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사회통합지수에 관한 연구 - 지표의 구성, 측정 및 검증을 중심으로 -

        윤건 ( Kun Yoon ),박준 ( June Park ) 한국정책학회 2019 韓國政策學會報 Vol.28 No.3

        사회통합의 중요성에 따라 사회통합지수가 수차례 시도되었으나 국제 비교라는 목적, 이로 인한 객관적 데이터 위주 측정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변화 추이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 인식데이터에 의한 측정 등을 통해 기존 지수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와 전문가조사에 기초하여 사회통합지수 지표체계를 마련하고, 사회통합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표체계를 검증하고 지수화 하였다. 사회통합지수 지표체계는 사회통합의 조건, 상태, 목적으로 구분하고 사회통합의 상태는 기존의 사회통합 논의를 종합하여 결속, 포용, 갈등으로 구분하였다. 지표체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 분석과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지표들이 지표체계대로 묶이는 것을 확인하였고,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사회통합의 상태가 사회통합의 조건(거버넌스 역량, 경제적 안정성)과 목적(행복) 사이에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수화의 경우 최대최소 방식으로 표준화하고 하위요소 간 산술평균을 통해 도출하였다. 사회통합지수 분석 결과 사회통합의 수준은 낮게 나타났고,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연도별로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갈등 수준이 낮았고, 결속의 하위지수로서의 참여 수준이 동일 레벨의 하위지수 중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일정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Many scholars have been interested in measuring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for its significance in sustainable development. Previous researches tend to focus on cross-national comparisons of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using objective or hard data due to the lack of data availability. But this conventional approach is limited because it neglects that social integration is basically a social construct shaped by citizens and thus using subjective or perception data is crucial to measure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properly. We use data from the Korea Social Integration Survey (KSIS) of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KIPA) which have multiple subjective indicators related to social integration. Rather than cross-country comparisons, we attempt to make time-series comparisons of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in South Korea. With the KSIS data, we try to devise a new social integration index which is more adequate for measuring subjective part of social integration. First, we investigate theoretical literature about concepts of social integration. Then, we perform an expert survey to shed lights on the components of social integration.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analysis of the expert survey, we develop a new framework of indicators for social integration. It is composed of the condition, state, and goal parts of social integration. The condition part includes governance capacity as a political factor and economic stability as an economical factor. The state part is composed of three factors; social cohesion, social inclusion, and social conflicts. The goal of social integration is set to happiness. We test the framework with the KSIS data,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tate of social integration between the condition and the goal of social integration. Our finding is that the social integration index in South Korea has been decreasing between 2013 and 2016, whil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tate par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conclude with policy implications about how to address social conflict and civic participation which have the lowest scores in the social integration index.

      • KCI등재

        Social Capital and Work Integration of Migrants: The Cas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Eric Bidet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09 ASIAN PERSPECTIVE Vol.33 No.2

        This article presents a general overview of the South Korean labor market and the main policies for work integration that have been installed recently, and explains how the recent massive influx of North Korean defectors from low social classes has made their work integration in South Korea a worrisome issue. Available data on the work integ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is presented to illuminate the discrimination they face in the primary labor market and the different indicators of their poor work integration. The failure of their work integration is analyzed through a “social capital” framework, with two main approaches: one regarding social capital as a key factor to understand access to the job market, the other relating integration of immigrants, ethnicity, and social capital. North Korean defectors have an especially low social capital due to a weakness of their ties both to persons belonging to the same community and to persons belonging to different communities. The main argument is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 between this low level of social capital and the poor achiev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erms of work integration. The situation of social exclusion experienced by most North Korean defectors is the result of a process of “disaffiliation” that makes them “social cases” in South Korean society. This article presents a general overview of the South Korean labor market and the main policies for work integration that have been installed recently, and explains how the recent massive influx of North Korean defectors from low social classes has made their work integration in South Korea a worrisome issue. Available data on the work integ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is presented to illuminate the discrimination they face in the primary labor market and the different indicators of their poor work integration. The failure of their work integration is analyzed through a “social capital” framework, with two main approaches: one regarding social capital as a key factor to understand access to the job market, the other relating integration of immigrants, ethnicity, and social capital. North Korean defectors have an especially low social capital due to a weakness of their ties both to persons belonging to the same community and to persons belonging to different communities. The main argument is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 between this low level of social capital and the poor achiev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erms of work integration. The situation of social exclusion experienced by most North Korean defectors is the result of a process of “disaffiliation” that makes them “social cases” in South Korean society.

