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ynthesis an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carbon-coated Fe<sub>2</sub>GeO<sub>4</sub> as an anode material for sodium-ion batteries

        Subramanian, Yuvaraj,Park, Myung-Soo,Veerasubramani, Ganesh Kumar,Lee, Yun-Sung,Kim, Dong-Won Elsevier 2019 Materials chemistry and physics Vol.224 No.-

        <P><B>Abstract</B></P> <P>The development of anode materials with high capacity and good cycling stability is one of the state-of-the-art objectives in the field of rechargeable sodium-ion batteries. In this work, we synthesized high-capacity spinel Fe<SUB>2</SUB>GeO<SUB>4</SUB> using a facile hydrothermal method followed by calcination and investigated its electrochemical performance as an anode material for sodium-ion batteries. The Fe<SUB>2</SUB>GeO<SUB>4</SUB> material delivered a high initial discharge capacity of 448.1 mAh g<SUP>−1</SUP>, but it showed gradual capacity fading with a capacity retention of 67.4% after 50 cycles. Its high initial capacity originated from the high electrochemical activity of Fe caused by its multiple oxidation reactions. To enhance the cycling stability of the Fe<SUB>2</SUB>GeO<SUB>4</SUB>, carbon was coated onto the surface of Fe<SUB>2</SUB>GeO<SUB>4</SUB> particles. The carbon-coated Fe<SUB>2</SUB>GeO<SUB>4</SUB> (Fe<SUB>2</SUB>GeO<SUB>4</SUB>@C) exhibited an initial discharge capacity of 423.0 mAh g<SUP>−1</SUP> with good capacity retention. The sodium-ion full cell was assembled with an Fe<SUB>2</SUB>GeO<SUB>4</SUB>@C anode and a NaCo<SUB>0.5</SUB>Fe<SUB>0.5</SUB>O<SUB>2</SUB> cathode, and the results showed superior cycling performance, demonstrating that the Fe<SUB>2</SUB>GeO<SUB>4</SUB>@C can be used as a promising anode material for sodium-ion batteries.</P> <P><B>Highlights</B></P> <P> <UL> <LI> High-capacity spinel Fe<SUB>2</SUB>GeO<SUB>4</SUB> is synthesized by hydrothermal reaction and calcination. </LI> <LI> Fe<SUB>2</SUB>GeO<SUB>4</SUB> particle is coated with amorphous carbon to improve its cycling stability. </LI> <LI> The Fe<SUB>2</SUB>GeO<SUB>4</SUB>@C exhibits a high discharge capacity with good capacity retention. </LI> <LI> The Fe<SUB>2</SUB>GeO<SUB>4</SUB>@C can be used as a promising anode material for sodium-ion battery. </LI> </UL> </P>

      • KCI등재
      • KCI우수등재

        4차 산업혁명과 복지국가 실현을 위한 공법적 과제 - 복지국가 실현을 위한 대안으로서 기본소득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

