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해 한용운의 온라인 연보 : 그 개념적 요인들과 구현 방식들

        고병철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1 불교문예연구 Vol.- No.18

        이 연구의 목적은 만해 한용운의 온라인 연보를 기획할 때 고려할 지점들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데에 있다. 연보는 ‘개인 삶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실의 기록’으로, 삶의 방향 제공, 학술 연구 자료, 특정 이미지의 사회적 유통 경로 등에서 중요하다. 그럼에도, 연보 연구는 평전(評傳)을 위한 도구론적이나 개인 활동의 발굴 및 기록 차원에 머물러 미진하다. 이 연구가 종교인들의 온라인 연보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그렇지만 우리가 고려할 부분은 연보가 온라인 서비스의 대상이 되고 있다는 상황이다. 이 상황은 연구자들이 온라인에서 어떻게 연보를 구성하고 구현할 것인지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러한 관심은 연보의 개념적 요인들을 고려하는 과정을 수반한다. 이 연구를 위해, 제2장(연보의 개념적 요인들)에서는 개인과의 연관 여부, 사실 여부, 내용을 선별한 기준의 합리성 여부 등 연보에서 개념적으로 고려할 요인들을 검토하였다. 이 요인들은 어떤 연보일지라도 ‘개인과 명확히 연관된 사실들을 최대한 찾고, 합리적 기준을 적용해 중요 내용을 선별해야 한다는 원칙’을 토대로 삼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3장(연보 사례와 구현 방식들)에서는 온라인 연보 사례를 종교와 무관한 사례, 종교인 사례, 해외 사례로 구분해 구현 방식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각 사례에서 내용 범위의 제공 방식, 스토리 배치(story layout), 공간적 이해를 위한 지도, 번역 서비스, 동료의 연보 서비스, 중요 정보의 별도 서비스, 종교사적 맥락 서비스, 동일 시기의 주요 사건 제공 서비스, 핵심어와 설명문 서비스, 연보의 다양한 형태 등을 확인하였다. 제4장(만해 연보의 구성과 구현)에서는 만해의 연보 기록을 위한 개념적 요인들과 온라인 연보에서 고려할 방식들을 제안하였다. 전자는 개인의 연관성, 사실 여부, 합리적 선별 기준, 활용성 등을 포함한다. 후자는 내용 범위의 분절 여부, 공간적 이해, 개방성, 스토리 배치 등을 포함한다. 물론 이 방식들은 연보 설계 방향에 따라 선별적 채택이 가능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ints to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planning the online chronology of Manhae Han Young-un (hereafter Manhae). A chronology is a 'record of historically important facts in an individual's life' and is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someone with a direction of life, academic research data, and serves as a social channel for distributing personal images. Nevertheless, researches on chronology so far have been insignificant, and have been carried out at the instrumental level to produce someone's critical biography or at the level of recording individual activities. However, what we need to consider is the situation in which chronology has been the subject of online services. This situation suggests that researchers need to pay attention to how to construct and implement an online chronology. This concern entails considering the conceptual factors of chronolog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Chapter 2 (Conceptual Factors of Chronology), I reviewed general factors to be considered conceptually in chronology, such as whether it is related to an individual, whether it is true, and whether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contents are reasonable. These factors mean that any chronology should be based on the 'principle of finding the facts clearly related to the individual as much as possible and selecting important contents with reasonable criteria'. Next, in Chapter 3 (chronology cases and implementation methods), I reviewed the characteristic service methods of online chronology cases. And these cases showed several characteristics: data service unit, story layout, map for spatial understanding, translation, peer’s chronology, understanding of important information, providing religious history context or major events of the same period, separating key words and descriptions, various types of chronology, etc. Finally, in Chapter 4 (Construction and Implementation of Manhae's chronology), I suggested the conceptual factors for Manhae's chronology and methods to be considered in its online service. The former includes personal relevance, factuality, selection criteria, and utility. The latter includes segmentation of contents’ scope, spatial understanding, openness for modifications, and story layout. These service methods can be selectively adopt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designing a chronolog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studying the online chronology of religious people, including the case of Manhae.