      • 체계이론과 사회통합

        이남복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0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2 No.1

        오늘날 사회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사회통합에 대한 논의가 폭넓게 회자(膾炙)되고 있다. 최근에는 종교편향 논란, 종합부동산세 폐지, 의료민영화 등을 둘러싸고 일각에서는 배제의식이 확산되고 있다. 체계이론은 사회통합을 체계통합으로 대체하고 있다. 루만은 록우드(David Lockwood)의 체계통합과 사회통합의 구분에 연결시켜 사회통합을 논의해주고 있다. 루만에 따르면 체계통합이란 사회체계의 분화형식을 말하는 것이다. 말하자면 사회의 부분체계들은 어떤 방식으로든 서로 의존적이라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사회통합은 포섭과 배제의 구분으로 대체되고 있다. 말하자면 개인들은 나름대로의 관점에서 분화된 부분체계에 참여한다는 것이다. 루만에 따르면 현대사회에서는 부분체계를 넘어서는 사회 통합적 과정을 짚을 수 있는 어떠한 사회구조나 기반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루만은 포섭을 통해서가 아니라 배제를 통해서 개인을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통합을 개인적 차원으로 밀어내고 있다. 개인은 복합적인 환경으로서 사회와 대치하고 있으며, 단지 이러한 환경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개인의 이력을 일구어 갈 따름이다. 오늘날 사회의 기본구조가 변화하는 가운데서도 사회통합의 본질이나 통합적 원자재가 그대로 남아 있다고 한다면 그런대로 루만의 생각을 받아들일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오늘날 개인들은 이러한 통합적 사고를 가지고 있지 않고도 무수한 많은 활동을 하고 있다. 오늘날 배타분화의 특징을 지닌 구조적 현대성은 어느 정도 개인의 근대성에 상응하는 것이다. 말하자면 개인의 통합적 요구도 분명 변화하고 있으나, 이러한 요구가 사라진 것은 아니다. 오늘날 왜 사회통합이 중요한가? 사회통합은 어디에 근거해야 하는가? 물론 다양한 관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하나의 질서를 넘어서서 모두에게 타당한 가치관과 이해관심이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해야 할 것이다. 개별질서에 단면적 참여만을 문제로 삼을 경우에 우리는 개인의 통합적 요구가 결여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포섭과 배제 개념은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서 사회통합을 질서의 분화에 결부시키고 있다. 기능분화원칙을 독립변수로, 사회통합을 종속변수로 상정한다면, 체계이론은 너무 일방적인 발상이다. 자기 권리와 자율법칙을 제시하고, 다른 구조원칙에서 단순히 유추되는 것이 아니라, 바로 다양한 구조원칙의 상호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 문제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사회통합은 바로 자율법칙을 지닌 이러한 문제에 속하는 것이다. 질서의 중심기준에서 사회 통합적 포함과 배제의 측면을 굴절 없이 추출할 수는 없다. 전문가 행동과 질서를 이끄는 의미기준의 재생산, 즉 학문적 진리, 경제적 수익성, 정치권력, 미학적 기준 그 자체로 문외한에게 미치는 사회 통합적 효과는 미미한 것이다. 사회통합에 있어서 사회적 불평등 문제는 특별히 중요하다. 제도적 영역들은 삶의 기회에 적합한 재화와 가능성을 불평등하게 분배한다. 불평등한 생활관계는 개인의 ‘기대’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대가 바로 사회체계의 구조를 이루기 때문이다. 사회불평등에 대한 포섭과 배제의 차이라는 상황을 정확하게 규정할 경우 사회불평등은 또 다른 설명을 요구할지도 모른다. 또한 모든 질서와 사회불평등 영역들이 동일한 정도 적합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사회통합을 위해서는 서로 다른 질서의 계층적 의미가 설명되어야 할 것이다. As the polarization of the society deepens, there is considerable room for social integration in the society these days. Recently, some within social circles are spreading exclusion-consciousness which points out controversy over biased religion awareness, abolition of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and privatization of health care. Systems theory is replacing social integration with systems integration. Luhmann is preparing the ground for social integration to link systems integration with social integration. Luhmann says that systems integration refers to forms of specialization in social integration. Sectional systems of society is, so to speak, interdependent in any shape or form. On the contrary, social integration is being replaced by nesting or exclusion. So to speak, individuals are participating in the specialized sectional systems from their own perspective. As Luhmann suggests, there is no social structure or groundwork where the social integration process can be made that passes sectional systems. Since Luhmann defines the individual in terms of exclusion, not of nesting, he is pushing social integration into individual level. Individual is basically confronting the society which is a mixed environment, and is only optionally using the environment to make his own career. If the essentials of social integration or integrated raw materials still remain just as it is amid change of social framework these days, Luhmann's idea somehow could be accepted. Individuals are able to involve with a lot of activities today, even if they do not possess the integrated thoughts. Structural modernity featured exclusion-specialization is somehow conformed with the individual modernity. In other words, integrated demand of individual is definitely changing, but this demand is not vanished yet. Why social integration is so important today? Where should be social integration based on? There is no doubt that variety of views should be considered. Rational values and understanding to everybody which pass the order should be required. If we only brings the one sectional participation into question, we could say that our society lacks integrated demand of individual. The concept of nesting and exclusion is associated with specialization of order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nd society. Taking it that functional differentiation i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social integration is the dependent variable, systems theory is a very unreciprocated idea. Social integration belongs to this matter which carries autonomy's law. When it comes to social integration, social issue such as social inequalities is expecially important. Institutional domain distributes goods and chances suited for the opportunities in life in unfairly. Unequal relationship in life should be interpreted in individual's 'expectation', since this expectation sets ground structures in social systems. When the situation is exactly defined w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nesting and exclusion toward social inequalities are clearly explained, social inequalities may need another explanation. Also, every order and social inequality territory cannot be suitable for all as being the same, hierarchical meaning of separate order should be explained in order for the society to be integrated.

