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0년대 일본 유학생 시인들의 조선(朝鮮)표상 연구

        권유성 ( Yu Seong Kwo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3 어문론총 Vol.58 No.-

        This study is on the representation of Chosen in the poetry which were written by korean students in Japan in 1910``s. The reason why this study has focused on that representation was that it was specifically shown the substance of lyricism in poets that period. In the era, it was different between the poetry in Japan and in Korea. In Japan, Chosen has been represented in the paradoxical form that was wretched utopia. It was originated in the perspective of them who has internalized the mission of civilization. But in this context, that representation of Chosen was not real but fancy. By the way, the Chosen was not equally represented in poetry that was written in Korea. Realistic conditions of Chosen were extremely desperate for them, who just now returned in Korea. Because they has internalized the perspective of empire. For them, the Chosen was not only the space where the civilization could not come true but where ethnic discrimination was ubiquitous. Thus, they attempted to escape from such hopeless situation by dividing themselves from the same race. But this attempt resulted in the situation that they exiled themselves in Yu-ri(유里). Bulnori, published in 1919 on the first issue of Changjo, one of the most important poem of Ju Yo-han, was a case in point that the students in japan changed the Chosen into a place of exile. In this context, the Korean modern poetry was necessary to overcome such unfavorable conditions. Because if this mental boundary could not be overcome, it may seem impossible to producing desirable poetry. But it was very difficult work.

      • KCI우수등재

        1920년대 초기 시의 미학성과 사상성

        권유성(Kwon, Yu-seong)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2

        이 글은 1920년대 초기 사회주의경향 잡지의 시들과 동인지의 시들을 공시적으로 고찰해 1920년대 초기 시의 미학적 다층성을 새롭게 조명해보고자 했다. 이 글이 이와 같은 관점을 취한 이유는 경향 잡지와 동인지를 동시에 살필 때에야 1920년대 초기 시의 미학적 다층성이 제대로 드러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2장에서는 1920년대 초기 사회주의경향 잡지와 동인지 문단 사이의 인적 및 사상적 교류 현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실제로 1920년대 초기 동인지와 사회주의경향 잡지 사이의 교류는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것이 가능했던 이유는 이 시기 지식인들이 대개 문예와 사상이 ‘전적 문화생활’ 혹은 ‘신생활’을 건설하는데 반드시 필요하다는 개조의 이상을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동인지에서 활동하고 있었던 인물들이 사회주의경향 잡지에서 활동하고, 사회주의경향 잡지에서 활동하고 있었던 인물들이 동인지 문단에 참여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한 상황이었다. 그 대표적인 예로, 황석우와 이혁로, 그리고 염상섭 사이의 관계를 들 수 있었는데, 이들은 이 시기 지식인들이 인간적인 교류는 물론 사상적으로도 상호 소통하고 있었다는 점을 잘 보여주었다. 3장에서는 1920년대 초기 사회주의경향 잡지의 시와 동인지 시가 보여주는 공통적인 구조적 특성을 통해 1920년대 초기 시가 가진 미학적 다층성을 해명하고자 했다. 이 시기 지식인들은 과거의 낡은 문화를 전면적으로 부정하고 새로운 문화를 건설하고자 하는 강렬한 낭만적 열정을 지니고 있었는데, 이런 낭만적 열정은 특히 미학적 언어나 형식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것은 ‘생활’의 문제에서 출발했음에도 개조의 이상이 구체적인 현실과 접속되기 어려웠던 당대 개조담론의 특성 때문에 발생한 현상이었다. 생활의 예술화가 이루어진 ‘장미촌’이라는 상징적 공간은 이 시기 지식인들이 공통적으로 설정하고 있었던 이상향에 가까웠다. 그 결과 1920년대 초기 시에도 공통적인 구조적 특징이 드러나고 있었는데, 이 연구에서는 그것을 ‘죽음과 구원의 순환 구조’로 정리했다. 죽음과 구원의 순환 구조는 이 시기 개조담론의 구조에서 영향 받은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것은 이 시기 지식인들이 스스로가 새로운 문화의 기원이자 결과가 되어야만 했던 독특한 담론적 지형에서 나타난 것이었다. 스스로가 새로운 문화의 기원이자 동시에 결과가 되어야 했기 때문에, 이들의 시에는 구원자가 동시에 구원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는 독특한 순환구조가 나타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죽음과 구원의 순환구조는 1920년대 초기 지식인들의 사회적 사상이 미학적으로 표현되었을 때 나타날 수밖에 없었던 전형적인 구조였던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미학성과 사상성을 통합시키고 있었던 1920년대 초기 시를 다만 ‘퇴폐적 낭만주의’ 혹은 ‘병적 낭만주의’라 규정하는 것은 다소 부당한 측면이 있다고 판단된다. 당대적 관점에서 1920년대 초기 시는 ‘병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건강한’ 것이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This study intends to considering of the aesthetic complexity of the Korean modern poetry in the early 1920’s. It could be examined when literary coterie magazines and socialist magazines should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synchronic viewpoint. It was the phase of interaction between literary coterie magazines with socialist magazines that focused in chapter two. These interaction could be found in from personal dimension to ideological dimension. They actually interacted in the very various route. The reason why these interaction could be was that they shared the vision of reconstructing movement in that time. They thought that literature and thought be necessary to reconstruct the world. It was called perfect cultural life or new life which phase came true the idea of that movement. It could be provided Hwang seok-woo, Lee hyeok-ro and Yeom sang-seob for representative example that personal or ideological interaction actually were between the intellectuals in the time. It was the comm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odern poetry in early 1920’s that focused in chapter three. As has been mentioned, the intellectuals had very intensive romantic passion for new life in that period. And this passion tends to be presented by aesthetic words or forms. The reason why it could not help presenting in this way was that their idea could not be contacted with the real however it was rooted in the problem of real life. So the village of rose has seemed to be defined as the embodiment of common utopia that the intellectuals desired to realize in the time. As the result, the poetry in the early 1920’s could not help taking structure which savior and rescuer changing the location of each other. This structure was influenced by the structure of reconstructing discourse in that time. In short, the circulation of death and salvation was the necessary structure of the poetry of that time when social thoughts should be presented through aesthetic forms.