      • KCI등재

        한국 연보의 존재 양상 일고찰 -『한국문집총간』 소재의 인물을 대상으로-

        최혜미 ( Choi He-mi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2021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5 No.-

        역사를 서술하는 방식으로 개인의 삶을 기록한 양식인 연보는 한국학 연구 전반에서 중요하게 활용되는 자료이다. 본 연구는 문헌으로서의 연보의 존재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한국문집총간』 소재 인물 1,258명을 표본으로 삼아 해당 인물과 문집 및 연보에 관한 데이터셋을 작성하고 일련의 계량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연보의 대부분은 1700년대 이후에 생산되었지만 조선 후기에 출판의 여건이 개선되더라도 연보의 편찬자는 대개 가까운 시기보다 먼 과거의 인물을 주목하였다. 문집 역시 유력한 선조의 저술을 우선하여 간행하는 양상이 있으나 연보의 대상 설정은 문집보다 현저하게 과거의 인물을 향하고 있었다. 둘째, 대부분의 연보는 초간본 문집에 수록되었지만 아주 유력한 인물의 경우에는 문집이 초간된 이후 별도로 전기자료 등을 묶은 단행본이 간행되거나 중간 이후에 연보가 부록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를 통해 보주의 영향력, 정확히는 보주와 편찬자 집단의 정치사회적 영향력에 따라 연보의 간행 양상이 달라졌음이 확인된다. 셋째, 1600년대는 연보의 편간이 학파 혹은 정파의 학문적 권위와 정치적 명분을 확보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이용된 시기였고 편찬을 주도한 이 시기의 인물들 역시 같은 목적으로 후속세대에 의해 연보의 주요한 서술 대상이 되었다. 연보를 권위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이용하고 편찬자 자신들도 후대에 권위의 원천이 되었다는 점에서 1600년대는 연보사의 중심을 이루고 있었다. Chronology, a chronicle record of a person’s life in the style of history, is widely referred as primary sources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This thesis statistically approaches the chronology as a kind of genre, using chronologies of 1,258 people included in Korean Literary Collections in Classical Chinese (韓國文集叢刊)” as a data sample. The result that data shows is as follows: Firstly, the majority of chronology of Chosŏn Korea was produced not until 1700s. Even when the conditions for publication were much improved in late Chosŏn, the writers of chronology tended to be much more interested in historical figures of past than their contemporary. Secondly, the first edition of someone’s posthumous literary collection included chronology in most cases. Chronologies for competent personalities, however, were often independently published or added to later editions of their collections. Thirdly, writing and publication of chronology itself had become one way of gaining social-political power since 1600s. The writers of chronology themselves were also recorded in the chronology, enhancing legitimacy for their inheritors. In this regards, 1600s was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Chosŏn chronology.

      • KCI등재

        반구대 암각화 편년에 대한 비판적 검토

        강봉원 한국상고사학회 2022 한국상고사학보 Vol.117 No.117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examine the chronology of the Bangudae petroglyphs established in 1980 and generate a new chronology. This paper argued that the chronology of the rock art should be dated to the ‘Neolithic.’ According to the old chronology of the Bangudae rock art formulated in 1980, the date ranges between the Korean Bronze and Early Iron Ages (BC 300-100 AD). This chronology is still playing a critical role in Korean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societies and supported by a number of rock art researchers. In particular, since the Korean National History text books are adopting the old chronology, almost all the Korean students have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it. In the mean time, various material evidence discovered at different archaeological sites suggests that the rock art may have been engraved much earlier than ‘the Bronze and Early Iron Ages.’ Based on newly collected materials, many researchers have been arguing that the rock art may have been manufactured during the Korean Neolithic (ca. 4000-3000 BC). This paper pointed out some problems that the old chronology has and focused on a few variables and archaeological context necessary to formulate a new chronology of the Bangudae petroglyphs. This pap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interpretation and appropriate archaeological explanation of the motifs in which we are interested. To testify the new date of the rock art, ecofact and artifacts such as whale bone, whaling gears, oceangoing vessels and oars, obsidian discovered in Ulsan and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were examined in conjunction with archaeological context. This paper focused on the subsistence patterns and frequency of shell midden of both the Neolithic and Bronze Ages, hunting-fishing and stone tools related to agricultural practices. 본고는 반구대 암각화 제작 시기가 ‘청동기시대~초기철기시대’(BC 300-100 AD)라는 기존 편년을 비판하고 ‘신석기시대’(대략 BC 4000-BC 3000)에 조성되었을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한 것이다. 1980년에 도출된 반구대 암각화의 편년 안은 학계에서 대세를 이루고 있으며 적지 않은 연구자들에 의해 여전히 지지를 받고 있다. 특히, 이 편년은 현금 고등학교 각종 국사 교과서에 실려 있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 그간 이 암각화가 ‘신석기시대’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여러 가지 물증이 출토되었고 이를 토대로 다수의 연구자들이 기존 편년을 수정해야 한다는 주장을 해 오고 있다. 본고에서 반구대 암각화의 편년사를 일별하고 문제점을 검토하여 새로운 편년을 수립함에 있어 필요한 몇 가지 변수와 고고학적 맥락에 초점을 맞추었다. 첫째, 반구대 암각화에 새겨진 물상 판독과 그에 따른 고고학적 해석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둘째, 새 편년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필요한 고고학적 맥락과 관련하여 반구대 암각화가 위치하고 있는 울산과 우리나라 동/남 해안지역에서 출토된 각 종 자연 및 인공 유물(예: 고래 뼈, 고래사냥 도구, 배와 노, 흑요석) 등을 고고학적 맥락에서 검토하였다. 나아가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생업경제와 관련하여 각 시대의 패총 빈도수를 비교하여 보고 유물로써 수렵⋅어로 및 농경 관련 석재 도구 등 실증적인 자료를 토대로 반구대 암각화는 최초로 신석기시대에 제작되었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중 마구 비교를 통한 삼국시대 고고학 편년 조율

