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orean for Beginners를 통해 본 해방 전의 조선어교육 -초판본(1925년)을 중심으로-

        오대환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2 한국어 교육 Vol.23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Korean for Beginners published in 1925 and figure out its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for language education. The book was written by Charles A. Sauer, a missionary and English teacher, and was used at “The Language School “ that taught Korean for missionaries. Issued in 1925, the textbook was used for five years from 1926 up to the curricular revision in 1931.Through its content analysis, this study has found: first, the method of Korean education whose principle constituted the textbook; second, the fact that Korean education at the time was carried out with a focus on spoken Korean than grammar, contrary to general understanding; third, that drills were performed through diverse methodic techniques of substitution, complementation and combination for spoken language education. Fourth, the study has also found that the textbook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grammars like Underwood’s An Introduction to the Korean Spoken Language for grammar instruction that had been ruled out by then and provided learners with reference information on related grammatical items, though in a passive manner, so that they could learn them. Fifth, the research has found that the makeup of the textbook was considerably different from other known textbooks on Korean in general and it was thought that the difference was due to the application of a specific method and its composition suitable for the curriculum of the institution. Sixth, the study has learned that Korean education in those days was done by missionaries who were non-native speakers, both as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the education. Korean native speakers were not leading as teachers but assisting the education, and Korean education provided learners with information on the language and learning methodologies and encouraged them to study so that they could learn Korean in a self-leading and active manner.Furthermore, the research has found that the textbook had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Korean education with a possibility that the method of the textbook or its content may have been transferred to contemporary Korean education because Sauer, the author, was headmaster of the Korean Language School from 1949 to 1958, the textbook was reissued in the 1950s, and more published textbooks other than this exist.

      •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ROBOT EDUCATION INDUSTRY

        Sunji Jang 글로벌지식마케팅경영학회 2014 Global Marketing Conference Vol.2014 No.5

        Educational robots are used to teach skills in problem-solving, cooperation, logical thinking, and computer programming. Diverging from mundane classroom studies, robots can be used effectively to develop children’s study habits and encourage creativity and imagination. Although students and parents are showing increasing interest in robot education, it has not been widely commercialized in the student education market because parents find it too costly.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robot education industry and strives to develop a 1) customized education program that alleviates parents’ resistance to the financial burden and a 2) marketing strategy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for sustainable growth in the robot education industry. The study shows that the industry must first understand students’ and parents’ needs and wants and then develop customized service packages for each client type. Continual improvement is key for achieving customer satisfaction, providing differentiated service, and consolidating the service with teacher education. It is essential that children show that they are achieving and that they are satisfied if companies are to maintain customers and attract new business. Also, if children are enthusiastic about robot education, their parents will be more willing to finance such programs. Therefore, robot education companies must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by increasing the quality of robot education through home visitation and instruction delivered through education centers.

      • KCI등재

        중국 문화예술교육의 수요 및 공급 특성 연구

        정우식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6 중소연구 Vol.40 No.1

        본 논문은 중국 문화예술교육의 성장성, 체계성 등의 파악을 통해 수요 및 공급에 대한 균형적 측면의 접근이 주요 목적이다. 이는 한국의 입장에서 현재 및 향후 등 중장기적 측면을 고려할 때 중국의 문화예술교육분야도 중요한 시장으로 대두될 것이기 때문이다. 즉, 한중 FTA 체결 이후 중국 내에서 개방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중국은 기존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 등 산업구조조정 등 패러다임 변화가 나타날 것이다. 본 논문은 중국 문화예술교육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상황 및 수요․공급 측면을 고려했으며 정량 및 정성 분석을 적용했다. 우선 중국 문화예술교육의 상위범위인 중국교육시장의 현황 및 특징을 분석했다. 또한 중국 문화예술교육 특징은 1) 수요 2) 공급 3) 정책 등으로 구분해 분석했다. 중국은 고품질의 문화예술교육 콘텐츠의 수요가 증대될 것이기에 완성도와 경쟁력을 확보한 한국 문화예술교육의 중국 내 직접적인 진출도 고려할 수 있다. 이에 국내 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참여자들의 공통적인 문제인식과 함께 적극적인 협업은 선결과제이다. 또한 중국 내 문화예술교육 관련 정책 및 수요․공급변화의 모니터링과 함께 한국 및 중국 간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인적 및 물적 교류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aspects of growth and system in terms of Chinese art and culture education approaching balanced side about supply and demand. That is to say, Chinese art and culture education is very important market in the position of Korea considering mid-term and long-term. After signing Korea-China FTA, amid the accelerating globalization in China, China will appear paradigm shift restructuring industries from manufacturing to service. This paper considered politic,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 of Chinese art and culture education and the side of supply and demand and adopt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Firstly, it analyzed current 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hines education market which is high rank scope of Chinese art and culture education. Secondly, it analyzed characteristics of Chinese art and culture education dividing the aspects of demand, supply and policy. On account of increasing demand of high quality contents in art and culture education in China, Korean art and culture education obtained competitiveness and completeness can be considered directly entering China market. Thereupon, it is prior task that the participants related Korean art and culture education should realize common problems and cooperate each other.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hat we not only monitor policy of relating art and culture education and change of supply and demand, also continuously achieve personal and materi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about art and culture education field.