      • KCI등재

        방언으로 씌어 진 경계지대의 역사 - 제주4·3시 방언 활용의 의미와 효과를 중심으로-

        권유성 ( Kwon Yu-seong ) 영주어문학회 2021 영주어문 Vol.47 No.-

        이 글은 제주4·3시의 내적 특질을 언어 사용의 문제, 특히 제주 방언 활용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증언문학으로서의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는 제주4·3시에서 제주 방언은 증언의 (불)가능성의 문제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는 문제라고 할 수 있었다. 제주4·3시에서 제주 방언은 기본적으로 역사/비역사, 혹은 삶/죽음이라는 제주4·3에서 유래한 경계지대의 목소리를 증언하기 위해 선택된 언어였다고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제주4·3시인들은 이런 경계지대의 목소리를 증언하기 위해 시인으로서의 자신의 존재를 최소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그럼으로써 증언의 가능성과 불가능성을 통합할 수 있는 시 형식을 가능하게 만들고 있었다. 특히 굿시는 이 같은 제주4·3시의 극한 지점을 보여주는 시적 형식이라고 할 수 있었다. 오랫동안 의미의 문턱을 넘지 못했던 희생자들의 모든 목소리들을 증언하기 위해 제주4·3시인들은 스스로의 자리를 희생자들에게 양보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럼으로써 그들은 제주4·3시에 공동체를 위한 자리를 마련하고 있었다. 방언의 적극적인 활용과 굿시와 같은 새로운 시 형식의 창조를 통해 근대시도 고독한 개인의 목소리만이 아니라 공동체의 목소리까지 담아낼 수 있다는 점을 제주4·3시는 잘 보여주고 있다. 이런 점은 제주4·3시의 두드러진 성취로 정당하게 평가받을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Jeju 4·3 poems focusing on the problems of language use, especially the use of Jeju dialect. In Jeju 4·3 poems which has a strong character as a testimony literature, the Jeju dialect is a problem closely related to the problem of the possibility of testimony. In Jeju 4·3 poems, Jeju dialect was basically a language selected to testify to the voice of the boundary zone originated by Jeju 4·3 where is a mixture of history/non-history, or life/death. And the Jeju 4·3 poets showed the minimized existence of themselves as poets to testify the voices of these boundary zone, thereby making the form of poetry that can integrate the possibility and impossibility of testimony possible. In particular, ‘Gut Poem’ was a poetic form that showed the extreme point of Jeju 4·3 poems. In order to testify to all the voices of the victims who have not crossed the threshold for a long time, Jeju 4·3 poets showed their concessions to the victims through ‘Gut Poem’. By doing so, they were setting up a place for the community at Jeju 4·3 poems. Jeju 4·3 poems shows that modern poetry can capture not only the voice of a lonely individual but also the voice of a community through active use of dialect and creation of a new form of poetry such as ‘Gut Poem’. This need to be properly evaluated as a remarkable achievement of Jeju 4·3 poems.

