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듀이의 ‘행함에 의한 학습(learning by doing)’의 의미 탐구

        조경원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4

        본 논문은 듀이가 말한 ‘행함에 의한 학습’의 의미가 직접경험이나 활동을 통해서만 배운다는 의미로 많이 해석되는점에 대해 문제의식을 갖고 시작하였다. 학습자의 심리만큼 교과의 논리를 중시하고 또한 삶과 교육에서 경험이 중요한 만큼 사고가 중요하다고 본 듀이의 철학에서 ‘행함에 의한 학습’이 무엇이고 교과교육에서 어떻게 해석되어져야 하는 것인가의 문제를 연구하였다. 듀이에게 인간의 삶은 자연과 인간의 끊임없는 트랜스액션으로서의 경험 혹은 행함이다. 이행함은 아는것 이상의 개념이다. ‘행함에 의한 학습’의 의미는 일차적으로 학습이 정신과 신체가 분리될 수 없는 학습자의 일상적 경험과 그 질적 직접성에 기초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말한다. 안다는 것은 제 신체기관을 포함하는행함 안에서 이루어진다. ‘행함에 의한 학습’의 다음 의미는 경험의 실험적 성격을 강조하는 관점에서나온다. 즉, 인간의 충동에 기초한 일상적 삶이 지성 혹은 사고의 결과로서의 ‘해보는것’에 의해 통제될 때, 일어나는학습을 의미한다. 인간은 주어진 환경과 트랜스액션할 뿐 아니라, 미래를 위해 그 환경을 바꿔나간다. 교육의 핵심은경험 속에서 지성에 의한 사고 습관을 형성하는일이다.이 두 의미는 분석 상 구분되나 실제 교육적 경험이 되기 위해서 통합되어야한다. 아동의 초기 학습 단계에서는 실감과 감상에 기초한 행동에 의한 학습이 더 필요하다. 그러나직접 경험에만 근거한 학습은 극히 제한된 교육만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듀이의 ‘행함에 의한 학습’ 이라는 말을 단순히 직적경험과 같은 의미에서의 행함에 의한 학습으로 해석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본다. 직접경험은 초보단계에서는 필요하다고 볼 수 있으나, 이후 더 많은 교과교육에서 학습은 학습자의 이전의 경험과 새 경험을 이을 수 있도록 의사소통과 상상력을 동반한 사고에 의해 인도되어야 한다. 이 때 사고가 일상적 삶, 또는 인간본성 속의 에너지인 충동이나 욕망 및 습관을 통제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전개되도록 학습자의 경험에 유의미한 교육사태를 구성하여교육이 이루어지면 그 경험은 인지적인 것이 아니라 실천적인 것이다. 즉, 환경에 능동적으로 해보는 것의 결과로 알게 되며 그로인해 일상적 경험의 의미가 확장되고 재구성된다. 듀이에 의하면, 이러한 경험의 완결성으로 욕구나감각과 정서의 생명 에너지가 더 충만해지고 인간의 능력을 해방하게 된다. This essay aims to examine Dewey’s meanings of ‘learning by doing’ based on his philosophy of natural empiricism and his concept of human nature, which consists of impulse, habit and intelligence. It has been quite commonplace to equate Dewey’s learning by doing with learning by activities or direct experiences such as service learning. Dewey tried to recover the totality of experience, which has been undermined, in contrast to reason as the ability to become aware of reality in the traditional philosophy. Experience, which becomes an affair primarily of doing, occurs continuously in the process of living as the transaction of human being, as a living creature, and the environment. Dewey’s concept of experience or doing includes both the importance of everyday experiences in terms of qualitative immediacy and the role of intelligence in terms of reflective thinking. The former meaning of doing emphasizes the background for doing thinking, regarding knowing as a kind of action based on pre-established habits and dispositions. The latter meaning of doing as trying stresses reflective thinking as experimenting with the world to find out what it is like. In this sense, Dewey’s ‘learning by doing’ would be better to be understood in terms of ‘learning by doing thinking’ or ‘learning by intelligence’, not learning by activities or direct experiences. Dewey’s concept of ‘learning by doing’ in the subject matter thus requires providing the background of realization or appreciation in the earlier stage. IT further requires communication as a process of sharing experience and imagination as the ability to make something present that is absent.