      • KCI등재

        국어교육과 매체언어문화 : 국어교육과 매체언어문화

        박인기 ( In Gee Park ) 국어교육학회 2010 國語敎育學硏究 Vol.37 No.-

        매체와 언어와 문화는 국어교육의 생태와 환경이다. 매체와 언어와 문화는 서로 상호작용한다. 매체와 언어와 문화는 서로 연속적이고 중층적인 관계로 구조화 되어 있다. 따라서 우리는 매체와 언어와 문화를 복합적으로 경험한다. 우리는 이 `매체·언어·문화·교육`의 중층적 현상을 연구하여 국어교육의 내용으로 반영해야 한다. 이런 현상으로 인하여 국어교육은 교육과정 혁신(curriculum innovation)을 해야 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지금까지의 국어교육 내용은 지나친 언어중심주의(logocentrism)에 의존하여 왔다. 그 결과 학생들은 `소통능력`과 `언어능력`이 괴리되고, 언어학이나 문학이론 등 학문적 내용이 국어교육의 내용으로서 독점적 지위를 누려왔다. 따라서 국어교육의 생태 환경(문화, 미디어, 테크놀로지)에 대해 적응하지 못하고, 국어 교과는 진화에 유연하지 못했다. 현재 국어과의 매체언어교육(media education in education of Korean arts) 실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과 미디어 교육 내용이 주로 기능적 사용 차원의 내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둘째, 매체 언어에 관한 교육 현장의 실천 담론과 이 분야 연구 이론 담론 사이에 원활한 연결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셋째, 국어교육이 미디어 현상을 교육내용으로 수용하는 데에 소극적이다. 국어교육에서 매체현상을 미래지향적으로 수용함으로써, 국어교육을 진화시킬 수 있다. 첫째, 미래사회는 매체가 주도하는 매개된 `경험(지식)`이 증가한다. 매개된 `경험(지식)`의 문제점을 직시하고, 매체에 대한 비판적 문식성(critical literacy)이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둘째, 언어 자체를 익히도록 하는 것에서 포괄적이고도 다층적인 소통능력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국어교육이 전환되어야 한다. 셋째, 미디어교육의 내용과 수요는 기존 국어교육에 대해서 대체재(代替財)의 역할보다는 보완재輔完財)의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국어교육 내부에서 미디어교육이 호응, 융합됨으로써, 현재로서는 예견할 수 없는, 국어교육의 부가가치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부가가치는 국어교육을 풍요롭게 한다. 나아가서는 국어교육으로부터 교육의 보편적 원리를 창출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를 것이다. Media, language and culture are ecology and environment for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Media, language and culture are operated interactively. Media, language and culture are structured in a way that they are continuous and multi-layered. Therefore, we are experiencing media, language and culture with complexity. We need to research multi-layered phenomena of this `media, language and culture` thus apply them for content of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For this reason,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has reached a phase for curriculum innovation. Contents of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has relied on logocentrism too much so far, and as the result, students have been alienated from `communication skill` and `language ability`, so academic contents such as linguistic and literary theory have enjoyed its exclusive position. Therefore, it was impossible to be accustomed to new ecological environment for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Culture, Media and Technologies) and its curriculum was not flexible for evolutions. Currently, state of media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is as following: First, contents of media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arts has its mainstream in term of functional usage aspects. Second, practicing discussion for education site of media language has not been easily met the discussion of media education research theory. Third,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is reluctant to introduce media phenomena into curriculum contents.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can be evolved by adopting media phenomena in term of future-centric aspect. First, in future society, intermediated `experiences (knowledge)` led by media will increase. By focusing on the problems in intermediated `experiences (knowledge)`, critical literacy regarding media needs to be more focused. Second,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needs to be converted from learning language itself to comprehensive and multi-layered communication skill. Third, contents and demand for media education is more required to play a role for complementary goods rather than alternatives for conventional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Fourth, it is expected that additional value which can`t be expected now can be produced by preferring and fusing media education within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This additional value makes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more affluent. Furthermore, its value will reach a phase of creating general principles for education from Korean language arts education.