      • KCI등재

        1920년대 초기 사회주의경향 잡지의 문예론과 시적 실천 양상 연구

        권유성(Kwon, Yu-seong) 국어국문학회 2013 국어국문학 Vol.- No.165

        This paper aimed to considering the meanings of literary phenomenons in the early 1920"s socialist journals by the synchronic view point. In other words, this study wan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theories and poetic practices which had been appeared in socialist journal KongChe (共濟), ASung(我聲), and ShinSeangWhal(新生活). For it could be exposed when it was observed in synchronic cultural contexts. The persons who had published the literary theory in them were generally socialist.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publishing it. For them, emotion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 which must be equipped in literary works. However, they never thinking that all sorts of emotion are important. Instead, they thought that socially meaningful emotion is very important. They also regarding that personality is necessary to a literary works. But it was also the social personality rather than individual personality. And it could be realized through social liberation from the structural absurdities of capitalist society. Therefore, for them art or literature was what means the state of liberation. They called it for “aestheticization of life”. The phases of poetic practice in socialist journals might be divided into two directions. The one is the aspect that socialist literary theories were applied in writing poetry by a socialist. It was then to reconcile romanticism with sociality. The other is the aspect that diverse poetry coexisting in the socialist journals. The fundamental reason why diverse poetry were coexisted in it was because the socialist literary theories had a liberal structure. For this reason, the journals could accommodate ‘art for art’s sake’ as well as socialist poetry together.

      • KCI등재

        김소월 「詩魂」의 반(反)시론적 성격 연구

        권유성(Kwon, Yu-seong) 국어국문학회 2011 국어국문학 Vol.- No.159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meanings of Kim So-weol"s Poetic Soul(詩魂) in the context of 1920"s. It is centering around a "soul(靈魂)" that the first half of Poetic Soul has a cultural characteristic. He expressed a critic sense against European modern civilization in here. And he established a epistemological bases in here for colonial existences through the "soul" His view point of civilization was different from that the civilized intellectual had. It is centering around a "poetic soul(詩魂)" and "shadow(陰影)" that the latter part of Poetic Soul has a characteristic as poetics. What he established in here was the basic theory of modern poetry. It was the most important thing that many different poetry could be through times, society, and individual. Kim So-weol"s such theory also could be important meanings in the context of about 1925. Because, at this very moment the school of nationalistic literature little allowed the variations of the poetry. What they only allowed was that was well expressed of national sentiments in it through a fixed form. In this context, Kim So-weol"s Poetic Soul also could be the meaning against such dogma. In a word, Kim So-weol"s Poetic Soul has a characteristic of anti-poetics that against the general view point of civilization and the poetry.

