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년대 농촌소설의 위치와 `1950년대 농촌`의 순수지향성 - 오영수와 오유권의 소설을 중심으로 -

        최애순 ( Choi Ae-soo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4 국제어문 Vol.61 No.-

        해방공간에 높이 평가되었던 농촌을 배경으로 묘사한 작품들은, 1950년대 공간에서는 현실도피라거나 낭만적인 경향으로 비판받았다. 본 논문에서는 1950년대 젊은 세대이면서도 문학사에서 전후세대로 기록되는 김성한, 손창섭, 장용학, 선우휘, 오상원 등과 전혀 다른 계열의 작품을 썼던 오영수와 오유권의 소설을 중심으로 하여, 1950년대 농촌소설의 위치가 어떠했는지를 가늠해보고자 한다. 이는 1930년대 후반 토속 계열의 작품 경향을 이어받은 농촌소설이 해방공간에서는 `현실주의 문학`으로 인정받던 것에서 1950년대로 오면 어떻게 하여 현실도피의 문학, `서정주의` 계열의 작품으로 비판받게 되는 것인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현대문학』과 『사상계』의 틈바구니에서 `농촌소설`을 쓴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지, 김동리의 샤먼과 토속세계로 이어지는 기존의 농촌작가들과 해방 이후 등단한 오영수, 오유권의 소설은 어떤 맥락 하에 위치하는지 등의 텍스트 바깥의 1950년대 문단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1950년대의 농촌소설 혹은 농촌이라는 공간의 사회적 의미를 짚어보고자 하는 것이다. 오유권과 오영수는 『현대문학』의 대표 필진들이다. 그런 면에서 1950년대 그들이 그리는 농촌공간은 김동리의 토속적인 샤머니즘의 세계와 맞닿아 있는 `순수문학`의 세계를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사상계』 측에서 그토록 `농촌`을 그린 소설들을 현실도 피라며 혹독하게 비판한 것은 김동리 측의 순수문학에 대한 반감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오영수나 오유권이 1950년대 농촌을 때 묻지 않은 곳, 인정이 남아 있는 곳, 사람의 온기가 남아 있는 곳으로 그리고 있는 것 역시도 그들의 소설 경향이 곧 당대에 `순수주의`로서의 `이념`을 표상하는 것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1950년대 순수지향으로서의 농촌`은 1960년대 순수참여논쟁을 향한 예비 戰線이었던 것이다. 1960년대로 치닫기 전, 1950년대 농촌은 낭만적이고 이상화된 공간으로 그려졌다. 그러나 사실은 모든 이념으로부터 무화되어 텅 비어 있었던 것처럼 보였던 `1950년대 농촌`이라는 공간은 1950년대 『사상계』와 『현대문학』, 김동리의 샤머니즘(순수문학)과 신세대들의 보이지 않는 치열한 접전 지점이었던 것이다. 그동안 문학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거나 누락되었던 1950년대 농촌소설은 그런 자장 하에서 다시한번 논의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현대문학과 사상계, 농촌과 도시, 순수와 지성, 기성세대와 젊은 세대, 전통과 근대 등으로 양분되어 문단의 대립구도와 이데올로기의 갈등이 첨예화된 1950년대에 농촌소설은 `순수`와 `인정`의 `보편적 휴머니즘`을 내세우며 담론의 중심에서 있었다. This paper intended to look into the reason why rural novels in the 1950`s had aimed purism in spite of the criticism of escaping of reality. O Yoo-kweun and O Young-soo were rural novelists in the 1950`s compared with postwar generation novels who had written existence of urban intellectual like Son Chang-sup, Kim Sung-whan, O Sang-won and so on. O Yoo-kwan and O Young-soo was maneuvers in a battle by pen of Modern Literature to represent the older generation like Kim Dong-lee`s pure literature. The new generation like Lee O-lyoung of Sasangge criticized their rural novels by the reason of escaping of reality in the 1950`s. The rural novels in the 1950`s was placed in the center of discussion such as a conflict of old and new generation surrounded by tradition, purity and participation and so on.