      • KCI등재

        오우크쇼트의 ‘대화’에 비추어 본 교육의 정당화 문제

        권영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1

        There are many kinds of human activities, but we can mainly classify them by theoretical activities and practical activities. And the argument of justification of education depends on this classification. In other words, in this argument, education is regarded as a kind of practical activity or a kind of theoretical activity. The former shows the extrinsic justification, which presents the instrumental value of education. And the latter shows the transcendental argument, which presents the value of knowledge by presupposition of the demand for the justification of the form of knowledge. However, according to Oakeshott, education is neither p ractical activity n or theoretical activity. Rather, education is the place of conversation, in which diverse voices of mank ind have some meeting-place. And the conversation is an activity of 'poetic character'. If we see the extrinsic justification and the transcendental argument with the viewpoint of the education as conversation, we can say that both justifications ignore the poetic character of education and only grasp it with the symbolic character of education. So they only present the objective purposes of education. However, there is poetic character in conversation which is irreducible to symbolic character. Therefore conversation is an activity which is liberated from the objective purpose. Conversation is not an activity which pursue the specific purpose but an activity of being purpose itself. We can also apply this point to the education as conversation. The conversational justification of education presents poetic character of education and asserts that this character is the peculiar value of education. From Kantian term, we can call the value 'purposiveness without purpose'. This virtue is not an objective one outside of education, but a subjective one in the mind of all teachers and learners. It can be only justified by engagement and reflection of his own poetic education. 현재까지 이루어진 교육의 정당화 논의에서 핵심을 이루는 사안은 교육 활동은 어떤 성격의 활동인가 하는 것이다. 인간의 활동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겠지만, 그 중 대표적인 구분은 이론적 활동과 실제적 활동의 구분이고, 지금까지의 정당화 논의는 이 구분에 의존해왔다. 즉, 이 논의들에서 교육은 입장에 따라 일종의 실제적 활동으로 간주되기도 하고, 일종의 이론적 활동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전자의 입장에서는 교육이 다른 어떤 활동의 수단이 됨으로써 의미를 획득하게 된다는 식의 외재적 정당화를 보여 주며, 후자의 입장에서는 지식의 가치를 묻는 질문 안에는 이미 지식의 가치가 내재되어 있다는 식의 선험적 정당화를 보여 준다. 마이클 오우크쇼트(Oakeshott, M.)가 보여 주는 교육의 정당화는 이들의 정당화와는 상이한 성격의 것이다. 그는 교육 활동을 이론과 실제 중의 어느 한 영역에 속한 활동으로 규정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오우크쇼트에게 있어서 교육은 실제적 활동에도, 이론적 활동에도 속하지 않는 활동, 오히려 어느 편인가 하면, 인류가 수행해 온 여러 활동들, 즉 인류의 여러 목소리들이 동등한 대화자의 자격으로 조우하는 대화의 장(場)이다. 그리고 이 때의 대화는 ‘시적 성격’을 가진 활동이다. 따라서 오우크쇼트에게 있어서 교육 활동의 정당화 역시 교육을 어느 한 가지 활동에 속하는 활동으로 파악하는 입장과는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 대화로서의 교육의 관점에서 외재적 정당화, 선험적 정당화를 바라보면, 이 두 정당화는 교육 활동의 창작언어적 성격을 간과한 채, 그것을 기호언어적인 성격만 가진 것으로 한정하여 파악함으로써 교육 활동에 들어있는 객관타당한 목적만을 드러내려 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대화에는 기호언어로 환원될 수 없는 측면이 있으며, 그런 만큼 대화는 객관타당한 목적에서 해방된 활동이다. 대화적 정당화가 드러내고자 하는 교육 활동의 가치는, 칸트의 용어로 말하자면, ‘목적 없는 합목적성’(purposiveness without purpose)이며, 그것은 교육 활동의 바깥에서 객관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가치가 아니라 오직 교육 활동에 참여한 당사자가 자신의 활동을 반성하는 경우에만 확인 가능한 교육 활동의 주관적 가치이다.