      • 제주4.3시에 나타난 기억의 보존과 발현 방식 - 신체 관련 이미지와 비유를 중심으로 -

        권유성 ( Kwon Yu-seong ) 백록어문교육학회 2023 백록어문교육 Vol.32 No.0

        이 글에서는 제주4·3시의 내적 특질을 시의 이미지와 비유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 글에서는 신체와 관련된 이미지와 비유가 제주4·3시의 내적 특질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일 수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제주4ㆍ3시에서 신체와 연관된 이미지와 비유가 빈번하게 활용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근본적으로 제주4ㆍ3이라는 역사적 사건의 실체와 전개과정에 원인이 있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신체의 이미지를 극단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김경훈의 시는 제주4ㆍ3의 실체가 무엇보다도 무자비한 폭력 앞에 무방비상태로 노출된 신체의 문제였다는 점을 환기해주고 있었다. 또한 제주4ㆍ3이 역사적 사건이 마무리된 상황에서도 그 기억이 오랫동안 억압되어 왔다는 점은 신체적 상처를 기억의 공간으로 변환시키는 ‘신체의 기억화’ 현상을 야기했다고 할 수 있었다. 그럼으로써 제주4ㆍ3의 상처를 간직한 ‘무명천 할머니’와 같은 인물이 제주4ㆍ3의 기억을 환기하는 시적 대상으로 끊임없이 소환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신체의 기억화 현상은 더 나아가 제주의 거의 모든 자연물이 신체적 이미지나 비유로 변주되는 현상으로까지 이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제주4ㆍ3시에서 신체와 관련된 이미지나 비유는 사건의 직접적인 희생자들을 형상화하는 데만 국한되지 않고 살아남은 사람들의 삶을 형상화하는 과정에서도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었다. 그 이유는 오랫동안 억압된 기억이 신체적 증상으로 드러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기억의 신체화라 부를 수 있는 이런 현상은 근본적으로 사건 이후 치유되지 못한 집단적 트라우마가 발현된 결과라고 할 수 있는데, 제주4.3시에서는 주로 신체적 증상이나 통증 혹은 질병이나 빙의 등과 같은 형상으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었다. 이런 신체적 증상들은 역사적 사건 이후 제주사람들의 고통스러운 일상적 삶을 보여주는 동시에 그 상처의 깊이가 무의식의 심층에까지 이어져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특히 제주4.3시에서 시적 소재로 자주 등장하는 ‘빙의’는 제주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집단적 트라우마가 가장 극단적인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난 경우라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주4.3시의 창작방법으로까지 자리 잡고 있는 상황이었다. In this article, I tried to examine the inner characteristics of Jeju 4·3 poetry with the focus on the image and analogy. In particular,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at the image and analogy related to the body may be an important factor in forming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Jeju 4·3 poetry. The reason why images and analogies related to the body were frequently used in Jeju 4ㆍ3 poetry was fundamentally caused by the reality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historical event called Jeju 4ㆍ3. Kim Kyung-hoon’s poem, which uses the image of the body extremely, reminded that the reality of Jeju 4ㆍ3 was the problem of the body exposed to the ruthless violence. In addition, the fact that Jeju 4ㆍ3 has been suppressed for a long time even when the historical event has been completed has caused the phenomenon of ‘memorization of body’ that converts physical wounds into the space of memory. In this way, a person like ‘Mummyeongcheon Grandmother’ who kept the wounds of Jeju 4ㆍ3 was constantly summoned as a poetic object to recall the memories of Jeju 4ㆍ3. And the ‘memorization of body’ has led to the phenomenon that almost all natural objects of Jeju are transformed into physical images and metaphors. On the other hand, images and analogies related to the body in Jeju 4ㆍ3 poetry were not limited to the direct image of the victims of the event, but also frequently appeared in the process of shaping the lives of the survivors. The reason is that long suppressed memories have often been exposed to physical symptoms. This phenomenon, which can be called somatization of memory, is fundamentally the result of the collective trauma that has not been healed since the event. In Jeju 4ㆍ3 poetry, it can be said that it appears mainly in the form of physical symptoms, pain, disease, or possession. These physical symptoms show the painful daily life of Jeju people after the historical event, and at the same time, the depth of the wound leads to the depth of unconsciousness. Especially, ‘possession’, which frequently appears as a poetic material in Jeju 4ㆍ3 poetry, is not only the case where the collective trauma of Jeju people is the most extreme physical symptom, but also the situation that is located as the method of creation of Jeju 4ㆍ3 poetry.

