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칼 융(C. G. Jung)의 정신유형론에서 본 영성유형 분석

        권용근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1 기독교교육논총 Vol.26 No.-

        This article started from interest to explore the different spiritual type of people in their faith lives. As characters differ from person to person, it can be assumed that the ways that people seek and experience God are different as their characters. Then what kind of dispositions are there and how do characters of people react to such dispositions? And how do reactions toward God and religious tendency differently represented according to dispositions of people? These questions are the fundamental questions as writing this article. For such a discussion this article explored from Hippocrates’s “Trait’s Theory”, the classic of disposition, to Lee Je-ma’s “Physical Constitution”. Further, it looked at the spiritual types of people who respond to the calling of God according to their characters and dispositions. While there are diversities in spiritual types, it was revealed that such diversities are related to individual’s characters and dispositions. For the study, C. G. Jung’s Mental Type Theory. As his study not only has depth and width in character theories compare to other psychologists but also contains religious aspect of psychology, it provides good ground for analyzing spiritual types and guiding principles according to different spiritual types. C. G. Jung’s Psychological Type Theory regards ration and feeling which are categorized as reasonable functions; intuition and senses which are categorized as unreasonable functions, as central functions. In order to process the 4 functions there are introvert tendency and extrovert tendency and with the tendencies 8 types of characters occur. Linking with the 8 types by C. G. Jung, there are 8 types of spirituality which are: spirituality of naturalism, spirituality of meditation, spirituality of action, spirituality of intelligence, spirituality of traditionalism, spirituality of abstinence, spirituality of philanthropy, and spirituality of passion. In order to gain the more type of spirituality study of MBTI and more application through the study would be possible. While C. G. Jung’s Psychological Type Theory has contrasting structure from displayed characters, development of potential inferior part which is in the unconsciousness is also significant. If one dismisses the underplayed inferiority, it could lead to losing balance of character and further to the breakup of character as conflict of unconsciousness occurs unexpectedly. Thus C. G. Jung asserts that all individuals shall balance contrasting structures through the process of intensifying character uniqueness. This way, individuals will be able to reach to coherency of individual. As well, one will be able to reach to the wholeness when spiritual guidance does not incline to any side in contrasting structure and keep the balance. 이 글은 사람들이 신앙생활을 함에 있어 표현되는 영성의 유형에 대한 관심으로 시작해 탐색해 본 글이다. 사람의 성격이 다 다르듯이 개인이 지닌 성격적 특성에 따라 하나님을 찾아가는 방법이나 체험의 방식도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전제해 볼 수 있다. 그러면 사람들에게는 어떠한 기질들이 있으며 그 기질에 따른 성격의 반응들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 그리고 사람들의 다른 기질에 따라 하나님에 대한 반응과 신앙적 성향은 어떻게 달리 나타나는가? 이런 물음들은 본 글을 서술해 가는 모든 과정의 기저에 있는 물음이다. 이에 대한 논의를 위해서 본 글에서는 기질에 대한 가장 고전적인 히포크라테스의 기질론에서 시작하여 이제마의 체질론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인간의 성격과 기질에 따라 하나님을 찾아가고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는 사람들의 영성유형들을 살펴보았다. 영성의 유형들은 다양한 차이가 있는데 이러한 차이에 대한 이해는 각자가 가진 기질과 성격과 관련되어 나타남을 살펴보았다. 이 부분에 대한 연구의 근거로는 칼 융의 정신유형론을 통하여 많은 내용들을 찾아 볼 수 있었다. 왜냐하면 칼 융의 정신유형론은 다른 심리학자들보다 성격이론에 관해 넓이와 깊이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의 분석심리학은 인간의 심층적인 종교성의 문제까지 함축하고 있어 영성의 유형분석과 지도 원리를 찾기에는 아주 좋은 지반을 제공해 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칼 융의 정신유형론은 정신의 합리적기능인 사고와 감정, 그리고 비합리적 기능인 직관과 감각의 4가지 기능을 중심기능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이를 처리하는 정신적 태도로서 내향성과 외향성이 있는데 이들을 접합시키면 8가지 유형들이 나오게 된다. 칼 융의 8가지 유형과 연관시켜 찾아본 영성의 유형은 자연주의 영성, 묵상주의 영성, 행동주의 영성, 지성주의 영성, 전통주의 영성, 금욕주의 영성, 박애주의 영성, 열정주의 영성들이 있었는데 이 들을 구분해서 그 성격들을 볼 수 있었다. 영성의 유형들을 더 세분화시켜서 연구하려면 융의 분석심리학에 기초한 MBTI 조사 방법을 원용하면 더 많은 유형의 내용들을 얻어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칼 융의 정신유형론은 모두가 대극구조를 갖고 있는데 드러난 모습도 중요하지만 잠재되어 있는 열등한 부분에 대한 개발도 매우 중요한 것이었다. 만약 이를 소홀히 하게 되어 예상치 않은 시간과 자리에서 무의식적 충동이 일어나면 인격의 균형을 상실하고 무너질 수 도 있다. 그래서 칼 융은 모든 인격은 개성화 과정을 통해서 대극의 균형을 회복하고 전일성에 가도록 해야 한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인간의 영적성장과 지도도 다양한 대극구조 속에서 극단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형 잡힌 모습으로 지도하고 성장할 수 있을 때에 온전함에 이를 수 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동·서양 인상학(人相學)의 오행형론(五行形論)과 체격형론(體格形論)에 관한 비교연구

