today. As a result, first, Korea is presented as one of the major developing countries and its economy is described in terms of the post-developmental state it has overcome. Second,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impacts and side effects of Korean economics courses in British and German universities are described. Third, the Korean economy is analyzed in relation to Asian countries from a regional studies perspective or as a comparison to other countries and other topics in interdisciplinary studies.

      • KCI등재

        2017 수능 필수 ‘한국사’ 문항의 난이도와 학교 수업

        申幼兒(Shin, Yu-Ah) 역사교육연구회 2015 역사교육 Vol.135 No.-

        Turning ‘Korean History’ into a compulsory subject in 2017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was successful for student to study ‘Korean History’ harder than before when it was an optional subject. But we should be careful to think that ‘easy questions’ are the best solution for any possible matters. If students consider ‘Korean History’ test unchallenging which can be prepared right before CSAT,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achers will have more difficulty leading the classes. In fact, the total class hour of ‘Korean History’ didn’t increase after the subject become compulsory. In addition, the test with very low item discrimination will not guarantee the proper Korean History education. In the past, ‘Korean History’ CSAT had several demanding questions which were too much for students who didn’t take humanities courses. But it’s also problematic that students can find the answers without paying attention to courses at school. That’s why we should constantly listen to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achers’ opinion about controlling the level of difficulty.

      • KCI등재

        한국 문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한국어 교사 양성과정의 교과과정 개선방안

        신윤경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4 No.-

        Recently,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came up in conversation and there have been extensive discussions. And, it’s very clear that Korean literatur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one of the best teaching materials not only as a tool for communication but for individual growth. To strengthen the Korean literature statu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revitalize its usage actively,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eachers. Because, diverse and creative Korean literature classes can be possible depending on capability and flexibility of teachers as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not a national level standard education course. Therefore, it’s the fastest way to review the courses for prospective teachers and generate better alternatives. First, I reviewed Korean literature classes in the degree and non-degree education programs for prospective teachers. The review results show that current classes in 4 categories are lack of systematic educational contents and classes in the category, which are designed to provide literature education theory, are rarely offered. Also, diverse study materials should have been developed and wide range of prospective teachers’ capability also should have been consider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literature education theory as soon as possible and standardize systematic class curriculums by subjects in the category 3 and 4. Additionally, study material reflecting the above direction should be developed and there should be a separate education course for foreign prospective teachers. To realize all of the above, cooperation and active knowledge exchange with experts is very much required. 최근 문학의 위상이 화제로 떠오르고 여러 가지 논의가 오가지만,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은 단순한 의사소통을 넘어서 개인적 성장까지 이룰 수 있는 최고의 자료임은 확실하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의 위상을 좀 더 공고히 하고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들에게 집중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한국어 교육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아니라서 교사의 역량과 융통성에 따라 수업의 다양성을 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들을 양성하는 교육과정의 내용을 점검하고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확실하고도 빠른 길이라고 할 수 있다. 먼저, 한국어 교사를 양성하는 학위·비학위 과정의 문학 수업을 점검했다. 현재 4영역에 개설되는 수업은 체계적인 교육 내용이 마련되지 않았고, 실제 문학 교육론 수업을 할 수 있는 3영역의 과목은 개설이 드물었다. 또한, 학습자 편차의 문제와 적절하고 다양한 교재 개발이 미흡하다는 점도 있었다. 이에 문학 교육론의 이론적 체계를 시급히 마련하고, 3,4 영역의 과목별 교육 내용을 규범화해야 한다. 또한, 이런 내용이 반영된 교재가 개발되어야 하고,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육과정이 따로 개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앞으로 전문가들의 협조와 의견 공유가 절실하다.

