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유주제 : 표현예술로서의 무용과 문학의 통합적 연구

        서숙희 ( Suk Hui Seo ),신수연 ( Soo Youn Shin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8

        문학과 무용의 통합적 심리치료 분야는 표현예술치료 기법으로 새로운 개척분야이다. 개별적 장르별 예술치료 연구는 그 동안 임상연구에서도 상당한 실적이 있었으나, 두 장르에 대한 통합적 학제간 연구는 부각되지 못했다. 본고는 ``인간중심 표현예술치료``를 근본으로 삼고 ``긍정적 개념의 심리치료 기법``으로서 창조적 예술과 치료적 작업을 통합한 무용심리치료와 문학심리치료의 통합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표현예술치료에는 무용치료, 미술치료, 음악치료, 연극치료, 글쓰기(시. 편지, 수필 등), 시낭송 이미지를 포함한 모든 예술형태가 가능하기에 각종 예술의 종합적 활용으로 심리치료의 효과는 극대화 될 수 있다. 개인의 창조성을 일깨우는 표현예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치료는 내적 갈등을 해소하고 정서적 치료의 촉진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무용심리치료는 외형적 표출의 해소방법으로써, 문학심리치료는 내면적 고백의 해방감의 도구로써 효과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무용심리치료의 방법인 춤-동작을 통하여 자아를 되찾을 수 있고, 문학심리치료의 방법인 글쓰기를 통한 내면의 자아인식을 각성해 나갈 수 있다. 글쓰기와 동시에 책읽기는 스스로 그 주인공에 동질화 되어감으로써 현실을 인식할 수 있고, 극복과정에 자극을 줌으로써 각성 효과를 낳게 한다.무용과 문학, 그 통합적 표현예술치료의 대안으로 ``긍정적 심리치료``기법의 적용은 내담자들을 위한 또 하나의 치료적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예술치료의 학제간 접근방법은 이제 폭넓게 응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그 동안 단편적으로만 실시해 오던 심리치료 문제는 각 장르별 예술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보다 다양해 질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심층적으로도 확대 및 재생산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최근에 사회복지 차원에서 대중화 되고 있는 MTBT, 또는 NLP의 메커니즘도 활용한다면 그 효과를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최종적으로 이 논문의 한계로는 이러한 이론적 접근방법이 실제적으로 응용될 때 예상되는 일정 시행착오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임상실험을 거친다면 충분히 발전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 As a expressive arts therapy, combination of literature and dance as a field of integrative psychotherapy is an entirely new frontier. Individual art therapy in clinical studies to study each of literature and dance were conducted before, but for the interdisciplinary study of two genres rarely. This work aims to study the positive idea of psychotherapy in each dance psychotherapy and literature psychotherapy based on human-centered expressive arts therapy by Natalie Rogers. Creative arts and treatment operations will be integrated. Expressive arts therapy includes; dance therapy, art therapy. Music therapy, Writing, short drama ect. It is more efficient by mobilizing the various art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expressive arts can be used to resolve inner conflicts, and to awaken individual creativity. Dance psychotherapy can be used for the outward expression of depression and literature psychotherapy can be used as a instrument to release inner consciousness of redemption. dance psychotherapy is searching oneself through dance-like motion and writing is exploring the inner self-awareness through writing. It helps patient to overcome difficulties in reality by being somebody in the story. Integrated treatment of literature, dance and expressive arts as a ``positive psychological treatment`` technique is another therapeutic program for clients (patients). This kind of Art Therapy should be widely applied now. Dance psychotherapy can be used for the outward expression and literature psychotherapy can be used as a way to relieve the inner consciousness of redemption. In addition, theater, art, music and other arts fighters along with psychotherapy may be more effective. As well as the mechanism of NLP will be more effectiv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expected some trial. Via ongoing clinical trials will be followed by the development. In the meantime, if various genre of artists joins combined arts therapy of dance and literature, it would make even more diverse and expanded reproduction of therapy.