      • KCI등재

        1950년대 여학교 교육을 통해 본 ‘현모양처’론의 특징

        김은경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4

        The characteristics of Hyeonmoyangcheo-ism (wise mother, good wife) in the 1950s, which were observed through the girls' school curriculums and homekeeping textbooks, were arranged as follows.Firstly, Hyeonmoyangcheo-ism in homekeeping textbooks in the 1950s stressed the modern housewife. The Confucianwomen's virtues, such as submissiveness, faithfulness and samjongjido (obedience to father, husband and son), that were in girls' moral training and home management textbooks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This was a part of girls' education built on democracy and equality asserted by a new Korea, the 'modern nation'.Secondly, with the increasing demands for women's labor after the Korean War, women's occupations were reinforced and incorporated in homekeeping textbooks in the 1950s. Even though having a job was a secondary task to the role of a homemaker, the details of women's occupation illu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Hyeonmoyangcheo-ism in this period of time.Thirdly, The resident practice program emphasized the tradition women's behavior along with the modern homemaker, the rational designer of homekeeping. This seems to have been reinforced from the criticism towards women based on Westernization after the Korean War. 1950년대 현모양처가 구성되는 조건은 매우 다양했다. 가사교과서와 여학교의 교육과정을 통해 본 1950년대의 현모양처주의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첫째, 1950년대 가사교과서에 나타난 현모양처론은 일제시기와 달리, 유교적 여성 규율을 배제함으로써 성별분업에 근거한 ‘근대적’ 전업주부상을 이상화하였다. 1950년대 가사교과서는 일제시기 여학생 수신교과서에 등장하는 ‘순종’, ‘정절’, ‘삼종지도’ 등과 같은 유교적인 여성덕목이 사라지고 직분론에 근거한 ‘근대적’ 주부상을 강조하였다. 이는 ‘민주주의’를 표방한 신생 대한민국의 국가 이념이 여성교육에 차별적으로 적용된 결과였다. 둘째, 가사교과서에서 여성 직업에 관한 내용을 강화하고 구체화함으로써 1950년대 현모양처론은 여성에게 가사 관리자뿐 아니라 생계 담당자의 역할도 아울러 부과하였다. 기혼여성의 직업활동은 현모양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것이었지만, 가사교과서는 이것을 가정경제를 운용하는 ‘현대적’ 현모양처의 임무로 수렴하였다. 셋째, 1950년대 여학교의 교육이념과 생활관교육과 같은 실제 교육 내용을 통해 본 현모양처론은 ‘근대적’ 주부상과 ‘전통적’ 규범을 내재한 여성상을 접목한 것이었다. 1950년대 여학교의 교육이념은 순종적 부덕보다는 ‘민주주의’에 부합하는 여성 인재의 양성에 목표를 두었지만, 실제 교육은 여전히 현모양처주의를 중시했다. 교육이념과 실제 교육의 이중성은 50년대 처음 시도되었던 생활관 교육에서 그 전형을 볼 수 있다. 생활관 교육은 가사의 합리적 설계자로서 ‘근대적’ 전업주부를 이상적 모델로 하면서도 ‘전통적’ 여성 규범을 강조하였다. 이것은 50년대 현모양처론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사실을 종합해 볼 때, 1950년대 여학교 교육은 가사교과서와 여학교의 교육이념에서 유교적 여성규범을 일면 강조했던 일제시기의 그것을 탈피하면서도 실제 교육 내용은 여전히 ‘전통적 부덕’을 중시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볼 때, 1950년대 현모양처는 가정개량과 양육을 책임지는 ‘근대적’ 전업주부 모델이었지만, 또 한편으로 ‘서구화’에 물들지 않고 ‘전통적 부덕’을 계승해야 하는 존재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1950년대의 현모양처는 서구의 ‘근대적’ 전업주부상과는 달리, 윤리적으로는 ‘전통성’을 체현하는 한편 가정을 ‘근대적’으로 개량하는 주부상이었다고 하겠다.

