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낙오자와 영원인 -서정주의 신라 기획과 전율의 시학-

        정영진 ( Young Jin Jeong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1

        서정주는 당대의 허무주의를 현대 서구문명의 병폐로 이해했으며 신라정신을 통해 이 문제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 글에서는 우선 서정주의 신라정신이 그가 상상한 신라 사회에서 어떤 방식으로 기능하고 있었는지 살펴봄으로써, 서정주의 신라 기획이 사회문화적 가치체계로서 제안된 것이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서정주가 상상한 신라 사회는 현실규범과 현실논리에서 낙오한 이들이 영원성의 세계 속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사회였다. 이 ‘낙오자’들은 비록 현실로 복귀할 수 없지만 영원성의 세계에 거주하면서, 신라인들에게 영원성의 세계를 현시한다. 즉, 그의 신라 기획은 사회통합적 성격을 내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서정주의 시에는 이러한 신라사회의 모습이 전혀 드러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서정주는 서구정신과 신라정신의 대립이나, 현실세계와 영원성의 세계의 관계 역시 시에서 다루지 않는다. 그의 시에서 신라의 ‘영원인’들은 현실사회에서의 낙오자의 성격이 삭제된 채, 사랑의 주체로 나타난다. 이들은 다만 새로운 앎과 감동을 소유하고 절대적 세계를 현시한다. 즉, 신라 기획의 일부만이 시에 바쳐졌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서정주의 시인식에 따른 결과이다. 서정주는 현대시가 ‘전격적 쇼크’ 혹은 ‘전율’로 체험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신라 기획의 사상적 성격을 모두 제거하고, 불사(不死)의 이미지로 전형화 된 영원성의 세계만을 시화(詩化)했다. 불사의 이미지들은 현실 전부를 점유해버리는 현실초과의 성격을 띠는데 이로 인해 그것은 영원성으로 감각된다. 다시 말하면 현실에서의 절대성이 영원성으로 치환되고 있는 것이다. 서정주 시(중기시)의 개성(스타일)의 확립은 신라정신이라는 보편적 사상 기획에 근거한 것이기는 했지만, 동시에 순수시에 대한 신념과 현대사회에서의 시의 효과에 대한 그의 시인식에 따라 신라 기획의 일부만을 미학화 한 결과였다. Seo Jeong-ju understood nihilism at the time as a social ill of modern western civilization, and sought to overcome this problem through the Silla spirit. This article seeks to show that the Silla planning of Seo Jeong-ju was suggested as a sociocultural value system by examining how Seo Jeong-ju`s Silla spirit was functioning in the Silla society he imagined. The Silla that Seo Jeong-ju imagined was a society allowing those who failed in terms of the norms of reality and logic of reality to be born again within the world of eternity. Although these losers may not return to reality, they could show the world of eternity to the people of Silla, while residing in the world of eternity. Seo Jeong-ju`s Silla planning implied a character of social integration. However, Seo Jeong-ju`s poetry do not reveal such features of the Silla society at all. Not only that, Seo Jeong-ju does not deal with the conflict between the western spirit and Silla spiri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of reality and world of eternity in his poetry. The ‘people of eternity’ of Silla appear as the main agents of love in his poetry, and these agents display an absolute world and possession of new knowledge and impression. Thus, in other words, only a part of the Silla planning has been dedicated to his poetry, which is a result of Seo Jeong-ju`s cognition on poetry. Because Seo Jeong-ju believed that modern poetry must be experienced through ‘lightning shock’ or ‘thrill’, he removed all ideological characters of Silla planning, and only treated the world of eternity, which was embodied through the image of immortality, in poetry. The establishmen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tyle) of Seo Jeong-ju`s poetry (middle-period poetry) was based on the planning of a universal idea called Silla spirit, however, was also a result of treating only a part of the Silla planning aesthetically based on his cognition on poetry, concerning the effect of poetry in modern society and his principle on pure poetry.