      • KCI등재

        이주민 사회통합정책에 관한 연구

        이성순(Sung-Soon Lee)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사회과학연구 Vol.24 No.3

        This paper focuses on the status and problems of social integration policy for immigrants in Korea. So this study analyzed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integration policies of multicultural society by comparing with social integration analysis frame of A. Ager and A. Strang. This analysis frame consists of four main areas(foundation, facilitators, social connection, markers and means) with ten sub areas(right and citizenship, language and cultural knowledge, safety and stability, social bridges, social bonds, social links, employment, housing, education, health). Therefore, Korean government should try to formulate and implement policies to improve social unity through adequate and social integration policy for immigrants as follows: Firstl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assess expenses of social welfare, rights, citizenship for immigrants in Korea and consultation with immigrants about granting Korean citizenship and expand the social security for immigrants. Secondly, social integration program pursued by the Korean ministry of justice, emphasizes education programs in Korean language, Korean society reviews and cultural experiences. However language is not merely a means of communication but also a means of self~expression and empowerment in Korean society. Therefore, this paper has discussed on the educational system of social integration program in Korea for immigrants and suggested prerequisite conditions in order to provide this program. And it should be included of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ers in education system or civic system. Thirdly, the Korean government effort in supporting immigrants could be local bridges, local bonds, social links in local society. Moreover, it has to be included in mentoring between Korean people and immigrants in local society and develop volunteers program for immigrants-mentoring resources. Finall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make better job-training programs for immigrants employment, improving project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rogram of promotion of health for immigrants in Korea. To make this social integration policy successful, a long-term strategy of the local government is necessary. The citizen shall get in contact with foreigners to facilitate integration. Immigrants should adapt to the society accordingly. This study could find that there is an integration program, is no existence of an absolute integration policy of multicultural society. Moreover, we could know that convergence phenomenon is occurring between different types of integration policies. Therefore, further integration discussion of multicultural society in Korea should take complex policies into account appropriate Koreas multicultural situation and background.

