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개발 절충적 접근법의 이론 및 적용방안- 국제개발협력 지역사회개발분야에 지니는 함의를 중심으로

        남수연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1

        This study aims 1) to draw a mid-point approach between the self-help approach and the technical assistance approach in community development, and 2) to provide implications for applying the mid-point approach in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conducted under the Korean international development endeavors. The Korean international development literature has little examined theoretical approaches to rural development. In general, the technical assistance approach focuses on structural 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 whereas the self-help approach focuses on enhancing social relations among community members, as a basis for a long-term community development. These approaches have had operational problems, particularly in effectiveness of development interventions. The technical assistance approach has been criticized for ignoring capacity building of communitie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democratic processes of development, thereby impeding community sustainable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the self-help approach in general requires considerable time and resources to demonstrate its effectiveness, because of its focus on capacity building rather than physical environment improvement. Considering the sharp contrast between the two approaches in terms of initiatives, scholars of community development have recently called for identifying a mid-point approach to community development. This study suggests a type of the mid-point approach by examining theories of community development. Then, it proposes the ways to apply the approach to the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conducted under the Korean international development endeavors. 본 논문은 지역사회개발에 대한 이론적 유형 고찰을 통해 지역사회개발에 대한 절충적 접근법을 도출한 후, 국제개발협력 지역개발분야에의 적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역사회개발은 기술지원적 접근법과 자조적 접근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술지원적 접근법은 전반적으로 지역사회의 사회 구조적 측면과 기반시설 확충에 중점을 두는 반면, 자조적 접근법은 지역사회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집합적인 행동을 취하는 데 기반이 되는 사회적 관계 및 역량 강화를 강조한다. 그러나 이 두 가지 접근법은 개발도상국과 같은 낙후지역에 그대로 실행되기에는 실효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어왔다. 기술지원적 접근의 경우 민주적 절차성과 지역사회개발역량 강화라는 근본적인 지역사회개발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 자조적 접근의 경우 지역의 낙후된 물리적 환경에 대한 개선이 선행되지 않은 역량강화는 효과성을 가지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고는 순차적 적용과 연속성이라는 두 가지 개념을 활용하여 두 가지 접근법 간 절충적 접근법을 도출한 후, 국제개발협력의 지역개발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있어 수원주체와 공여주체가 동시에 프로그램 진행 상태를 평가한 결과를 기반으로 절충적 접근법을 적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본고는 지역사회개발학에서 절충적이고 보완적인 접근법 도출이라는 논의주제를 심화시키는 이론적 기여를 제공한다. 동시에 우리나라 국제개발협력 지역사회개발분야의 평가틀 정교화를 통한 실효성 제고에도 기여한다. 결론부분에서는 갈등기반적 접근을 포함한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 제안을 논하였다.

      • KCI등재

        인성교육의 주요 접근

        김수진 ( Sujin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2

        한국에서는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는 데 반해, 그 효과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가 많이 이루어졌다. 이는 무엇보다 그동안 인성교육이 산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는 문제와 관련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해 본 연구는 인성교육의 담론과 실제를 체계화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인성교육의 주요 접근으로 미국 인성교육협회의 국가인성교육위원회 보고서에 제시된 전통적 관점, 아동 발달적 관점, 배려 공동체 접근, 구성주의적 접근, 절충적 관점을 살펴보았고, 인성교육의 최근 동향으로서 배려윤리 접근과 사회정서학습 접근을 추가적으로 논의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인성교육의 주요 접근을 덕목 중심 접근, 인지 능력 발달 접근, 배려 중심 접근, 통합적 접근, 사회정서적 접근으로 재분류하였다. 이를 토대로 인성교육의 주요 접근이 한국 인성교육에 시사하는 바를(1) 관점과 철학을 기반으로 한 지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인성교육 실시, (2) 인성교육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중시, (3) 단위학교 중심의 인성교육 방향 수립 및 운영으로 논의하였다. Although character education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t has not been sufficiently implemented in Korean schools. Studies have shown that character education in Korea has been sporadic. Based on this problem,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theoretical framework for character education. Toward that end, major approaches to character education included in a report by the Washington D.C.-based non-profit organization, Character Education Partnership were studied.Those approaches include the traditional perspective, the child development perspective, the community of care, the constructivist approach to sociomoral development, and the eclectic perspective. Additionally, two other approaches-the ethics of care and the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were studied because they represent the most recent components of character education.Moreover, the following approaches to character education were reorganized from the cognitive,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the virtue oriented approach,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ability,the caring oriented approach, the integrative approach, and the social and emotional approach.There are three implications for character education. (1) develop a coherent and continuous character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perspective and philosophy; (2) utilize a comprehensive approach to create an inclusive character education; (3) ensure school-based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character education.

