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뇌질환과 연관된 지방세포 활성산소에 대한 항산화제의 억제효과

        이옥환 ( Ok Hwan Lee ),서호판 ( Ho Chan Se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뇌교육연구소 2010 뇌교육연구 Vol.6 No.-

        Oxidative stress will induce various changes in human metabolism. Recent research suggests that accumulat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from adipocytes leads to elevated systemic oxidative stress and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brain-linked diseases.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inhibitory effect of N-acetyl cysteine(NAC), one of the antioxidants, on brain diseases related ROS in 3T3-L1 cells, a preadipocyte cell line that undergoes differentiation into mature adipocytes. The changes in lipid accumulation, ROS production, 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aP2(adipocyte protein 2), NOX4 (NADPH oxidase 4),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H),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CAT) during the course of differentiation were evaluated. Treatment of NAC significantly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and ROS production as well as expression of PPARγ, aP2 and NOX4 mRNAs. The inhibition of G6PDH activities by NAC likely prevented ROS production required for NADPH generation that is coupled to AER via PPP, leading to inhibition of adipogenesis. NAC markedly increased SOD and CAT activities, resulting in reduced ROS level during adipogenesi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ntioxidant can inhibit ROS production, which may protect against oxidative stress that is linked to brain disease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고려엉겅퀴(곤드레)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이옥환(Ok-Hwan Lee),김재환(Jae Hwan Kim),김영현(Young Hyun Kim),영준(Young Jun Lee),종석(Jong Seok Lee),조주현(Ju Hyun Jo),김봉균(Bong Gyun Kim),임재각(Jae Kag Lim),부용(Boo-Yo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6

        고려엉겅퀴는 예로부터 구황식품으로 사용되어 식용뿐만 아니라 한방 약재로도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건강기능식품 원료로서도 각광받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고려엉겅퀴에 대한 주요 생리활성을 중심으로 요약하였으며, 고려엉겅퀴의 항산화 활성, 간 보호작용, 항염증 활성 및 지표성분 pectolinarin의 다양한 생리활성도 소개하고자 기술하였다. 최근 합성 항산화제를 대체하기 위한 천연항산화제의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효능이 우수한 천연항산화제가 상업화되기 위해서는 천연항산화제에 대한 안전성 및 경제성 등이 확보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려엉겅퀴는 수천 년 동안 식품으로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바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서 사용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고려엉겅퀴 추출물의 독성평가가 이루어진다면 추후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으로도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irsium setidens Nakai, a wild perennial, is widely consumed as a food and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In addition, diverse functionalities of C. setidens Nakai, including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effects, have been reported. However, whether or not C. setidens Nakai and its major compound, pectolinarin have high nutritional value and functional properties remains unknown.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s, mineral contents, hepatoprotective activities, hepatic fat accumulation inhibitory activities, and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 setidens Nakai and its component parts, including of pectolinarin. The result showed that C. setidens Nakai and its major compounds have potential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with natur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 KCI등재

        용매별 정향 추출물의 항균활성

        이옥환(Ok-Hwan Lee),정승현(Seung-Hyeon Jung),손종연(Jong-Youn So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3

        본 연구에서는 추출용매(물, 메탄올, 석유 에테르)에 따른 정향추출물의 항균성을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물 추출물의 경우 E. coli, S. aureus, S. typhimurium, P. aeruginosa에 대해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으며 B. subtilis에서는 높은 농도에서는 항균력을 보이지 않았다.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모든 균에서 항균성을 나타내었고, 특히 S. aureus에 대한 항균성이 매우 우수하였으며, 반면에 석유 에테르 추출물의 경우에서는 항균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액체배지에서 정향의 생육저해 효과는 물 추출물의 경우 B. subtilis를 제외한 모든 균에서 항균력을 보였으며, 균종별로는 S. aureus 보다 E. coli, S. typhimurium에서 더 강한 항균력을 보였다. 메탄올 추출물의 생육저해 효과를 조사한 결과 모든 균에서 강한 항균력을 보였고, G(-)균보다 G(+)균에 대한 생육저해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반면 석유 에테르 추출물은 모든 균에 대해서 추출물의 농도에 관계없이 생육저해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정향 추출물의 항균력은 메탄올>물>석유에테르 추출물 순이었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clove extracts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s. The extracts were tested for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everal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including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and Pseudomonas aeruginosa. The methanol extract showed stronger antimicrobial activities than water extract. However, petroleum ether extract did not show antimicrobial activity. The water extract of clove showed growth inhibition effect against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whereas no effect against Bacillus subtilis. The methanol extract of clove extracts showed more sensitive antimicrobial activity in Gram (+) bacteria than in Gram (-) bacteria.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the clove extract.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올리브 잎과 월계수 잎의 화학적 특성