      • KCI등재

        노자 「도덕경」의 교육학적 함의

        이미종 한국교육학회 2013 敎育學硏究 Vol.51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education through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Doing-Learning'(爲學, wei hsüeh) and 'Doing-Tao'(爲道, wei tao) in Lao-tzu's Tao-te-ching. The nature of education can be understood in two ways in accordance with two interpretations of the relation between Doing-Learning and Doing-Tao. The one is that Doing-Learning and Doing-Tao are contrary to each other, the other is they are different aspects of same activity. But first interpretation entails a serious problem. If Doing-Learning and Doing-Tao were contrary to each other, the state of 'Non-Knowledge'(無知, wu chih), which is synonymous in Tao-te-ching to Tao, supposedly attained by Doing-Tao, would be opposed to the state of 'knowledge'(知, chih) attained by Doing-Learning. In this case, the state of Non-knowledge indicates mere ignorance or lack of knowledge, and Doing-Tao is nothing but pursuing the ignorance. To avoid this absurdity, we must interpret Tao as the 'logical cause' of Things. Tao constitutes the logical presupposition of Things, and is not manifested in itself but through Things. However, Things as manifestations of Tao can stand in relation to man only by being designated in words and formulated in knowledge. Thus learning knowledge is the only legitimate way to Tao. In other words, 'Doing-Learning' is nothing other than 'Doing-Tao'. 본 논문의 목적은 「도덕경」 48장 “위학일익 위도일손”(爲學日益 爲道日損)에 나오는 위학과 위도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학교에서 일반적으로 이루어지는 ‘지식을 가르치고 배우는 활동’이 인간의 삶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를 밝히는 데 있다. 위학과 위도의 관계는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다. 하나는 양자를 별개의 활동으로 파악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양자를 동일한 활동의 상이한 측면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양자를 전자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은 도가 만물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존재라는 점에 기인한다. 이 경우에 지식은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파악된다. 양자를 후자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은 도가 만물로 표현된다는 점에 기인한다. 이 경우에 지식은, 비록 성공하기 쉽지는 않다고 하더라도, 심성을 함양하는 데 그 의미가 있는 것으로 된다.

      • KCI등재

        학생 역량 제고를 위한 CLD 교육방법의 개발

        김병국 ( Kim Byungkuk ),이용민 ( Lee Yongmin ),송민영 ( Song Minyoung ),최현수 ( Choi Hyunso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7 韓國思想과 文化 Vol.86 No.-