      • KCI등재

        표현예술로서의 무용과 문학의 통합적 연구

        서숙희,신수연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8

        As a expressive arts therapy, combination of literature and dance as a field of integrative psychotherapy is an entirely new frontier. Individual art therapy in clinical studies to study each of literature and dance were conducted before, but for the interdisciplinary study of two genres rarely. This work aims to study the positive idea of psychotherapy in each dance psychotherapy and literature psychotherapy based on human-centered expressive arts therapy by Natalie Rogers. Creative arts and treatment operations will be integrated. Expressive arts therapy includes; dance therapy, art therapy. Music therapy, Writing, short drama ect. It is more efficient by mobilizing the various art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expressive arts can be used to resolve inner conflicts, and to awaken individual creativity. Dance psychotherapy can be used for the outward expression of depression and literature psychotherapy can be used as a instrument to release inner consciousness of redemption. dance psychotherapy is searching oneself through dance-like motion and writing is exploring the inner self-awareness through writing. It helps patient to overcome difficulties in reality by being somebody in the story. Integrated treatment of literature, dance and expressive arts as a 'positive psychological treatment' technique is another therapeutic program for clients (patients). This kind of Art Therapy should be widely applied now. Dance psychotherapy can be used for the outward expression and literature psychotherapy can be used as a way to relieve the inner consciousness of redemption. In addition, theater, art, music and other arts fighters along with psychotherapy may be more effective. As well as the mechanism of NLP will be more effectiv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expected some trial. Via ongoing clinical trials will be followed by the development. In the meantime, if various genre of artists joins combined arts therapy of dance and literature, it would make even more diverse and expanded reproduction of therapy. 문학과 무용의 통합적 심리치료 분야는 표현예술치료 기법으로 새로운 개척분야이다. 개별적 장르별 예술치료 연구는 그 동안 임상연구에서도 상당한 실적이 있었으나, 두 장르에 대한 통합적 학제간 연구는 부각되지 못했다. 본고는 ‘인간중심 표현예술치료’를 근본으로 삼고 ‘긍정적 개념의 심리치료 기법’으로서 창조적 예술과 치료적 작업을 통합한 무용심리치료와 문학심리치료의 통합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표현예술치료에는 무용치료, 미술치료, 음악치료, 연극치료, 글쓰기(시. 편지, 수필 등), 시낭송 이미지를 포함한 모든 예술형태가 가능하기에 각종 예술의 종합적 활용으로 심리치료의 효과는 극대화 될 수 있다. 개인의 창조성을 일깨우는 표현예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치료는 내적 갈등을 해소하고 정서적 치료의 촉진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무용심리치료는 외형적 표출의 해소방법으로써, 문학심리치료는 내면적 고백의 해방감의 도구로써 효과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무용심리치료의 방법인 춤-동작을 통하여 자아를 되찾을 수 있고, 문학심리치료의 방법인 글쓰기를 통한 내면의 자아인식을 각성해 나갈 수 있다. 글쓰기와 동시에 책읽기는 스스로 그 주인공에 동질화 되어감으로써 현실을 인식할 수 있고, 극복과정에 자극을 줌으로써 각성 효과를 낳게 한다. 무용과 문학, 그 통합적 표현예술치료의 대안으로 ‘긍정적 심리치료’ 기법의 적용은 내담자들을 위한 또 하나의 치료적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예술치료의 학제간 접근방법은 이제 폭넓게 응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그 동안 단편적으로만 실시해 오던 심리치료 문제는 각 장르별 예술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보다 다양해 질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심층적으로도 확대 및 재생산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최근에 사회복지 차원에서 대중화 되고 있는 MTBT, 또는 NLP의 메커니즘도 활용한다면 그 효과를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최종적으로 이 논문의 한계로는 이러한 이론적 접근방법이 실제적으로 응용될 때 예상되는 일정 시행착오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임상실험을 거친다면 충분히 발전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학교폭력 가해자 대상 예술치료 중심의 연구동향 분석