      • KCI등재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서 실천하는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소진탄력성 경험에 관한질적 연구

        김순규,최혜정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oretical and practical alternatives to prevent burnout and to improve professionalism by comprehending burnout resilience experiences of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who carries out education-welfare priority project in actual schools. For this, with the study subject ‘what is the essence and meaning of burnout resilience experiences of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who carries out education-welfare priority project?’, six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who have been working for schools for more than four years by coping with burn out flexibly were analyzed in phenomenological study method of Giorgi. As study results, ‘being tired from ambiguity of education and welfare’, ‘being in a state of confusion of identity’, ‘finding the value and meaning of the profession’, ‘making an attempt to take care of oneself’, and ‘making one’s own professionalism of education social worker’. That is, it was possible to know that burnout resilience experiences of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were ‘to make specialist’s own identity of education social worker at a crossroads between education and welfare’. On the basis of above results, it was comprehended the contexts of burnout experiences of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who are carrying out education-welfare priority project in actual schools and discussed ways to activate resilience and coping resources.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실천하고 있는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소진탄력성 경험을 이해함으로써 소진예방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이론적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실천하고 있는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소진탄력성 경험의 본질과 그 의미는 무엇인가?'의 연구문제를 가지고, 학교 현장에서 소진을 탄력적으로 대처하면서 4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6명의 지역사회교육전문가를 지오르기(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1개의 주제로 유목화하여 5개의 중심의미가 도출되었으며, 중심의미로는 ‘교육과 복지의 모호성에서 지쳐감’, ‘정체성의 혼란에 놓임’, ‘직업의 가치와 의미를 찾음’, ‘자기돌봄을 시도함’, ‘교육복지사만의 전문성을 만들어감’으로 분석되었다. 즉,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소진탄력성 경험은 ‘교육과 복지의 갈림길에서 교육복지사만의 전문가 정체성 만들어 가기’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의 의의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실천하고 있는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소진 탄력성경험의 상황적 맥락을 이해할 수 있었다는 데에 있다. 이를 기반으로 그들의 탄력성 및 대처자원들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더불어 이러한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교육전문가가 학교 현장의 또 다른 전문가로 자리 잡기 위한 활발한 논의의 시작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교육인공지능(Education AI)’ 개념의 도입: 인간-AI 협업의 지속가능한 교육을 위한 도전