      • KCI등재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전문능력 개발 체계

        김진모,주대진,곽지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8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set up the career development stages of rural extension workers, 2) to identify the roles and competencies needed to perform their roles, and 3) to suggest approaches to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his study was mainly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expert panel workshop, benchmarking, and a survey.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areer development stages of rural extension workers were set up in three levels, which were divided into a general stage including an entry level, professional stage, and consulting stage. Also, the eleven roles required for rural extension workers and five competencies needed to perform their roles were derived. These five competencies consisted of twenty-nine sub competencies. Finally, several development strategies that can be derived from educational experience and job experience were suggested as the approaches to professional development of rural extension workers. To practically utilize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measures should be taken. First,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should be made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rural extension workers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personal endeavor. Second, the structure of regional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should be reorganized. Third,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various approaches to professional development of rural extension workers should be implem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전문능력 개발 체계를 만드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농촌지도직공무원을 육성하기 위한 직업 경력단계를 설정하였고, 농촌지도직공무원의 경력단계별로 요구되는 역할과 역량을 구명하였다. 또한,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직업적 전문성 개발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는 주로 문헌분석과 전문가 협의회, 벤치마킹, 전문가 의견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우리나라 농촌지도직공무원의 경력개발단계는 일반 지도단계, 전문 지도단계, 농업기술 컨설팅단계의 3단계로 설정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농촌지도직공무원이 주로 수행해야 할 11개의 역할과 29개의 하위역량으로 구성된 5개의 역량군을 도출하여 각 경력단계별로 요구되는 역할과 역량을 구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농촌지도직공무원들의 전문능력 개발을 위해 교육경험과 직무경험을 활용한 전문능력 개발 전략들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가 실제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지원과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첫째, 우리나라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해서는 본인들의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조직적제도적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둘째, 우리나라 농촌지도기관의 조직개편이 필요하다. 셋째, 농촌지도직공무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개발하고, 이를 실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의 개발협력사업과 포스트개발론적 접근: 탄자니아 사례를 중심으로

        박민철 국제개발협력학회 2018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0 No.1

        Purpose: This paper explores to review and analyze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in Tanzania from the perspective of post-development theory. And it raises the question whether the donors' development cooperation approaches have contributed to economic growth and quality of life in the recipient country. Originality: In Korea, studies on development cooperation policies and projects toward Tanzania are mainly conducted on quantitative approach from the donor perspective. So research analysis based on various theories is not yet actively carried out. This study is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to the grant aid projects from the perspective of post-development theory. And its new attempt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the existing studies. Methodology: This paper examined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in Tanzania from the perspective of post-development theory. Post-development theory emphasizes the involvement of local communities in consideration of their historical context and social situation, and places importance on grassroots activities and cultural diversity. Result: The main objectives of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 in Tanzania are focused on establishing economic and social infrastructure and transferring the development experience of Korea by searching for hardware projects and supporting material resources.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s is still insufficient to reflect the local situation and to assess the needs of communities and the resources available to them. This can ultimately hinder aid effectiveness of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project in Tanzania. Conclusion and Implication: It is time for Korea to seek its own development paradigm, which does not violate the universal values and principles of the international aid community, but pursues the aid method from below and guarantees active participation of the final beneficiaries. Therefore, a new development paradigm is needed to strengthen the required capacities of local people to realize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and to localize development plans.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학교전체적 접근: 발달과 촉진 장치에 관한 탐색