      • KCI등재

        노래로 기억하는 6.25전쟁과 서울-1950년대 노래책 『대중가요』 제1,2,3집 수록곡을 중심으로

        장유정 서울역사편찬원 2021 서울과 역사 Vol.0 No.107

        This paper examines the appearance of popular songs in the 1950s, with the Korean War and Seoul as the key words. Seoul songs released in the 1950s can be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songs depending on the lyrics. A series of events that led to the Korean War, the armistice, and postwar reconstruction that broke out in 1950 completely changed our daily lives. The family was disbanded and many people lost their hometowns and homes and had to wander. In particular, during the war period, "Busan" became the capital of the country, and popular songs often featured spaces of refuge, including Busan. Therefore, Seoul songs of the 1950s need to look at the previous and subsequent periods together. There were already concerns about war before the war, and after the armistice, the aftermath of the war continued until the 1960s. For this reason, this paper focused more on the "space" of Seoul than the "event" of war and looked at the relevant aspects. In particular, three popular song books released in the late 1950s, which were not well known until now, were the main subjects of the analysis. It is a collection of songs related to Seoul by researching all the song books. After dividing it into positive and negative songs, we looked at how each of them appeared. Among the songs in Seoul released in the 1950s, positive content was largely divided into 'Seoul of Reconstruction and Hope' and 'Seoul of Love and Youth'. These songs, which depicted reconstruction and hope-filled Seoul after the war, were characterized by the use of foreign words. And musically, there were many pop songs of medium tempo. Next, the Seoul songs, which contain negative content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 Seoul song of "Unkindness and Relentlessness " and the Seoul song of "Parting and Sadness." These songs capture the scars and pain of people who came to Seoul from the provinces in search of work after the war. It was also confirmed that Myeong-dong appeared frequently in songs from the 1950s as ‘Myeong-dong’ emerged as a city of culture and romance after the war. In the song, Myeong-dong was depicted as a space where the joy of love and the sorrow of parting coexisted. This paper looked at the aspects of Seoul songs by listening to specific works from the 1950s.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 information of songs of the 1950s is relatively inaccurate compared to songs of other times, and that they are not aimed at numerous works. Nevertheless, impressive features could be captured. Thus, supplementation and reinforcement of data are required in the future. 본고는 6・25전쟁과 서울을 핵심어로 하여 1950년대 대중가요의 모습을 살펴 본 것이다. 1950년대에 나온 서울 노래들은 노랫말에 따라 크게 긍정의 노래와 부정의 노래로 나눌 수 있다. 1950년에 발발한 6・25전쟁과 휴전, 그리고 전후 복구로 이어지는 일련의 사건들은 우리의 일상을 송두리째 바꾸어 놓았다. 가족은 해체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고향과 터전을 잃고 떠돌아야 했다. 특히 전쟁 시기에는 ‘부산’이 피란 수도가 되면서 대중가요에도 부산을 위시한 피란지의 공간이 종종 등장했다. 그러므로 1950년대의 서울 노래는 1950년대를 기준으로 그 이전 시기와 이후의 시기를 아울러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전쟁 이전에 이미 전쟁에의 우려가 있었고, 휴전 이후에는 전쟁의 여파가 1960년대 이후로도 계속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정이 있어서 본고는 전쟁이라는 ‘사건’보다 서울이라는 ‘공간’에 더 주목해서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본고에서는 이제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1950년대 후반에 나온 세 권의 대중가요 노래책을 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노래책을 전수 조사하여 서울과 관련된 노래들을 모두 모았다. 이를 다시 긍정의 노래와 부정의 노래로 나눈 뒤, 그 각각의 모습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1950년대에 나온 서울 노래 중 긍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노래들은 크게 ‘재건과 희망’의 서울과 ‘사랑과 청춘’의 서울을 그린 노래로 나뉘었다. 전쟁 이후 재건과 희망이 넘치는 서울 모습을 그린 노래들은 주로 외래어를 사용한다는 특징을 드러냈다. 그리고 음악적으로는 미디엄 템포의 팝 계열의 음악이 많았다. 다음으로 부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서울 노래는 크게 ‘비정과 매정’의 서울 노래와 ‘이별과 슬픔’의 서울 노래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노래들은 전쟁 이후, 일자리를 찾아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온 사람들의 상처와 아픔을 담아냈다. 또한 전쟁 이후, 명동이 문화와 낭만의 도시로 부상하면서 1950년대 노래에 명동이 자주 등장한 것을 확인하였다. 노래에서 명동은 사랑의 기쁨과 이별의 슬픔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그려졌다. 본고는 1950년대에 나온 구체적인 작품을 들어 서울 노래의 양상을 살펴봤다. 하지만 1950년대 노래의 정보가 다른 시대의 노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정확하지 않고, 수적으로 많은 작품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닌지라 여러 한계를 지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상적인 특징은 포착할 수 있었다. 이에 앞으로 자료의 보완과 보강이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1950년대 한국 대중가요의 두 모습, 지속과 변화

        이준희 대중서사학회 2007 대중서사연구 Vol.- No.17

        1950년대 한국 대중가요에 대한 연구는 현재 그렇게 많지가 않다. 작품양식에 주목한 기존 연구에서는 두 가지 양식의 재생산과 새로운 등장에 초점을 맞추어 그 성격을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대중가요는 작품인 동시에 상품이기도 하므로 생산과 유통의 구조를 아울러 살펴야 할 필요도 있다. 생산과 유통의 구조는 인적 구성의 측면, 제작체제와 매체의 측면, 유통구조와 시장의 측면으로 나누어 볼 있으며, 거기에는 지속과 변화라는 이중적 성격이 존재한다.인적 구성의 측면에서 볼 때 1950년대 대중가요에는 이전에 비해 변화된 모습이 많이 보인다. 문인 출신 작사가나 제도적 음악교육을 받은 작곡가, 배우나 기생으로 활동한 경력이 있는 가수 등은 1950년대에 거의 사라졌다. 이를 통해 대중가요는 생산담당층의 정체성을 한층 강화할 수 있었다. 제작체제와 매체의 측면에서 볼 때, 일제시대에 존재했던 음반회사 체제가 외형적으로는 1950년대에도 그대로 유지가 되었다. 그러나 실질적인 운영면에서는 전속제가 해체되면서 음반회사의 영향력이 감소하게 되었다. 또, 1950년대 후반부터는 LP음반이 새로운 매체로 등장했다. 유통구조와 시장의 측면에서 볼 때, 음반회사의 영향력 감소에 따라 공연무대가 별도의 영역을 구축하면서, 유통의 이중구조가 자리잡게 되었다. 이중적 유통구조는 나아가 시장의 분화로도 이어졌다.1950년대 대중가요의 이러한 경험은 1960년대 이후 한국 대중가요의 역사가 재구성될 때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대규모 전집음반 편찬을 통해 구체화되었다.주제어1950년대, 대중가요, 이중구조, 지속과 변화