        이에스더,김나경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9 음악교육공학 Vol.0 No.3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in Korea concerning studies on arts therapy for offenders of school violence. Of a total of 219 studies of which 121 were academic papers and 98 were theses studying offenders of school violence over the past decade from 2009 to 2018, 26 studies on arts therapy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The detailed categories of arts therapy were divided into the six categories of music therapy, visual arts therapy, dance/movement therapy, film therapy, theater therapy and literature therapy. The studies were analyzed into a total of seven types based on study fields (subjects), year, study participants, areas within arts therapy, the design and methodology of the study, analysis realted to implementation of programs, use of media in arts therapy and study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arts therapy studies were actively conducted from 2013 to 2015, with middle school students being the most frequent subjects. In terms of detailed study fields, visual arts therapy was the most frequent. in terms of study design and methodology, a mixed study method with an experiment group and a control group, was most often used. In terms of programs, those lasting 30-90 minutes for more than 10 sessions, with two sessions per week, were the most common. In terms of media used in arts therapy, mandala, collage, singing, musical instrument playing and spontaneous music playing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as a supplement material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o reduce major sympto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study on offenders of school violence, there needs to be more varied therapies used in addition to visual arts therapy. Second, a wide variety of designs, methodology and media need to be applied. Third,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conducted on children. Lastly, in terms of the detailed field of arts therapy, therapy media in each field should become more vari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가해자 대상 예술치료 중심의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학교폭력 가해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된 학술지 121편과 학위논문 98편의 총 219편 중에서, 예술치료 연구 총 26편을 추출하여 본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예술치료의 세부영역은 음악치료, 미술치료, 무용/동작치료, 영화치료, 연극치료, 문학치료의 6개로 분류하여 연구영역(교과)비교, 연도, 연구대상, 예술치료 내 영역, 연구 설계 및 방법, 프로그램 실행 관련 분석, 예술치료 활용매체 및 연구결과 분석에 의한 전체 7개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내용분석의 결과 예술치료 연구는 2013년에서 2015년에 걸쳐 활발히 연구되었으며, 중학생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세부영역에서는 미술치료가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연구 설계 및 방법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한 혼합연구방법을 주로 사용되었다. 예술치료 프로그램 실행 관련 분석에서는 주 2회 10회기 이상 30~90분 이상의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다. 예술치료 매체에서는 만다라, 꼴라주, 노래 부르기, 악기연주, 즉흥연주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그 결과 대상군의 특성을 파악하는 보조 자료로써 활용가능성과 주요증상 감소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최종결과는 첫째, 학교폭력 가해자 대상 연구에서 예술치료 내 미술치료 외 다른 영역의 치료가 보다 더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으며, 둘째, 다양한 연구 설계 및 방법과 매체의 적용이 필요하며, 셋째, 학교폭력 대상군의 연구에서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아질 필요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예술치료 세부 영역 내에서는 각 분야의 치료 매체 활용이 더 다양화되어져야 한다.

      • 예술치료교육의 개념과 방향에 대한 담론

        김성애(Sung Ae Kim)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15 예술과 인간 Vol.1 No.1