        예로부터 국가에서는 교육을 통한 인재 양성을 중요시했다. 그 사실은 현재도 또 앞으로도 변함이 없을 것이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정보통신기술과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세계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한편 21세기를 제4차 산업혁명의 시발점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은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도 촉구하였으며, 이에 따라 역량 교육이 중요시되고 있다. 유네스코(UNESCO)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관련 보고서를 통해 21세기에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해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육방법과 관련하여 교수자가 강의하는 것보다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학습하는 것이 미래사회에 대비한 역량을 갖추는데 더 효율적이라는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 사례기반학습(Case-Bsed Learning, CBL), 액션러닝(Action Learning, AL), 팀기반학습(Team-Based Learning, TBL), 플립드러닝(Flipped Learnaing, FL) 등이 그런 방법론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 실행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나름의 장점과 단점을 지니고 있는데, K대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인지역량과 수행역량을 함양시키기 위해 기존의 학생 중심교육의 분석을 통해 나름의 독특한 교육방법인 CLD(Creative Learning by Doing)교육방법을 고안하여 학생들을 교육하고 있다. 이 교육방법은 수행역량의 강화를 지향하고 있지만 어느 정도 전공에 관한 인지역량의 강화 역시 도모하고 있다. 이 교육방법은 `협업형 창의융합인재 브리꼴레르`양성이라는 인재상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이 인재가 갖출 역량을 티엑스(TX)역량이라고 하는데, 이는 `인문소양, 자기전공역량`(이상 T역량)과, `창의적 문제해결역량, 융합적 사고력, 자기주도적 학습역량, 협력적 리더십`(X역량)이다. CLD교육방법은 학생들이 이러한 역량을 갖출 수 있도록 `사전학습(Pre- Class)→적용학습(수업 중)→심화학습(수업 후)`으로 구조화되어 있다. 이는 자기주도적 학습과 팀기반 학습을 적절히 병행하여 학생들의 전공에 관한 인지능력과 수행능력을 극대화하도록 한 것이다. 이 교육방법이 현재 또는 미래사회의 요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역량을 학생들이 키우도록 기능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At the dawn of 21st century, rapid development i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ciences have revised the global paradigm. The 21st century has been viewed as the beginning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competent people suitable for the paradigm. To propagate such a paradigm, it important to adopt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reports issued by the UNESCO and OECD suggest some competences required for the people in the 21st century. It also suggested that active learning is much more effective in the establishment of competences for future society than passive learning. So several active learning methods, such as Problem-based Learning, Case-based Learning, Active learning, Team-based Learning, and Flipped Classroom come into action in education. While such methods have the pros and cons in their own ways. K University introduced its unique method `Creative Learning by Doing` to cultivate students` cognitive and applicative competences. The method aims to cultivate the right people for the Bricoleur. It combines T competence in the students` liberal arts background knowledge and major fields, and studies with X competences i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ntegrated think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operative leadership ability. The Creative Learning by Doing method structuralizes its process into pre-class, in-class and post-class and maximizes both students` cognitive and applicative competences. It is considered that the CLD method enables the cultivation of student competencies for present and future societies.

      • 경기도 온라인평생학습 방향과 추진과제

        오재호,성영조,천영석,송승현 경기연구원 2019 정책연구 Vol.- No.-

        This study sought to respond effectively to the growing demand for lifelong learning in Gyeonggi-do. Now people study to satisfy their intellectual curiosity or to acquire the necessary knowledge, rather than learning only for admission and employment. The scale of online lifelong learning in Gyeonggi-do has grown to 660,000 people since its opening in late October 2016. With the explos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the internet, residents can improve their lives by learning what they want. In particular, the aging of highly educated retirees is increasing the demand for pure learning, rather than vocational means. Lifelong learning policies should be designed to recognize opportunities for choosing and participating in learning. It is difficult to plan topics and content and continue recruiting learners. Online learning is efficient, but difficult to communicate, so it must be designed to complete learning in a specific place. Even if the quality of the content is improved,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learning effect more than getting the information. GSEEK must re-establish its identity as a starting point rather than completing lifelong learning. The advantage of an online platform is that it can efficiently navigate learning programs and match learning demand and supply. Local governments should support people to choose learning topics and, if necessary, to plan and evaluate themselves. Gyeonggi-do should aim as a regional learning community where local residents can freely lead learning and ultimately continue and expand learning without local government support.