      • KCI등재

        사회통합을 지향한 한국통일의 개념전략

        전태국(Jeon Tae Kook)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6

        한국통일은 단순히 ‘국가통합’ 내지 ‘체계통합’의 문제로서만 보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통일문제를 단순히 ‘체계통합’의 문제로만 보는 시각은 통일이 특히 북한지역 주민들에게 가져다 줄 사회적 적응압력과 갈등을 제대로 볼 수 없다 한국통일은 ‘체계통합’과 함께 동시에 ‘사회통합’을 달성하는 것이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통일이 지향할 ‘사회통합’ 개념을 마르크스로부터 하버마스에 이르는 현대사회학의 통찰에 기초하여 재구성한다. 그리고 북한사회의 구조적 성격을 전통적 유교문화가 전근대적 국가사회주의와 결합한 ‘유교사회주의’ 사회로서 규정하고, 이러한 북한사회를 한국사회에 통합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변화를 통한 접근’을 제시한다. 북한사회는 자신의 체제를 비판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 성찰능력을 결여하고 있어 스스로 변화할 것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변화를 통한 접근’의 전략은 기본적으로 남한사회의 변화에 초점을 맞춘다. 먼저 통일이전의 단계에서는 남ㆍ북한 간에 ‘사회성’의 면에서 친화성을 확립하는 것이 긴요한 과제로 제기된다. 북한은 ‘사회성’을 강도 높게 유지하고 있지만 그 내용이 빈약하고 억압적인데 비해 남한에서는 헌법적으로 보장된 ‘사회성’이 실제로는 자유경쟁 하에서 억압됨으로써 남북한 간에는 공통의 사회적 기초가 결여되어 있다. 더욱이 남한에서는 ‘사회성’의 결핍으로 인해 사회적 단절과 갈등이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남한사회 내부의 사회적 단절과 갈등을 해소하고, 나아가 북한주민이 남한사회에 통합되는 것에 저항감을 갖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회국가’를 건설하는 것이 남북한의 사회통합의 사회적 기초를 확립하는 길임을 제시한다. 그리고 통일 후의 단계에서는 북한주민들이 경험할 ‘기형화’와 ‘탈가치화’의 ‘비대칭적 인정’을 타파하는 것이 핵심적 과제로 된다. 북한주민들이 자부심을 갖고 사회통합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북한지역의 ‘내적 식민화’를 방지하는 첩경으로서 제시된다. Korean unification does not allow to be seen as only a problem of state integration or system integration. A view of unification as system integration can not properly take into consideration the adaptation pressure and social conflict that the unification would bring to North Korean people. Korean unification should be a process which tries to achieve not only system integration, but also social integration. This study has three goals. One is to define the concept of social integration which Korean unification has to orient toward, comparing with system integration. I trace the concept to Karl Marx, Lockwood, and Habermas. Second, I try to characterize North Korea as a Confucian socialistic society, in which traditional Confucian culture dominates every phase of life of the people, although it shows several features of a premodern ‘state socialism’ peculiar to the fallen East European communist states. Third, I suggest as a strategy of social integration ‘approximation through change’. At the phase of before-unification, social integration has two tasks. One is to establish the ‘social state’ as a social basis of social integration, which shoulders the responsibilities of taking care of social sphere of life so that North Korean people could yearn to be integrated. The other is to realize the politics of recognition as a spiritual basis of social integration, which is needed not only to resolve problems of ideological and multicultural conflicts in South Korea, but to overcome the contemptuous attitudes toward North Koreans. At the after-unification phase, the crucial task is to break down the asymmetric recognition of ‘deformation’ and ‘devaluation’ by South Koreans, which North Korean people will experience after unification. The royal road to prevent the ‘inner colonization’ of North Korea is to make North Koreans to participate actively in the social integration with their self-confidence, recognizing that their communitarian social culture based on Confucianism could be a good cultural resource for building the ripe democracy of Unified Korea.