      • KCI등재

        김정일 사후 북한소설에 나타난 ‘통치와 안전’의 작동

        오창은(Oh, Chang E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통일인문학 Vol.57 No.-

        급격한 정치적 변화에 주목하면, 특정 공동체의 성격이 드러난다. 북한 사회는 2011년 12월 17일에 김정일 사망이라는 전환기적 사건을 겪었다. 김정일의 갑작스런 사망에 대한 기존의 북한문학 연구는 새로운 지도자인 김정은 시대의 도래에 초점을 맞춰졌다. 하지만, 이 연구는 북한 체제가 ‘통치와 안전’의 작동을 통해 ‘정상성’으로 나아가는 양상을 살핀다. 구체적으로는 김정일 사후 북한 소설이 ‘정치지도자의 사망’을 ‘기억과 재현의 정치’라는 측면에서 다루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북한의 ‘통치와 안전’의 메커니즘을 분석했다. 김정일 사후 북한 소설에는 ‘불안과 안전’이 공존한다. 김하늘의 ?영원한 품?은 김정일에 대한 애도의 감정을 ‘불안과 안전’의 긴장을 통해 표현했다. 그러면서, 체제의 안전을 위해 인민의 애도 감정을 생산의 에너지로 전환해야 한다는 ‘통치성’이 발현되기에 인상적이다. 최종하의 「깊은 뿌리」와 김금옥의 「꽃향기」, 그리고 석남진의 「사진에 깃든 이야기」 등도 김정일에 대한 기억과 재현이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김정일 사후 북한소설은 ‘불안과 안전’을 병치시킴으로써, 혁명의 일상화를 기획하고 있다. 새로 등장한 김정은 체제도 단지 김일성과 김정일에 이은 유사 수령의 탄생이 아니라, 체제의 안전을 위한 인민통치의 안정화로 볼 수 있다. 북한소설에는 인민의 자발성에 기반한 헌신성을 강조하고, 혁명을 계승을 위한 인민의 자주성을 동원하는 양상을 띠고 있다. ‘선군정치’라는 상징적 성과를 전면화하면서도, 내부적으로 ‘경공업’과 ‘인민생활 향상’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것도 비슷한 맥락에서 이해가 가능하다. 김정일이 ‘고난의 행군’으로 인해 피폐해진 인민경제를 복원하고, 김일성의 업적을 복원하는 것을 과제로 삼았다면, 김정은은 체제의 안전을 우선시하는 방향으로 통치성을 발현할 가능성이 높다. 김정은 체제는 수령의 압도적 카리스마에 기반한 통치이기보다는 국가의 운명에 자신을 동일시하는 광범위한 인민들의 자발성에 의해 작동하는 통치로 전망할 수 있다. 따라서, 김정은이라는 정치 지도자의 ‘자기통치’에 주목함으로써, 북한 체제의 ‘통치와 안전’의 지속 가능성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If we pay attention to a sudden political change, the characteristics of a particular community are revealed. With regard to the changes of the North Korean society, we need to take notice of the death of Kim Jeong Il occurred on December 17, 2011. It is interesting to note the actions of the North Korean system to cope with the sudden death of Kim Jeong Il. While the existing researches were conducted focusing on the arrival of a new leader, Kim Jeong Eun, this research examines the aspects of the North Korean system returning to ‘normality’ through the operation of ‘rule and security.’ In particular, this research examined the fact that North Korean novels after the death of Kim Jeong Il deal with ‘the death of a political leader’ from the aspect of ‘politics of memory and reproduction.’ Through this,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the North Korean people’s self-mobilization aspect and the rule was analyzed. In the North Korean novels after the death of Kim Jeong Il, uneasy consciousness is revealed everywhere. Kim Ha Neul’s Eternal Bosom, which describes the mourning for Kim Jeong Il with a sense of uneasiness and at the same time as the energy to convert it into the security of the state, is impressive. Choi Jong Ha’s Deep Roots, Kim Keum Ok’s Fragrance of Flowers, and Seo Nam Jin’s Stories in the Photograph are all noteworthy from the aspect of memory and reproduction. North Korean novels after the death of Kim Jeong Il are planning to institutionalize revolution by juxtaposing mourning and daily life. The new Kim Jeong Eun system can be viewed as not just another similar leader subsequent to Kim Il Sung and Kim Jeong Il but as the stabilization of the rule of the people for the security of the present system. North Korean novels emphasize the voluntary dedication of the people and the mobilization of the people’s autonomy. Concentrating on ‘light industry’ and ‘improvement of life of the people’ internally while claiming to advocate the symbolic outcomes of ‘military first’ policy also can be understood in the similar context. While Kim Jeong Il restored the people’s economy impoverished by ‘March of Hardship’, Kim Jeong Eun is most likely to give priority to social security through the sovereignty of the state system. It is expected that Kim Jeong Eun’s rule will be the rule operated by the broad spontaneity of the people who identify themselves with the destiny of the nation, rather than the rule based on the leader’s overwhelming charisma. Accordingly, the sustainability of ‘rule and security’ of the North Korean system needs to be explor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self-rule’ of the political leader, Kim Jeong Eun.