        예술치료교육이 한국인에게 왜 필요한가? 이 물음을 뒤집어 보면 예술치료교육이 한국인에게 꼭 필요하다는 말이다. 이 질문에는 에술치료교육이 가야 하는 방향이 이 시대의 한국인에게 꼭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한다는 요구도 들어 있다. 최근 들어 한국인은 여러 가지 고통과 충격의 도가니에 휘말려 있다. 세월호 침몰과 같은 각종 안전사고, 가난, 실직 등이 원인이 되어 세상을 등진 사람들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극심한 상실감을 앓고 있다. 또한 인터넷, 게임중독, 각종 통신 기기와의 만남으로 많은 한국인이 실존적 혼자상태에 놓였다. 여기에다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생물학적으로 다르다는 이유로 그들의 사회적인 불이익과 소외감은 항상 있어왔다. 그래서 예술치료교육은 일시적으로든지 만성적으로든지 사회로부터 배제되고 불편함을 감수하여 자신의 인생을 살아가야 하는 한국인을 건강하게 할 에너지로 작용해야 할 역학을 감당해야 한다. 예술치료교육이 한국인에게 필요한 또 다른 이유는 그 안에 창의적인 인간을 기를 수 있는 엔지가 있기 때문이다. 지금의 시대는 포스트모던 사회가 주류를 이룬다. 이 사회는 창의적인 인간을 필요로 한다. 예술치료교육은 한국인에게 창의력을 가져다준다. 예술치료교육이 이토록 중요할 진데, 예술치료교육의 개념이 어떻게 정의되어야 하며 그 실행 방향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담론할 필요가 있다. 치료는 교육이어야 하고 교육은 곧 예술이어야 한다. 그렇다면, 예술치료교육은 예술 그 자체이다. 그 예술은 치료와 교육의 개념적 차원에서의 예술이고, 치료와 교육의 실천 차원에서의 예술이다. 즉, 예술치료교육은 행동을 통한 예술적 표현이요, 창의적인 인간을 육성하는 교육적 목표를 가지는 것이요, 인간의 가능성을 의학적인 진단과 처방이 아닌 교육으로 치료적 결과를 얻는 것이다. 예술치료교육은 의학적인 치료가 아니라 예술 그 자체요, 교육적인 본질을 추구한다. 예술치료교육의 대상자들은 의학적인 손상이나 질병 등의 개념 차원으로 이해되고 지원되어서는 안 된다. 그러면 예술치료교육은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그 철학을 어떻게 소화할 것인가? 어떤 방안이 활용되어야 하는가? 등에 관한 해답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실제와 소통을 통해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은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가 당면한 과제가될 것이다. 위의 관점을 가진 예술치료교육과 그 운영자인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Why is the art therapy needed or Korean? Reverse this question, then the question will state that the art therapy is needs for Korean, The question also includes the demand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art therapy education should contain necessary contents for Korean people of the hour. Recently, People in Korea are in shock and racked with pain by a wide range of social problems such as safety concerns like ferry Sewol disaster, poverty and unemployment. The social problems directly-indirectly impact on people`s emotion that would be fallen into extreme sense of loss. In addition, using internet, doing internet game and using other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isolate people from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people with disabilities already have been isolated from communities and have been faced social disadvantages because of their biological differences. Thus, the art therapy education should take on a role in supporting positive energy for Korean people to overcome social disadvantages and exclusion from their society. One other reason that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needed for Korean is, there is energy which can raise creative human beings. This time, post-modern society is the mainstream society. The society needs creative people. The art therapy education develops people`s creativities. How important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Thus, the concept and the direction of the art therapy should be discussed. Therapy must be education and the education must be art. Accordingly,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art`s self. The art is not only the conceptual dimension of therapy and education but also the practical dimension of therapy and education. In other world,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the artistic presentation through actions, aims to raise creative human beings, and obtains therapeutic results by educations rather than medical diagnosis and prescription. The art therapy education is not medical therapy but the art`s self and it pursues educational essentiality. Thus, the subjects of the art therapy education should not be neither supported nor understood as medical disease and/or impairment. Then, how to practice the art therapy education? How to put its philosophy into practice? What kinds of methods will be used? Theses questions should be answered in future research and discussion on the art therapy education and these will be the tasks that the society of the art therapy education faced on.