      • KCI등재

        1950년대 출판시장에서 이광수의 위상

        김종수(Kim Jong-soo)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3

        한국전쟁 시기에 납북된 이광수는 1950년대 생사를 알 수 없는 상황에서도 한국 문단의 핵심적인 인사로 자리매김되었다. 일제 식민지 시기 대표적인 친일 문인이었던 이광수는 해방이 되자 문인으로서의 활동을 할 수 없는 신세였으나 자신의 저작을 단행본으로 출판하며 작가적 위상을 유지하였다. 한국전쟁으로 폐허가 된 한국 사회에서 서울에 근거지를 두고 있던 출판사들은 식민지 시기와 해방기에 큰 인기를 누렸던 이광수 저작물을 대거 중간(重刊)하며 상업적 활로를 모색하였고 이광수의 대중적 위상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1950년대 불황의 출판시장에서 그 대중적 인기를 재확인한 이광수의 저작들과 1950년대 재편된 한국 문단의 권력구도에서 부각된 이광수의 근대문학적 선구성(先驅性)은 한국사회에서 이광수의 작가적 입지를 공고히 하는 데에 기여했다. 또한 이광수를 추앙하는 출판인, 문인, 유족들이 이광수의 전집을 기획, 출판함으로써 1950년대 이광수는 한국의 ‘세계적인 문호’로서의 지위로까지 격상된다. 여기에 한국전쟁 납북자로서 갖게 되는 사회적 동정 여론을 받아 과거 친일행적에 대한 이광수의 과오는 은폐된다. 한국전쟁이 발발한 1950년대에 납북되어 문학활동을 마감한 이광수이지만 1950년대 출판시장과 문학, 문화, 예술계에서 전개된 이광수 추앙 분위기가 이광수의 대중적 입지를 공고히 하였던 것이다. Despite sudden changes in the domestic political situation and economic depression after the Korean War, Yi Gwang-su’s status in the Korean publication market was stable in the 1950s, because his books addressed the wishes of Korean readers and publishers. As a large number of people read his books in the 1950s, he received the honor of having his works published as culturally significant book collections, such as Chunwon library[Chunwon Mungo] published by Munseon book company in 1955 and Chunwon collection[Chunwon Chanjip] released by Gwangyoung book company, which was established by his widow in 1956. He was described as “the first Modern novelist in Korea” in the monthly magazine, Contemporary literature[Hyundae Munhak], which was edited by Professor Cho Yeon-hyeon, who had much influence in the Korean literary world in the 1950s. Furthermore, the Korean public felt compassion for Yi Gwang-su, as he had been kidnapped by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after which he became a pioneering nationalist. The important position of Yi Gwang-su is still upheld to this day, and he is considered a representative writer in Korean literary history.

      • KCI등재

        현대시조 전후 세대의 불교성 연구

        권성훈(Kwon, Sung-hun) 한국시조학회 2022 시조학논총 Vol.56 No.-

        본고는 1950년대 전후 세대의 현대시조에 나타난 불교적 양상을 통해 고유한 정형 양식과 그 의미를 탐구했다. 현대시조 문학사에서 1950년대 전후 시조는 현대시조 개척기로 평가한다. 현대시조 개척기의 전개 과정은 1910년대 현대시조 태동기와 1920~40년대 현대시조 모색기를 거치면서 발생 되었다. 1920년대 최남선, 이은상, 이병기 조운 등에 의해 펼쳐진 ‘시조부흥운동’과 함께 고시조라는 구태를 벗었다면 1950년대 시조 개척기에 현대문학 장르로써 시조가 본격적으로 확립되었다. 일제강점기에서 산업화 시대 사이에 놓인 당대의 문학은 전통과 순수로 구성되면서 세대의 변화와 함께 첨예한 대립을 촉발했다. 당시 소수 시조 시인들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의 참상과 폐허 속에서 실존의 위기를 경험하면서 1950년대의 전통적 세계관을 시조 문학을 통해 열어갔다. 이들은 민족 유일한 주체적 언어로서 시조를 옹호하며 고전적 미의식과 형식미학을 펼쳤다. 게다가 개화기 근대시조 형성기와 현대시조 개척기에서 고수한 전통성을 수용하면서도 반근대적인 시조 형식의 변화를 모색했다. 이 가운데 삶의 변화와 시대적 문제를 시조를 통해 관찰하면서 이전에는 없었던 다양한 불교적 사유를 보여준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1950년대 전후 세대 불교의식을 살피기 위해 2장에서는 1950년대 전후 시대와 시조를 고찰한다. 이어 3장에서는 전후 세대의 시조와 불교의식의 양상으로 세 가지로 분류해서 탐구했다. 먼저 1950년대 시조에서 불교적 사유로 구성된 시편을 통해 유사한 형식으로 형성된 작품군을 중심으로 고찰했다. 이 글은 텍스트 시편에서 두드러진 불교적 사유인 자연적 인과성, 부처의 표상, 인드라망의 세계 등을 시적 양식으로 형상화하고 있는 단시조, 연시조, 산문적 시조로 살폈다. 첫째 단시조와 자연의 인과성에는 이호우, 이영도, 최승범, 송선영을, 둘째 연시조와 부처의 표상에서는 김상옥, 박병순, 이태극을, 셋째 산문적 시조와 인드라망의 세계에서는 정소파, 장순하, 박경용 등의 시조를 중심으로 전후 세대 불교의식을 고찰했다. 1950년대 전후 세대 시조 개척기 시조 시인들은 시대적 좌절과 폐허 속에서 시조로서 전통의식을 추구하며 시조 부흥에 이바지했다. 그것은 저마다 시의식 속에서 민족 정서를 보존하고 시대정신을 계승하는데 불교적 사유가 결합 되어 나타난다. 이처럼 혼돈과 격동의 시기 불교적 사유를 가진 시조는 초월적인 것보다는 현실적으로 연원하며 실존적인 문제를 파고들고 있다는 것이 특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sijo orthopedic style and its meaning through the contemporary sijo Buddhist aspects of the generation around the 1950s.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sijo literature, sijo before and after the 1950s is evaluated as a pioneering period of contemporary sijo.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modern sijo pioneering period occurred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modern sijo in the 1910s and the search for the modern sijo in the 1920s and 40s. If the old form of ancestor sijo was removed along with the ‘Sijo Revival Movement’ conducted by Choi Namseon, Lee Eunsang, Lee Byeonggi and Jo Un in the 1920s, Sijo was established as a genre of contemporary literature during the pioneering period of sijo in the 1950s. The contemporary literature, which was placed betwee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is composed of tradition and innocence, triggering a sharp confrontation along with the change of generations. At that time, the minority sijo poets experienced the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liberation, and the crisis of existence in the tragedy and ruins of the Korean War, and opened their world view through the sijo literature in the 1950s. They defended Sijo as the nation"s only independent language and cultivated classical aesthetics and formal aesthetics. While accommodating the traditions adhered to in the period of the formation of modern sijo and pioneering period of contemporary sijo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anti-modern sijo change was sought. By observing the changes in life and the problems of the times through sijo, it reveals a variety of Buddhist thinking that has never existed before. In order to examine the Buddhist consciousness in the before and after period in the 1950s based on previous research in this article, Chapter 2 examines the before and after period and sijo of the 1950s. In Chapter 3, we sought to classify the founders of the before and after generation and Buddhist consciousness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is study focused on a group of works formed in a similar format through the psalms composed of Buddhist thought in Sijo in the 1950s. Therefore, this article analyzed the Buddhist thoughts prominent in text psalms, such as natural causality, Buddha"s representation, and the world of Indraman, by dividing them into short sijo, sequence sijo, and prose sijo in poetic style. Studying on Buddhist consciousness of before and after generations focusing on sijo, the sijo poet of the text sijo, first, Lee Hou, Lee Yeongdo, Choi Seungbeom and Song Seonyeong for the short sijo and the natural causality, second, sequence sijo and Buddha"s representation, Kim Sangok, Park Byungsoon, Lee Taeguk, prose sijo and the world of Indraman, Jeong Sopa, Jang Soonha, Park Kyungyong. The sijo poets of the before and after generation in the 1950s who were examined in this way contributed to the revival of sijo by pursuing traditional consciousness as sijo amidst the frustration and ruins of the times. It preserves the ethnic sentiment in each ritual and manifests itself in combination with Buddhist reasons to inherit the zeitgeist. Buddhist consciousness, which appeared in a time of chaos and turbulence, operates realistically rather than transcendentally, and delves into existential problems.