      • KCI등재

        학습프로세스와 IT 프로젝트 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임명성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실행에 의한 학습, 타인에 의한 학습, 투자에 의한 학습 등 세 가지 학습 프로세스가 IT 프로젝트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프로세스 모형을 기반으로 연구 모형을 제안했다. 제안한 모형을 기반으로 세 가지 학습 프로세스가 의사결정 성과뿐만 아니라 IT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행에 의한 학습은 경험 지향성과 절차 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에 의한 학습도 절차 및 경험 지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타인에 의한 학습은 두 지향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유형의 지향성 중에서 경험 지향성은 의사결정 성과 및 IT 프로젝트 성과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절차 지향성은 IT 프로젝스 성과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의사결정 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의사결정 성과는 IT 프로젝트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IT 조직이 구성원들의 의사결정 및 프로젝트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투자에 의한 학습과 실행에 의한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구성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의사결정 성과 향상을 위해서 의사결정 절차는 지나친 절차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경험을 존중하는 의사결정 과정을 촉진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learning processes, such as Leaning-by-Investment, Learning-by-Doing, and Learning-from-Others, affect the effectiveness of IT (information technology) initiatives. The learning process model served as the foundation for our study. We examine the impact of three learning processes on the ability of IT professionals to make decisions and complete IT projects, based on the suggested model. We found that experience and procedure orientation are positively impacted by learning by doing. Furthermore, these orientations are impacted by learning by investment. Learning from others, however, has no bearing on two orientations. One of the two orientations, experience orientation, has a beneficial impact on two performance areas: project performance and decision-making performance. But conversely, it was found that procedural orientation only has a negative effect on project performance, but has no influence on decision-making performance. Finally, decision making performance has influence on project performance.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IT organizations must create a learning environment that promotes learning by investment and learning by doing to improve decision making performance as well as project performance. However, decision making performance is only achieved by experience orientation but not by procedure orientation.

      • KCI등재

        John Holt의 ‘행함(Doing)’의 개념과 자원

        박준영(Park, Zoon Young),천정미(Chun, Jung-Mee)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9 敎育思想硏究 Vol.23 No.2

        본 연구는 John Holt의 ‘행함(doing)’의 개념과 자원들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Holt는 교육이라는 용어보다 ‘행함’이라는 용어를 지지하였다. ‘행함’은 ‘행위자(do-er)’들이 스스로 자신의 삶의 방향을 정하여 삶의 목적이 뚜렷하고 의미 있게 살아가고 일하는 것을 의미한다. ‘행함’을 위한 자원들은 프리스쿨, 교환학습, 도서관, 상업적 출판물 등이 있다. 프리스쿨은 나이를 초월해서 모든 이들과 손잡고 사람이든 물질이든 지역공동체의 자원을 활용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교환학습은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싶은 곳에서, 하고 싶을 때, 좋아하는 사람들과 함께 하는 방법으로서, 좋아하는 사람들과 계속 만나고 싶다는 마음을 풀 수 있는 방법이다. 도서관은 책이나 기록물을 보관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청각 교재를 수집, 보관하여 사람들에게 대여 해 줌으로 사람들의 아이디어를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자원이다. 상업적 출판물은 집필자와 독자들의 생각들을 상호 교환하여 상호 영향을 주어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보들이 실려 있다. 서로의 정보를 교환하는 정보교환 네트워크도 ‘행함’을 위한 자원이다. 이러한 자원들은 사람들에게 자신의 삶을 적극적이고 흥미롭게 살아가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사회자원이다. Holt의 ‘행함’은 교육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교육의 장을 학교 밖으로 확장했다는 공헌점을 찾을 수 있다. Holt의 ‘행함’이 교육현장에 주는 시사점은 교육과 배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제기하였다는 점이다. This paper tried to investigate about the concept and resources of John Holt’s ‘doing’. Holt favored to the term of ‘doing’ against ‘education’. Doing means that ‘do_er’ directs its own life and works with a definite purpose and meaning. Resources for ‘doing’ are the free school, the learning exchanges, the libraries and the commercial publication. The free school founded for all ages to use the resources of community. The learning exchange is a way to serve a demand for things what you want, at where you want, at when you want, for as long as you want, with people you like. The libraries were the place to store books and other written records as well as all kinds of audio_visual materials. The library can and should help increase the commerce in ideas. The commercial publications contains the informations which exchange ideas and affect each other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ader. An information exchange network is also the resources for doing. These resources are the important social resources which assist people to live oneself interestingly and actively. Holt's ‘doing’ contribute to the education field as follow: First, Holt's ‘doing’ suggested new concepts about education. Second, Holt’s ‘doing’ expanded the education field which is at the school to the outside of the school.

