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조절초점이 미래 불안감, 직장 내 종교활동, 직장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명성,변현수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21 로고스경영연구 Vol.19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s of regulatory focus on employees' anxiety, religious activity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we tried to examine whether the relative weight of various religious activities within the organization makes a difference to the causal relationships above.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by selecting religious foundations to distribute a paper-based questionnaire. 129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Promotion focu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uture anxiety and job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t has a positive affect on satisfaction with religious activities at work. 2) While prevention focus has a positive effect on future anxiety,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religious activities. Future anxiety has a negative effect on satisfaction with religious activities. However,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religious activities at work has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Finally, the relative proportion of religious activities at work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motion focus and satisfaction with religious activities at work. 본 연구는 조절초점이 구성원들의 불안감, 종교활동 만족, 그리고 직장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조직 내에서 이루어지는 종교활동의 상대적 비중에 따라 위에서 제시한 인과관계에 차이가 발생하는지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종교재단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총 129부의 설문을 회수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향상초점은 미래 불안감과 직장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향상초점은 직장 내 종교활동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방초점은 미래 불안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예방초점은 직장 내 종교활동 만족과 직장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 불안감은 직장 내 종교활동 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장 만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 내 종교활동 만족은 직장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장 내 종교활동의 상대적 비중은 향상초점과 직장 내 종교활동 만족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정보보안 대책의 인식수준에 대한 연구 : 경영진과 비경영진 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임명성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6 경영컨설팅연구 Vol.1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보안 대책에 대한 경영진과 비경영진 간의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여러 조사결과에 따르면 최근 정보보안의 실패원인으로 조직 내 특권층의 인식부족을 가장 큰 원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즉, 동일한 정보보안 대책을 모두에게 강조하고 있는 상황이 과연 적절한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상황인 것이다. 이와 같은 필요성의 당위성을 검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영진과 비경영진 간의 정보보안 정책, 정보보안 교육 훈련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정보보안 교육 및 훈련에서 경영진과 비경영진 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또한 정보보안 정책의 명확성 측면에서도 경영진과 비경영진 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반면에, 정보보안 정책의 간결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3가지 요인(정보보안 교육 및 훈련, 정보보안 정책의 명확성, 간결성)에서 모두 경영진의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경영진의 인식수준이 비경영진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조직의 정보보안의 강화하기 위해서는 경영진과 비경영진 간의 차별화된 접근법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구체적인 분석결과와 결론 및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 함의를 함께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awareness between management and non-management in terms of information security countermeasur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various surveys, the main reason of the information security failure is the lack of awareness of privileged users in organization. So,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whether information security countermeasures for all users in organization is appropriate. To do this,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of awareness of information security policy and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and training between management and non-management.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nagement and the non-management in the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and training.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nagement and non - management in terms of clarity of information security policy. On the other h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brevity of the information security policy. In su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management awareness is higher than non-management in all three factors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and training, clarity and brevity of information security policy).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a differentiated approach between management and non-management is required to reduce of information security failure in organization. Conclusion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미국, 일본, 중국의 제조업 혁신 정책 검토를 통한 한국의 제조업 혁신 방안 제안