        홍석한(Hong, Seokhan) 한국공법학회 2021 공법연구 Vol.49 No.3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에 따라 증대될 수 있는 복지국가 실현의 위기요소를 정리하고, 복지국가 실현을 위한 대안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기본소득이 복지국가적 과제를 달성하는데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과 그 한계에 대해 헌법적 관점을 적용하여 고찰한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로봇 등 첨단과학기술의 발달과 그 융합을 통해 산업 전반에 걸쳐 중대한 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개인의 일상생활에서부터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전영역에 이르기까지 패러다임의 전환이 초래될 것으로 예상된다. 4차 산업혁명은 이러한 총체적 변화를 집약적으로 가리키는 것으로서 복지국가 실현과 관련하여서도 그 이행 방식을 조정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4차 산업혁명이 심화시킬 수 있는 복지국가의 위기요소는 구조적 실업의 증가와 근로조건의 하향화, 일자리 양극화와 소득 불평등의 확대, 사회적 갈등의 증대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이미 1차 산업혁명 이후 자본주의가 고도화되면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것으로서 4차 산업혁명의 진전에 따라 주목해야 할 국가의 과제 역시 근로기회의 확대 및 합리적인 근로조건의 보장, 생계 보장과 빈곤의 해소, 적정한 소득 분배와 사회적 통합이라는 기존 복지국가적 과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다만, 변화의 획기적인 성격에 상응하여 국가의 대응도 전향적이고 폭넓은 범위에서 검토되어야 하며, 다양한 모순적 요청을 조화시킬 수 있도록 보다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사회보험과 공공부조 중심의 복지제도가 한계와 부작용을 드러내고 있는데 대한 반성과 회의 그리고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다가올 미래사회에 대한 불안과 위기감으로 인해 기본소득이 주목을 받고 있다. 기본소득은 소득획득 욕구를 자극하여 근로활동을 촉진하고, 자발적인 근로시간 단축을 유도함으로써 고용증진의 계기가 될 수 있으며, 근로조건의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4차 산업혁명으로 심화될 수 있는 실업 및 그에 따른 빈곤 증대의 위험에 대응하는 소득보장 제도로서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의 보장에 이바지하고, 적정한 소득의 분배와 실질적 평등을 강화함으로써 계층, 성별, 세대 간의 통합을 촉진할 것을 기대할 수도 있다. 그러나 기본소득은 재정적 실현 가능성의 문제와 아울러 무리하게 추진하는 경우 자칫 복지국가의 토대를 약화시킬 수 있다. 제도의 구체적 형태 및 도입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기가 어렵고 도입 방식에 따라서는 오히려 복지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며, 막대한 재원이 소요되는데 비하여 그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실업자를 양산하고 일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사이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등 새로운 불평등과 갈등의 여지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일정한 한계가 있다. 기본소득에 대해서는 그 긍정적 및 부정적 가능성을 충분히 인식하는 가운데 우리에게 맞는 대안적 제도로 기능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규범적 및 현실적측면에서의 검토가 진척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summarizes the risk factors for the realization of welfare state that may be rais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n examines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that basic income,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welfare system, can contribute to achieving the welfare state tasks from a constitutional perspective. Through the development and convergence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IoT, and robots, significant changes are being made throughout the industry, and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paradigm shift ranging all area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tensively points to such a total change and raises the need to adjust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 relation to the realization of welfare state. The crisis factors of the welfare state follow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summarized as the increase in structural unemployment and worsened working conditions, the polarization of jobs and income level, and the deepening in social conflict. Therefore, the national tasks to be noted with the progr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oes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existing welfare-state tasks of expanding working opportunities, ensuring reasonable working conditions, livelihood guarantee and relief of poverty, adequate income distribution and social integration. However, corresponding to the epoch-making nature of the change, the country"s response should also be prospectively and broadly reviewed. Basic income may stimulate the desire to acquire income, promotes working activities, and induces voluntary reduction of working hours, which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promote employment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In addition, as an income security system that responds to the increase in unemployment and poverty caus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contributes to the guarantee of the right for a life worthy of human beings, and by strengthening the proper distribution of income and practical equality, it also can be expected to promote social integration. However, basic income has not only a problem of financial feasibility, but it can weaken the foundation of the welfare state if it is pushed unreasonably. It is difficult to come up with a consensus on the specific form and introduction of the system, and depending on the method of introduction, it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welfare. In addition, basic income requires enormous financial resources, but it is difficult to verify the effects. Furthermore, it contains new inequality and the possibility of conflict, such as mass production of the unemployed and intensifying the conflict between those who work and those who do not. With regard to basic income, it is necessary to fully recognize its positive and negative possibilities, and to examine whether it can function as an alternative system suitable for us in both normative and practical aspects.