      • KCI등재

        湛軒 洪大容의 學問觀

        權政媛(Kwon, Jung Wo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9 동양한문학연구 Vol.29 No.-

        본고는 湛軒 洪大容(1731-1783)의 학문관을 고찰하였다. 홍대용은 洛論의 宗匠이었던 渼湖 金元行(1702-1772)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기에, 그의 학문관은 낙론적심성론을 바탕으로 성립하였다. 홍대용은 心性만을 학문 대상으로 삼던 기존의 성리학적 학문경향에서 벗어나 객관적 事物을 학문 대상으로 삼았고, 특히 人物性同의 이론을 논리적 기초로 하여 人物均의 논리를 끌어냄으로서 利用對象物로서의 物이라는 새로운 物論에까지 나아가게 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낙론적심성론이 김원행 문하에 있던 학자들의 상수학 연구 분위기와 명물도수지학을 중요시한 노론계의 학문취향, 천문학에 관심이 많았던 부친의 지원과 집안의 분위기 등과 맞물려 實用과 實境의 정신을 중요시하게 되었다. 학문을 함에 있어서도 관념위주의 지식을 추구하기 보다는 일상생활에의 실천을 중시하였고, 이러한 실천 중시의 학문사상은 日用當行之事와 末節에의 추구로 이어졌다. 홍대용이 학문하는 목적은 바로 ‘진리를 밝혀 일에 실천’하는 것이었다. 학문을 지식의 추구에 만족하지 않고 지식을 활용하여 보다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돕는 데 까지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학문의 범위 역시 실제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律學이나 數學·科學 등 다방면에까지 확대되었다. 홍대용은 학문 방법에서도 실천적 체험을 강조했는데, 이는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학문을 함에 있어서 비판적 자세를 가지고 의문을 제기할 것[疑問提起], 둘째 마음을 전일하게 하여 깊이 궁구하는 자세를 가질 것[專一窮究], 셋째 자신의 마음으로 남의 뜻을 헤아릴 줄 알 것[以意逆志], 넷째 공평무사한 눈으로 다른 사상의 장점을 두루 받아들여야 할 것[公觀倂受]이 그것이다. 결과적으로, 홍대용은 위대한 학자이나 학문만을 추구한 학자는 아니었다. 다방면의 학문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통달하는데 노력하였고, 이렇게 얻어진 지식을 아는 것에 머물지 않고 현실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데 활용하고자 노력한 실천가였다고 하겠다. Hong, Daeyong (1731~1783) is a practical scientist who represents the Study of the North along with Park, Jiwon in Youngjo and Jeongjo period in Chosun Dynasty. His view of learning was established based on Nakron and Human Nature Theory. Therefore, he escaped from the existing Sung Confucianism that only focused on human nature, and also looked into concrete objects. Especially, he accepted Inmulseongdong Theory and spread the Study of the North that claimed to learn Chung’s advanced culture. He took a serious view of practice rather than ideology. This practice-focused view of learning led to Ilyongdanghaeng (one should do whatever that has to be done in a day) and small things. The purpose of Hong’s learning was ‘to find out the truth and use it practically’. He claimed that learning should not stay as knowledge itself but it should be utilized so that people can live a better life. Therefore, his view of learning spread into law, mathematics, and science that can be used in real life. Hong emphasized practical experience in way learning. The four ways of learning are; first, one should have critical attitude and always question everything in learning, second, one should spend all his mind in learning and study thoroughly, third, one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others by oneself, and fourth, one should accept strengths of other view of learning with fairness and impartiality. In conclusion, Hong was a great scholar, but not a scholar who only pursued knowledge. He had interest in various types of knowledge and tried to master them. He did not stop at acquiring knowledge. He was a practitioner who tried to solve problems in real life by utilizing knowledge.