        김일규(Kim, Il Kyu) 부산고고학회 2021 고고광장 Vol.- No.29

        삼국시대 동아시아 마구는 전체적인 변화 발전의 틀에서 많은 공통속성이 확인되어 표준연대자료의 확보에유효하다. 양진-16국시대의 마구를 검토하여 편년의 기준자료를 확보하고 이를 삼국시대 마구와 비교하여 삼국시대 고고학 편년 조율을 시도하였다. 동오·서진 마구에서 등자의 발명은 마구 역사에서 획을 긋는 사건이었으며, 등자와 고안교 안장의 조합은 1인기승의 보편화를 의미한다. 동진대에는 쌍등과 고안교 안장의 조합으로 개마중갑기병이 확산하는 틀이 마련되었고, 1인 기승 마장 체제를 확립하였다. 16국 시기 삼연 마구는 전통적 속성, 중원적 속성 및 중원 마구가 삼연 문화 체제 내에서 변용된 속성으로 나눌 수 있는데, 중원을 원향으로 하는 중원적 속성과 변용적 속성이 대부분이다. 금동제 등자, 쌍봉문과 승문을시문한 행엽과 안장 장식 및 판비는 중원을 원향으로 하는 마구 속성이다. 삼연 마구의 경우 삼국시대 등자의 시원인 금속판으로 보강한 목심 등자를 비롯하여 지판과 장식판을 덧댄 구조의 판비와 행엽은 상한이 370년대로편년된다. 중원지역에서 철제 개마중갑기병은 16국 시기에 본격화하였다. 마주의 비교에서 고구려와 가야는 각각 4세기 중엽과 4세기 말에 전연의 것을 받아들였지만, 고구려는 4세기 말에 중원의 것도 수용하여 고구려 독자의 양식을 완성하였다. 가야와 신라는 광개토왕 경자년 남정을 계기로 마갑과 마주 조합이 완비된 개마중갑기병 체제를 갖추었다. 양진-16국시대 마구와 삼국시대 마구를 비교한 결과, 권운문와당의 간지 기년을 4세기 전반으로 한 고구려 고고학 편년, 가락동 2호분의 조영 시점을 3세기 후반으로 하는 백제 고고학 편년, 황남대총 남분을 내물왕 무덤으로 비정한 신라 고고학 편년을 당해 시기 한·중 마구에 적용하면 동아시아 고대 마구의 역사는 물론 세계 마구의역사도 다시 써야 한다. 그렇지만 권운문와당 간지 기년을 4세기 후반, 가락동 2호분을 4세기 말, 황남대총 남분을 눌지왕 무덤으로 하는 편년을 양진-16국시대 중국 마구 편년에 적용하면 괴리가 거의 없다. The harness, which was used in East Asia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has been confirmed to have many common attributes in terms of the overall framework of changes and developments, showing that it is valid for obtaining data on standard chronology. It has obtained reference data for chronology by reviewing the harnesses of East and West Jin Dynasty-16Guo Dynasty for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which led to an attempt to coordinate chronology in archaeology on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The invention of stirrups in the East Wu·West Jin harness was an epoch-making event in the harness history, and the combination of stirrups and high saddles means the generalization of single-person horse riding. The framework for the spread of the heavy cavalry was established by a combination of the double-stirrups and high saddles in East Jin, resulting in establishing the system of single-person horse riding. The attributes of SanYan harness of 16Guo Dynasty are divided into a traditional attribute, a Chinese Zhongyuan-based attribute, and a transformational attribute of the Chinese Zhongyuan harness transformed within the system of SanYan culture, but in most cases, the Chinese Zhongyuan-based attribute according to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and the transformational attribute apply. gilt-bronze stirrups, Harness pendants decorated with two phoenixes, etc., saddle ornaments, horse bits a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harness attributes in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In the case of the SanYan harness, all of the horse bits and harness pendants structuralized by plates and ornamental plates, including wooden stirrups reinforced by the metal place, the origin of stirrups during the period of the Three Kingdoms, are known to be in the 370s as terminus post quem. In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heavy cavalry began in earnest in the 16Guo Dynasty. The comparison of horse helmets have shown that Goguryeo and Gaya accepted the ways of QianYan in the mid-4th century and late 4th century, respectively, but Goguryeo completed its own style by accepting those of the Chinese Zhongyuan region in the late 4th century. Gaya and Silla established a system of heavy cavalry with a complete combination of horse armors and helmets with Goguryeo’s southward conquest as a momentum.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harness of East and West Jin-Dynasty-16Guo Dynasty with that of the Three Kingdoms have suggested that applying chronology on the Goguryeo archaeology in which the GanJi (干支) script of cloud-pattern the roof-end tiles was from the first half of the 4th century, chronology on the Baekje archaeology in which the construction period of Garakdong Tomb No.2 were from the late 3rd century, and chronology on the Silla archaeology in which Hwangnamdaechong nambun was designated as the tomb of King Namul to the harnesses of Korea and China in those days, not only the history of ancient harnesses in East Asia, but also that of harnesses in the world should be written. But, applying chronology on the GanJi (干支) script of cloud-pattern the roof-end tiles from the late 4th century, on Garak-dong Tomb No.2 from the end of the 4th century, and on Hwangnamdaechong nambun designated as the tomb of King Nulji to chronology on the Chinese harness in East and West Jin Dynasty-16Guo Dynasty, there is almost no gap among them.