      • KCI등재

        한국 미술치료학 분야의 지적 구조 분석 -저자동시인용분석을 중심으로-

        김희진 한국미술치료학회 2012 美術治療硏究 Vol.19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not only the traditional intellectual structure and a key researcher, who is recently active in the research activity, and is further to understand the transitional process of research topic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times, through the author co-citation analysis. The analytical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sed 431 theses, which were recorded from 1994(Vol. 1 No. 1) to 2011(Vol. 18 No. 53) for the first issue of『Research of Art Therapy』in 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 79 theses, which were recorded in『Journal for Korea Arts Therapy Institute』of Korea Arts Therapy Institute, additionally 292 theses, which were recorded as art therapy in the registered journal(registered candidate included) for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3,856 quoted documents. An analytical method was selected the core authors with high citation frequency through citation data. It coupled the pair in authors after selecting the core author, thereby having prepared the author co-citation frequency matrix and th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atrix. To closely examine the author-based relationship and the research theme, the author cluster was visualized with author map by using cluster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The conclusions, which were obtain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ndency of intellectual structure in the current art therapy was indicated the tendency of intellectual structure with the therapy process performance, the therapy performance, case study & theme research, and personality & adjustment research. Second, with regard to the research theme of art therapy, the research activity, which is performed centering on the therapy process performance and the specific theme research in the period before 2000 and on 'therapy performance research' in the period after 2000, according to historical interest and flow, was changed into ‘personality characteristic & adjustment research' and 'case study' in addition to 'therapy performance research' and ‘special theme research.' 본 연구는 저자동시인용분석을 통해 미술치료학의 지적 구조를 밝힘으로써 미술치료학의 핵심저자, 연구주제 분야와 세부 연구주제 분야를 파악하고 미술치료학의 시대 변화에 따른 연구주제의 변천과정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한국미술치료학회『미술치료연구』에 게재된 논문 431편과 한국예술치료학회『한국예술치료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79편, 그 외 한국연구재단의 등재학술지(등재후보 포함)에 미술치료로 게재된 논문과 참고문헌의 서지사항이며 인용데이터 3,856편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인용데이터를 통해 피인용 빈도가 높은 핵심저자를 선정한 후 저자들의 짝을 결합해 저자동시인용빈도 행렬과 피어슨 상관계수 행렬을 작성하였다. 저자들 사이의 관계와 연구주제를 규명하기 위해 군집분석과 다차원척도분석을 이용하여 저자 군집을 저자 지도로 시각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미술치료학의 지적 구조 경향은 치료과정 및 성과연구, 사례연구, 치료과정연구, 치료성과연구 분야로 지적 구조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학의 연구주제는 시대적 관심과 흐름에 따라 2000년 이전의 시기는 치료과정연구와 치료과정 및 성과연구가, 2000년 이후의 시기는 치료과정 및 성과연구와 치료성과연구, 사례연구로 변화되었다.

      • KCI등재

        외현적 자기애성향 청소년의 대인관계 향상과학습태도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박재신,김갑숙 한국미술치료학회 2013 美術治療硏究 Vol.20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improv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tudy attitudes of adolescents with overt narcissism. The study participant, a 19 year-old male adolescent living in an urban setting, received a 29 session art therapy program from June, 2011 until December, 2011. The therapy ran once a week, each session 100 minutes long. The participant was administered an overt narcissism scale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and at a follow-up evaluation. In addition, the participant answered 5 question item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5 question items of study attitude before and after art therapy. The answers to 5 item question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5 item questions of study attitude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art therapy to detect any cognitive change. The participant and his parents analyzed and scored the behavior and sentiment of each item before and after art therapy, and at a follow-up evaluation. Firstly, the study found that art therapy improve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participant. As the overt narcissism reduced, positive change was found in the participant's sentiment and behavior in hi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condly, the study found that art therapy improved the study attitudes of the participant. As the dysfunctional feelings of narcissism reduced, the participant became active in changing his behavio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tudy attitudes of the participant.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외현적 자기애성향 청소년의 대인관계 향상과 학습태도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청소년은 ○○도 K시에 거주하고 있는 외현적 자기애성향 19세 남자 청소년이며 대인관계 향상과 학습태도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를 2011년 6월부터 12월까지 7개월 간 총 29회기에 걸쳐 주 1회 100분씩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외현적 자기애 척도검사를 사전․사후․추후에 실시하였고, 대인관계 5문항과 학습태도 5문항의 인지적 변화과정을 사전․사후에 비교하여 제시하면서 각 문항의 구체적인 정서 및 행동을 본인과 부모가 사전․사후․추후에 평가하여 점수로 나타내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외현적 자기애성향 청소년의 대인관계를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외현적 자기애 성향이 감소되면서 대인관계 문제의 구체적인 정서 및 행동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여 향상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가 외현적 자기애성향 청소년의 학습태도를 개선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애의 역기능적인 감정이 수정되면서 학습태도의 구체적 정서 및 행동이 개선되어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미술치료가 외현적 자기애성향 청소년의 대인관계 향상과 학습태도를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으로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우리나라 미술치료(학)의 학문적 정체성 논고