        이옥환(Ok-Hwan Lee),희봉(Hee-Bong Lee),준수(Junsoo Lee),손종연(Jong-Youn Son),성갑(Seong-Kap Rhee),김현덕(Hyun-Duk Kim),김영찬(Young-Chan Kim),부용(Boo-Yo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4

        본 연구는 올리브 잎과 월계수 잎의 화학적 특성들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식품 소재화나 가공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올리브 잎과 월계수 잎의 수분함량은 각각 3.95, 8.50%이었다. 올리브 잎은 조단백질 11.04%, 조지방 7.45%, 조회분 5.05%, 탄수화물 76.46%이었고, 월계수 잎은 조단백질 7.23%, 조지방 7.21%, 조회분 3.72%, 탄수화물 81.84%이었다. 올리브 잎의 주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1086.8 ㎎%)와 aspartic acid(918.8 ㎎%)이었고, 월계수 잎은 glutamic acid(621.2 ㎎%)와 leucine(558.6 ㎎%)이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이었다. 올리브 잎의 주요 유리당은 sucrose(1.55%)이었고, linolenic acid(33.0%), palmitic acid(31.1%)가 조지방 중의 가장 많이 함유된 지방산이었다. 월계수 잎에는 glucose(1.54%)와 fructose(0.99%)가 주요 유리당이었고, palmitic acid(35.2%)와 linolenic acid(17.8%)가 조지방중의 가장 많이 함유된 지방산이었다. 무기질 함량은 올리브 잎과 월계수 잎 모두에서 Ca이 929.6 ㎎%, 836.2 ㎎%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비타민 A는 올리브 잎5.10 ㎎/100 g, 월계수 잎 6.49 ㎎/100 g로 나타났고 비타민 C는 올리브 잎 36.64 ㎎/100 g, 월계수 잎 13.86 ㎎/100 g로 나타났다. 올리브 잎과 월계수 잎 모두에서 비타민 B1, B2, niacin이 소량 함유되어 있었으며 B_6과 B₁₂은 검출되지 않았다. The chemical properties of olive and bay leave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ood materialization and processing. The moisture contents of olive and bay leaves were 3.95% and 8.50%,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and carbohydrates of olive leaf were 11.04%, 7.45%, 5.05% and 76.46%, respectively. And the contents of same those components of bay leaf were 7.23%, 7.21%, 3.72% and 81.84%, respectively. Glutamic acid (1086.8 ㎎%) and aspartic acid (918.8 ㎎%) in olive leaf were major amino acids, glutamic acid (621.2 ㎎%) and leucine (558.6 ㎎%) in bay leaf were the major amino acids. The major free sugar of olive leaf was sucrose (1.55%). Whereas major free sugar of bay leaf was glucose (1.54%). Palmitic acid (olive 33.0%, bay 17.8%) and linolenic acid (olive 31.1%, bay 35.2%) were major fatty acid in crude fat of both olive leaf and bay leaf. The Ca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olive leaf (929.6 ㎎%) and bay leaf (836.2 ㎎%). Vitamin A contents of olive and bay leaves were 5.10 ㎎/100 g and 6.49 ㎎/100 g, respectively. Vitamin C contents of olive and bay leaves were 36.64 ㎎/100 g and 13.86 ㎎/100 g, respectively. But vitamin B_6 and B₁₂ were not detected.