        김남수,주형선,이선경 한국환경교육학회 2023 環境 敎育 Vol.36 No.3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exts, a whole school approach to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consistently emphasized and is being adopted through specific policy initiatives. Beyond emphasizing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a whole school approach, it is time to seek mechanisms for the development and facilitation of such an advancement.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evelopmental stages and mechanisms for implementing a whole school approach to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by examining a single school as a case study. The educational field that emphasizes a whole school approach typically involves topics that require active participation, collaboration, and consensus among school members. It aims to promote learning, transform school culture, and address educational challenges. Sustainable development is one of these topics and is characterized by its comprehensive nature, complexity, and multifaceted orientations. Strengthening the capacity to address the challenge of sustainable development necessitates a school-wide approach. The whole school approach to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s a long-term endeavor with stages of development or progression. Each area of the school, such as the curriculum, school members, physical spaces and facilities, and community engagement, can exhibit different levels of progress. Drawing from a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categorizes the stages as follows: the awareness and practice stage, the practice improvement stage, the strategic integration stage, and the systemic transformation stage. The subject of this study, A Elementary School, is a school that has achieved innovation across its entirety by using ecological education as an entry poin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ithin A Elementary School, integration and connection are notably prominent in its curriculum, among school members, in physical spaces and facilities, and in community engagement areas. Furthermore, there is a clear enhancement of leadership and change in thinking habits in both teachers and students. As a result, this stage is diagnosed as the strategic integration stage. Progression to this stage is facilitated by factors such as allocation rules, curriculum orientation, the Small School System for autonomous operation, coordination teams within the entire school, a curriculum-sharing program, and collaborative writing practices. These routines and structures align with the process of driving school innovation and have emerged in conjunction with it.

      • 언어발달장애아동의 구어발달을 위한균형적 언어교수법의 적용 가능성 탐색

        류인혜,강창욱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2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balanced language approach as alternative language instruction method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Children who has a language problem needs an effective language instructions and therapies. These are divided three categories; pronounce based approach, mean based approach(whole language approach), and balanced language approach. The Balanced language approach that merged and made up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both language approach is proven to effect literacy development positively. Literacy and oral language are simultaneously developed through connection and supplement each other. Oral language is the most effective way of communication, the base of early literacy. Especially, It also has relationship with thinking abilities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so a development of oral language is very important. Conclusionally, when a balanced language approach use for oral language teaching and therapy for children with language problem, because of the complementary relations of literacy development and oral development, it shows the possibilities of alternatives as them to get positive learning effectiveness. 본 연구의 목적은 균형적 언어교수법이 언어발달장애아동의 구어 발달을 위한 대안적 언어교수법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언어발달에 문제가 있는 아동들은 언어 지도 및 치료를 필요로한다. 언어 지도 및 치료를 위한 교수법들은 시대에 따른 관점의 변화에 따라 발음중심 교수법, 총체적 교수법, 균형적 교수법으로 나뉜다. 이들 중 발음 중심 교수법과 총체적 교수법의 장․단점을통합․보완한 균형적 교수법이 선행연구들을 통해 문식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입증되었다. 문식성과 구어는 서로 연계되어 서로 통합적이며, 상보적으로 발달한다. 언어는 의사소통의 수단 중에 하나로서, 특히 구어는 의사소통의 가장 효율적인 수단이며, 초기 문식성의 기초가되고, 사고능력이나 문제해결 능력과도 연결되기 때문에 구어의 발달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문식성 발달과 구어 발달간의 상보적 관계는 균형적 언어교수법을 언어발달장애아동의 구어지도 및 치료에 적용하였을 때, 긍정적인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보여주었다.

      • KCI등재

        L. Kohlberg의 발달적 사회화 접근

        김재식 ( Jae Sik Kim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1 초등도덕교육 Vol.0 No.37

        본 연구의 목적은 콜버그의 도덕 교육 연구에 관한 포괄적 이해에 있다. 초기 콜버그의 도덕 교육에 관한 연구는 발달적 관점에서 가설적 딜레마 토론을 통한 개인의 도덕적 추론 능력의 함양에 있었다. 그러나 가설적 딜레마 토론을 통한 도덕 교육의 한계가 드러나면서 그의 발달적 관점의 도덕 교육 연구는 발달적 사회화 관점으로 전환한다. 초기 연구에서 뒤르케임을 비판했지만 후기연구에서는 그의 사상을 수용하면서 개인의 도덕적 추론 능력의 발달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도덕적 분위기에도 관심을 갖고 정의 공동체 접근을 모색한다. 그의 발달적 사회적 관점은 개인의 도덕적 추론과 학교 공동체 유대감, 개인의 권리와 책임감, 정의와 배려가 조화될 수 있는 통합적 접근으로서 오늘날 통합적 접근을 지향하는 도덕과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Kohlberg`s ideas about moral education. In Early study, Kohlberg was closely identified with the cognitive developmental perspective. He carried over many of the structural assumptions and criteria that characterized Piaget`s stage theory of cognitive development. So he was interested in cultivating ability of individual`s reasoning through the discussion of hypothetical moral dilemmas. But he revises his developmental perspective about moral education because of limits of moral education through the discussion of hypothetical moral dilemmas. Drawing from the ideas of Durkheim, Kohlberg came to believe that unit of education was the group. And moral education should change the school`s moral culture, not just develop the person`s moral reasoning. In this context, his approach about moral education involves both the collective socialization of moral content and the developmental promotion of moral reasoning. Thus his developmental-socialization Approach is full of suggestions in the current moral education because his approach incorporates both socialization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s.