      • KCI등재

        20세기 중국, 공화정치의 실현인가 구경꾼의 반란인가 ― 루쉰의 국민성 담론을 중심으로

        이종민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1 中國現代文學 Vol.0 No.57

        This article is written to explore the so-called discourses of Chinese model, one of the hottest issue in contemporary China and to look into 20th century China through Lu Xun’s discourse on Chinese people. The most significant Lu Xun’s role performed in the 20th century China was to devote to criticize the defects of Chinese People including the consciousness of the eternal audience for building modern China. According to Lu Xun’s discourse, I think, it is so doubtful whether the economic growth inadequate in a fare economic system and social security, and the ‘harmony’ lacking in social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can advance into the path of individual emancipation after all. This point is saying that it is still necessary that we should have an insight into how the individual is being made as a social subject, and should criticize the social realities that suppress individual freedom in China in the era of global capitalism. Fundamentally, for the critical thinking of literature derives from the condition of the existence of the individual itself, not in the theory, then, we will be able to think about the possibility of individuale mancipation, which the 20th century Chinese literature had not done, just in the process of reflectively expressing such individuals’ life condition and their own meaning of existence.

      • KCI등재

        김환태 비평의 또 다른 근원 -프란시스 그리어슨의 「예술과 과학과 미와」-

        김영범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4 No.-

        In previous studies on Kim Hwan-Tae's criticism, the mainstream was the aspect of acceptance of Matthew Arnold and William Pater. However, Kim Hwan-Tae himself recalled that he was influenced by various writers. In fact, in addition to writings about Arnold and Pater, he translated foreign critiques and wrote many articles about foreign writers. Therefore, the practice of not paying attention to his retrospect and substantive facts in previous studies is problematic. In particular, the fact that Francis Grierson's Art, Science, and Beauty was not mentioned in the discussion of Kim Hwan-Tae's criticism is judged to be a gap in the research history. With this