      • KCI등재

        청소년 시의 장르적 특성 연구-시적 화자 문제를 중심으로-

        권유성 ( Kwon Yu-seong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7 어문론총 Vol.71 No.-

        이 글은 2010년 이후 발간된 청소년 시집을 대상으로 청소년 시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의 청소년 시는 과거의 청소년 시와 달리 청소년의 목소리를 `대변`하고자 하는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창작된 시들이 대부분이다. 이 글은 이 같은 청소년 시의 특징을 시적 화자의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청소년 시의 시적 화자는 매우 다양하게 설정되고 있었는데, 그것은 청소년 집단의 다양한 경험을 시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방법적 측면에서 의미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청소년 시는 한 편의 시에 표면적인 청소년 화자 이외에 시인과 겹쳐지는 숨은 화자가 개입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이런 현상은 시인이 의도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려웠는데, 그 원인은 시인이 가진 계몽적 의도 때문으로 볼 수 있었다. 즉, 표면적으로 설정된 청소년 화자의 목소리를 갈라지게 만드는 숨은 화자의 목소리는 시인의 계몽적 의도나 의지의 산물로 보인다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청소년 시는 표면적으로 청소년 화자에 의해 발언되고 있다고 하더라도 시인의 시선 아래 통제되고 있다고 볼 수 있었다. 이런 청소년 시의 특성 때문에 청소년 시에 실제 청소년의 목소리가 반영되는 방식은 매우 제한적이었는데, 그것은 시인의 통제를 뚫고 틈입하는 방식으로 청소년의 목소리가 수용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금지와 금기에 둘러싸인 청소년의 실제 목소리는 청소년 시에서 소음이나 욕설 혹은 그와 유사한 차원에서 수용되거나 발현될 수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언어가 되지 못하는 그런 소리들은 청소년의 존재가 발현되는 순간에 출현하는 것이기도 했다. 최근 청소년 시는 청소년을 집단적 훈육의 대상에서 개별성을 지닌 독자적 존재로 바라보고자 하는 청소년 담론의 전환에서 촉발된 것이다. 그러나 기성시인이 청소년의 목소리를 `대변`하고자 하는 최근의 청소년 시는 창작의 의도와는 별개로 실제 청소년들의 개별적인 목소리를 배제하거나 억압할 가능성을 일정부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 시가 그 가능성을 확장해가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의 개별적인 목소리를 수용할 수 있는 시적 방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genre traits of Korean adolescent poetry since 2010. Adolescent poetry, as the name suggests, speaks for a group of adolescents. This paper closely studies the problem of the poetic speaker. A poetic speaker in adolescent poetry is placed in various types of settings. For it is necessary to express what adolescents experience in different situations. However, adolescent poetry frequently depicts the simultaneous occurrence of a surface speaker and a hidden speaker in a poem. This phenomenon is the unwitting result of poet`s intention to enlighten. Thus, even though an adolescent speaker articulates a adolescent poetry on the surface, it is actually controlled by the poet`s intentions. Given these traits, it is very difficult for adolescent poetry to reflect their voices. Therefore, the only method to include their vivid voices in poetry through noise, abuse, and other experiences. However, such non-language sounds began to emerge the moment adolescents appeared on the stage.