      • KCI등재

        역량 중심 접근법과 인정의 문제

        목광수(Kwangsu Mok) 한국철학회 2010 철학 Vol.0 No.104

        아마티아 센의 역량 중심 접근법은 1980년대의 ‘평등 논쟁’ 이후로 정치 철학과 윤리학 분야에서 중요한 논의로 간주되고 있다. 특히 198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전개된 개발 윤리학 분야에서 역량 개념은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매김 되었으며, 역량 중심 접근법은 이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이론적 토대가 되었다. 최근에 토마스 포기는 역량 중심 접근법이 현대 사회에서 중요하게 부각되는 가치인 인정 (또는 존중) 개념을 수용할 수 없다는 비판을 제기하였고, 이에 대한 논쟁이 활발하다. 필자는 포기의 비판과 역량 중심 옹호자들의 대응 모두가 역량 중심 접근법의 일면만을 극대화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포기는 역량 중심 접근법이 각 개인의 자연적 우연성을 평가하고 이에 따라 자원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혜자의 자존감 훼손은 주목했지만, 이 경우가 사회적/문화적 관습 속에서 열등하다고 가치 평가되는 자연적 우연성에 한정된다는 점을 명시하지 못했고, 역량 개념이 본질적 가치라는 점에서 인정을 수용한다는 측면을 간과하였다. 역량 중심 옹호자들은 인간의 다양성 특징이 복합적 차원에서 인정 요소에 민감할 뿐만 아니라 분배 이외의 방식으로 역량을 강화한다는 점에는 주목했지만, 사회적/문화적 관습 속에서 열등하다고 판단되는 개인의 자연적 우연성은 평가와 강화 과정에서 불인정을 초래할 수 있으며, 분배 이외의 방식도 자연적 우연성을 극복하기 위해 개인적 분배 방식과 협력할 경우에는 불인정을 초래할 수 있음을 명시하지 못했다. 이러한 필자의 분석과 주장은 역량 중심 접근법과 인정 개념 사이의 명확한 관계와 한계를 조명한다는 의의를 가질 뿐만 아니라, 인정을 중시하는 개발 윤리학이 인정 요소를 반영하기 위해서 기존의 역량 중심 접근법을 어떻게 수정해야하는가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의의 또한 갖고 있다. Thanks to its feature as a broad nonnative framework for evaluating individual well-being and social arrangements, Amartya Sen's capability approach currently prevails in the development ethics, as well as other fields, including economics. Recently, Thomas Pogge and Nancy Fraser criticized Sen's capability approach for not adequately subsuming problems of recognition, and many supporters of capability approach have responded to this critique. This debate is especially significant in development ethics where recognition is considered as a key facto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Sen's capability approach can effectively respond to this critique. I suggest that critics and supporters are each only partially true because each reveals only one side of Sen's capability approach. Pogge correctly pays attention to a possibility of stigmatization in Sen's capability approach during its process of material redistribution, but he overlooks that stigmatization is limited to some patterns. On the other hand, supporters correctly pay attention to the possibility of incorporating recognition in Sen's capability approach through its feature of human diversity, but they ignore that its feature can result in stigmatization to some patterns. Through this analysis, I argue that Sen's capability approach should be revised in order to subsume problems of recognition under its approach and in only this revision, it can be a nonnative framework of development ethics.