      • KCI등재

        반구대 암각화 편년에 대한 비판적 검토

        강봉원(Bong Won Kang) 한국상고사학회 2022 한국상고사학보 Vol.117 No.117

        본고는 반구대 암각화 제작 시기가 ‘청동기시대~초기철기시대’(BC 300-100 AD)라는 기존편년을 비판하고 ‘신석기시대’(대략 BC 4000-BC 3000)에 조성되었을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한것이다. 1980년에 도출된 반구대 암각화의 편년 안은 학계에서 대세를 이루고 있으며 적지 않은연구자들에 의해 여전히 지지를 받고 있다. 특히, 이 편년은 현금 고등학교 각종 국사 교과서에실려 있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 그간 이 암각화가 ‘신석기시대’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을시사하는 여러 가지 물증이 출토되었고 이를 토대로 다수의 연구자들이 기존 편년을 수정해야 한다는 주장을 해 오고 있다. 본고에서 반구대 암각화의 편년사를 일별하고 문제점을 검토하여 새로운 편년을 수립함에 있어 필요한 몇 가지 변수와 고고학적 맥락에 초점을 맞추었다. 첫째, 반구대 암각화에 새겨진 물상 판독과 그에 따른 고고학적 해석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둘째, 새 편년의 타당성을 입증하기위해 필요한 고고학적 맥락과 관련하여 반구대 암각화가 위치하고 있는 울산과 우리나라 동/남 해안지역에서 출토된 각 종 자연 및 인공 유물(예: 고래 뼈, 고래사냥 도구, 배와 노, 흑요석) 등을고고학적 맥락에서 검토하였다. 나아가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생업경제와 관련하여 각 시대의 패총 빈도수를 비교하여 보고 유물로써 수렵⋅어로 및 농경 관련 석재 도구 등 실증적인 자료를 토대로 반구대 암각화는 최초로 신석기시대에 제작되었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examine the chronology of the Bangudae petroglyphs established in 1980 and generate a new chronology. This paper argued that the chronology of the rock art should be dated to the ‘Neolithic.’ According to the old chronology of the Bangudae rock art formulated in 1980, the date ranges between the Korean Bronze and Early Iron Ages (BC 300-100 AD). This chronology is still playing a critical role in Korean archaeological and historical societies and supported by a number of rock art researchers. In particular, since the Korean National History text books are adopting the old chronology, almost all the Korean students have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it. In the mean time, various material evidence discovered at different archaeological sites suggests that the rock art may have been engraved much earlier than ‘the Bronze and Early Iron Ages.’ Based on newly collected materials, many researchers have been arguing that the rock art may have been manufactured during the Korean Neolithic (ca. 4000-3000 BC). This paper pointed out some problems that the old chronology has and focused on a few variables and archaeological context necessary to formulate a new chronology of the Bangudae petroglyphs. This pap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interpretation and appropriate archaeological explanation of the motifs in which we are interested. To testify the new date of the rock art, ecofact and artifacts such as whale bone, whaling gears, oceangoing vessels and oars, obsidian discovered in Ulsan and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were examined in conjunction with archaeological context. This paper focused on the subsistence patterns and frequency of shell midden of both the Neolithic and Bronze Ages, hunting-fishing and stone tools related to agricultural practices.