      • KCI등재

        1950년대 『사상계』와 전후 신세대 오상원의 휴머니즘

        최애순(Choi, Ae-Soon)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57

        1950년대 ‘휴매니즘’이라는 용어는 각기 다른 맥락에서 보편적으로 통용되었다. 대립되는 사상이나 이데올로기에서 ‘휴매니즘’이라는 같은 용어를 내걸고 싸우고 있었다. 그것은 ‘휴매니즘’이 1950년대를 타결해 줄 유일한 돌파구로 보였기 때문이다. 1950년대 휴머니즘은 ‘인정적 휴머니즘’과 ‘실존주의적 휴머니즘’으로 양분되었고, 그것은 기성세대의 김동리로 대표되는 순수문학의 『현대문학』과 신세대 전후 작가들로 대표되는 『사상계』로 대립되었다. 그러나 기성세대의 것에 무조건 반항하려는 신세대들이 토속적인 것, 전통을 전면 부인하고 서구의 것만을 받아들인 결과는 그들이 내세운 구호가 추상적이라거나 허무주의로의 귀결이라는 비난을 면치 못했다. 결국 1950년대 두 갈래의 휴머니즘은 한국적인 것과 서구적인 것, 즉 전통과 새로움의 충돌로 이어진다. 토속성, 토착적인 것은 어느 시기에는 전통으로 존중받기도 하고, 또 다른 시기에는 국수주의나 전통주의로 취급되어 비난을 받기도 한다. 1950년대 전후 작가들에게 ‘전통’은 바로 기성세대를 대표하는 넘어서야 할 것일 뿐이었다. 1950년대 전후 신세대의 휴머니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동인문학상을 받은 오상원이 ‘휴머니즘’을 어떻게 받아들였는지 따져보아야 한다. 그것은 1950년대 휴머니즘 논의에 관한 전반적인 문제제기이기도 하다. 이데올로기가 서로 다름에도 휴머니즘이라는 같은 용어를 사용하고 있고, 서로 비판할 때도 휴머니즘 문제를 거론하고 있다. 이렇게 휴머니즘이라는 용어를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이 1960년대 세대들에게 허무주의로 비판받을 수밖에 없었던 것은, ‘휴머니즘’ 논의의 추상성 때문이다. 오상원 역시 〈현실〉에서 선임 하사의 무차별적인 총살에 대해 집단을 살리기 위해서는 어쩔 수 없다는 논리를 내세우다가도, 〈모반〉에서는 집단의 목표 대신 개인을 더 중하게 여긴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그것은 오상원이 〈유예〉에서 반공주의적인 이데올로기를 드러내다가 〈현실〉에서 전체를 강조하는 사회주의 원리를 들이대는가 하면, 〈모반〉에서 한 개인의 생명을 소중히 여기는 개인주의를 강조하는 것에서 볼 수 있다. 오상원의 소설을 논할 때 기법이나 문체에 대해서는 엇갈렸으나, 주제에 대해서는 ‘휴머니즘’으로 모아졌던 당대 비평에서 문제 삼아야 할 것은, 바로 ‘휴머니즘’이란 용어가 어떻게 문제적으로 담론의 장에서 사용되었는가 하는 점이다. Humanism in Korea was a multi-layered term in the 1950’s. The postwar generation used humanism, and the older generation also used humanism. Their positions were different between Sasangge and Modern Literature. Humanism was divided into empathic and lyrical humanism and existential humanism. One is represented by Kim Dong-lee and Whang Soon-won, and the other is represented by O Sang-won. O Sang-won is representative of the postwar generation of Sasangge. O Sang-won’s novel had been war-literature. However, O Sang-won’s background was not limited by the war period. Rebellion, the work Dong-in Literary Award dealt with the liberation period. Debaters criticized his style and sentence construction or the abstract war background. Otherwise, the subject of O Sang-won’s novel is concurred in humanism. What does O Sang-won’s humanism support and defy?