      • KCI등재

        4·3이라는 왜상과 이데올로기의 허상 - 「순이삼촌」 론

        이하은(Lee Ha-eun) 한국비평문학회 2021 批評文學 Vol.- No.80

        본 연구는 이데올로기의 허상과 왜상을 통해 「순이삼촌」에 형상화된 문학의 정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순이삼촌」은 작품의 외재적 맥락과 결합하여 제주4·3사건의 재현 양상이나 기억 복원 방식에 초점을 두어 연구되었다. 그러다 보니 작품 자체가 허구를 통해 전달하고자 한 진실과 그것의 정치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연구되지 않은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순이삼촌」의 미학적 측면에서 진실 찾기 플롯의 형성과 그것을 통해 드러내고자 한 진실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진실은 제주 4·3사건이 지배 이데올로기의 허상을 지탱할 왜상으로 기능했음을 의미한다. 「순이삼촌」의 진실 찾기는 기존 이데올로기에 균열을 내는 새로운 시선을 통해서만 되찾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서술자 ‘나’의 설정을 짚어보는 것은 ‘나’가 순이삼촌의 죽음에 최종적으로 부여하는 윤리적 의미를 발견하기 위해 중요하다. ‘나’는 사건 당시 어렸기 때문에 과거의 진실을 증언하기에는 불충분한 기억을 지닌다. 그러나 ‘나’는 순이삼촌과의 만남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회복하면서 제주4·3사건을 야기한 지배 이데올로기를 삐딱하게 바라볼 수 있는 주체로 거듭난다. ‘나’는 순이삼촌의 죽음에 감춰진 진실을 추적하면서 4·3 왜상을 만들어낸 이데올로기의 기만적인 허상을 간파한다. 이데올로기는 권력의 공포를 가시화하기 위해서 무의미한 기표에 과잉된 의미를 부여한다. 이후 그것에 무차별적 폭력을 가함으로써 내부를 통제하는데, 제주도의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제주4·3사건 속에 자행된 민간인 학살은 그 장소에 공비가 없음에도 있다는 논리를 지탱했으며, 제주도민들은 그 환영을 붙들어 매는 왜상이 된다. 「순이삼촌」의 진실 찾기 플롯은 제주4·3사건을 하나의 왜상으로 이용한 이데올로기의 기만을 폭로한다. 이데올로기의 공백은 제주4·3사건의 규정한 방식에 균열을 가하며 새로운 관점에서 그것의 의미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빨갱이로 매도되던 역사를 바로잡고 침묵하던 진실을 드러낼 수 있다. ‘나’의 시선은 ‘순이삼촌’이라는 형상 속에서 왜상을 작동시킨 이데올로기의 거짓된 논리를 들춰내고 침묵했던 진실을 가시화한다. 이와 더불어 ‘길수’와 ‘나’의 말하기는 위험을 무릅쓰고서라도 진실을 지키기 위한 파레시아의 윤리적 실천에 해당한다. 젊은 세대는 기존 이데올로기와 화합할 수 없는 분열적인 목소리를 냄으로써 진실의 위기를 이겨내고자 한다. 이와 같이 「순이삼촌」은 침묵하던 진실을 외치는 윤리적 말하기를 실천한다. 이것이 「순이삼촌」이 허구를 통해 펼쳐나간 문학의 정치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n Anamorphosis of 4·3 and an illusion of ideology through “Sun-i Samchon.” Previous studies are focused on how it represents Jeju 4·3 incident or how characters recall their past. For that reason, relatively “Sun-i Samchon”’s aesthetic aspects have not been studied. Therefore,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finding truth plot and the matter of truth on “Sun-i Samchon.” It means that Jeju 4·3 incident was the anamorphosis for sustaining an illusion of anti-communist ideology. Finding truth in “Sun-i Samchon” can only be recovered through a awry perspective that cracks the existing ideology. To this end, it is important to look at the setting of narrator “Sangsu(I).” If the purpose of this novel is to give testimony of a tragedy of Jeju 4·3 incident, Sangsu is an unreliable narrator. Because he was so young at that time, he could not know what causes this tragic incident. However, Sangsu is the right person to deliver Sun-i samchon’s truth. Because he can look the dominant ideology awry after accepting his Jeju identity. Sangsu notices the illusion of ideology by tracing the hidden truth in Sun-i’s death. Ideology gives excessive meanings to the empty signifier, which is an anamorphosis, to visualize the fear of power. For a long time, Anti-communist ideology in Korea had been a control mechanism to justify punishment to those who had opposed the government. It activates indiscriminate slaughter in Jeju. The incident represented in this novel shows that 4·3 was an effective anamorphosis to control Jeju island. Government power made innocent people all communist and killed them even if they weren’t red guerrillas. In other words, ‘Jeju-island’ or ‘jeju residents’ became the anamorphosis in 4·3 incident that sustained the illusion of ideology. Although government power still defines Jeju 4·3 incident as a communist riot, Younger generation in “Sun-i samchon” insist that this tragedy should be revealed. While older generation hesitate to tell the truth or they reject it, younger one do not step back. They try to lift their voices in spite of the danger they might get involved. This is the way how to show an ethics of parrhesia and to make politics of literature in “Sun-i samchon.”

      • KCI등재

        GEANT4 and PHITS Simulations of the Shielding of Neutrons from the 252Cf Source

        신재원,홍성우,박상인,김도윤,김종일 한국물리학회 2014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5 No.5

        Monte Carlo simulations are performed by using the GEANT4 and the PHITS for studying theneutron-shielding abilities of several materials, such as graphite, iron, polyethylene, NS-4-FR andKRAFTON-HB. As a neutron source, 252Cf is considered. For the Monte Carlo simulations by usingthe GEANT4, high precision (G4HP) models with the G4NDL 4.2 based on ENDF/B-VII data areused. For the simulations by using the PHITS, the JENDL-4.0 library is used. The neutron-doseequivalentrates with or without five different shielding materials are estimated and compared withthe experimental valu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hielding abilities calculated by using theGEANT4 with the G4NDL 4.2 and the PHITS with the JENDL-4.0 are found not to be significantfor all the cases considered in this work. The neutron-dose-equivalent rates obtained by using theGEANT4 and the PHITS a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and other simulation results. Ourneutron-dose-equivalent rates agree well with the experimental dose-equivalent rates, within 20%errors, except for polyethylene. For polyethylene, the discrepancies between our calculations andthe experiments are less than 40%, as observed in other simulation results.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유통 분야의 4차 산업혁명 기술 트렌드 분석