awareness in mind, in Chapter II, I introduced my research on Grierson, and reviewed the path through which Kim Hwan-Tae came to accept Grierson's literature. In Chapter Ⅲ, I organized his writings according to the central content and extracted key concepts. Finally, in Chapter Ⅳ, I examined the cases of Kim Hwan-Tae's critique that showed Grierson's influence. So, Grierson emphasized that being naive and natural, not the sensational and the sentimental, are what artists want to pursue. Another of his emphasis was on the 'profound emotions' that give art eternity. Through this study, I confirmed that Grierson's view of art permeates various places in Kim Hwan-Tae's criticism. At the same time, we confirmed that the world of Kim Hwan-Tae's criticism was combined with the views of several other artists. It is judged that Kim Hwan-Tae tried to secure objectivity of criticism by synthesizing these various sources. Furthermore, he reinterpreted these sources and produced results. Grierson's writings functioned as one of the main nourishment in the struggle of Kim Hwan-Tae's criticism. 김환태 비평에 대한 선행연구들에서 주류를 이룬 것은 매튜 아놀드와 윌리엄 페이터 등의 수용이란 측면이었다. 그런데 김환태 자신은 여러 작가들에게서 영향을 받았다고 회고한 바 있다. 실제로 그는 아놀드와 페이터에 관한 글 이외에도 외국 평문을 번역하거나 외국문인을 다룬 글들을 다수 발표했다. 따라서 선행연구들이 그의 회고와 실체적 사실에 주목하지 않아온 관행은 문제적이다. 특히 13회에 걸쳐 연재된 프란시스 그리어슨의 「예술과 과학과 미와」가 김환태의 비평에 대한 논의에서 거론되지 않은 점은 연구사의 빈틈이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이 연구는 먼저 Ⅱ장에서 그리어슨에 대해 조사한 바를 소개하고, 김환태가 그의 문학을 수용하게 된 경로를 검토했다. Ⅲ장에서는 중심내용에 따라 그의 글을 정리하여 핵심적인 개념들을 추려냈다. 마지막으로 Ⅳ장에서는 그리어슨의 영향이 나타난 김환태 비평의 사례들을 검증하였다. 그리어슨은 예술에서 감정의 표현과 환기를 가장 중요시했지만, 현실을 도외시하는 것과 감정에만 치우치는 것을 경계했다. 이상주의와 사실주의의 폐단을 지적한 것은 이런 맥락과 닿아 있었다. 또한 그는 예술가의 정체성이 사회에 의해 침윤되어서는 안 되며, 예술가는 사회가 아닌 대문자 자연과 교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그는 선정성이나 감상성이 아니라 소박함과 자연스러움이 예술가가 추구해야 할 바라고 강조했다. 또 다른 그의 강조점은 예술에 영원성을 부여하는 ‘심오한 감정’이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그리어슨 예술관의 영향을 김환태 비평의 곳곳에서 확인했다. 하지만 살핀바 김환태의 비평에는 다른 여러 예술가들의 견해도 함께 혼입되어 서로를 지지해주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김환태는 이들 다양한 원천들을 종합하여 비평의 객관성을 확보하려고 했던 것이다. 나아가 그는 이러한 원천들을 재해석하려는 의지와 그에 따른 성과도 보여주었다. 이러한 김환태의 비평적 고투에서 그리어슨의 글은 주요한 자양의 하나로 기능하고 있었다.

      • 허수경의 시에 나타난 고고학적 상상력의 시적 언어

        강수원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한국미래문화연구소 2022 미래문화 Vol.0 No.5