      • KCI등재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교과과정의 한일(韓日) 비교 고찰 -고려대학교와 교토대학의 예를 중심으로-

        박진완 ( Jin Wan Park ) 민족어문학회 2007 어문논집 Vol.- No.55

        본고는 고려대학교와 교토대학을 대상으로 양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의 교과과정을 검토하여, 한국의 대학원 교과과정 개편에 참조할 수 있는 일본의 제도적 장치를 소개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우선 학점과 학위 수여 시스템을 중심으로 대학원 학제를 비교해 보면, 교토대의 경우 석·박사 모두 종합시험과 같은 논문 제출을 위한 자격시험은 존재하지 않음은 물론, 박사과정에서는 단위 취득 의무가 없으며, 학위 취득은 재학 중에도 가능하다. 이처럼 교토대의 진학과 졸업 연한은 연구 역량과 실적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또 2006년 개설과목을 대상으로 교과과정을 비교해 보면, 수업 형태로서는 고려대에 개설된 모든 과목이 학기제로 운영되는 점과는 달리, 일본의 대학원에는 1년제(6학점) 과목도 편성되어 있다. 또 강의 이외에도 강독(講讀)이 수업 형태로서 인정되고 있고, 방학을 이용하여 1주간에 한 학기 분(12~14코마)을 수업하는 집중강의(集中講義)가 개설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수업 내용으로서는 고려대가 최신의 연구 동향을 반영하는 응용 과목이 많은 반면, 교토대에는 기초 과목(예컨대, 고전 역주)이 많이 개설되어 있으며, 특히 사적 연구의 비중이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 고려대 교과과정은 국어학과 국문학이 구분되어 있는 데 반해, 교토대를 포함한 일본의 대학원에는 문헌 강독과 같은 문학과 어학의 통합 성격이 강한 과목이 많다. 고려대를 비롯한 한국의 대학원 국어국문과 교과과정의 문제점으로서는 교과과정의 편성이 지나치게 세부 전공을 중심으로 나누어져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학제적 커리큘럼을 제시하여 문제해결을 위한 복합적 사고 능력을 길러 주고, 창의적 연구가 태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일본의 교과과정 개혁에서 주목되는 것 중에서, 그 도입이 검토되어야 할 사항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우선 F.D.(Faculty Development, 교수법 개발)를 통해 교원 상호간의 수업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다. 또 교과과정의 편성에 학생의 요구를 수용하는 방안, 구체적으로 수업평가의 결과를 검토하고 교수 강의안을 작성하는 과정에 학생들을 참여시키는 것도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eaningful suggestions for reforming the graduate school curriculum at Korea University by analyzing Japan`s case, especially that of Kyoto University. The study covers both educational systems such as prerequisite credits for completion and degree requirements, special curricular contents and the categories of subject matter, which were mainly obtained by analyzing catalogues.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curricula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thirty-six credits for the completion of the doctoral course in Korea, but there is none required in Japan. Second, for the acquisition of a doctoral degree, a qualification exam is required in Korea, but not in Japan. In the case of Kyoto University, a graduate student who has not finished the doctoral course but who has made excellent academic achievements, can acquire a doctoral degree. The difference of in curriculum contents is as follows: First, courses in Japan are held for one year in general, unlike Korea`s semester system. Also in Japan a intensive courses (``Shutsu-kogi``) of sixteen lessons per week for one credit are scheduled during the year, but not in Korea. Second, master`s and doctoral courses in Korea are divided into two independent programs, such as courses of Korean Language & Korean Literature, while this is not the case at Kyoto University. Thus, the curriculum of Kyoto University has traditionally emphasized the linguistic interpretation of classics, such as annotation of historical Japanese literature. But Korea University has a large number of subjects which mainly reflects the latest research and applied studie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First, graduate programs in Korea University should provide an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which includes classical subjects as well as practical subjects. Second, in-class teaching skills should be evaluated by the graduate students.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execute F.D. (Faculty Development) including the faculty and staff, the courses and programs, all of which can become self-renewing. It is also desirable for graduates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planning the curriculum by reflecting their inpu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