        김순홍(Kim, Soon-Hong) 한국물류학회 2022 물류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는 소셜 빅데이터 분석 방법인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해 온라인상에서 유통 부문의 4차 산업혁명 기술 키워드 트렌드들에 대해 빈도 분석(TF-IDF)을 실시하였다. 빈도 분석을 통해 도출된 키워드들 간의 중요한 위치 관계에 대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코로나 19 이전과 이후의 유통 부문의 4차 산업혁명 기술 키워드들의 추세변화에 대해 대응표본 평균 비교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분석하였다. 코로나 19 이후, 2020년에는 데이터 분석, 고객 맞춤형 추천 서비스 등 빅데이터 활용 관련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대한 키워드들이 더욱 부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향후에도 이 추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또한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유통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온라인상에 나타나고 있는 긍정 또는 부정적 이미지에 대해 감성 분석을 시행하였다. 향후 4차 산업의 정책을 주관하는 정부나 이를 받아들이는 기업들은 단순한 효율성뿐만 아니라 유통산업의 전체적인 균형 발전, 중소 상인들, 택배 종사자들 보호 등 상대적 피해 해결 등의 과제 해결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 급속히 발전하는 4차 산업혁명 기술들을 원활하게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제 부문에 대한 통일된 정의, 관련 법규 제 정비, 그리고 새로운 기술에 대비할 수 있는 소비자 보호정책 등에 대한 제 정비가 필요하다.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TF-IDF) on keywords that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affects the distribution sector online using text mining, a social big data analysis method. A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important positional relationships between key words deriv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Next, it was analyzed that there is a statistical difference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aired average for the trend chan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keywords mentioned in the distribution sector before and after Corona 19. After Corona 19, it was confirmed that keyword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related to big data utilization, such as data analysis and customer-tailored recommendation service, are becoming more prominent in 2020,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in the future. In addition, sentiment analysis was performed on positive or negative images appearing online regarding the impac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on the distribution industry. In the future, the government in charge of the policy of the 4th industry or companies that accept it should focus not only on simple efficiency, but also on solving problems such as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and resolving relative damage such as protec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merchants. In order to smoothly accept the rapidly developing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it is necessary to have a unified definition of all sectors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organiz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nd reorganize consumer protection policies to prepare for new technologies.

      • KCI등재후보

        위장관암 환자에서 혈청 CA 72-4, CA 19-9 및 CEA의 진단적 의의

        장우익 ( Jang U Ig ),김철한 ( Kim Cheol Han ),김현수 ( Kim Hyeon Su ),이종인 ( Lee Jong In ),이동기 ( Lee Dong Gi ),권상옥 ( Kwon Sang Og ),심영학 ( Sim Yeong Hag ),김대성 ( Kim Dae Seong ),윤갑준 ( Yun Gab Jun ),장세진 ( Jang Se 대한내과학회 1992 대한내과학회지 Vol.42 No.6