      • KCI등재

        A Look at West Germany’s Adaptation Program for East German Migrants from a Social Intergration Perspective

        심성지 ( Seong Jie Shim ) 연세대학교 북한연구원 2011 통일연구 Vol.15 No.1

        사회통합이라는 동일한 단어 속에서 보이는 세 가지의 상이한 의미는, 첫 번째는 Social Inclusion이 사회적 포용의 의미로 긴급수용을, 두 번째는 Social Integration이 동등한 내지는 평등한 권리를 주는 일자리나 사회보장의 의미를, 그리고 마지막으로 Social Cohesion 사회 동화 내지는 사회 융합의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비슷한 환경과 정책적 대응을 하였던 한국과 독일의 이주민에 대한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독일은 분단되어 있던 40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많은 수의 동독 주민들이 서독 사회로 이주 내지는 탈출하여 서독 사회에 정착하였다. 독일의 이주민 지원 정책은 동독 이주민의 서독 정착을 초기 과정에서의 수용(Inclusion), 중기 과정에서의 통합(Integration), 그리고 최종적 단계에서 흡수(Cohesion)라는 이주 시기와 이주 기간 그리고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운용이 되었다. 독일의 이탈주민에 대한 사회통합정책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첫 번째로 독일의 경우 이탈주민이 서독 내에서 정식 국민으로 인정되기 전이나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에 긴급지원법을 통해 지속적으로 지원하였고(Social Inclusion), 이탈주민이 정식국민으로 인정되면 특별법을 통한 안정적 지원 그리고 발전된 사회보장 제도를 통해 생계를 보장하였는데(Social Integration), 사회안전망이 빈약한 한국에서는 탈북자들에 대한 긴급 지원대책을 강화하여 통합을 유도하여야 한다. 두 번째로 독일은 이탈주민에 대한 적응프로그램을 시민사회단체가 주도하면서 자연스럽게 사회통합을 이끌어내고 있으며 정부는 재정적 지원만을 전담하여 권위적이거나 행정적 처리를 최소화하고 이탈주민의 마음을 여는 정책을 구사하였다(Social Cohesion). 한국의 경우는 정부의 개입정도를 낮추고 시민사회단체와의 적극적 연대 내지는 업무이양의 정도를 확대시켜 통합의 효과성을 높여 나갈 필요가 있다. 세 번째 탈북자들에 대한 이념적 우월성을 강조하기보다는 자연스럽게 남한의 경제와 이념적 우월성을 익혀나가도록 할 필요가 있다. 네 번째 현재의 정책은 늘어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탈북자에 대한 정책적 시금석이 되는 만큼 신중하고 장기적인 안목이 필요한 시점이다. 다섯째로 탈북자문제를 전담하는 노동부나 보건복지가족부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이들이 탈북자들에 대한 노동시장 편입이나 사회안전망에 대한 개별적 접근을 하도록 하여 통합의 효과성을 높여야 한다. Within the term "Social Integration," there are differing meanings. The first of these is "Social Inclusion," referring to urgent reception and acceptance; a second meaning is "Social Integration," which means a job that provides equal rights or social security; and last is "Social Cohesion," which can be seen to mean social assimilation or social fusion. This can be seen as differences in the definitions of the same term, but we can also see different assimilation processes implied in the definitions. This paper will look at the social integration of East German migrants into the formerly West Germany from this perspective. The West German government`s policy goal for migrants and its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was social integration through employment, and the government continuously intervened with aid and policies to eliminate social integration into West German society through unconditional or coercive means. Through its dual support structure for refugees, West Germany was able to meet the demands for labor for its rapidly developing industries and provide something of a social safety net for refugees wanting quickly to find stability in West German society. The government did not directly enforce integration policies, but civilian organizations themselves prepared and operated programs such as seminars and consultations. The government only provided the financial means. The implications that Germany`s social integration policies for migrants have for u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for us to strengthen our emergency aid measures for North Korean defectors, who face difficulties from the very beginning in Korea, which has a poor social safety net. Second, civil service organizations shoul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ion programs by forming their own social adaptation programs for North Korean defectors aside from the governmentassigned programs. Third, there is a ne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ion through the cultivation of experts in government ministries that handle North Korean defector issues, such as the Ministry of Labor and the Ministry of Health, Welfare and Family Issues, so as to increase individualized access.