        전대양 한국사회안전범죄정보학회 2020 한국범죄정보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동양 인상학의 오행형론과 서양 인상학의 체격형론을 비교·분석한 것이다. 이 두 이론이 나오게 된 시대적 배경, 내용상의 유사점과 차이점, 두 이론을 배경으로 한 동·서양의 관련 및 후속 연구 들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오행형론이 나오게 된 시기는 송나라 때(960-1279)이 다. 체격형론은 1920년대 이후이다. 따라서 시기상으로는 오행형론이 약 700-1000년 정도 앞서 있다. 오행형론은 외모를 통해 빈부귀천, 부귀영화, 수요(壽夭), 성격, 사회관계 등을 추론하는 데 활용되었다. 따라서 술수(術數)적인 측면이 강하였다. 반면에 체격형론은 분석적 관상학과 범죄학의 실증주의가 맞물 리던 시기에 나왔었다. 체격형론은 사람의 외모로 성격을 알아내고 그 성격이 어떻게 행동으로 표출되는 가에 관심을 가졌다. 특히, 어떤 범죄로 연결되는가에 주목하였다. 내용 면에서의 유사점은 금형-운동형, 수형·토형-비만형, 목형-세장형이 외모상으로 서로 닮아있다. 화형과 세장형은 성격적인 측면에서 서로 비슷하다. 차이점은 오행형은 사람의 얼굴을 중점적으로 본 데 비해, 체격형은 사지와 몸통을 중심으로 한 생김새를 주로 설명하고 있다. 오행형은 5가지, 체격형은 3-4가지의 전형(prototype)을 제시하고 있 다. 이론의 기초는 오행형은 음양오행설이고, 체격형은 분석적 관상학과 실증주의를 바탕으로 하고 있 다. 오행형은 진형(眞形)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사람의 얼굴이 천차만별이므로 얼굴(외모)에 나타나는 각 부위의 상생상화(相生相化)와 상쟁상극(相爭相剋)을 살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 부분은 인상가의 경험이 중요하여 주관적 판단이 개입할 여지가 많다. 이에 비해 체격형론은 크레치머의 경우는 전형적인 타입과 혼합형을 제기하였다. 이를 더욱 발전시킨 사람은 셀돈으로 그는 많은 사람들 중의 일부만이 전형(prototype)을 가지고 있다고 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각 유형이 서로 혼합되어 있다고 보았다. 어떤 특징이 우세한가를 보아 중배엽우월형 등으로 판정하기에 객관적인 측면이 강하다. 오행형론은 음양오행설이라는 학설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학설은 동양의 세계관이나 우주관이므로 철학적·사상 적 접근에 가깝다. 이에 반해 체격형론은 19-20C에 나온 실증주의에 기반하므로 과학적 검증의 대상이 될 수 있었다. 오행형론은 주로 철학적, 사상적, 중의학적, 관습적, 술수적인 측면으로 발전하였다. 이에 비해 체격형론은 인간의 외모가 중시됨에 따라 사회학적, 미학적, 성격심리학적, 경영학적인 측면으로 연결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동양 인상학에서도 서양의 과학적 사고가 투입되어 기존의 동양 인상학 이 갖고 있던 미신적, 술수적인 색깔을 지우고자 하는 바람이 불고 있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Five Elements type theory of Eastern physiognomy and the physical type theory of Western physiognomy. The background of the times in which the two theories came ou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ontent, the east-west relations and subsequent studies based on the two theories were examin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time when the Five Elements type theory came out was during the Song Dynasty (960-1279). The physical type theory has been around since the 1920s. Therefore, in terms of time, the Five Elements type theory is about 700-1000 years ahead. The Five Elements type theory was used to infer the rich and the poor, the rich and the pretigous, long and short in lifespan, personality, and social relations through appearance. Therefore, the side of the trick was strong. On the other hand, the physical type theory emerged at a time when analytical contemplation and positivism of criminology were intermingled. The physical type theory found out a person's personality by their appearance and was interested in how that personality was expressed through actions. In particular, it paid attention to what kind of crime it leads to. The similarities in terms of contents are that the mold-the athletic type, the water type·soil type-the pyknic type, and the wooden type-the asthenic type are similar in appearance. The fire type and the asthenic type are similar in terms of personality. The difference is that the Five Elements type focus on the face of the person, whereas the physical type mainly describes the appearance of the limbs and the body. Five types of Five Elements type and three to four types of physical type are suggested. The basis of the theory is that the Five Elements type is the Yin-Yang Five Elements theory, and the physical type is based on analytical contemplation and positivism. The Five Elements type emphasizes the true form. However, since the faces of humans are very different, it is emphasized that we need to look at the win-win image and the good and bad points of each part of the face (appearance). In this area, the experience of the physiognomist is important and there is much room for subjective judgment to intervene. In contrast, the physical type theory proposed a typical type and a mixed type in the case of Kretchmer. It was Sheldon who further developed this and he said that only a few of many people have a prototype. Most people saw each type as a mixture of each other. The objective aspect is strong because it is judged as a mesodermal superiority type based on what characteristics dominate. The Five Elements type theory is based on the Yin-Yang Five Elements theory. This theory is close to a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approach because it is an Eastern world-view or a universe view. On the other hand, the physical type theory was based on the positivism in 19-20C, therefore, it could be the subject of scientific verification. The Five Elements type theory developed mainly in philosophical, ideological, Chinese medicine, customary, and manipulative aspects. In contrast, the physical type theory is connected to the sociological, aesthetic, personality psychological, and business administration aspects as the human appearance is important. However, in recent years, in Eastern physiognomy Western scientific thinking has been introduced, and there is a desire to erase the superstitious and tricky colors of the existing Oriental Physiognomy.