        연구배경 : 종양표지자는 암의 조기진단, 임상적 병기 구분 및 치료효과 판정에 사용될 수 있다. 위장관암에서 alpha-fetoprotein, carcinoembryonic antigen 및 CA 19-9가 중요한 종양표지자로 사용되고 있으나 위암에 대한 적당한 종양표지자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등은 위암에 대한 새로운 종양표지자로 CA 72-4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위암을 비롯한 각종 위장관암에서 CA 19-9 및 CEA를 동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방법 : 대상은 위장관 악성종양환자 273예, 위장관 양성질환자 215예 및 정상대조군 93명이었으며, CA 72-4는 CIS ELSA CA 72-4 RIA kit, CA 19-9는 Abbott CA 19-9 RIA kit 그리고 CEA는 Abbott CEA RIA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정상 상한치는 4 U/ml, 37U/ml 그리고 5ng/ml로 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 1) CA 72-4, CA 19-9 및 CEA의 평균치는 악성종양군에서 정상대조군이나 양성질환군보다 높았다(p<0.05). 2) CA 72-4는 장기별 양성질환에서 95~100%의 높은 특이도를 보였으나 CA 19-9는 담도질환에서 54%, CEA는 간장질환에서 63%로 CA 72-4에 비해 낮은 특이도를 보였다. (p<0.05). 3) CA 72-4는 위암에서 민감도가 49%로 CEA(31%) 및 CA 19-9(31%)보다 높았다(p<0.05). 4) CA 72-4는 췌장암 및 담도암에서 민감도가 각각 43%, 44%로서 CA 19-9(각각 79%, 87%)보다 낮았으며 (p<0.05), 대장암에서도 35%로 CEA(74%)보다 매우 낮았다(p<0.05). 5) 8예의 조기위암환자 전예에서 CA 72-4를 비롯한 CA 19-9 및 CEA가 모두 음성이었다. 6) 위암에서 림프절 전이 유무에 따른 CA 72-4의 차이는 없었으나, 원격 전이가 없는 환자군(10%)에 비해 원격전이군(77%)에서 현저하게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p<0.05). 7) 위암의 병기별 CA 72-4의 분포는 4병기에서 83%로 1병기(7%), 2병기(8%) 및 3병기(13%)보다 현저히 높았다(P<0.05). 8) 근치적 위절제술을 시행한 5예의 위암환자에서 수술후 CA 72-4치가 정상 상한치 이하로 감소하였고 항암 약물요법에 반응을 보였던 4예의 진행성 위암환자에서도 약물치료후 현저한 감소가 있었다. 9) CA 72-4는 전이성 대장암 및 췌장암에서 국소 및 국소진행성 대장암 및 췌장암에 비해 현저히 높은 양성률을 보였다. 10) 위암환자에서 CA 72-4와 CA 19-9 또는 CA 72-4와 CEA사이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결론 : 이상과 같이 CA 72-4는 위암에서 CA 19-9 및 CEA 보다 높은 민감도를 보였으며 특히 4병기 위암에서 현저히 높은 민감도를 보이는바 CA 72-4가 양성인 경우 치료방침을 결정하는데 신중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CA 72-4는 위암에서 수술 혹은 항암 약물 요법의 치료 monitoring에 적절히 사용될 수 있는 종양 표지자로 생각된다. 또한 각종 위장관 질환에서 CA 72-4는 기존의 종양표지자에 비해 높은 특이도를 보이는바 CA 72-4가 양성인 경우 항상 악성종양의 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Background: Detection of tumor markers could offer an accessible method for screening risk groups in order to achieve an early diagnosis of cancers, to contribute to an adequate staging, and to help evaluate effects of therapy. Alpha-fetoprotein, carcinoembryonic antigen and CA 19-9 are regarded as valuable tumor markers for gastrointestinal cancers. But in spite of the high incidence of gastric cancer in Korea, ideal tumor markers for gastric ancer have proved unrelible. So we investigated whether new tumor marker CA 72-4 is a reliable tumor marker for gastric cancer. And we compared CA 72-4 with CA 19-9 and CEA in the serodiagnosis of gastrointestinal cancers. Methods: Serum CA 72-4, CA 19-9 and CEA were determined radioimmunologically with monoclonal antibodies. A cut-off value of 4 U/ml, 37 U/ml and 5 ng/ml were used, respectively. Resul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value of 72-4, CA 19-9 and CEA in malignant disea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benign digestive diseases (p<0.05). 2) CA 72-4 had high specificity ranged from 95%-100% in benign digestive disease groups but CA 19-9 (54%) had lower specificity in cholelithiasis(p<0.05) and CEA (63%) in benign liver diseases (p < 0.05). 3) In gastric carcinoma, the sensitivity of CA 72-4 (49%) was higher than that of CA 19-9 (31%, p<0.05) and CEA (31%, p<0.05). 4) The sensitivities of CA 72-4 was inferior to CA 19 -9 in pancreatic cancer (43% versus 79%, p<0.05) and in bile duct cancer (44% versus 87%, p<0.05) and to CEA in colon cancer (35% versus 749& p<0.05). 5) Eight of 45 resected gastric carcinoma patients had TI lesion (early gastric cancer), and CA 72-4, CA 19-9 and CEA were demonstrated all negative results for early gastric cancer. 6) In gastric carcinoma,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CA 72-4 positivity and occurrence of lymph node metastasis but significant difference of CA 72-4 positivity was observed between those with distant metastasis and those without metastasis(p<0.05). 7) The positive ratings in stages Ⅰ, Ⅱ, Ⅲ, and Ⅳ gastric carcinoma were 7% (1 of 14 patients), 8% (1 of 12 patients), 13% (2 of 16 patients), and 83% (24 of 29 patients) respectively and significant higher CA 12-4 positivity was observed in stage IV gastric carcinoma (p<0.05). 8) Elevated levels of serum CA 72-4 decreased to below the cut-off value after radical gastric resection in five patients with resectable gastric carcinoma and decreased also after chemotherapy in four patients with chemo-responsive metastatic gastric carcinoma. 9) Comparing with local or locally advanced colon cancer and pancreatic cancer, high positivity of CA 72-4 was observed in metastatic colon cancer and pancreatic cancer. 10)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CA 72-4 and CA 19-9 or between CA 72-4 and CEA in gastric carcinoma. Conclusion: In conclusion, our data indicates that CA 72-4 is a reliable new tumor marker of disease stages and activity in gastric carcinoma. And CA 72-4 had a very high specificity in benign digestive diseases, so that elevated serum levels of CA 72-4 should always be taken seriously.

