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제향 전승 구조와 현황 -9개 서원 홀기 비교・검토를 중심으로-

        한재훈 한국서원학회 2023 한국서원학보 Vol.17 No.-

        Sacrificial rite of Seo-won base on Seok-jeon(釋奠) was held in the government school such as Hyang-gyo and imitate it, but drew a sharp distinction about the subject, the scale and the ritual. Especially, it strongly reflected the sense of authenticity lineage(道統) when select the subject, but it adopted relatively small scale and simple ritual. These characteristics of sacrificial rite of Seo-won outstandingly appeared in the Joseon Dynasty: So-su-seo-won(紹修書院), Nam-gye-seo-won(灆溪書院), Ok-san-seo-won(玉山書院), Do-san-seo-won(陶山書院), Pil-Am-seo-won(筆巖書院), Do-dong-seo-won(道東書院), Byeong-san-seo-won(屛山書院), Mu-seong-seo-won(武城書院), Don-am-seo-won(遯巖書院). Toe-gye Yi-hwang laid the groundwork for sacrificial rite of Seo-won in the Joseon Dynasty by making extensive retouching the sacrificial rite of Baekwoondong-seo-won was established by Sin-jae Joo-seboong. Since then, acrificial Rite of Seo-won in the Joseon Dynasty has developed through inheritance and criticism about this Toe-gye’s work. Joseon Dynasty Seo-won was under tension and worry to set own stature in the middle of Hyang-gyo(鄕校) which is the government school and Hyang-sa(鄕祠) which is the town shrine. And it could form unique ritual style of sacrificial rite of Joseon Dynasty Seo-won through these tension and worry. This study is designed in order to identify empirically that sacrificial rite of Seo-won how to development in Joseon Dynasty by comparison the Nine representative Seo-won in Joseon Dynasty. Specific rituals are difference between the Nine Seo-won, if it includes the other Seo-wons, the difference is more. However the existence of this difference itself shows that various academic communities autonomously established through the process of distress and debate. Sacrificial rite of Seo-won in Joseon Dynasty maintained general similarity, but also maintained negligible differences, it represents diversity of Seo-won culture in in Joseon Dynasty. 한국 서원의 향사는 국학(國學) 즉, 성균관이나 향교에서 봉행하는 석전(釋奠) 을 기준으로 삼아 모방하면서도, 그 대상과 규모 그리고 의식절차 등에서는 융쇄(隆殺)의 차등을 견지한다. 서원 관련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한 퇴계 이황은 신재주세붕이 제정한 백운동서원의 향사례에 대폭 수정을 가함으로써 조선시대 서원향사례의 초석을 다지게 된다. 특히 제품의 진설과 의절의 진행과 관련하여 중요한표준을 제시하였고, 제관의 구분과 수행조건 등에 대해서도 기준을 제공했다. 이후한국의 서원 향사례는 이러한 퇴계의 작업 결과물을 기준으로 삼아 계승과 비판그리고 조정의 과정을 거치면서 발전해갔다. 한국의 서원은 자신의 위상을 국학(國學)과 향사(鄕祠)의 중간에 설정하려는 의식을 강하게 보여준다. 특히 서원의 향사례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향교의 석전을 참고하면서도 융쇄의 차등을 견지하려고 긴장했다. 이러한 긴장과 고민의 과정을 통해 조선시대 서원들은 한국적 서원 향사례를 조성해나갔다. 현존하는 서원들 중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9개 서원(소수서원・남계서원・옥산서원・도산서원・필암서원・도동서원・병산서원・무성서원・돈암서원)의 향사례를 ‘홀기(笏記)’의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비교·검토함으로써 한국의 서원향사례가 어떻게 진행되고 전승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구체적인 항목들의 경우 9개 서원들 간에도 차이가 있고, 이외의 서원들까지 포함한다면 훨씬 다양한 차이들이 존재할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서원의 향사례를 국가적 차원에서 규정하여 제공했던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학문공동체가 자율적으로 고민과 토론의 과정을 통해 정립해 나갔음을 보여준다. 한국의 서원 향사례가 대동(大同)을 유지하면서도 소이(小異) 또한 존속케 했던 것이 이를 대변한다.

      • KCI등재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제향의례와 지속・발전을 위한 방안 제안