      • KCI등재

        小訥年譜와 小訥門人錄 -『先府君編年』 抄譯과 『紫巖契帖』 原文

        정석태 동양한문학회 2019 동양한문학연구 Vol.54 No.-

        This paper contains the selected translation of the Chronology of Sonul Rho Sang-Jik’s (1855–1931) Life and the original text of the Record of Sonul’s Students. The Chronology of Sonul’s Life was compiled by his son, Seongjae Rho Ga-Yong (1893–1940). It is assumed that after the death of Sonul, his son collected and compiled his father’s posthumous writings to publish them in 1932, and again planned to issue them as an appendix along with the funeral formulary. However, as things did not go smoothly as planned, there remains a manuscript with some of the revisions from its years and traces of history in a preceding column. This private collection consists of 39 pages, missing the records of “Peaceful Death” and “Mourning” at the end. Detailed annotations in double-columns are added to other parts of the text, which with its rich content, became a reliable reference of Sonul. The Record of Sonul’s Students is a list of novice students of Sonul from 1898 (Gwangmu, the reign of King Gojong), the year of the dog; two years after (Geonyang, the reign of King Gojong), he built and taught his students how to make a thatch house in Nogok, Miryang, and until 1931, the year of the goat when he passed away. Currently, the 42-page manuscript only has two copies available, which are owned by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his descendant Rho Gyu-Hyeon. There are a total of 807 people recorded in this work. Regionally, it reaches across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to Jeolla-do, Gyeonggi-do, Hwanghae Province, and Hamgyong Province. Before 1899, the year of the pig, it first recorded five people who became Sonul‘s students at a boot camp in Changnyeong, and they made their way to Miryang. Then, it documented the year and month of Buddhist rituals (or social gatherings), followed by the lists of participants of the events in the order of name, pen name, birth year, family clan, public post, and hometown. This list is a critical material that identified the size of Sonul‘s novice students, their regional distribu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The latter part of this paper contains the selected translation of the Chronology of Sonul’s Life (copy edition by Rho Gyu-Hyeon) and the original text of the Record of Sonul’s Students (owned by Rho Gyu-Hyeon). Moreover, the entire main body of the Chronology of Sonul’s Life was translated, and detailed annotations of each item for the main body are put in square brackets with adequate adjustment. For figures, pen name, name, and birth/death year are revealed; for writings, their titles are put in round brackets referring to literary works. Additional information is also written in round brackets. Furthermore, some parts that have been slightly supplemented in the main body of the Chronology. For the List of Sonul’s Students, its original text has been written with an AD in round brackets next to the sexagenary cycle of the year, while revealing one’s hometown. However, this has been omitted as it is the same information recorded before. At the end of the Chronology of Sonul’s Life, an account of Daenol Rho Sang-Ik (1849–1941) is added to promote understanding. 이것은 小訥 盧相稷(1855∼1931)의 年譜 『先府君編年』을 抄譯하고, 그 門人錄 『紫巖契帖』의 原文을 입력한 것이다. 소눌 노상직의 연보 『선부군편년』은 그의 아들 成齋 盧家容(1893∼1940)이 엮은 것이다. 소눌 노상직의 서거 후 그의 遺文을 수습해서 문집을 편찬하던 1932년경에 엮어서, 문집 발간 뒤에 다시 挽祭文 등과 함께 附錄으로 간행할 계획을 가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그러한 계획이 여의치 않았던지, 上欄에 年月과 事跡 등에 대한 수정사항 일부가 기록된 필사본의 상태로 남아 있다. 개인소장에 총 39장으로, 끝의 考終과 初喪 등을 기록한 부분이 缺落되었다. 연보 본문 항목 외에도, 필요한 경우 그 본문 항목에 雙行의 細註를 붙여 놓아, 현재 전하는 소눌 노상직에 대한 가장 내용이 풍부하고 신뢰할 만한 생애자료이다. 소눌 노상직의 문인록 『자암계첩』은 그가 1896년(고종건양1) 密陽 蘆谷에 紫巖草廬를 짓고 강학한 두 해 뒤인 1898년(고종광무2) 무술년부터 시작해서 그가 서거한 1931년 신미년까지 기록된 入門 제자들의 同講契帖이다. 필사본 총 42장으로, 부산대학교도서관 소장본과 소눌 노상직의 후손 盧圭鉉 소장본의 두 종이 현재 전한다. 入錄한 사람이 807인에 이르고, 지역적으로는 경상남도뿐만 아니라 경상북도 전역에 걸쳐 있으며, 전라도, 충청도, 경기도, 황해도, 함경도 등에까지 미쳐 있다. 1899년 기해년 앞에다 昌寧 克己齋에서 入門했다가 밀양까지 따라와서 수학한 5인을 먼저 적고, 이어서 講會(또는 契會) 일자의 연월을 밝혀서 적은 다음, 그 강회(또는 계회)에 참여한 사람을 姓名, 字, 生年, 本貫, 官職, 出身地를 순서대로 기록하였다. 소눌 노상직 門人의 규모와 지역적 분포, 문인 개개의 기본 인적사항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아래에서는 『선부군편년』(노규현 복사본)을 초역하고, 『자암계첩』(노규현 소장본)의 원문을 입력하였다. 먼저 『선부군편년』의 내용 중, 본문 항목은 전부 옮기고, 각 항목의 세주는 적절하게 가감해서 대괄호로 묶어 제시하였다. 인물의 경우 號와 姓名 및 生卒年을 밝히고, 저작의 경우 문집을 참조해서 그 제목을 밝혀서 소괄호로 묶어서 제시하였다. 또 필요한 보충설명도 소괄호로 묶어서 제시하였다. 이 외 연보 본문 항목 중 일부에는 약간 증보한 곳도 있다. 다음 『자암계첩』은 원문을 해당 연도 간지 다음에 서기만 소괄호에 넣어서 그대로 입력하되, 앞에 나온 인물과 동일하여 기록하지 않은 출신지 등은 밝혀서 적었다. 이와 함께 『선부군편년』 초역 뒤에 따로 大訥 盧相益(1849∼1941)의 略傳을 첨부해서 이해의 편의를 도왔다.