        조용태 한국미술치료학회 2014 美術治療硏究 Vol.21 No.6

        연구는 우리나라 미술치료(학)의 학문적 정체성 확보를 위해서 학문 정치의 요건을 탐구하고, 그것을 근거로 학문적 정체성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미술치료(학)의 연구대상의 고유성 설정 여부, 연구방법론 확보 여부, 독자적인 지식체계를 통한 학적 체계가 무엇인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학)의 연구대상을 치료대상, 치료방법, 치료효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중심적인 치료대상은 재활학, 특수교육학, 의학, 병리학, 심리학 등에서도 동일하게 다루고 있어서 독자적인 연구대상을 설정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치료방법과 효과에서 미술치료 매체와 활동유형과 치료효과 간의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다양한 연구접근과 연구방법, 연구설계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자신의 연구목적을 가장 충실하게 담아내는 연구방법 즉, 다양한 범위의 연구방법론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재 우리나라 미술치료(학)은 심리학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미술치료(학)은 상담과 심리치료 이론의 보다 엄밀한 해석을 기반으로, 미술(학)의 방법과 매체의 정확한 이해에 연계된 논리적이고 체계적인 학(學)적 탐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d and investigated a scholastic factors for establishing to scholastic identity and to looked at a form of scholastic identity of art therapy(or studies)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was discussed and explored the unique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ologies, and knowledge systems of art therapy(studies) in Korea.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study issues of art therapy(or studies) are therapeutic subjects, therapeutic methods or techniques, and therapeutic effects. As a result of, critically, therapeutic subjects are the same as therapeutic subjects of disciplinary such as rehabilitation, medical science, special education, pathology, and psychology. And, did not revealed a clear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apeutic method or technique and therapeutic effect. In particular, it does not provide a clear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apeutic activity and the type of material used in art therapy and therapeutic effect. Second, the research method that is most faithful to put their research goal based on the accurate understanding on the variety of research approach,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design. You do need to select a wide range of research methodologies, including different model, such as the arts-based research and action research approach that can be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mixed research approach. Third, now you can see that art therapy in Korea is based on psychology. However, art therapy(or studies) should be based on more rigorous analysis of the theory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in a state that is based on the theory can be disuse and unscientific. And linked to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how the medium of art studies and a logical and systematic exploration will be carried out the scholastic investigation.

      • KCI등재

        인터넷 과의존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김선주(SunJoo Kim),김선희(Sunhee K.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과의존 중학생이 집단미술치료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 A, B 중학교에서 11회기 집단미술치료를 경험한 인터넷 과의존 중학생 12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집단미술치료는 A학교 2019년 4월부터 7월까지, B학교 2019년 11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주 1-2회, 회기 당 90분 씩 총 11회로 진행되었다. 연구자는 11회기 종결 후 일주일 뒤에 참여자에게 1회 사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Glaser와 Strauss(1967)의 반복적 비교 분석 방법에 근거하여 총 5개의 상위범주와 총 14개의 하위범주로 분류되었다. 집단미술치료 경험의 상위범주는 <집단미술치료 회기에 점진적으로 적응함>,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미술에 대한 인식이 변화됨>, <나의 모습과 감정을 마주함>, <연구자와 참여자간 소통을 통해 관계망이 확장됨>, <다각적인 자신의 모습을 수용함>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집단미술치료 효과성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여 참여자들의 주관적인 집단미술치료 경험을 다루고 점진적인 변화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at Internet-dependent middle school students experience in group art therapy. For this purpose, 12 Internet-dependent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the 11 rounds of group art therapy at A and B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and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applied. Group art therapy sessions were held from April to July 2019 at school A and from November 2019 to January 2020 at school B, for a total of 11 sessions, 90 minutes per session. The researcher conducted one post-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a week after the end of the 11th session. Based on Glaser and Strauss (1967), it was classified into a total of five upper categories and a total of 14 sub-categories. The top categories of group art therapy experiences are Gradually Adapted to the Session of Group Art Therapy , Perceptions on Art Change through Group Art Therapy , Facing Myself and Emotions , The Network of Relationships Expands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Researchers and Participants , and Accepting Multi-dimensional Being of Me .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address participants subjective group art therapy experiences and understand the progressive process of change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group art therapy effectiveness studies with teenagers with Internet addiction.