        김신애,방준성 한국교육원리학회 2020 교육원리연구 Vol.25 No.1

        The article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adopt and use the concept and the terminology of ‘Education AI’ to avoid confusion with ‘AI Education’, which concerns rather educational activities about AI than the AI that performs educational function. With the initiative of AI Education by the government, the discourse of AI Education appears to embrace even the issue of building AI systems in Educational sector. What is to be indicated as ‘Education AI’ might be in its burgeoning stage and the its service centers around schools and universities. Also, it may show some functions and performances looking like the education that humans make in terms of behaviors and functions only, and thus ceasing to be quasi-education or non-education. However, the article tries to reason out, using the metaphor of Moravec’s paradox, why AIs remain as a set of functions only that would sometimes exceed human capacity but stay far from covering full intelligence of certain practice such as education. Logically, this leads to the possibility of cooperation between human and AI for education that would extend ‘educ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Lastly, the article suggests to build up the favorable environment to sustainable education by human and AI. 본 논문은 ‘법률인공지능(Legal AI)’, ‘의료인공지능(Medical AI)’ 등과 같이 교육 분야에도 ‘교육인공지능’이라는 용어를 도입하여 관련 기술개발은 물론 기술의 활용에 따르는 제반 사회문제에 대한 준비와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최근 전 국민의 인공지능 관련 소양 증진이라는 정책적 관심에 더불어 등장한 ‘인공지능교육(AI Education)’ 개념이 ‘인공지능 활용을 위한 교육 활동’과 ‘교육 서비스를 위한 인공지능’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쓰이기 시작하여 교육 분야 인공지능 기술 도입 및 관련 담론의 활성화가 지체될 우려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인공지능(Education AI)’이라는 용어를 도입하여 실현 및 지속이 가능한 인공지능 교육 서비스를 전망해 본다. 더불어, 인공지능이 더이상 단순한 도구에 머물지 않고 존재양식이 인간과 유사한 객체가 될 때, 인간과 인간 간의 교육 뿐 아니라 AI에 대한 인간의 유사-교육, AI를 매개로 한 인간 대 인간의 교육(인간-AI-인간 교육), AI와 AI 간의 유사-교육으로 새로운 교육적 관계가 발생할 수 있는 점에 대해서도 논한다. 마지막으로, ‘교육인공지능’과 인간 교육자 간의 경쟁 또는 협업이 발생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하여 ‘교육인공지능’과 더불어 추구해야 할 지속가능한 교육을 위한 7가지 환경적 여건을 제시한다.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에 기반한 미술교과 지속가능발전교육

        장연자(Yeonja JANG) 한국조형교육학회 2019 造形敎育 Vol.0 No.71

        21세기 들어 국가 간 경계를 넘는 여러 문제들로 인해 지구촌의 갈등과 긴장이 커지고 있다. 이 문제들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할 만큼 심각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국제사회에서 벌어지는 이러한 일들이 결코 나와 무관하지 않다는 깨달음이 필요해졌다. 이러한 위기의식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의 중요성이 부각 되었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간의 사고와 행동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교육의 역할에 주목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추세와 요구에 발맞춰 미술교육 안에서 세계시민교육과 연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중점 연구내용은 세계시민교육의 개념과 내용 요소, 세계시민교육 기반 미술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방향, 액션러닝 교수·학습방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시민교육에 기반한 미술교과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UN의 세계시민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의제가 미술교과 안에서 어떻게 구체성을 띠며 교육으로 실현되는지를 보여주고자 하였다. Conflicts and tensions in the world have been expanded due to multiple problems beyond the borderlines between countries in the 21st century. These problems are perceived to be serious enough to threat the survival of the mankind and it is required to realize that these matter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are related to me. Amid this crisis, the importance of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raised and the roles of education that can change men’s thinking and behaviors fundamentally as the long-term perspective have been highlighted. This study aimed to develop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s to be aligned with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arts education to meet these trends and needs. Main research points are to review the concept and cont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rts based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direc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action learning; and to develop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s based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is study will show how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U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re materialized and realized in the subject of the arts.

      • KCI등재

        교육의 무상성과 의무교육에 관한 제도보장의 비교연구 -한국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권세훈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법학논고 Vol.0 No.72