      • KCI등재

        제주 Water 농축에 따른 3종 새싹채소의 생장 및 Vanadium의 흡수 특성

        박성환(Sung-Hwan Park),윤지현(Ji-Hyun Yun),진하(Jin-Ha Lee),이옥환(Ok-Hwan Lee),조주현(Ju-Hyun Ch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7

        제주 water를 농축하여 새싹유채, 메밀, 보리의 종자발아영향과 생장 및 vanadium 흡수특성을 알아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주 water를 배수별로 농축시킨 결과 vanadium 농도가 제주 water 원수, 10배, 20배, 40배 농축수에서 각각 0.05 ㎎/L, 0.46 ㎎/L, 0.80 ㎎/L, 1.34 ㎎/L의 함량을 보였다. Control(수도수)과 제주 water 원수, 10배, 20배, 40배 농축수를 사용하여 종자발아율 측정 시 새싹유채의 경우 control과 제주 water 원수, 10배 농축수까지 발아율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농축배수가 20배, 40배로 증가할수록 발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40배 농축수에서 발아율이 control과 비교하여 약 50% 감소하였다. 새싹메밀의 경우 농축배수가 증가할수록 종자 발아율이 control 42.7%에서 40배 농축수 60.7%로 발아율이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새싹보리의 경우 control의 발아율 88.8%와 40배 농축수로 처리한 발아율 79.0%를 비교 시소폭 감소한 결과를 보이며, 20배 농축수까지 큰 영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새싹채소 생장 영향을 알아보고자 control(수도수), 제주 water 원수(0.05 ㎎/L), 제주 water 10배 농축수(0.46 ㎎/L)로 7일간 재배하여 확인한 결과 새싹유채의 경우 vanadium 농도가 높아질수록 지상부 길이, 뿌리의 생장이 모두 억제되었으며, 생물 중량 및 건조물 중량 또한 control과 비교 시 10배 농축수로 재배한 조건에서 감소하였다. 새싹메밀의 경우 vanadium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상부 길이의 생장이 증가하였지만, 지하부 뿌리의 생장은 역으로 생장이 억제되었고, 생물 중량 및 건조물 중량 또한 새싹유채와 동일하게 vanadium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새싹보리의 경우 새싹메밀과 동일한 경향으로 제주 water 원수 처리 시 control과 비교하여 지상부 생장이 억제되었지만 10배 농축수 처리 시 지상부의 생장이 증가하였고 뿌리생장은 억제되었으며, 생물 중량 및 건조물 중량은 control 대비 10배 농축수에서 감소하였다. 또한, 새싹채소의 vanadium 흡수특성을 확인한 결과 공통적으로 새싹유채, 새싹메밀, 새싹보리 control에서 vanadium 함량은 검출한계 이하의 함량을 보였다. 새싹유채의 경우 제주 water 원수와 제주 water 10배 농축수에서 각각 1.4 ㎎/㎏과 4.2 ㎎/㎏으로 함량이 3배 정도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새싹메밀의 경우 제주 water 원수와 10배 농축수로 재배한 경우 vanadium의 함량이 각각 1.3 ㎎/㎏, 2.9 ㎎/㎏으로 새싹유채보다 낮은 함량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새싹보리의 경우 vanadium 함량은 본 연구에서 제주 water 원수, 10배 농축수 재배조건 모두 검출한계 이하의 함량을 보였다. Vanadium is a trace mineral present in dietary sources, most commonly vegetabl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rowth and vanadium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Brassica napus L., Fagopyrum esculentum, and Hordeum vulgare L. using different Jeju water concentrations. The growth of three sprout vegetables and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vanadium were different depending on Jeju water concentration containing vanadium. In the case of B. napus L. and H. vulgare L., germination rate was inhibited by increasing Jeju water concentration, whereas in F. esculentum, the best germination rate (60.7 %) was obtained at 40 times concentration of Jeju water (vanadium, 1.34 ㎎/L). For the sprout growth, growth of shoots increased with increasing Jeju water concentration, but root growth was gradually inhibited by increasing Jeju water concentration. For the absorption of vanadium by Jeju water concentration, vanadium was not detected in H. vulgare L. The vanadium contents of B. napus L. and F. esculentum were 4.2 ㎎/㎏ and 2.9 ㎎/㎏ at 10 times concentration of Jeju water (vanadium, 0.46 ㎎/L), respectively.