      • KCI등재후보

        춘추전국시대 《사기》 연표 수정에 관한 연구

        이시율(Siyul Lee) 바른역사학술원 2022 역사와융합 Vol.- No.11

        『사기』에 나오는 각종 「표」는 연구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기년이 서로 맞지 않아연구에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그래서 특히 오늘날 『중국역사기년표』에는 춘추시대 말부터 전국시대 초까지 『사기』 「표」나 「세가」편의 기년을 거의 인정하지 않고, 대부분 『죽서기년』의 기년을 적용하고 있다. 필자는 『사기』의 잘못된 기년을모두 자세히 고증하여 바로잡았으며 『중국역사기년표』와 대부분 일치하지만 다른 점도 약간 있다. 이 논문에서 그 모두를 자세히 제시하기엔 너무 길어서 벅차다. 따라서 여기서는 진(晉) 말기의 모습을 『사기』와 『죽서기년』을 바탕으로 하여고증한 것을 제시했다. 춘추시대 말부터 전국시대 초까지는 역사 기년에 너무도 많은 오류가 있다. 진(晉) 역시 마찬가지다. 그 중에서도 특히 마지막 두 군주 환공(桓公)과 정공(靜 公)의 기년과 몰년은 베일에 싸여있다. 필자는 『사기』와 『죽서기년』의 기록을 비교 고증하여 두 군주의 기년을 확정했으며, 아울러 두 군주 모두 한(韓)나라에서 시해했음을 밝혀냈다. 또 진(晉)은 마지막 군주 정공 2년인 서기전 369년에망했음을 정확히 밝혀냈다. 이는 사마천이 「육국연표」에서 적시한 것보다 7년, 「진세가」에서 적시한 것보다 5년 늦은 것이다. 물론 진나라를 나눈 조·위·한 세 나라 군주가 제후에 봉해진 서기전 403년에 실질적으로 망했다고 하면 간단하다. 하지만 춘추시대를 마감하고 전국시대를 여는 진나라의 마지막을 밝히는 것은 진나라에서 분기된 조·위·한 세 나라의 기년을 바로잡는데도 도움이 된다. 분명히 제시한다. 진나라는 서기전 369년에 망했으며, 그때는 정공 2년이다. 그 20년 뒤에 한나라에서 정공을 시해했다. 이전 군주 환공 역시 재위 18년에 한나라에서 시해했다. The various “tables” in Sagi do not match the basic age of the research, causing confusion “tables” in the research. Therefore, in particular, in today's Chinese History Year Table , almost no recognition of the year of Sagi “tables” or “Sega”, from the end of the Chunchu Period to the beginning of the Jeonguk Period, most of them apply the year of Year chronology of Jukseo . The author has corrected all the wrong years of Sagi in detail, and it is mostly consistent with Chinese History Year Table ,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t is too long to present all of them in detail in this paper. Therefore, here, I present the historical evidence of the end of the Jin(晉) period based on Sagi and Year chronology of Jukseo . From the end of the Chunchu Period to the beginning of the Jeonguk Period, there are too many errors in the historical chronology. The same goes for Jin. Among them, in particular, the years of the last two monarchs, HwanGong(桓公) and ZengGong(靜公), are veiled. The author confirmed the dates of the two monarchs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 records of Sagi and Year chronology of Jukseo , and also revealed that both monarchs were assassinated in the Han(韓) Dynasty. In addition, it was precisely revealed that Jin(晉) fell in 369 B.C., the 2nd year of the last monarch ZengGong. This is 7 years later than SamaCheon's stated in “The Six Dynasties Chronology” and 5years later than that stated in “Jinsega”. Of course, it is simple to say that the monarchs of the three Dynasties[Jo(趙), Wi(魏), Han(韓)] divided by the Jin dynasty were effectively fell in 403 B.C., when the monarchs of the three dynasties were sealed as margrave. However, revealing the end of the Jin Dynasty, which ended the Chunchu Period and ushered in the Jeonguk Period, also helps to correct the years of the three Dynasties[Jo(趙), Wi(魏), Han(韓)] divided from the Jin Dynasty. clearly present The Jin dynasty fell in 369 B.C, and it was the 2nd year of the reign of ZengGong. Twenty years later, was assassinated ZengGong in the Han Dynasty. The former monarch, HwanGong, was also assassinated in the Han Dynasty in the 18th year of his reign.