      • SCOPUSKCI등재

        Sr<sub>2</sub>Ru<sub>1-x</sub>Cu<sub>x</sub>O<sub>4-y</sub>(0.0≤x≤0.5) 화합물의 구조 및 전달 특성에 대한 연구

        박중철,Park, Jung-Chul 대한화학회 2003 대한화학회지 Vol.47 No.6

        고상반응으로 $Sr_2Ru_{1-x}Cu_xO_{4-y}(0.0{\le}x{\le}0.5)$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X-선 회절 분석 결과에 대한 Rietveld 정밀화로부터 합성된 $Sr_2Ru_{1-x}Cu_xO_{4-y}$ 화합물은 $0{\le}x{\le}0.30$의 Cu 치환 범위에서는 모두 단일상의 정방정계 구조를 갖는 $K_2NiF_4$ 형태의 구조를 취하지만, $0.4{\le}x{\le}0.5$의 범위에서는 미량의 $Sr_2CuO_3$ 화합물의 회절 피이크가 관찰되는 이중상을 갖는 화합물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Sr_2RuO_4$ 화합물의 Ru자리에 Cu 이온을 부분적으로 치환할 때의 전이금속 이온인, Ru와 Cu이온의 원자가 상태는 X-선 전자 분광법으로 확인하였다. $Ru\; 3p_{3/2}$ 전자와 $Cu\; 2p_{3/2}$ 전자의 결합에너지 측정으로부터 $Ru^{4+},\;Cu^{2+}$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r_2RuO_4$ 화합물의 Ru 자리에 치환하는 Cu 이온의 농도를 증가할수록 $Ru-O1({\times}4)$ 와 $Ru-O_2({\times}2$)의 결합길이 차이가 ${\Delta}=0.1329 {\AA}Sr_2RuO_4$ 경우)에서 ${\Delta}=0.0383 {\AA}(Sr_Ru_{0.7}Cu_{0.3}O_{4-y}$ 경우)으로 변하며, c/a 역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Sr_2RuO_4$ 화합물의 Ru 자리에 Cu 이온을 치환함에 따라 $RuO_6$ 팔면체의 국부 대칭성의 변화에 의해 결정구조가 정방정계로의 변화를 수반하면서, 이에 따른 $Sr_2Ru_{1-x}Cu_xO_{4-y}$의 전달특성이 금속에서 반도체로 변화한다. $Sr_2Ru_{1-x}Cu_xO_{4-y}(0.0{\le}x{\le}0.5)$ compounds were prepared using a conventional solid state reaction. Based on the Rietveld refinements of X-ray diffraction results, it is revealed that $Sr_2Ru_{1-x}Cu_xO_{4-y}$ compounds are the single phases with K2NiF4 type tetragonal system in the range of 0=x=0.3, while the mixed phases of$Sr_2RuO_4$ and $Sr_2CuO_3$ in the range of $0.4{\le}x{\le}0.5$. By means of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the valence states of Ru and Cu in $Sr_2Ru_{1-x}Cu_xO_{4-y}$, have been confirmed to 4+ and 2+, respectively. The bond length difference between $Ru-O_1 ({\times}4)\;and\;Ru-O_2 ({\times}2)\;in\;RuO_6$ octahedron is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Cu content in $Sr_2Ru_{1-x}Cu_xO_{4-y}$, which results in the lower c/a ratio. So, it might be assured that the variation of local symmetry of $RuO_6$ octahedron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transporting property of $Sr_2Ru_{1-x}Cu_xO_{4-y}$ compounds. The behavior of resistivity discloses that the metallic property in $Sr_2RuO_4$ changes into the semiconducting one in proportion to the Cu content in $Sr_2Ru_{1-x}Cu_xO_{4-y}$.

      • KCI등재후보

        어린 흰쥐의 해마 박편에서 Mg-free Medium과 4-Aminopyridine에 의해 유발된 간질양 뇌파에 대한 Lamotrigine의 효과

        윤종서(Jong Seo Yoon),이인구(In Goo Lee),최병준(Byung Joon Choi),황경태(Kyung 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3 No.2