        허수경의 시에서 고고학적 상상력의 시적 언어는 다른 시인들의 작품들과뚜렷하게 구별되는 특징이 된다. 이는 허수경이 고고학자로서의 체험과 더불어 여성이면서 서정적 시인이라는 정체성이 혼재되어 형성된 독특한 시적 언어 양상이다. 먼저, 허수경은 선형적·합리적·객관적 성격의 상징적 언어 양식의 작품들을 선보인다. 이는 고고학자로서의 유적 발굴 현장의 직접적 경험과 도서관에서의 문헌 조사 혹은 일상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고고학적 상상력의 시적 언어 양태이다. 반면, 허수경은 원형적·정서적·주관적 성격의 기호학적 언어 양식의 작품들도 동시에 내보인다. 이는 고고학적 경험에서 파생된 주관적인 인식이나정서적인 분위기를 작품에 형상화해 내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의 시적 언어는 거대 담론인 전쟁과 폭력에 대한 거부를 서정적으로 표출하여 시적 미학성을 획득하거나, 혹은 원형적인 시간관에서 발로한 허무 의식의 정서를 주관적으로 재현해낸다. 이러한 고고학적 상상력의 시적 언어의 혼재 양상은 결국 허수경이 어느한 영역에 속하지 않으면서 자유로운 형태의 언어 양식을 구현하여 ‘해방된사람’이 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또한, 이는 허수경이 고고학자와 시인이라는 주체 탐색의 과정에서 자신을 가장 자신답게 드러내기 위해 선택한 언어양태로서, ‘불가능의 변증법’으로 명명되는 노력의 과정이며, 모성적 희열과 부성적인 힘 사이의 ‘영원한 소외“에 참여하려는 선택의 결과로 볼 수 있다. In Heo Soo-kyeong’s poetry, the poetic language of archaeological imagination becomes an apparently distinguished characteristic from the works of other poets. This is a distinct poetic language pattern formed by Heo Soo-kyeong’s experience as an archaeologist and her identity as female and lyrical poet. First, Heo Soo-kyeong presents works of symbolic language styles with linear, rational, and objective characteristics. This is an aspect of poetic language of archaeological imagination revealed in the process of her direct experience of excavation sites as an archaeologist and literature research in the library or in her daily life. On the other hand, Heo Soo-kyeong simultaneously shows works of semiotic language styles with circular, sentimental, and subjective characteristics. This is the way of embodying subjective perception or sentimental atmosphere derived from archaeological experience in the work. Poetic language in this way lyrically expresses rejection of war and violence, which is a huge discourse, to acquire poetic aesthetics, or reproduces sentiment of nihilism revealed from a circular view of time. These mixed poetic language aspect of archaeological imagniation can eventually be seen as Heo Soo-kyeong’s endeavor to become a ‘liberated person’ by embodying free form of poetic language, not belonging to any one area. Furthermore, this is a language style that Heo Soo-kyeong chose to reveal herself most in the course of exploring the subject as an archaeologist and a poet, an effort called ‘impossible dialectic’, and can be seen as a result of her choice to engage herself in ‘eternal alienation’ between maternal ecstasy and paternal power.

      • KCI등재

        콜로니얼 좀비의 귀환과 포스트콜로니얼 묵시록의 공포

        박혜영 ( Hye-young Park ) 영미문학연구 2016 영미문학연구 Vol.31 No.-

        Zombies have been surging both in films and books of the post-colonial horror industry as a prevalent monster figure of massive violence and bloodshed terror. The commercial success of the zombie genre worth about billions of dollars in the global market may be unrivaled and even unexpected in its scale under the conditions of the worldwide economic slump. Tracing its historic transformation of the zombie metaphor from negro slaves of the colonial period to the mindless consumers of the post-colonial, this paper studies the equation of the popularity of the zombie genre in the cultural industry with the rapid increase of the displaced people in society who have been unprecedentedly driven out to the bare life condition of competing for survival, similarly to the living dead condition of zombies. At its very inception, the zombie was a mere symbol for the eternal labour in the colonial St. Domingue (later Haiti), a place of fear and fascination to the Western colonizers. Those black bodies in enslavement were conceived and imagined as the others in safe distance not only due to the geographical remoteness but also due to the psychological distance created as a result of thingification, which means an ideological reduction of the colonized into things for the ends of the colonizers. After their independence in the nineteenth century, however, they began to be imagined and understood as even more threatening when the colonizers put on them the horrible color of cannibalism. Since then, ironically, they have become more entertaining in the apocalypse industry. Now the zombie represents the mass anxiety of being de-humanized under transnational capitalism where the majority of people find themselves becoming zombies in the real sense, because they are treated as non-humans immediately if the global commodities turn out unaffordable to them. In this way, people become zombified within their own territory of the global empire, and those internal zombies keep appearing everywhere.