      • KCI등재

        사회적 자본 및 공급사슬통합의 선행요인과 사회적 자본과 공급사슬통합, 지속가능 공급사슬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박찬권(Park, Chan-Kwon),이희천(Lee, Hee-Chun),서영복(Seo, Yeong-Bok) 한국산업경영학회 2017 경영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공급사슬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기업들의 사회관계 구조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자본과 거래기업들과 전략, 관행, 절차를 통합된 프로세스로 구축하려는 공급사슬통합을 달성할 수 있는 선행요인들을 확인하고, 이러한 선행요인들이 사회적 자본과 공급사슬통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사회적 자본의 형성이 공급사슬통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사회적 자본과 공급사슬통합이 경제적・환경적・사회적 지속가능성까지 연결될 수 있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의 검정결과 환경규제 준수, NGO대응 활동, CSR 활동, 공급사슬지향성, 거래공정성은 사회 적 자본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CSR 활동, 공급사슬지향성과 거래공정성은 공급사슬통합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사회적 자본 은 공급사슬통합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자본과 공급사슬통합은 경제적・환경적・ 사회적 지속가능성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다. 부가적으로 기업 규모 및 제품・공급사슬의 특성에 따른 집단별 차이 분석의 결과 일부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정 되었다. 연구의 결과 사회적 자본 형성과 공급사슬통합의 달성을 위해서는 환경규제 준수, NGO대응 활동과 CSR 활동, 공급사슬지향성과 거래공정성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공급사슬통합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이 필요하고, 사회적 자본과 공급사슬통합의 수준을 제고하는 것은 경제적・ 환경적・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제고까지 연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eceding factors that can achieve the supply chain integration that seeks to build the social capital, strategies to deal with corporate traders, practices and procedures that occur in social relations structure among individual companies as an integrated process and to understand, how these preceding factors affect social capital and supply chain integration, how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ffects supply chain integration, and whether or not social capital and supply chain integration can be linked to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ustainabilit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m are as follows. Hypothesis testing results suggest that compliance with environmental regulations, NGO response activities, CSR activities and that supply chain orientation and trade fairness have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capital. In addition, CSR activities, supply chain orientation, and trade fairness have a positive (+) effect on supply chain integration. In addition, the study results have found that social capital has a positive (+) effect on supply chain integration and that social capital and supply chain integration have an positive(+) effect on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ustainability. Additionally,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difference among groups based on company size, product, and the supply chain have found the presence of some difference. The study has raised a need for compliance with environmental regulations, NGO response activities, CSR activities, supply chain orientation, and trade fairness to be able to achieve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supply chain integration. The study has also confirmed that achieving supply chain integration requires social capital and that promoting the level of social capital and supply chain integration may lead to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ustainability.