      • KCI등재

        연륜고고학적 연구에 있어 곰솔의 연륜으로 작성된 산소동위원소 시계열 그래프의활용 가능성 조사

        이재호,정현민,Masaki Sano,서정욱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3 보존과학회지 Vol.39 No.3

        연륜고고학의 주요 내용은 고목재에 있는 각각의 연륜에 정확한 연대를 부여하는 것이다. 각 연륜에 연도 부여가 가능한 것은 연륜폭으로 작성된 시계열 그래프(이하, 연륜폭연대기)의 패턴이 시기별로 독특하며, 동일 수종은 그 패턴을 공유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곰솔(Pinusthunbergii)은 다른 수종에 비해 연륜폭연대기 상호간 일치도가 낮아서 연대분석 활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연륜의 폭을 대신하여 산소동위원소로 작성된 시계열 그래프(이하, 산소동위원소연륜연대기)의 패턴을 이용하여 연대분석을 할 경우 성공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해안사구에서 생육하고 있는 곰솔 7본을 대상으로 연륜폭연대기와 산소동위원소연륜연대기를 작성하여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연륜폭연대기의 상호간 일치도는 통계적(t-value: 0.6~12.5 / G value: 38~70%)으로 큰 편차를 보여 연대분석 가능성에 한계를 나타냈다. 반면, 산소동위원소연륜연대기의 상호간 일치도는 통계적(t-value: 4.3~6.4 / G value:77~84%)으로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도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나타내 연대분석의 가능성이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연륜폭연대기로 연대분석이 어려운 곰솔로 제작된 목재유물의 경우 산소동위원소연륜연대기를 이용하여 연대분석을 수행한다면 성공 가능성이 크게향상됨이 확인되었다. The main content of dendroarchaeology is to assign the exact calendar year to each treering in archaeological wood. Each tree ring can be assigned a year because the pattern of ring-widthtime series (hereafter, ring-width chronology) is unique for each time period and the same tree speciesshare the pattern. However, the lack of agreement between ring-width chronologies of Pinus thunbergiicompared to other tree species makes it difficult to use the chronologies for dating. This study wasconducted to verify the dating possibility of archaeological woods using tree-ring δ18O time series(hereafter, tree-ring δ18O chronology) instead of ring-width chronology. For the study, 7 P. thunbergiiwere selected from coastal dunes, and the ring-width and tree-ring δ18O chronologies were compar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greement between ring-width chronologies were large statistical deviations(t-value: 0.6~12.5 / G value: 38~70%) as much as difficult for dating. On the other hand, the tree-ringδ 18O chronologies showed reliable agreement between them as statistically (t-value: 4.3~6.4 / G value:77~84%) and visually. Based on the results,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dating possibility ofarchaeological woods for P. thunbergii, which is a difficult tree species for dating in dendrochronology,can be greatly improved if the tree-ring δ18O chronology is applied.