        이해준 한국서원학회 2023 한국서원학보 Vol.17 No.-

        We would like to explore and propose measures to foster the cultural heritage valu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4,500-year-old Seowon memorial rites of “Seowon in Korea.” Although the private Confucian academy system (Seowon) originated in China, the Korean academy system maintains a unique tradition of “ancestral rites,” which differs from the Chinese academy system that is centered on “semi-style lectures.” A Korean Seowon was a space where a symbolic ancient sage, who was worshipped by each Seowon, was selected as a mentor and revered through ancestral rites. In addition to its role in ancestral rites, it was a space where some of the high class talented persons made contact and interact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Korea is the only place where the Seowon memorial rites are practiced unchanged, and the Korean Seowon memorial rites can be said to be the most completely reproduced Confucian-style memorial rites in the world. The memorial rites of the “Korean Seowons,” collectively designated as World Heritage Sites, have been practiced by descendants and local Confucian scholars in the nine Seowons, and have sufficient historical, academic, and artistic value to constitute intangible heritage. Therefore, we would like to designate the “Korean Seowon” memorial rites, protected under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as a nationally designated intangible heritage by preserving their original form, redefining their value, and establishing a transmission system for them. ‘한국의 서원’이 지닌 4-500년 전통의 서원 제향의례의 문화유산적 가치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 제안해 보고자 한다. 서원제도는 중국에서 비롯되었지만 중국 서원이 ‘강학(講學)’ 위주인데 반하여, 한국의 서원은 독특한 ‘제향(祭享)’의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는 특성이 있다. 한국의서원은 서원별로 추앙하는 상징적인 선현을 선정하여 사상적 멘토를 삼고 그를 추숭하고 제향 하는 공간이었다. 그리고 제향과 함께 고급 인재들이 수시로 출입하고접촉, 교류했던 거점 공간이었던 것이다. 또한 서원의 제향의례가 온전하게 남아 시행되는 경우는 한국뿐으로, 한국의 서원 제향의례는 세계에서 가장 완비된 형태로 재현되는 유교식 제향 의식이라 할수 있다.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한국의 서원’의 제향의례는 9개 서원의 제향의례는후손, 지방 유림들에 의해 지속되어 왔고, 무형유산으로서 역사적・학술적・예술적가치를 충분히 지니고 있다. 그리하여 9개 서원의 제향의례 원형을 보존하고 그 가치를 재정립, 전승체계를구축해 나감으로써 세계유산인 ‘한국의 서원’ 제향 의례를 국가지정 무형유산으로 지정하였으면 한다.

      • KCI등재

        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제향 전승 구조와 현황-9개 서원 홀기 비교·검토를 중심으로-

        한재훈 ( Han Jae-hoon ) 한국서원학회 2023 한국서원학보 Vol.17 No.-

        한국 서원의 향사는 국학(國學) 즉, 성균관이나 향교에서 봉행하는 석전(釋奠)을 기준으로 삼아 모방하면서도, 그 대상과 규모 그리고 의식절차 등에서는 융쇄(隆殺)의 차등을 견지한다. 서원 관련 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한 퇴계 이황은 신재 주세붕이 제정한 백운동서원의 향사례에 대폭 수정을 가함으로써 조선시대 서원향사례의 초석을 다지게 된다. 특히 제품의 진설과 의절의 진행과 관련하여 중요한 표준을 제시하였고, 제관의 구분과 수행조건 등에 대해서도 기준을 제공했다. 이후 한국의 서원 향사례는 이러한 퇴계의 작업 결과물을 기준으로 삼아 계승과 비판 그리고 조정의 과정을 거치면서 발전해갔다. 한국의 서원은 자신의 위상을 국학(國學)과 향사(鄕祠)의 중간에 설정하려는 의식을 강하게 보여준다. 특히 서원의 향사례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향교의 석전을 참고하면서도 융쇄의 차등을 견지하려고 긴장했다. 이러한 긴장과 고민의 과정을 통해 조선시대 서원들은 한국적 서원 향사례를 조성해나갔다. 현존하는 서원들 중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9개 서원(소수서원·남계서원·옥산서원·도산서원·필암서원·도동서원·병산서원·무성서원·돈암서원)의 향사례를 ‘홀기(笏記)’의 내용을 바탕으로 구체적으로 비교·검토함으로써 한국의 서원향사례가 어떻게 진행되고 전승되었는지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구체적인 항목들의 경우 9개 서원들 간에도 차이가 있고, 이외의 서원들까지 포함한다면 훨씬 다양한 차이들이 존재할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 자체가 이미 서원의 향사례를 국가적 차원에서 규정하여 제공했던 것이 아니라 다양한 학문공동체가 자율적으로 고민과 토론의 과정을 통해 정립해 나갔음을 보여준다. 한국의 서원 향사례가 대동(大同)을 유지하면서도 소이(小異) 또한 존속케 했던 것이 이를 대변한다. Sacrificial rite of Seo-won base on Seok-jeon(釋奠) was held in the government school such as Hyang-gyo and imitate it, but drew a sharp distinction about the subject, the scale and the ritual. Especially, it strongly reflected the sense of authenticity lineage(道統) when select the subject, but it adopted relatively small scale and simple ritual. These characteristics of sacrificial rite of Seo-won outstandingly appeared in the Joseon Dynasty. Toe-gye Yi-hwang laid the groundwork for sacrificial rite of Seo-won in the Joseon Dynasty by making extensive retouching the sacrificial rite of Baekwoondong-seo-won was established by Sin-jae Joo-seboong. Since then, acrificial Rite of Seo-won in the Joseon Dynasty has developed through inheritance and criticism about this Toe-gye’s work. Joseon Dynasty Seo-won was under tension and worry to set own stature in the middle of Hyang-gyo(鄕校) which is the government school and Hyang-sa (鄕祠) which is the town shrine. And it could form unique ritual style of sacrificial rite of Joseon Dynasty Seo-won through these tension and worry. This study is designed in order to identify empirically that sacrificial rite of Seo-won how to development in Joseon Dynasty by comparison the Nine representative Seo-won in Joseon Dynasty: So-su-seo-won(紹修書院), Nam-gye-seo-won(灆溪書院), Ok-san-seo-won(玉山書院), Do-san-seo-won(陶山書院), Pil-Amseo-won(筆巖書院), Do-dong-seo-won(道東書院), Byeong-san-seo-won(屛山書院), Mu-seong-seo-won(武城書院), Don-am-seo-won(遯巖書院). Specific rituals are difference between the Nine Seo-won, if it includes the other Seo-wons, the difference is more. However the existence of this difference itself shows that various academic communities autonomously established through the process of distress and debate. Sacrificial rite of Seo-won in Joseon Dynasty maintained general similarity, but also maintained negligible differences, it represents diversity of Seo-won culture in in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