      • 그리스도의 구원을 아담의 죄에 대비시킨 바오로 사도의 의도와 그 의미(로마 5,12-21)

        이영헌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08 神學展望 Vol.- No.162

        ‘원죄’에 관한 그리스도교회(로마가톨릭교회)의 종래 가르침은 특히 로마 5,12의 텍스트를 성서상 주요한 근거 자료로 삼고 언급하지만, 바오로의 의도와 신학 사상에 상응한지 의문이 제기되고 다양한 문제점도 야기된다. 사실 바오로는 ‘원죄’란 용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로마 5,12-21에서도 ‘아담의 죄’와 그 죄에 연계된 모든 사람의 ‘죄’(본죄)보다는 오히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인간을 구원하신 하느님의 ‘의로움’과 ‘은총’을 선포하고 강조하기 위해서 구원의 보편성을 다만 모든 사람들을 지배하고 있는 죄와 죽음의 세력에 대비시켜 언급한다. 본고는 이런 내용을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서 본문(로마 5,12-21)의 위상과 그 의미를 문맥에 따라 살펴보고, 본문의 메시지와 신학적인 의미도 함께 살펴본다. 이런 고찰은 바오로가 어떤 관점으로 본문의 내용을 언급하고자 했는지도 알 수 있도록 해 준다. 본문은 특히 죄(아담의 죄에 연계된 모든 사람의 죄)와 구원(그리스도를 통해 인간 구원이 이루어진 하느님의 은총)의 대비가 기조를 이루고 있는데, 그것은 바오로가 죄의 연대성과 은총의 보편성을 말하면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구원의 역사가 결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 준 하느님의 은총을 부각시켜 은총의 삶을 살 수 있도록 이끌어 주기 위해서다. 바오로는 사실 ‘아담의 죄’를 고찰하지도, ‘아담의 죄’에 모든 사람(각 사람)이 어떤 방식으로 연계되는지 언급하지도 않는다. 다만 인간 구원에 관한 복음을 선포하고 가르치는 가운데 죄와 죽음의 세력을 부차적으로 언급한다. 따라서 바오로가 ‘그리스도의 구원 행위’를 ‘아담의 죄’에 대비시켜 언급한 근본적인 의도와 그 의미는 바오로 자신이 전수하여 선포한 복음의 내용과 구원론적인 가르침의 맥락 안에 자리하고, 특히 ‘아담의 죄’를 통해 세상에 들어와 모든 사람을 지배하게 된 죄와 죽음의 세력을 없애버린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행위의 보편성을 강조하는 데에 있다. 그러므로 ‘원죄’에 관한 가르침에서 로마 5,12이 인용되었다고 하여 ‘원죄’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에 급급한 나머지 그 텍스트의 본래 내용을 역으로 보완하거나 인위적으로 설명하려는 자세는 반드시 지양되어야 한다. 그리고 단순히 죄와 죽음의 세력만을 말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죄(죽음)와 용서(구원)의 관계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설명함으로써 하느님께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베풀어 주신 은총으로 구원(의화)의 삶을 성실하게 살 수 있도록 그 방향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 KCI등재

        문학(文學) :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의 정심시(正心詩) 연구(硏究)

        이정화 ( Jeong Hwa Lee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4 퇴계학논총 Vol.23 No.-