      • KCI등재

        동아시아 불교에서 유식 법상의 지형도

        고영섭(Young Seop Ko)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1

        이 논문은 동아시아 불교사상사의 대표적 사상가들인 문아 원측(文雅圓測, 613~696)과 자은 규기(慈恩窺基, 632~682)의 대비를 통해 신라 유식과 당대 유식의 같은 점과 다른 점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원측은 구역(舊譯) 유식이 강조하는 삼성론(三性論)에 입각하여 불교 유식을 바라본다. 하지만 그가 사물이 지닌 세 가지 속성인삼성론으로 존재를 이해한다고 해서 구역 유식의 대표자인 진제(眞諦)설을 지지하지만은 않는다. 원측은 구역 유식의 삼성론을 긍정하면서도 의타기성(依他起性)까지 부정하는 진제설을 지지하지 않고 오히려 현장(玄奬)설을 지지하고 있다. 반면 규기는 원측과 달리 식론(識論)에 입각하여 호법(護法)-계현(戒賢)-현장으로 이어지는 신역 유식의 충실한 계승자로 살았다. 그리하여 그는 평생을 호법이 주장하는 신유식의 이론을 조술(祖述)하고 전파(傳播)하는 데에 헌신하였다. 규기(窺基)가 원측과 도증(道證) 등의 신라계 유식가들을 비판한 것은 아마도 유식을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뿐만 아니라 그 자신이 법상종 건립자라는 대내외적 시선을 고려했기 때문일 것으로 짐작된다. 원측은 식론이라는 이론적 유식에 치중한 규기와 달리 실천적 유식인유가행(瑜伽行)과 식론을 아우르는 삼성론에 입각하여 유식을 이해하고 있다. 바로 이 점에서 원측과 규기는 크게 변별된다. 원측과 원효(元曉)와 태현(太賢)으로 이어지는 신라계 사상가들은 청변(淸辯)과 호법(護法)의 공유(空有) 논변을 엄밀히 검토하여 불설(佛說)의 핵심인 중도(中道)의 관점에 서서 화회(和會)시켜 내었다. 이들의 논점은 모두 중생들을 깨우치기 위한 동일한 지향을 지녔다. 또 신역 유식은 의식 바깥의 객관적 실재가 우리 의식 속에서 실재한다고 해명하는 유상(有相) 유식의 입장을 취하는 반면, 구역 유식은 우리의 의식 속에 투영된 객관적 실재는 허망한 존재이므로 우리 의식 속에서 실재하지 않는다는 무상(無相) 유식의 입장을 취한다. 유식가였던 원측은 반야의 공(空)관을 수용하여 중관과 유식의 통로를 열어둠으로써 무상 유식을 지향하였다. 반면 같은 유식가였던 규기는 유식의 유[假]관에 치중하여 중관과 유식의 통로를 닫아버림으로써 유상(有相) 유식을 지향하였다. 원측이 유식가이면서도 반야중관사상을 받아들인 것은 인간의 구원을 중시하는 그의 종교적 관점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구역 유식은 부처와 범부의 경계를 갈라 8식 바깥에 제9식을 따로 설정한다. 반면 신역(新譯) 유식은 인간과 부처의 관계를 8식 안에서 해명하려 한다. 이런 점에서 9식설을 주장하는 진제와 달리 원측과 규기는 8식설을 지지한다. 이처럼 원측은 구역 유식의 삼성설(三性說)을 지지하면서도 신역 유식의 주요 학설을 수용하고 있다. 원측의 이러한 관점은 중생을 평등한 존재일 뿐만 아니라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존재로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원측의 일성개성(一性皆成)설은 여기에 기초한 것이었다. 반면 규기의 오성각별(五性各別)설은 중생을 차별적 존재일뿐만 아니라 한계가 있는 존재로 파악하고 있다. 이것은 인간 이해와 세계 인식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짐작된다. 그가 규기의 유상 유식의 관점과 달리 무상 유식의 관점에 선 것 역시 이러한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 원측은 어떠한 중생이라도 언젠가는 성불한다며 중생에 대한 희망과 긍정의 시선을 열어두고 있다. 그리하여 원측은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시선으로 인간과 세계를 바라보고 있으며 중생의 성불 가능성을 활짝 열어젖히고 있다. 이처럼 그는 불교의 종교적 기능과 성격을 잘 이해하고 있다. 이와 달리 규기를 비롯하여 혜소(惠沼)-지주(智周)로 이어지는 자은학통(慈恩學統)의 인간관과 세계관은 대단히 제한적이고 배타적이다. 원측은 유식 오위(五位)의 첫 단계인 자량위(資糧位)를 ``십신(十信)으로부터 시작하여 십회향(十廻向)에 이르는 단계``로 해명한다. 이것은 부처와 범부의 경계를 갈라보지 않으려는 그의 불교관을 보여주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원측의 이러한 관점은 범부로 하여금 발심(發心)을 통해 불교에 귀의할 것을 권장하면서, 동시에 이승(二乘) 등의 수행자로 하여금 보리(菩提)를 얻도록 촉구하기 위한 것으로 짐작된다. 하지만 중생의 성불가능성과 보살의 선교방편행을 인정하는 일승(一乘) 유식가인 원측과 달리 삼승(三乘) 유식가인 규기는 성불의 제한과 방편의 부정을 통해 평등의 인간상이 아니라 차별의 인간상으로 이해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삼승 유식을 일승 유식보다 우위에 두어 자종 중심의 배타적 유식관을 견지하였다. 따라서 바로 이러한 관점들이 신라 유식과 당대 유식의 상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common point and different point of Sinra vijnanavada and Tang vijnanavada by comparing Muna Woncheuk(613~ 696) and Jaeun Gyugi(632~682), who were representative philosophers in East Asian Buddhism history. Woncheuk considered Buddhism vijnanavada on the basis of theory of the three types of character that old vijnanavada emphasized. Although he understood the existence on the basis of theory of the three types of character, which is 3 properties of object, he does not support the theory of Jinje, who is a representative person of old vijnanavada. Woncheuk admits theory of the three types