      • SCOPUSKCI등재

        콜라비 새싹 추출물과 무순 추출물의 항산화 및 지방세포 분화 억제 활성

        영준(Young-Jun Lee),김재환(Jae-Hwan Kim),오지원(Ji-Won Oh),신기해(Gi-Hae Shin),종석(Jong Seok Lee),조주현(Ju-Hyun Cho),박진주(Jin-Ju Park),임정호(Jeong-Ho Lim),이옥환(Ok-Hwan Lee) 한국식품과학회 201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6 No.5

        십자화과 채소인 콜라비 및 무에는 glucosinolate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새싹 채소의 경우 성숙한 채소보다 glucosinolate의 함량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최근 새싹채소에 대한 관심은 높으나, 아직 새싹채소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십자화과 채소인 콜라비 새싹 추출물(KSE) 및 무순 추출물(RSE)의 total carotenoid 및 glucosinolate의 함량을 분석하였고 이들 추출물의 항산화 및 antiadipogenic 활성을 평가하였다. KSE의 total carotenoid 및 glucosinolate 함량은 각각 39.50±0.67 및 2.65±0.02 ㎎/g이며, RSE의 total carotenoid 및 glucosinolate 함량은 각각 76.73±2.75 및 8.13±0.54 ㎎/g으로 KSE보다 높았다. 다양한 항산화 평가 모델(DPPH, ABTS, FRAP, reducing power)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KSE 및 RSE는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에서 KSE 및 RSE의 처리는 지방세포의 지방축적 및 ROS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KSE 및 RSE의 주요 성분으로 알려진 β-carotene, glucoraphanin 및 glucoraphenin의 처리는 지방 축적 억제 및 ROS 생성 저감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β-carotene, glucoraphanin 및 glucoraphenin이 풍부한 RSE 및 KSE는 항산화 활성 및 지방세포 분화억제 효능을 갖으며, 천연물 유래 항비만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Common cruciferous vegetables, kohlabi (Brassica oleracea) and radish (Raphanus sativus), contain phytochemicals such as glucosinolates and carotenoid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of kohlrabi sprout extract (KSE) and radish sprout extract (RSE). The total carotenoid and glucosinolate contents of KSE and RSE were 39.50±0.67 and 76.73±2.75 ㎎/g, respectively. The total glucosinolate contents of KSE and RSE were 2.65±0.02 and 8.13±0.54 ㎎/g, respectively. The in vitro-antioxidative activities of KSE and RS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more, β-carotene and glucosinolate-enriched KSE and RSE significantly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during the adipogenesis of 3T3-L1 preadipocy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lucosinolate-enriched KSE and RSE, especially RSE, can be used in the treatment of obesity and as a natural source of antioxidants.

      • KCI등재
      • KCI등재

        늙은 호박, 율무, 꾸지뽕잎 혼합조성물이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내장지방, 배변량 및 혈청지질농도에 미치는 영향

        경원,성기승,김성수,이옥환,복희,한찬규,Lee, Kyoung-Won,Sung, Ki-Seung,Kim, Sung-Soo,Lee, Ok-Hwan,Lee, Bog-Hieu,Han, Chan-Kyu 한국식품영양학회 2012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5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diet with Cucurbita moschata (CM), adlay seed (AS), and Cudrania tricuspidata leaf (CTL) mixed-powder on the visceral fat, fecal amount, and serum lipid profiles in rats fed a high-fat diet (HFD). The mixed ratio of CM, AS, and CTL as a functional food ingredient was 1:1:1 on a weight basi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fed a high-fat diet (D12492; 45 kcal fat) for 5 weeks during the first phase. In the second phase, which lasted 5 weeks, the rats were divided into six experimental groups. The groups were: a high-fat diet group as a control during the 10 weeks of experimental period; and a high-fat diet with 5, 10, 15, 20, and 30% mixed-powder supplement group. The adipose tissue (RFP, EFP) weight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20% and 30% mixed-powder supplement groups than in the HFD group (p<0.05). The fecal weight produced by the 15%, 20%, and 30% mixed-powder supplement group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second phase compared to the first phase (p<0.05). In terms of serum lipids, TG (triglyceride) content was decreased in the 10% and 15% mixed-powder supplement groups. The blood glucose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experimental diet supplement groups than in the HFD group (p<0.05). The findings show that the high supplement groups could improve the visceral fat accumulation, fecal amount, and blood glucose content compared to the HFD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