        목 적 : Lamotrigine(LTG)은 최근에 개발된 항경련제 중 하나로 작용 기전에 완전히 밝혀져 있지 않으며, 실험 모델에 따라 항경련 효과를 보이는 적절한 용량 역시 결정되어 있지 않다. 이에 저자는 뇌의 발육이 미성숙한 어린 흰쥐의 해마 박편을 제작하여 Mg-free medium 뇌척수액에서 4-aminopyridine(4-AP)으로 간질양 뇌파를 유발시킨 후 이를 가장 잘 억제할 수 있는 LTG의 농도를 알아보고, 또한 이를 통한 간질양 뇌파의 억제 양상을 관찰함으로써 밝혀진 LTG의 작용 기전 외의 다른 기전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이 실험을 시행하였다. 방 법 : 생후 19-23일 사이의 Sprague-Dawley 흰쥐를 이용하여 대조군(n=12)과 실험군으로 나눈 후 실험군은 LTG 농도에 따라 400(n=9), 800(n=7), 1,000(n=8) µM 투여군으로 분류하였다. 마취 상태에서 뇌를 꺼내어 기본 뇌척수액(NaC1 125 mM; KC1 2.5 mM; NaHPO 2 mM; MgSO 1.25 mM; NaHCO 25 mM; CaC1 mM; glucose 10 mM, pH 7.3-7.4)에 담그고 vibratome으로 400µm 두께의 해마 박편을 만들었다. 대조군은 해마 박편을 Mg-free medium 뇌척수액에 옮겨 놓고 200µM 농도의 4-AP를 첨가한 1시간 후에 CA1 영역의 피라미드 층에서 뇌파를 측정하였고, 실험군은 대조군과 같은 인공 뇌척수액에 각각 400, 800, 1,000 µM의 LTG를 첨가하고 뇌파를 측정하였다. 결 과 : 1) LTG의 간질 간기 뇌파에 대한 효과 : 간질 간기 뇌파는 대조군과 LTG 투여군 모두에서 나타났다. 첫 번째 간질 간기 뇌파가 나타날 때까지의 잠복시간은 대조군에서 52.7±26.9초이었으나 LTG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길어져 800 µM군에서는 225.0±28.2초, 1,000µM군에서는 322.1±116.4초였다(P<0.05). 간질 간기 뇌파의 지속시간은 대조군에서 64.6±35.6초였으나, LTG 800µM군에서 가장 짧아 39.9±12.6초였다. 2) LTG의 간질 뇌파에 대한 효과:간질 뇌파는 대조군과 LTG 400µM군의 모든 박편에서 나타났으나, LTG의 농도가 증가하면서 발생 빈도가 줄어 800µM군에서는 57.1%, 1,000µM군에서는 12.5%에서만 나타났다. 첫 번째 간질 뇌파가 나타날 때까지의 잠복시간은 대조군에서 142.1±52.6초였으나 400 µM군에서는 304.4±84.5초, 800 µM군에서는 689.8±213.1초였다(각각 P<0.05). 그리고 1,000 µM군에서는 2,071초로 실험군 중 가장 긴 잠복시간을 보였으나 간질 뇌파가 발생한 경우가 1개의 박편 밖에 없어 통계적으로 의의를 구할 수 없었다. 간질 뇌파의 지속시간은 대조군에서 1,534.7±339.3초이었으나 LTG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짧아져 800 µM군에서는 126.5±76.1초이었고(P<0.05), 1,000 µM군에서는 42초였다. 결 론 : 어린 흰쥐의 해마 박편에서 4-AP와 Mg-free medium에 의해 유발되는 간질양 뇌파를 억제하는 LTG는 800 µM 이상의 농도일 때 가장 효과적인 항경련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이는 LTG의 기본 약리 기전이 sodium 통로를 억제하는 것이지만 고농도에서는 potassium 통로에도 작용해 흥분성과 억제성 아미노산의 방출을 억제하고, 억제되었던 GABA의 활동을 증가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In order to elucidate the actual mechanism and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Lamotrigine(LTG) that suppresses epileptiform discharges, we observed epileptiform discharges from hippocampal slices of immature rat in 4-aminopyridine(4-AP) added Mg -free medium of artificial cerebrospinal fluid(aCSF) with various LTG concentrations. Methods : We divided 19-23 day-old Sprague-Dawley rats into 4 groups; control group(n=12) and 3 LTG group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s of LTG such as 400(n=9), 800(n=7), and 1,000(n=8) µM. The rats were anesthetized and their brains were taken, soaked in aCSF(NaC1 125 mM, KC1 2.5 mM, NaHPO 2 mM, MgSO 1.25 mM NaHCO 25 mM, CaC1 2 mM, Glucose 10 mM, pH 7.3-7.4). And then the brains were cut into 400 µm hippocampal slices by a vibratome. The slices of control group were soaked in 200µM 4-AP added Mg-free medium of aCSF for 1 hour, and then extracellular recordings were performed in hippocampal CA1 pyramidal region. The slices of LTG groups were soaked in the solution containing 400, 800, and 1,000µM LTG, then extracellular recordings were performed. Results : Interictal discharges were observed in all the control and the LTG groups. The latency to the first interictal discharges after 4-AP addition was 52.7±26.9 sec in control group, but was 225.0±28.2 sec in 800 µM and 322.1±116.4 sec in 1,000 µM group of LTG(P<0.05). The duration of interictal discharges was 64.6±35.6 sec in control group, but was the shortest in 800µM group of LTG at 39.3±12.6 sec. Ictal discharges were observed in all of control and 400µM group, but the frequency was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LTG increases, 57.1% in 800µM, 12.5% in 1,000 µM group. The latency to ictal discharge after 4-AP addition was 142.1±52.6 sec in control group, but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LTG increases, 304.4±84.5 sec in 400 µM group and 689.8±213.1 sec in 800 µM group(P<0.05). The duration of ictal discharges was 1,534.7±339.3 sec in control group, but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LTG increases, it was 126.5±76.1 sec in 800 µM group(P <0.05) and 42 sec in 1,000 µM group. Conclusion : The antiepileptic effects of LTG were most significant when the concentration, inhibiting epileptiform discharges induced by 4-AP and Mg -free medium in hippocampal slices of immature rats, was 800uM or higher. Although the basic pharmacologic mechanism of LTG is the inhibition of sodium channel, it may also work on potassium channel at higher concentrations.