of character of old vijnanavada but he does not support the theory of Jinje that denies the other-dependent nature but he supports the theory of Hyeonjang. Unlike Woncheuk, Gyugi was a faithful successor of Silla vijnanavada (Hobeop-Gyehyeon-Hyeonjang)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vijnanavada. He devoted himself to succession and distribution of new vijnanavada theory asserted by Hobeop for his whole lifetime. It is assumed that Gyugi criticized Silla scholars such as Woncheuk and Dojeung because his vijnanavada viewpoint was different and he considered other`s attentions about the fact that he was a founder of Beopsang School. Unlike Gyugi who biased to theoretical vijnanavada called the theory of vijnanavada rather than practical vijnanavada called action of practice in yoga, Woncheuk considered vijnanavada on the basis of theory of the three types of character encompassing action of practice in yoga and the theory of vijnanavada. At this point, Woncheuk and Gyugi are discriminated. Silla philosophers from Woncheuk to Wonhyo and Taehyeon reviewed the unreal and real discussion between Cheongbyeon and Gongyu and compromised it from the viewpoint of middle way that is a core of Buddhist theory. Their points were to enlighten people commonly. New vijnanavada adopts the place of to have form vijnanavada explaining that objective existence out of consciousness exists in consciousness but old vijnanavada adopts without form vijnanavada explaining that objective existence projected to our consciousness is vain so it does not exist in our consciousness. Scholar Woncheuk searched for without form vijnanavada by adopting the view that all is unreal of pranavada and opening the pass between madymika and vijnanavada. On the contrary, same scholar, Gyugi, searched for without form vijnanavada by biasing to the view that all is real of vijnanavada and closing the pass between madymika and vijnanavada. The reason that vijnanavada scholar Woncheuk adopted was his religious viewpoint giving priority to human salvation. Old vijnanavada classifies the barrier between Buddha and general people and sets the nine vijnana out of the eight vijnana. However, new vijnanavada trie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Buddha within the eight vijnana. Because of these reasons, unlike Jinje who asserts of supports the nine vijnana, Woncheuk and Gyugi who asserts of supports the eight vijnana. Like that Woncheuk supports theory of the three types of character of old vijnanavada and adopts main theories of new vijnanavada. The viewpoint of Woncheuk was available because he understood that people are equal and they have infinite possibility. Theory that all beings become Buddha of Woncheuk was based on this point. However, five natures distinction theory of Gyugi grasps that people are discriminated existences and they are limited. It seems that it was originated from the difference in human understanding and world recognition.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reason that he adopts the viewpoint of without form vijnanavada rather than the viewpoint of to have form vijnanavada from this aspect. Woncheuk opens his hope and positive opinion about people saying that all people can be Buddha someday. Woncheuk sees human and world with positive and hopeful eyes and opens the possibility that people can be Buddha. Like that, he