      • KCI등재

        김수열 4 · 3시 연구: ‘몰명(沒名)’의 세계에 이름 붙이기

        권유성 ( Kwon Yu-seong ) 배달말학회 2018 배달말 Vol.63 No.-

        이 글은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4·3을 중요한 문학적 화두로 삼아 주목할 만한 성과를 보여준 대표적 시인 중 하나인 김수열의 4·3시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김수열의 4·3시들은 4·3 피해자들이 여전히 ‘몰명(沒名)’의 상태로 남아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들이 여전히 이름 없는 존재로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살아간다는 것이다. 김수열의 4·3시는 이들의 존재를 시적으로 환기해주며, 이들의 (목)소리를 담아내고자 힘쓴다. 따라서 그의 4·3시에서는 시인의 개입이 최소화되면서 피해자들의 (목)소리가 가감 없이 그대로 전달되는 경우가 많다. 피해자들의 (목)소리는 제주방언을 통해 현상하기도 하고 소음이나 비명을 통해 현상하기도 한다. 그의 4·3시들은 산 자와 죽은 자가 뒤섞여 살아가는 제주라는 공간의 특성과 그 속에서의 비극적인 일상을 시적으로 잘 형상화해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이것은 4·3의 정명작업을 상징하는 ‘백비 세우기’가 김수열 시인의 가장 중요한 시적 비전으로 자리 잡은 이유이기도 하다. 4·3이 역사적 실명 상태, 즉 ‘몰명’의 세계로 존재하는 한 제주사람들의 일상은 비극적 상황을 벗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그의 ‘백비 세우기’라는 시적 비전에는 분단 극복이라는 거시적 전망과 동시에 섬사람들의 생리에 의해 가능한 공동체의 생명력 회복이라는 지역적 전망이 포괄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그의 시적 비전은 우리가 그 ‘이름’을 불러주지 못함으로써 여전히 혼돈의 근원으로 남아 있는 4·3에 어떻게 ‘이름’을 불러주고 그럼으로써 새로운 세계를 창조할 수 있는가를 일정 부분 암시해준다고 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tends to make clear the characteristics of Kim Su-yeol’s 4·3 poems who is a representative poet of 4·3 literature. He has published 4·3 poems from 1980’s until now that concerned Jeju 4·3. First of all, his 4·3 poems represent tragic situation in 4·3 through utterances of it’s victim. Furthermore, carefully describe it’s influence to daily life of Jeju island and its people since 4·3. The reason why he could represent these situations is that he understands 4·3 going on. For him Jeju 4·3 still remaining nameless world. Therefore the victims were embodied as survivals despite their physical death. And it means that their social death is not completed. So poetic speaker of his 4·3 poems can listen of dead man’s voice and scream. Or dead man(victim) speak of his own mind by Jeju dialect. As a result, the voices of the dead and the living are confused, then the boundary between the world of the dead and the living were blurred in his 4·3 poems. Though such chaos is the result of historical process of 4·3, it is difficult to see as ordinary daily life. The reason why Kim Su-yeol’s 4·3 poems search of poetic vision for the historical chaos is here. If this chaos continues, Jeju island and its people never escape the tragic situation. His poetic vision is summarized as Stnading White Stone. And it includes both the unification as macroscopic prospect and recovery of community vitality as microscopic prospect. His poetic vision can imply to us how to construct new world.

      • 1910~20년대 교양-문예 담론 형성에 대한 고찰

        권유성(Kwon, Yu-seong)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16 교양학연구 Vol.0 No.4

        This study intends to consider the process that culture(bildung)-literature discourses were formed during the 1910~20’s in Korea. It was the modern transformation of system that was the most emphasized in that period. And the rapid importation of knowledge was critical to it. In Korea, the formative process of modern culture(bildung) concept was obliged to influenced in such situation. The word cultivate was more important than the word cultured/uncultured during the 1910~20’s in Korea. And the word cultivate was more frequently used by intellectuals in that time. Especially, the word cultivate used to employ when it was clear hierarchy between subject and object of culture(bildung). In other words, if the subject of culture(bildung) was limited to the sphere of some intellectuals, the object of it was extended to very broad sphere of kids, women, workers and farmers. Such subalterns in the nations couldn"t be the subject of culture(bildung) for oneself. Because korean intellectuals had to be overwhelmed with the Western civilization in that time. Meanwhile, it was similar process that literature discourse occupied the heart of culture(bildung) discourses. Especially in condition of that the lists of literary culture were not still canonized, the word literature could not help working to unlearned people with repressive signifie.