        임명성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6 경영컨설팅연구 Vol.16 No.2

        과거 한국의 굴뚝산업인 제조업은 기술력이 혁혁히 향상되면서 선진국은 가격경쟁으로 추격하고 개발도상국은 기술로 뿌리쳤으며, 이를 통해 지난 40년 동안 고용 창출 및 혁신의 원천 역할을 수행해 왔다. 하지만 여전히 한강의 기적을 이룬 한국 경제가 2011년 이후 저성장의 늪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한국의 저성장 기조가 지속되고 있는 것은 환경적으로는 인구 보너스를 받고 있는 중국의 급부상, 일본의 부활, 주변국의 성장 그리고 북한의 군사도발 등의 원인이 있으며 산업적으로는 전 세계적으로 국가산업의 서비스업 비중이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도 한국이 서비스업의 비중 대신 그 영역을 넓혀왔던 제조업이 힘을 잃었기 때문이다. 이제는 마이너스 금리를 선언한 일본의 엔저에 눌리고 중국에 쫓기고 있는 상황이다. 즉, 일본에는 가격에 밀리고 중국에는 기술로 쫓기고 있는 신세에 놓여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고비용 생산구조, 소프트파워 부족으로 인한 국내 생산기반이 축소되는 등 구조적 문제점에 대한 대응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제조업의 재도약을 위해 우리나라 정부는 2014년부터 제조업 3.0 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발표와는 다르게 많은 기업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얻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조업 혁신의 선도국인 미국을 포함하여 주변국의 제조업 혁신 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의 제조업은 일본에는 가격에 밀리고 중국에는 기술에 밀리는 역전현상으로 인해 예전의 영광을 재현하지 못하고 샌드위치 신세에 처해 있다. 따라서 역전현상을 단절하기 위해서는 이 주변국들이 추진하고 있는 제조업 혁신 방향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선진국 중 가장 다양한 제조업 혁신 전략을 추진 중인 미국에 대한 검토도 중요하다. 근시안적인 목표가 아니라 장기적 관점에서 제조업 혁신의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미국의 추진 전략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In the past, manufacturing as the Korea's smokestack industry has advanced in various respects relating manufacturing technologies. With this, South Korea has a competitive advantage against developed countries by low price and developing countries by advanced technologies. Thus, manufacturing in Korea has been the source of job creation and innovation. However, Korea's economy still has not come out of a swamp of slow economic growth since 2011. The slow growth trend of Korea economy has been continued because of growth of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a great power of population in China and economic resurrection of Japan and military of North Korea. In addition, global competitiveness of manufacturing in Korea has lost its power in recent times. Now Korea's economy is pressed by negative interest rates in Japan and pursued by rapid economic growth of China. Furthermore, it is hard to respond the structural problem that arouse by the weaken production base because of high-cost production structure, lack of soft power. To do this, Korea government is starting to implement 'the manufacturing version 3.0' strategy for making a new leap forward since 2014. However, unlike the Government's announcement, many companies in Korea do not feel a tangible achievement. Therefore,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anufacturing innovation initiatives in advanced and neighboring countries. Korea's manufacturing industry is now facing serious obstacles such as Japan's negative interest rates and China's technological breakthrough. Accordingly, to break this stalemate and to lead to successful manufacturing version 3.0 in Korea, we need to understand successful manufacturing strategies in other countr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모바일 환경에서 관계의 양과 질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임명성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관계의 질과 양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외로움은 만족스럽지 못한 사회적 관계의 질(quality) 혹은 양 (quantity)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 반응이다. 따라서, 개인이 외로움을 느낀다는 것은 자신의 관계 네트워크의 질 혹은 양에 있어서 결핍이 발생하 였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관계의 질과 양은 매우 다양한 세부 속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관계의 질과 양의 다양한 속성 중에 어떤 속성 이 외로움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회귀분석 결과,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스마트폰에 저장된 전화번호 의 수로 나타났다. 반면, 관계의 질은 외로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 령, 스마트폰 사용 시간, 그리고 개인이 암기하고 있는 전화번호의 수로 나타났다. 결국, 외로움은 자신이 연락할 수 있는 사람이 많으면 감소한 다고 볼 수 있다. 반면, 관계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줄이고, 자신이 친밀하게 연락할 수 있는 사람의 수를 늘림으로써 달성된다고 볼 수 있다. The aimof this work is to examine the effect of relationship quality and quantity on loneliness. Loneliness is a negative emotional response to the quality or quantity of unsatisfactory social relationship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when an individual feels lonely, he or she has experienced the lack of quality or quantity of relationship network. However, the quality and quantity of social relationships have a lot of detailed attributes. To do this, we examine which of the attributes of relationship quality and quantity have more affect on loneliness.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 affecting loneliness is the number of phone numbers stored in the smartphone.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quali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oneliness. Next, the factors affecting the relationship quality are age, smartphone usage time, and the number of phone numbers that individuals memorized. That is, loneliness can be seen to decrease when there are many people you can contact.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improve the relationship quality, it can be seen that this can be achieved by reducing the time of smartphone use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peoplewithwhomone can intimately contact.

      • KCI등재

        테크노 스트레스 유발 요인의 인구통계학적 차이에 관한 융복합 연구

        임명성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테크노 스트레스 유발요인의 인구통계학적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동안 테크노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실증연구가 수행되었으나, 근본적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는 인구통계학적 요인들에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테크노 스트레스 유발요인이 그동안 학자들이 주장해온 인구통계학적인 요인 중에서 성별, 연령, 교육수준, 컴퓨터 사용시 간, 직위, 컴퓨터 지식 등에서 각각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 실증 분석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모두 2개의 요인으로 구분한 후 독립표본 t-검정을 수행하여 차이를 검정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테크노 스트레스 유발요인은 업무과부화, 사생활 침해, 기술복잡성, 기술변화속도 등 5가지이다. 분석결과, 성별과 직위는 기술변화속 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교육수준에서는 업무과부화가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업무 과부화, 사생활침해, 기술복잡성, 기술변화속도에서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에 대한 활용 지식에 서는 기술복잡성, 직무불안정성, 기술변화속도에서 차이가 존재하였다. 마지막으로 컴퓨터 사용시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mographical differences in technostressors(cause technological stresses).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technostress, little studies hav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demographic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attempts to investigate how level of technostressors differ by demographic factors.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identify differences after dividing sample into two groups. The technostressors used in this work are work overload, life invasion, complexity of technology, job insecurity, pace of technological change. We found that, sex and position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ce of technological change. In the educational level,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work overload. Work overload, life invasion, complexity of technology, and pace of change show differences in age group. In computer knowledge, there are differences in complexity technology, job insecurity, and pace of change.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computer using hours.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final s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