      • KCI등재

        한말숙 소설집 『신화의 단애』 연구 - 1950년대 전후사회체제와 입사(入社, initiation)하기-

        박필현 ( Park¸ Pil-hyeon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2 No.-

        한말숙은 그간 전후 세대를 대표하는 작가 중 하나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정작 1950년대 한말숙 작품 전반에 대한 논의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고에서는 1960년에 발간된 소설집 『신화의 단애』를 통해 1950년대 한말숙 작품의 특성과 문제의식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1950년대 한말숙 작품이라고 하면 흔히 전후 빈곤한 청년 세대의 형상화를 떠올리게 된다. 이는 등단작이 남긴 강한 인상과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특정 작품에 한정짓지 않고 1950년대 작품 전반을 살펴보면, 등단작이 준 인상과는 달리 이 시기 작품이 특정 계층이나 세대에 한정되지 않고 매우 다양한 세대와 계층을 고르게 형상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당대 다른 작가나 한말숙의 1960년대 이후 작품 활동과 비교해보아도 두드러지는 특성이기도 하다. 다양한 세대와 계층에 대한 관심은 작가의 강점으로 언급되기도 한 냉철한 관찰자적 태도와 어우러져, 1950년대 한말숙의 관심이 사회 구성에 대한 탐색에 있음을 보여준다. 1950년대 전반이 전쟁 속에서 생존이 급선무였던 시기라면 1950년대 후반은 전후 복구와 사회 체제 안정을 위한 대대적 정비가 이루어진 시기이다. 한말숙은 이러한 1950년대의 한 가운데인, 1950년대 중반에 등단했다. 두 등단작 「신화의 단애」와 「별빛 속의 계절」에는 이채로운 여성 인물이 등장하는데, 이 두 인물 곧 ‘진영’과 ‘경자’는 전쟁으로 인한 피해의식이나 방향 상실이 아니라 질서에서 놓여난 자유, 질서 회복 요구에 대한 인식과 반항적 태도를 보여준다. 강압적인 태도로 질서 회복을 꾀한 1950년대 후반 한국 사회에서 개인은 사회적 질서를 승인하고 편입할 것을 요구받는다. 이 과정에서 탈락하지 않고 무사히 질서 잡힌 사회 속에 편입한 경우, 개인의 욕망이나 이상은 상실되거나 무한히 유예된다. 『신화의 단애』에서 개인의 욕망을 내려놓고 입사하기에 성공한 이후의 삶은 무의미한 것으로 그려진다. 따라서 결혼이나 취업 등 가시화된 통과의례를 접한 『신화의 단애』 속 인물들은 의도적으로 ‘선택 유보’를 선택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보는 개인 ‘나’의 이상이나 욕망이 현실 사회 속에서 결코 수용될 수 없다는 비관적 전망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적인 것의 표상이라고 할 「검은 장미」의 ‘기준’이나 「향란원」의 ‘준용’ 등은 모두 요절한다. 구체성을 상실한 이낭만적 사랑의 환상은 개인과 사회의 관계 속에서, 개인의 고유성은 훼손되거나 상실될 수밖에 없다는 필패(必敗)의 전망을 보여준다. 『신화의 단애』는 사회와 대응되는 개인의 특수성이 무엇인가 하는 지점을 작품 속에서 본격적으로 형상화하지는 못했지만 입사하기 과정 속 개인의 갈등을 그려내며 그렇게 구축된 사회화된 삶의 가치에 대해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1960년대에 이르러 비로소 본격화된 입사와 ‘개인’에 대한 탐구의 전사(前史)로서 그 가치를 갖는다. Han Mal-sook is evaluat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writers of the post-war gener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a discussion on the overall works of Han Mal-suk in the 1950s. This paper attempt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 consciousness of Han Mal-sook's works in the 1950s through The cliff of Myth published in 1960. Looking at Han Mal-sook's overall work in the 1950s, it can be seen that unlike the impression given by the work that started, it evenly embodies various generations and classes. These interests in various generations and classes and cool-headed observer attitudes show that Han Mal-sook's interest in social composition in the 1950s. The first half of the 1950s was a time when survival was urgent in war. And the late 1 950s was a period of massive maintenance for post-war restoration and social system stability. Han Mal-sook started in the mid -1950s. Han Mal-sook's "The cliff of Myth" and "Season in the Starlight" embody a different female character. These two characters, Jin-young and gyeong-ja, do not show a sense of damage or loss of direction due to the war. They show awareness and rebellious attitudes toward the demand for freedom and restoration of order enjoyed in the liberation zone. In the late 1950s, Korean society demanded that individuals approve and incorporate social order in a more coercive manner than before. Socialized individual desires or ideals are lost or suspended. In The cliff of Myth, life after putting down individual desires and succeeding in initiation is meaningless. Therefore, the characters in The cliff of Myth deliberately reserve their choices when they encounter passing rituals such as marriage or employment. However, this behavior takes place in the negative prospect that individual ideals or desires can never be accepted in society. The cliff of Myth did not fully embody the specificity of individuals corresponding to society. However, it depicts individual conflicts in the process of initiation. And it raises questions about the value of socialized life built in that way. In other words, The cliff of Myth has the value of a preceding history of exploration of 'individuals' and initiation that began in earnest in the 1960s.