      • KCI등재

        「미술치료 연구」에 게재된 장애아동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고찰

        김향지,이근매 한국미술치료학회 2008 美術治療硏究 Vol.15 No.1

        In this study, among the theses appeared from 1994 to 2006 when ‘Korean Journal Art Therapy’, for the 69 theses related to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rough analysis about study contents and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ways of the study of the art therapy for special needs children. The conclusion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the reported trend of the study according to each year of publication, the average publishing rate from 1994 to 2006 is 25%. Second, in the trend by study subject related to each year of publication, there were the most studies related to behavior problems, emotion and psychological areas of the children, and the studies related to systems, policies, recognition and perception appeared low. This result is considered giving the help finding effectiveness of the art therapy about the special needs children, it requires constant seeking for study activities of wide range. Third, if we see the trend of the children for the study according to each year of publication, it showed that the study related to the special needs children who have problems in the development of intelligence, emotion and behavior occupied 66%. This result is assumed that its application about the special needs children in sensitivity is not easy considering characteristic of the area, the art. Fourth, if we see the trend of study patterns according to each year of publication, case studies occupy 63% of the whole study. This is thought as needing various attempts by study patterns applying art activities in the study related to the special needs children later on. 본 연구는 한국미술치료학회 발행 학술지인 ‘미술치료 연구’에 게재된 논문 가운데 1994〜2006년까지 장애아동 관련 69편의 논문들을 양적 분석을 통하여 장애아동 미술치료 연구의 발전적 방향과 질적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연도별 게재율,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에 대한 동향을 빈도, 백분율에 의한 기술적 통계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에 따른 게재 동향은 평균 게재율이 25%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연도별 연구주제의 동향은 아동의 행동문제와 정서 및 심리영역 관련 연구들이 가장 많았고, 제도 및 정책, 인식 및 지각 관련 연구는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장애아동 미술치료에 대한 접근의 효율성을 찾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연구주제의 다양화에 대한 필요성을 의미한다. 셋째, 연도별 연구대상아동의 동향을 보면 지적 및 정서‧행동발달 장애아동 관련 연구가 66%로 나타났다. 이것은 미술이라는 분야의 특성 상 감각장애아동에 대한 적용이 쉽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넷째, 연도별 연구유형의 동향을 보면 사례연구가 전체 연구의 63%를 차지한다. 이것은 추후 장애아동 관련 연구에서 미술활동을 적용한 연구유형 및 설계의 다양화된 시도가 있어야 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 미술치료학의 특수성과 연구방법론

        張蓮集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2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2 No.1

        Art therapy is a relatively new realm of study that combines arts and psychotherapy in social science. It is very important to find an appropriate research methodology that would give art therapy a strong theoretical base in acadernic world. The research in art therapy has its own uniqueness acadernically, clinically, and artistically. However, it has been lirnited by conducting more quantitative researches than qualitative ones. It seems more appropriate to apply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in art therapy at this point to broaden the realm of art therapy, especially for research purposes. By conducting more qualitative researches in art therapy, it will conσibute not only to broaden the specialty of art therapy itself, but also to expedite close interactions with any other related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