      • KCI등재

        자선을 넘어 지구적 정의의 추구 – 국제개발에 대한 인권적 접근의 배경과 의의

        이주영(Lee Joo-Young) 국제개발협력학회 2013 국제개발협력연구 Vol.5 No.2

        This study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integrating human rights into development. UN development agencies, donors,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NGOs began to embrace human rights into development from around the mid 1990s. While the increase of development cooperation has been accompanied by the growing attention to ‘human rights-based approaches to development’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little study in its historical background and meaning. This study briefly trac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and development since the adoption of the UN Charter that set out human rights and development, along with security, as common objectives of international community. Furthermore, it discusses the context where ‘human rights-based approaches to development’ came to be widely accepted by the development community. Human rights provide a normative framework that re-defines development as a matter of justice not a charity. Recognising that those living in poverty are deprived of the basic right to live in dignity, human rights approaches require states and other actors to take measures to tackle poverty as an obligation. It is significant that human rights approaches seek global justice by stressing states’ obligations to ensure their economic policies and activities respect human rights of people in developing countries and to reform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in the manner that reduces global poverty and inequality. 본고는 국제개발에 인권을 접목한다는 것이 어떤 의의가 있는 지를 고찰한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유엔개발기구, 주요 공여기관, 국제 개발 NGO들은 국제개발에 인권을 통합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한국에서도 최근 들어 국제개발협력의 증가와 함께 ‘인권에 기반을 둔 개발’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지만, ‘인권에 기반을 둔 개발’이 역사적으로 대두된 배경과 그것이 갖는 의미에 대해 그다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유엔 헌장 채택을 통해 안보와 더불어 인권과 개발이 주요 국제사회의 목적으로 설정된 이후 최근까지 인권과 개발이 어떤 관계를 맺어 왔고, 국제개발을 하는 그룹들 사이에서 인권을 바탕으로 한개발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된 배경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인권은 국제개발을 자선이 아닌 정의의 문제로 재규정하는 규범적 틀을 제시한다. 인권적 접근은 빈곤 상태에 있는 사람들은 존엄을 유지하며 살 수 있는 기본적 인권을 박탈당한 상태라고 인식하며, 국가 및 다른 행위자로 하여금 빈곤 문제에 대해 대응할 것을 의무로서 요구한다. 인권적 접근은 자국의 경제정책과 활동이 개발도상국 주민들의 인권을 존중하도록 추동하고 빈곤과 불평등 감소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국제경제질서를 개혁할 국가의 의무를 강조함으로써 지구적 정의를 추구한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이야기 능력과 이야기 능력 발달에 관한 국내외 연구 동향 : 화법교육의 관점에서

        유동엽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5 국어교육연구 Vol.36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the story telling ability and its development,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oral communication education. To this end, it reviews the research trends of related studies, both home and abroad, by classifying it into three approaches: (1) descriptive approach, (2) prescriptive approach, and (3) therapeutic approach. (1) This study discusses the research trends of the descriptive approach with three axial propositions: “story has structure,” “story grammar is described”, “story can be used as an educational tool.” (2) The prescriptive approach uses the following three axial propositions: “story is an ability,” “the indicators of the development of story-telling ability are quested,” “story telling ability development is described.” (3) The research trends of the therapeutic approach employ the following three axial propositions: “story is a metaphor,” “story is de-constructed and rewritten,” “story can be used as a means of personality education.” 이 논문은 화법교육의 관점에서 이야기 능력과 이야기 능력 발달에 관한 주요 국내외 연구 동향을 고찰하여, 화법교육에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이야기 능력과 이야기 발달에 관한 연구 동향을 1) 기술적 접근, 2) 규범적 접근, 3) 치료적 접근으로 나누어 논의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그리고 세 접근을 학문적 배경, 연구 방향, 새로운 가능성 측면에서 각각 논하였다. 기술적 접근에서는 ‘이야기는 구조다’, ‘이야기 문법을 기술하다’, ‘이야기를 입히다’라는 세 명제를 주제로 하여 연구 동향을 논하였다. 규범적 접근에서는 ‘이야기는 능력이다’, ‘이야기 능력 발달의 지표를 찾다’, ‘이야기 능력의 발달을 기술하다’라는 세 명제를 주제로 하여 연구 동향을 논하였다. 치료적 접근에서는 ‘이야기는 은유다’, ‘이야기를 해체하여 다시 쓰다’, ‘이야기로 인성을 기르다’라는 세 명제를 주제로 하여 연구 동향을 기술하였다. 이 논문이 화법교육의 관점에서 이야기 능력과 이야기 능력 발달을 연구하는 후속 연구의 나침반 노릇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