      • KCI등재

        사회과 통합의 기초: 역사적 접근을 통한 새로운 토대 형성

        이태성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9 사회과교육연구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new foundation for the integration of social studies through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discussion on integrated social studies. For this aim, first, the arguments for the integration of social studies are reviewed and the complexity of discussing the integration of social studies has been revealed by summarizing the mixture of terms that refer to integration in social studies such as ‘convergence’ and ‘consilience’ which have been highlighted recently. Next, the cases that aimed to integrate in the history of social studies were selected, and the meaning of each attempt was reinterpre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ituation and context of the time, the POD course proposed in the 1916 report was evaluated as ‘a prototype of integration’, the STS education as ‘a challenge of integration’, and the strand proposed by NCSS in 1994 as ‘a compromise of integration’. Finally, by combining the features found in the history of integration on social studies, a new foundation was suggested in terms of ‘a purpose of the integration’, ‘a perspective of the integration’, and ‘a method of the integration’. The fragmented and integrated curriculum could be compromised based on the goal of ‘citizenship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view the integration from the microscopic level of learning experiences beyond the curricular integration. Furthermore, it proposes the integration of the content and method as a task of integrating social studies in the future,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using issues as a catalyst. Through this process, the researcher wants to promot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and to emphasize the role of the issues-centered social studies which can integrate learning experiences and life. 본 연구는 사회과 통합 논의에 대한 역사적 조망을 통해 사회과 통합의 새로운 토대를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사회과 통합을 둘러싼 논쟁을 살펴보고, 최근 부각되는 ‘융합’, ‘통섭’ 등 사회과에서 통합을 지칭하는 용어의 혼재를 정리하여 사회과 통합 논의의 복잡성을 드러냈다. 다음으로, 사회과의 역사에서 통합을 지향했던 사례를 선정하여, 각 시도의 의미를 재해석하였다. 시대적 상황과 맥락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1916년 보고서에서 제안된 ‘POD 과정’은 ‘사회과 통합의 원형’, ‘STS 교육’은 ‘사회과 통합의 도전’, 1994년 NCSS가 제안한 ‘스트랜드(strand)’는 ‘사회과 통합의 절충’으로 평가하였다. 끝으로, 사회과 통합의 역사에서 발견되는 특징을 종합하여 ‘통합의 목적’, ‘통합을 보는 관점’, ‘통합의 방법’ 차원에서 사회과 통합의 새로운 토대를 제안하였다. 시민성 함양이라는 통합의 목적을 중심으로 분과형과 통합형 교육과정이 절충될 수 있다는 점과, 교육과정 차원의 통합을 넘어 학습 경험이라는 미시적 차원에서 통합을 보는 관점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나아가, 앞으로의 사회과 통합의 과제로 내용과 방법의 통합을 제안하고, 촉매제로서 쟁점 활용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회과 통합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촉구하고, 학습 경험과 삶의 맥락에서 통합을 실천할 수 있는 쟁점 중심 사회과의 역할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사회통합: 개념과 측정, 국제비교

        이재열(Jae Yeol Yee),조병희(Byong Hee Cho),장덕진(Duk Jin Chang),유명순(Myoung Soon You),우명숙(Myung Sook Woo),서형준(Hyung Jun Suh) 한국사회정책학회 2014 한국사회정책 Vol.21 No.2