      • 앗시리아의 유다 침공 연대 문제와 신학

        박신배(Shin Bae Park) 영남신학대학교 2008 신학과 목회 Vol.29 No.-

        This thesis is to study Chronology of Hezekiah reform, regnal time. It is difficult to fix a chronology of the Old Testament times. Historical Books is written by his period's scribal pattern, so to assume that period of Bible is not easy. Hezekiah's chronological problem is that when he is come to be king, Assyria Sennacherib invades Judah, and when he reforms cult practises, act a cult centralisation. Also Cult Centralisation is to be before or after the Assyria invasion. It is difficult to study Old Testament's chronology. To settle chronology is not easy, because it is written by the scribe style of Old Testament. Hezekiah period's time problem is that when Assyria invaded, Hezekiah came to be king, he reformed the religious, and made a cult centralization. The debate on the cult centralization appears in before or after the invasion. The conclusion comes that Historicity of Hezekiah's reform is questioned by chronology of Hezekiah. He governed from 715 to 686 B.C. It will be argued that Hezekiah many times performed the cult centralization, Whether the purpose of cult reform is political or religious is the problem. We insist to have duel purpose, cult centered both before and after the invasion. we seek to find the writing pattern of Dtr Books. That book's purpose is to reveal the theology of other nation's invasion. According to Deuteronomy theology, if the Torah was obeyed, then they were blessed. If not obeyed then invaded. But although the Torah was obeyed, invasion case is to save last, so Jerusalem everlasting tradition develops. This thesis clarifies that there is a Historicity of Hezekiah's period, the historical book of Old Testament is revealed by the theology of Dtr.

      • KCI등재

        한국고고학의 편년과 형태변이에 대한 인식

        김장석 한국상고사학회 2014 한국상고사학보 Vol.83 No.-

        Typological dating which identifies formal variability of archaeological data with biological evolution and filiationism which assumes link between formal variability and ethnic difference have different assumptions and logic, but the two are closely interrelated in Korean archaeology. Cross dating has been used as a method for connecting the two, and with a major premise of cultural diffusion from the north to the south, it has usually been applied to dating the appearance of new cultural elements or change in material culture. It has also provided logic to temporal arrangement of types. This paper reviews how this unique situation has appeared in Korean archaeology, and analyzes logical structure of current chronologies. By so doing, this paper points out that debates on chronology in Korea is related with different understandings of formal variability and critically considers consequent possibility of logical fallacy and contradictions. A review of Korean chronology reveals that although all chronologies should be taken as hypotheses, many of current chronologies of Korean archaeology have not been tested. It is suggested that re-analysis of current chronologies, use of stratigraphy, and relevant application of radiocarbon dates be employed as testing methods. 고고학 자료의 형태변이를 생물진화적으로 파악하는 형식학적 편년법과 집단이나 계통차이로 파악하는 계통론은 서로 다른 전제를 가지고 있지만, 한국의 고고학에서 양자는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다. 한국고고학에서 양자를 잇는 연결고리는 교차편년인데, 북에서 남으로 문화가 전파되었다는 대전제 하에서 교차편년은 한반도 내 새로운 문화요소의 출현이나 물질문화의 변동의 시점을 결정하는 수단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형식학적 배열의 순서를 정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독특한 양상이 한국고고학에서 나타나게 되는 과정을 학사적으로 고찰하고, 현재 통용되고 있는 편년안의 논리구조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한국고고학에서 편년에 관한 논쟁은 편년방법론 자체보다는 형태변이를 어떻게 이해하는가에 대한 시각 차이와 관련이 깊다는 점을 지적하고, 이에 따른 오류나 모순의 가능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특히, 교차편년과 표지유물 설정이 남발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지적한다. 마지막으로, 상대편년은 사실이 아니라 하나의 가설로 받아들여질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상대편년안 중 상당수는 검증을 거치지 않은 채 통용되고 있다는 문제를 지적하고, 기존 편년안의 논리구조에 대한 면밀한 재검토, 층서법의 활용, 탄소연대의 적절한 활용이 검증방법으로 채택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