      • KCI등재

        도로교 보강용 쐐기형 정착시스템의 거동해석에 적용 가능한 복합재료 파괴이론의 적합성에 대한 연구

        김형준 한국도로학회 2023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25 No.6

        PURPOSES : The wedge-type anchorage system requires a complex analysis of not only the tensile stress of the CFRP plate, but also the compressive stress and shear stress generated by the wedge 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composite material failure theory that is suitable for analyzing the behavior of wedge-type anchorage system among various failure theories. METHODS : In this study, numerical analysis of various composite material failure theorie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anchorage strength and failure mode of the wedge-type anchorage system according to each failure theory, and compared with actual test results to determine the composite material failure theory most suitable for analyzing the behavior of a wedge-type anchorage system. RESULTS : Since the Maximum Stress failure theory shows similar results to the actual test in terms of failure mode and anchorage strength, there is no significant problem in applying it to the wedge-type anchorage system. However, it is judged to be difficult to apply under property conditions where interactions between stresses are highlighted. The Tsai-Hill and Tsai-Wu failure theories are considered unsuitable for application to wedge-type anchorage systems because the wedge angle conditions at which the most advantageous anchorage strength occur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theories and the fracture type cannot be predicted. The Hashin-Rotem failure theory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to apply as a failure theory for the wedge-shaped anchorage system because the anchorage strength was slightly lower than the actual test resul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failure mode was consistent with the test results. The Hashin failure theory is judged to be unsuitable for application as a failure theory for the wedge-type anchorage system because the anchorage strength and failure mode were interpreted differently from the actual test results. CONCLUSIONS : The Hashin-Rotem failure theory was presented as the composite material failure theory most suitable for analyzing the behavior of wedge-type anchorage system.