      • KCI등재

        CLD 학습을 통한 플립러닝 적용 사례연구

        황요한(Yohan Hwang),이은정(Eunjung Lee) 한국중원언어학회 2018 언어학연구 Vol.0 No.47

        Recently, there has been a renewed and steady interest in the pedagogical im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in the field of second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in many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classrooms. Based on one of the flipped learning methods, CLD(Creative Learning by Doing) that our university has developed,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lipped learning on EFL learners’ motivation and improvement in English learning.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not only analyzes questionnaires designed to gather information about satisfaction and efficacy of CLD from 968 freshmen who enrolled in a CLD-based English course, but also it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ir TOEIC scores from the previous lecture-based course. The findings show that flipped learning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course satisfaction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TOEIC score. Based on this result,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flipped learning and suggests essential factors for creating a flipped classroom.

      • KCI등재후보

        초등과학 지질 관련 단원의 학습에 적합한 제주도 체험학습장 개발-"지층과 화석" 단원을 중심으로-

        김덕호 ( Deok Ho Kim ),홍승호 ( Seung Ho Ho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 지질 관련 단원의 학습에 적합한 제주도의 체험학습장을 개발하여지질 현상을 소개하는 것이다. 조사된 14곳 중에서 적합하다고 판단된 성산일출봉~신양리층 구간, 서귀포층, 송악산~용머리해안 구간 그리고 수월봉을 중심으로 지질 현상을 분석하였다. 이 네 곳에서는 바다에 의한 풍화, 여러 가지 지층, 퇴적암 및 화석을 관찰할 수 있고 화산활동으로 생긴 지형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교육과정 관련 단원의 학습 목표 달성에 적합한 장소로 판단되었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삽화 및 학습 내용을 제주도에서 조사된 네 곳의 지질 현상에 대한 설명과 함께 학습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관찰된 지질 현상은 초등과학 지질 관련 단원에 제시된 삽화와 유사한 곳이 많기 때문에 효과적인 대체 체험학습장이 될 수 있으며, 현장 체험학습과 연계하여 초등학생들에게 구체적인 학습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교육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regional field learning area of geology units in elementary science. Among fourteen places of investigation, Seongsan Ilchulbong~Sinyang-ri formation, Seogwipo formation, Songaksan~ Yongmeori cliffs, and Suwolbong of Jeju-do were selected as suitable places for field experience learning, and analyzed the geological features. In those places can be observed the weathering by the sea, various strata, sedimentary rocks, and fossils. In addition, the places are formed by volcanic activity, it was considered on proper places to achieve the learning objective of geology units in curriculum. Also, it is to develop alternative learning materials for regional geology that can be observed the geological phenomenon, after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to pictures and learning contents of textbooks in four places. Because the geological phenomenon that be observed in this study is similar to pictures in geology units, it can be effective alternative field learning area. We proposed the educational direction that can be provided with specific learning material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connecting field experience learning.

      • KCI등재

        Analysis of Strength and Weaknesses in Lifelong Learning System of BRICS

        Ju-Seuk Kim(김주석)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BRICS 국가들의 평생교육체제의 경쟁력을 측정하고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개발도상국의 NLLS 시스템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메커니즘 모형 및 32개의 지표와 12개의 하위요소를 측정에 이용하였다. GLLI(Global Lifelong Learning Index) 측정결과, 중국과 러시아가 상대적으로 강세를 나타냈고, 브라질, 남아공이 중간그룹을 형성하였다. 인도는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그러나 국가마다 중점을 두어야 할 평생교육 분야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각 BRICS 국가들의 평생학습 체제의 강점 및 약점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과 관련된 정책을 평가하고 NLLS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의사결정의 준거 및 BRICS 국가의 NLLS 현황을 알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easure and evaluate competitiveness of lifelong learning systems of BRICS countries in the respect of National Lifelong Learning System (NLLS). To analyze the data, this study used the mechanism model and 32 indicators and 12 sub-factors developed to measure the NLLS of developing countries. As a result of the Global Lifelong Learning Index (GLLI) measurement, China and Russia were relatively strong, while Brazil and South Africa formed the middle group. India scored relatively low. However, there are areas of lifelong education that each country should focus on, and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lifelong learning systems of each BRICS country.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standards to evaluate lifelong learning-related policies and make decisions to raise NLLS competitiveness, and as basic materials to know current NLLS situations of BRICS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