        회재는 「원조오잠(元朝五箴)」을 지으며 성학(聖學)으로 수신(修身)하기 위한 결의를 다졌다. 바른 마음과 몸가짐은 참 선비의 진정성에서 우러나오는 것이며, 수신(修身)의 척도이다. 「誠敬吟(성경음)」 시는 영욕(榮辱)과 사생(死生) 사이에서 번민하는 것보다는 ‘성(誠)’과 ‘경(敬)’으로 심덕(心德)을 함양하는 것이 가치 있음을 보인 작품이다. 고전적(古典籍)에서 배운 성현(聖賢)의 가르침을 시화하는 것에 의미를 둔 회재의 시정신은 상고(尙古)의 마음을 근간으로 하였다. 주자는 「무이도가(武夷櫂歌)」 시를 지어 ‘만고심(萬古心)’의 경지까지 수양해야 함을 일깨운 바 있다. 주자시의 ‘만고심(萬古心)’과 회재시의 ‘태고심(太古心)’은 동일한 의미를 지닌 시어인 바, 이는 스승으로 존모해온 주자의 ‘만고심(萬古心)’과 교감을 이룬 회재가 ‘태고심(太古心)’으로 화답한 것이다. 「勸學者(권학자)」 시에서는 호학(好學)에의 열정을 북돋우는 회재의 참 마음을 읽을 수 있다. 또한 이 시는 사람의 도리를 실천하는 것이 선비의 사명임을 설파한 작품이다. ‘인욕을 막아(알人欲) 천리를 보존하기(存天理)’ 위해서는 전전긍긍(戰戰兢兢)하며 심신을 바르게 해야 함을 보인 작품이 「몽중유감(夢覺有感)」 시이다. 「고송(孤松)」 시는 바위 끝에 자리한 외로운 노송의 모습에 빗대어 불변의 지조를 형상화한 작품이다. 굽지 않는 천 길의 소나무 뿌리는 지조를 지키며 긴 세월을 인내한 회재 자신의 내면세계를 상징한 것이다. 회재는 변치 않는 학자의 마음을 지녀 빈궁(貧窮)한 처지에서도 항상 학문에 정진한 안연(顔淵)의 삶에서 외로운 노송의 자태를 떠올리게 된다. 선비의 지조를 지키며 살았던 회재 역시 이러한 안연의 학문정신을 높이 받들었기 때문에 「新雪(신설)」 시를 통해 곤궁함 속에서도 안분지족(安分知足)하는 것이 참 선비의 자세임을 보여주었다. 회재시에는 허물 있는 사람일수록 스스로를 돌이켜 보고 잘못된 행동을 저지르지 않도록 더욱더 유의해야 함을 다짐하는 시편(詩篇)들이 남아 있다. 이를 통해 선비의 겸허한 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회재는 자신의 일거수일투족((一擧手一投足)이 정도(正道)에 어긋나지는 않았는지에 대해 세밀하게 검증하며 살았다. 이는 항상 허물없는 사람으로 살아가기를 희구한 그의 노력과 정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지비음(知非吟)」시는 45년의 생애를 회오(悔悟)하며 스스로에게 채찍질을 하듯이 자신의 잘못을 되짚고 있다. 이를 통해 육신이 노쇠해지더라도 허물없는 사람을 지향하는 자신의 원칙에는 변함이 없음을 알 수 있는데, 회재의 강직한 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산중서시우인(山中書示友人)」 시에서, 벗에게 자신의 후회스러운 일을 고백하면서 회오하게 된 이유는 지금 그가 성찰(省察)의 시간 속에 있기 때문이다. 그는 침묵과 고요 속에서 맑은 정신으로 수양할 수 있는 때가 바로 성찰의 시간임을 보여주었다.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poetry for right mind of Hyeje(晦齋) Yieonjeok(李彦迪). He was a poet who is weeping right mind. His poetry has been implicated personality and sincerity. Human life, it is important to practice good heart. He did not think it was important, high officials. In particular, he thought poverty was a heart to cherish. So he was the one who encouraged poor scholars. He was always a passion for learning and gave to his disciples. His poetry have also expressed the heart of reflection. Human desires must be suppressed, and only live a pure heart. He projected his faithful heart was in the poetry. He is the eternal truth of the teachings of Confucius were recognized. Scholars have to think, because it is an eternal truth. In addition, he is always self-reflection of the mind and behavior lived. This way of thinking comes from humility and modesty. Until the day he died, and he lived a good heart, and lived in his own reflection. Recognition of these reasons is reflected in his poetr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