      • KCI등재

        현대문학 : 한국 근대시의 경계 넘어서기와 정치적 상징의 형성 -3.1운동 전후 주요한 시를 중심으로-

        권유성 ( Yu Seong Kwon ) 배달말학회 2013 배달말 Vol.52 No.-

        이 글은 3.1운동을 전후한 시기 주요한의 시가 일본 동경과 조선 그리고 상해라는 매우 다른 사회정치적 맥락을 가진 세 공간을 넘나들며 창작되었고, 그것이 그의 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왜냐하면 그것은 주요한의 시뿐만 아니라 한국근대시의 근본적인 존재 조건과 그것이 시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줄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2장에서는 일본 동경과 식민지 조선이라는 두 공간과 연관된 그의 시들을 살폈다. 일본에서 창작된 그의 일본어시는 근원을 알기 어려운 개인적이면서도 관념적인 내면의 열정을 토로하는 것에 집중하고 있었다. 그러나 3.1운동이 임박한 시기에 창작된 그의 조선어시는 일본어시와는 달리 식민지의 구체적인 공간을 시에 도입함으로써 그의 내면적 관념을 구체화할 수 있는 길을 열고 있었다. 그러나 「불노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그는 식민지 청년으로서의 열정을 드러내면서도 식민지를 타자화함으로써 내면적 열정의 실체를 구체화하는데 한계를 드러내고 있었다. 3장에서는 정치적 해방구로서의 상해와 식민지 조선이라는 두 공간이 연관된 시기의 작품을 살폈다. 이 시기 주요한은 상해에 머물면서 상해와 조선이라는 정치문화적 맥락이 상이한 공간에 동시에 시를 발표하고 있었다. 상해 『독립신문』에 발표된 시들은 대부분 민족의 자유와 독립이라는 뚜렷한 이념을 토대로 안정된 시적 리듬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것은 그 이전 시기까지 그 내포가 모호했던 그의 과념이 반식민주의적 의식으로 통일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한편 그가 상해에 머물면서 식민지 조선에 발표한 작품들은 상해 『독립신문』에 발표된 시들과 유사한 의미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도 반식민주의적 의식이 무의식화되는 모습을 뚜렷이 보여주었다. 그럼으로써 조선에 발표된 시들은 단순한 비유 이상의 정치적 상징으로 거듭날 수밖에 없었다. 이 시기 주요한의 시는 정치적 억압이 오히려 정치적 상징을 만드는 식민지의 역설적인 구조를 잘 보여주고 있었다. This study is about the specific characters of Ju Yo-Han`s poetry around 1919 civil uprising in Korea. At this time his poetry were written crossing boundaries between Tokyo and Cho-seon or Shanghai and Cho-seon. This three spaces had very different sociopolitical context. His poetry consequently couldn`t help influencing from this specific condition. The japanese poetry were written in Tokyo have been focused on exposing mental fervor but it was very ambiguous. However, the korean poetry were written after 1919 civil uprising have seek to embody such thought by admitting the colonial space in poem. Although it was hardly successful, this attempt had very propound meanings. By the way, the poetry were written in Shanghai have been focused on exposing the nationalistic fever for freedom and independence that was based on powerful anticolonialistic conscience. Accordingly such poetry was easy metaphor. On the other hand, that anticolonialistic conscience have being unconscientized in it which were published in Cho-seon. Therefore it was forced to changing in political symbol. Finally, the political symbol paradoxically was formed from the lack of political freed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