      • KCI등재

        1950년대 대중음악 속 사랑의 제 모습: 노래책 『대중가요』 제1, 2, 3집 수록곡을 중심으로

        장유정 ( Zhang Eujeong ) 민족음악학회 2021 음악과 민족 Vol.- No.61

        본고는 1950년대 말에 발간된 노래책 『대중가요』 1, 2, 3권 속 사랑 노래를 고찰한 것이다. 노랫말을 중심으로 노래에서 사랑이 어떻게 그려지고 있는지를 몇 가지 형태의 사랑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특히 누가 누구를 향한 어떤 사랑인지를 중심으로 해서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 연인에 대한 미련과 집착, 이국 여성에 대한 동경과 환상으로 나누어 보았다. 먼저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사랑을 표출한 노래는 대체로 아이가 부모 내지 어머니에게 전하는 말이나 남매 중 오빠가 여동생에게 건네는 말로 이루어진 노래가 있었다. 이러한 노래들은 1950년대 당시 전쟁 이 후 발생한 전쟁고아와 관련이 있다. 그리고 전장에서 어머니와 고향을 그리워하는 병사들의 목소리와도 연관된다. 다음으로 연인에 대한 미련과 집착을 보여주는 노래들은 성별을 단정할 수 없는 노래 화자의 방백으로 이루어진다는 특징을 드러냈다. 특히 이별 후 노래 화자가 느끼는 외로움과 그리움에 초점을 맞춘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노래들은 그 이전 노래들이 보여주었던 이별의 정서를 계승하는 측면이 있었다. 즉 ‘현재는 없으나 과거에는 존재했던 임’과 ‘시적 화자의 수동적인 태도’가 그것이다. 그런데 그 내용을 보면, 떠난 임에 대한 미련과 집착을 보여준다는 특징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1950년대 사랑 노래에는 이국 여성에 대한 동경과 환상이 드러났다. 이는 6.25 전쟁 이후에 당시 우리나라 사람들이 직간접적으로 경험한 무수한 이국과 관련이 있다. 영화를 위시한 수많은 서양 문화를 접하면서 이국 여성에 대한 동경과 환상을 키웠다. 이국 남성을 사랑의 대상으로 선정한 노래가 거의 없는 것과 달리, 이국 여성이 노래 화자의 사랑과 이별의 대상이 되었다는 것은 대중가요의 작사자가 대부분 남성이었다는 것과도 연결된다. 하지만 이러한 노래가 많이 나왔음에도 다소 공허하게 들리는 것은, 이것이 실제라기보다 현실을 도피하기 위한 일종의 안전한 환상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1950년대는 그 누구도 6.25 전쟁의 영향과 여파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사랑을 다룬 노래에서도 이러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연인간의 사랑을 다룬 노래들은 그 이전 시기나 이후 시기와 유사한 측면이 많다. 하지만 노래에서 남매를 위시한 가족이 소환된다든지, 이국 여성과의 사랑을 다룬 노래들은 1950년대 대중가요에서 유독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즉 전쟁 이후의 특수한 상황이 노래에서 가족이나 이국 여성을 소환했다고 볼 수 있다. 1950년대 이후 대중가요에서 가족이 소환되더라도 군인 신분의 아들이나 부모 잃은 남매의 모습을 찾기 어렵다는 것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더 이상 이국이 동경의 대상이 아니라 실제 접할 수 있는 대상이 되면서 이국 여성과의 사랑을 다룬 노래도 찾기 어려워졌다. 연인간의 사랑의 경우, 시대와 상관없이 오랫동안 대중가요의 중요 소재이다. 노래는 그러한 사랑을 반영하고 사랑에 아파하는 사람들을 대신해서 울어주었다. 그리고 이것이 노래가 존재하는 이유이다. 1950년대 남녀간의 사랑 노래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연인간의 사랑 노래에서는 1950년대만의 특징을 찾기 어려웠다. This paper considers the aspects of love in a song book, Popular songs vol. 1, 2, 3 published in the late 1950s. We divided how love is portrayed in the song with the words of the song into several forms of love. They include longing and love for family, lingering and obsession with lovers, yearning and fantasies about exotic women. First of all, there were songs that expressed longing and love for family, which consisted mostly of words delivered by a child to his parents or mother, or words given to his younger sister by his brother and sister. These songs are related to the war orphans that occurred after the war in the 1950s. It is also related to the voices of soldiers who miss their mother and hometown on the battlefield. Next, the songs that show lingering attachment and obsession with lovers were characterized by the gender-definite release of the song speaker. In particular, most of the cases focused on the loneliness and longing felt by the singing speaker after the breakup. These songs inherited the sentiment of parting that previous songs showed. In other words, "lover who is not present but existed in the past" and "passive attitude of poetic speaker." However, according to the contents, it shows the lingering attachment and obsession of the person who left. Finally, love songs of the 1950s revealed their yearning and fantasies about foreign women. This is related to the myriad foreign countries experienced directly or indirectly by Korean people after the Korean War. By experiencing numerous Western cultures such as movies, he developed his yearning and fantasies for foreign women. Few songs have selected foreign men as objects of love. However, the fact that foreign women have become the subject of love and farewell by songwriters is also linked to the fact that most of the song's lyricists were male. In the 1950s, no one could be free from the effects and aftermath of the Korean War. Such traces can be found in songs about love. Songs that deal with love between lovers have many similar aspects to the period before or after that. However, songs about family members such as siblings are summoned in the song, and love with foreign women are particularly prominent in popular songs in the 1950s. In other words, the special situation after the war can be said to have summoned family members or foreign women in the song. Thi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even if a family is summoned from a popular song after the 1950s, it is difficult to find a son of military status or a brother and sister who lost their parents. In addition, it has become difficult to find songs dealing with love with foreign women as foreign countries are no longer subject to admiration, but are subject to actual contact.