        최근 한국 사회에서는 갈등과 해체의 가능성이 과거 어느 때보다도 높아지면서 사회통합이 중요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사회통합에 대한 기존 개념과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이론부하적이며 국제비교에 적합한 사회통합의 개념과 이론을 제안하였다. 갈등관련 제도에 관한 논의들과 사회의 질 이론을 활용하여 본 논문에서는 사회통합을 잠재적갈등소지와 사회적 통합역량 간의 비율로 개념화하였다. 즉, 갈등소지가 많고 통합역량이 적다면 사회통합은 어려워지는 반면, 갈등소지가 많더라도 통합역량이 풍부하다면 사회통합을 이뤄낼 수 있다는 것이다. 잠재적 갈등은 그 수준에 따라 경제적 자원, 사회적 자원, 이념·문화적양극화로 나누었고, 사회통합역량은 체계 영역과 생활세계 영역, 그리고 둘 사이를 연결하는 규범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이상의 사회통합 개념과 이론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경험적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통합지수를 산출했다. 2012년을 기준으로 모은 자료에서 조사 대상 86개 국가 중 한국은 40위를 차지했다. 이어진 유형별 분석에서 한국은 불신과 이념·문화적인 편향성이 큰 갈등요소로 나타났고, 사회통합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주로 정치적·사회적 역능화와 제도투명성의 확대가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 사회통합은 크게 두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진행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회의 규칙이나 공공성을 담보하는 제도에 대해서는 엄격한 규칙의 집행이라는 단단한 통합(tight coupling)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반면 개인의 자율성과 창의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육, 문화, 혹은 산업생산의 영역에서는 완화된 규제에 기반한 느슨하면서도 유연한 통합(loose coupling)이 필요하다고 본다. Social Integration has been an important issue in the Korean society as conflict and disintegration become more severe problem in these days. This article reviews previous concepts and theories of social integration, clarifying related concepts and providing coherent logics of social integration. Utilizing theories of economic and political institutions and social quality, this article conceptualizes social integration as a ratio of potential conflicts and integrative capacity. Under this conceptualization, it is an arduous task for a society which has high potential conflicts and low integrative capacity to achieve social integration. On the other hand, a society with higher integrative capacity would maintain social harmony despite high potential conflicts. Potential conflicts are measured as the sum of economic inequality, distrust, and disparity in value orientation. Next, social integration capacity was measured as the sum of system capacity, life world capacity, and societal moral capacity. Here system capacity is composed of the government expenditure on public educationa and welfare, life-world capacity as the sum of freedom of press, gender empowerment, voter turnout, and democracy. Transparency was the measure for moral resources. Calculation of social integration index using empirical data shows that Korea ranked 40th among total 86 countries. Following profile analysis finds that distrust and ideological . cultural skewness are main sources of conflicts in Korea. It also reflects that Korea is lagging behind in political and social empowerment. It also reveals that more transparency is needed to be more integrated and harmonized society.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there should be two contrasting approaches for more social integration: ‘Tight coupling’ of norms and real application is required for institutions related to public rules, whereas ‘loose coupling’ is necessary in educational, cultural and industrial areas where individuals` autonomy and creativity play essential role.

      • KCI등재

        정신건강 및 뇌신경과학 관점에서 본 사회통합교육의 과제

        박형빈 한국윤리교육학회 2022 윤리교육연구 Vol.- No.65

        Humans, as social animals, discover the meaning of their existence and realize their self through social life. A stable and healthy society will have high cohesion through solidarity and philanthropy among community members. For this reason, social integration is required for social maintenance and development. Social integration can be approached at the social level and the individual level. Low social cohesion not only hinders social cohesion but also affects the health of individual members. From this point of view, social integration is the main factor that influences social development and individual well-being. Considering thi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effect of social integration on members. Exploring the concept of social integration and examining the practical effects it has on members of society will help spark a multifaceted discussion on the purpose, content, and method of social integration education. In this paper, the impact of social cohesion on mental health from the discipline of neuroscience was investigated, and educational tasks were proposed. To this end, I focused on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is the concept of social integration?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ntegration and mental health in neuroscience? And thirdly, what can be suggested as a task for social integration education in ​​ethics education?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사회생활을 통해 자신의 존재 의의를 발견하고 자아를 실현한다. 안정되고 건전한 사회는 사회 구성원 간 연대와 박애를 통해 높은 응집력을 갖게 된다. 이 때문에 사회 유지와 발전을 위해 사회통합이 요구된다. 사회통합은 사회차원과 개인차원에서 접근 가능하다. 낮은 사회통합은 사회결속의 저해뿐만 아니라 구성원개인의 건강에도 영향을 준다. 이러한 점에서 본다면 사회통합은 사회발전뿐만 아니라 개인의 웰빙을 좌우하는 주된 인자이다. 이 때문에 사회통합이 구성원에 미치는 영향에도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사회통합의 개념 탐색과 사회구성원에 주는 실질적 작용에 대한 검토는 사회통합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에 대한 다각적인 논의를 촉발하도록 도울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신건강 및 뇌신경과학 차원에서 사회통합의 영향을 살피고 교육의 과제를 제안했다. 이를 위해 다음의 질문에 중점을 두었다. 첫째, 사회통합의 개념은 무엇인가?, 둘째, 뇌신경과학 측면에서 사회통합과 정신건강은 어떠한 관련을 갖고 있는가?, 셋째, 윤리교육 영역에서 사회통합교육의 과제로 무엇을 제시할 수 있는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