      • KCI등재

        4차 산업 시대 한국불교의 출가문제와 미래적 대안

        염중섭(자현) 한국선학회 2018 한국선학 Vol.0 No.50

        3차 산업에서 4차 산업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임에도 불구하고, 한국불교는 탈종교화 등에 따른 출가자 수 급감이라는 극심한 위기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는 4차 산업 시대의 본격적인 전개가 출가문제와 관련해 더 큰 문제로 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고는 4차 산업 시대에 한국불교, 그중에서도 조계종의 타당성을 출가문제와 결부 지어 검토해본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4차 산업 시대의 특징을 정리하고, 조계종의 시대적 타당성을 살펴본다. 이와 같은 결과로 확인되는 것은 4차 산업 시대에 인간소외와 행복추구가 보다 극명해질 것이며, 수행과 인간 행복을 기반으로 하는 조계종의 필연성이 증대된다는 것이다. 특히 남종선(南宗禪)을 계승한 조계종의 수행론은 현실과 유리된 명상이 아닌 현실을 긍정하는 수행의 완성을 주장한다. 이는 현실의 변화가 조계종과 충돌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즉 조계종은 4차 산업 시대의 빠른 변화를 수용하면서 변모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끝으로 4차 산업 시대의 출가와 관련된 해법으로, 본고에서는 세계적인 추세인 명상에 대한 요청과 이와 연관된 마음의 출가 부분을 제시했다. 육체적인 출가에 사회와의 단절이라는 인식이 존재한다면, 명상과 행복추구와 관련된 마음의 출가는 현대인이 선호하는 측면에 다름 아니다. 그러므로 마음의 출가를 통해 조계종의 외연을 확대하고, 이를 통한 육체적인 출가구조를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는 조계종이 4차 산업 시대에 주류의 위상을 확보하는 핵심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In this transition era moving from the 3rd industry to the 4th industry, Korean Buddhism is facing a severe crisis of sudden drop in the number of those who leave their houses to be priests due to de-religiousization. The full-scale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y era will result in a rational and massive change due to the super-intelligence and the super-connection. This means that there may be a bigger problem in relation to the house-leaving. This paper examines the validity of Korean Buddhism, especially the Jogye Order, in the 4th industrial era, in conjunction with the issue of being a Buddhist priest.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4th industrial age are first summarized and the feasibility of the Jogye Order in this period is examined.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human alienation and pursuit of happiness will become more clear in the fourth industrial age, and the Jogye Order will be more necessary, for it is based on the discipline and human happiness. Especially, the discipline theory of Jogye Order that inherited the Namjongseon(南宗禪) insists on the fulfillment of the discipline that admits the reality rather than the meditation separated from the reality. This means that the change of reality does not conflict with the Jogye Order. In other words, the Jogye Order can accommodate the rapid change of the 4th industrial age and can transform itself according to the change. Finally, as a solution to the fourth industrialization era, this paper proposes the request for meditation that has become a global trend and the house-leaving of mind in relation to it. If there is a perception that the physical house-leaving is the disconnection from society, the mental house-leaving related to the meditation and the pursuit of happiness is no different to what modern people pref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outline of the Jogye Order through the mental house-leaving, and to reestablish the structure of physical house-leaving through it. It is noteworthy that Jogye Order can be the key to secure the mainstream status in the 4th industrial era in this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