      • KCI등재후보

        1950년대 우리나라 아동의 의생활과 교육

        정미경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2 實科敎育硏究 Vol.18 No.4

        본 연구는 1950년대 초등학교 아동의 의생활과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관련문헌과 인터넷자료를 수집‧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1950년대 아동의 의생활은 6.25 전쟁으로 인해 미군문화와 해외구호품의 영향 으로 서구화가 급속히 이루어졌으며, 그 속도는 성인보다 그리고 남아가 여아 보다 더 빠른 현상을 보였다. 또한 사회적으로 점차 안정을 되찾으면서 부모들의 아동복에 대 한 관심이 높아져 고급화되고 상황에 따라 다양한 의복을 착용하는 현상을 보였다. 또한 1950년대 초등학교 의생활 교육은 전반기에는 5,6학년 여학생만 ‘가사’를 통해 배웠으며, 1955년 이후 제1차교육과정기에 준하여 4,5학년 남녀 모두 실과 의생활영역 을 교육 받았고, 6학년에서만 남녀를 구분하여 여학생에게만 교육되었다. 이는 당시 바 느질은 여자의 덕목이라는 성역할인식이 반영된데 기인한다. 그러나 후반기 실과교과 에서 남학생도 4,5학년의 경우 교육을 받았다는 점은 전반기에 비해 양성평등의식이 진일보한 교육으로 본다. 내용은 현재에 비해 다루는 내용이 많고 난이도가 높았는데 이는 사회 재건과 낮은 중학교 진학률로 실제적 자활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을 두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1950년대는 6.25전쟁으로 처참했지만 해외의 원조와 국 민의 재건의지는 아동의 의생활에도 놀라운 변화와 성장을 가져왔으며, 시대의 격변에 대응하고 미래를 위해 자활능력을 기르는 교육으로서 초등 가사 및 실과에서의 의생활 교육이 그 일부의 역할을 담당해 내었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ake a look at the clothing & textiles and its education for children in Korea in the 1950’s, and to construct the fundamental reference for other studies in the future. Literatures and references from the internet were reviewed. The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lothing & textiles of Korean children in the 1950’s were westernized faster than adults' in Korea as supplies from U.S Army were the main source of their clothing & textiles. As the society stablized, the interest in the children’s clothing grew, and they start to wear different clothing for different occasions. Also, in the earlier phase of the 1950’s, the only clothing & textiles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were girl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being taught ‘housekeeping‘. After 1955, the clothing & textiles unit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in grades four to six, while in the sixth grade, only girls were taught as well. This derives from the old thought that the ability to sew is a virtue for women.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were greater in volume and complexity that it is now, as the focus of the education was to allow the students to support themselves, as not many students went to school after sixth grade. Although the lifestyles in Korean people in the 1950’s were appalling due to the Korean War, the support from foreign countries and the will to rebuild has brought a surprising change and growth in the children’s clothing & textiles. It can be concluded that education in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fulfilled the role of educating young girls in the 1950’s to help adapt to the sudden change of the era and also cultivate the ability to support themselv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