        우리 헌법 제 32조 제1항에서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교육을 받을 권리를 규정하고 있고, 동조 제3항에서 “의무교육은 무상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서 우리가 생각할 문제는 교육을 받을 권리의 주체가 국민이라면 그 의무를 담당하는 것은 국가이다. 그리고 그 교육은 공교육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국가가 얼마만큼 헌법이 규정한 내용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는가하는 점을 돌아보게 한다. 우리나라의 교육은 공교육과 사교육이 혼재되어 있고, 경제적 문제로 교육의 기회를 잡지 못하는 것이 우리사회의 불평등을 재생산하고, 사회발전의 걸림돌이 된다는 점에 교육의 자유와 평등의 균형문제가 급한 시점이라 할 것이다. 우리 헌법은 교육의 무상성과 의무교육을 규정하고 있는데, 그렇게 제도적으로 보장하고 있는 내용과 의미를 프랑스의 헌법과 교육법을 비교 연구하여 새로운 방향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프랑스의 제도를 보면, 우리 교육제도에서의 무상교육이 보완하여야 할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무상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이유는 근본적으로 빈부격차에서 오는 자녀들의 학력 격차현상을 막고 교육을 통한 계층상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교육의 무상성은 초중등교육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고등교육이 일반화된 오늘날에 있어서는 고등교육까지 무상교육으로 발전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프랑스는 일찍이 헌법에 교육의 무상성을 규정함으로서 대학교와 대학원의 고등교육까지 모두 무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우리도 고려해볼 때가 되었다고 보인다. 헌법 규정상 교육의 무상성을 국가의 의무로 규정한 점을 우리나라의 헌법 개정 때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의무교육과 교육의 무상성을 헌법 규정으로 둘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관점에 따라서 국가 경제적 관점이나 사회 복지점 관점에서 고등교육의 비용보다 급한 분야가 있을 수 있으나 교육기회의 평등실현은 헌법적 가치로서 그에 따른 제도적 규정으로서 무상교육을 헌법에 규정할 필요성을 가진다 할 것이다. 셋째, 프랑스에서는 교육의 무상성과 의무교육을 보장하기 위해서 사립학교에 대하여 단순히 법령으로 규정하여 법령에 따르도록 하는 일방적 수단을 사용하기보다는 행정계약이라는 협력적 수단을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획일적 행정을 보완할 수 있고 탄력성을 가진 교육행정을 이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무교육과정에서도 행정계약 제도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다고 보인다. 넷째, 무상교육의 방법과 비용지급에 있어서 등록금과 학비의 경우에 무상이루어지고, 그 외에 교육에 필요한 비용은 사회안전법에 의해서 각 급 가정에 직접 지급되는 구조이다. 그러므로 제도적으로 단순히 학비의 경우 무상으로 지급된다고 무상교육제도가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무상교육을 받을 수 있는 경제적 배경까지 고려하고 있다는 점은 많은 시사점을 안겨준다. 다섯째, 교육제도에 있어서 지방자치단체와 국가 간에 역할 배분을 철저히 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방자치제도의 특성을 살리고 지방의 특색에 맞는 교육행정의 실현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에서 광역자치단체단위의 교육행정이 현실반영이 제대로 되는지 의문이다. 그러므 ... Every child has the right to go to school. School education promotes the development of the child, allows him to acquire the culture. The child prepare the working life and citizen responsibilities from school. The child develops the knowledge, skills and culture necessary for the exercise of citizenship in contemporary societ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e families are involved in accomplishing these missions. To promote equal opportunities, it should be allowed to make the access possible to each according to his abilities and special needs, different types or levels of school education. The State guarantees the respect for the personality of the child and of the educational action of families. From the requirements of compulsory education system in France, we can see that Compulsory education is a first step for the democratization of education. But free education should be supported. the Democratization of Education should be realized. This is historic demands. We must talk to the mandate of the country for the right to receive an education. Our country has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In some cases, it is happened that some don't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due to financial problems. This is our social inequalities and this Phenomenon is reproduced. our society has the serious problem of the equality than the freedom of education.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 정책에서의 무용교육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방안 연구

        박은희 ( Eun Hee Park ) 대한무용학회 2010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63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a foundation of dance education as culture & art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retain dance-major students as culture & arts educators and to establish training program for professionalists as culture & arts policy in education field. This paper presents a methodology to train dance educators as culture & arts education. It is CETA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Arts) that the Republic of Korea applies to train professional culture & arts educators. But the problem of the program is that the program takes one year to master it.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take up shortage timely and to connect the program with universities or other education organizations. In this manner, the paper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rofessional dance education organization as policy. In conclusion, the paper presents devices to educate professional dance educators at universities. Hereup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ance education major and to have an administrative method to connect theory with practice. It is necessary to secure connection between departments in the curriculum operation and to establish connection with Korean Institute for Art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