      • KCI등재

        전기 비트겐슈타인과 유형 이론

        박정일 ( Jeong-il Park ) 한국논리학회 2018 論理硏究 Vol.21 No.1

        잘 알려져 있듯이, 비트겐슈타인은 『논리-철학 논고』에서 러셀의 유형 이론을 명시적으로 비판한다. 그렇다면 러셀의 유형 이론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의 요점이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대답하기 위하여 나는 철학적인 측면과 논리학적인 측면에서 유형 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논리-철학 논고』에서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적 구문론은 말하자면 러셀의 유형 이론에 대한 대안이다. 논리적 구문론은 『논리-철학 논고』의 표기법의 기호 규칙들이며 특히 형성 규칙들이다. 비트겐슈타인의 말하기-보이기 구분은 논리적 구문론의 가장 근본적인 근거이다. 비트겐슈타인은 러셀의 유형 이론에 대한 비판과 함께 논리적 문법의 임의성(자의성)과 선험성으로 나아간다. 유형 이론에 대한 이러한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은 결국 프레게와 러셀의 논리학관에 대한 도전이다. 논리학은 세계에 속하는 일반적인 진리나 특성들을 다루지 않으며, 논리학을 이루는 동어반복은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다. As is well known, Wittgenstein criticizes Russell’s theory of types explicitly in the Tractatus. What, then, is the point of Wittgenstein’s criticism of Russell’s theory of types?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I will consider the theory of types on its philosophical aspect and its logical aspect. Roughly speaking, in the Tractatus Wittgenstein’s logical syntax is the alternative of Russell’s theory of types. Logical syntax is the sign rules, in particular, formation rules of notation of the Tractatus. Wittgenstein’s distinction of saying-showing is the most fundamental ground of logical syntax. Wittgenstein makes a step forward with his criticism of Russell’s theory of types to the view that logical grammar is arbitrary and a priori. His criticism of Russell’s theory of types is after all the challenge against Frege-Russell’s conception of logic. Logic is not concerned with general truth or features of the world. Tautologies which consist of logic say nothing.

      • KCI등재

        구분소유적 공유에 관한 법률적 재검토

        신봉근(Shin, Bong-geun) 한국재산법학회 2012 재산법연구 Vol.29 No.3

        우리나라에 특유한 제도인 구분소유적 공유는 명의신탁과 공유의 법리에 따라 그 법률관계를 고찰해 볼 수 있다. 구분소유적 공유의 유용성을 어느 정도 긍정한다고 할지라도, 민법상 물권변동의 형식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한국의 법제에서 구분소유적 공유를 인정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검토의 여지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그 법적 구성을 판례의 상호명의신탁설에 의할 경우, 민법 이론과의 모순이나 제3자로의 이전, 법정지상권, 공지분 등의 법률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등의 난점이 있다. 그렇다고 이러한 문제점을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는 공유설이 그 대안이 되기에 충분한 것도 아니다. 결국, 구분소유적공유의 법적 구성에 있어서는, 그 본질에 가장 부합한 상호명의신탁으로 접근한다고 하여도, 그 이론적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공유설의 비판을 수용하여 이를 수정ㆍ보완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구분소유적 공유에 대한 입법론을 검토해 보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즉, 이러한 두 이론을 모두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의 모색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on the legal review about the co-ownership of divided ownership type. It is true that we doubt whether the co-ownership of divided ownership type is acknowledged in the Korean civil law-system or not, because Korean civil law adopt an externality on the transfer of a real right. The method of legal composition about the co-ownership of divided ownership type is classified with two. The one is the theory of mutual title trust, and the other is the theory of co-ownership.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been adopting the theory of mutual title trust through the precedent. The first theory, the theory of mutual title trust has many legal problems, for example, the theory is contradictory to the primary principle of the civil law and cannot resolve the legal relation of the disposal(sell and transfer) to the third party, the statutory superficies and the quota documentary, etc. The second theory, the theory of co-ownership can resolve the problems somewhat, but the theory also has legal problems. Eventually, we must modify the theory of mutual title trust, accepting criticism of the theory of co-ownership to minimize the theoretical problem, even though approach the theory that accord with the essence of the co-ownership of divided ownership type. It is necessary that we examinate ‘de lege ferenda’ about the co-ownership of divided ownership type in this background. That is to say, we hurry to seek new alternative to overcome both theories.

      • KCI등재

        구분소유적 공유 법리의 고찰

        신봉근(Shin, Bong-Geun) 한국법학회 2013 법학연구 Vol.50 No.-

        구분소유적 공유의 법적 성질을 어떻게 보느냐의 문제는, 1필의 토지를 특정부분으로 구분하여 이를 단독소유자처럼 사용ㆍ수익ㆍ처분하려는 당사자(공유자)들의 의사와 그 지분 등기를 신뢰하고 공유지분을 매수한 제3자 간의 이해관계를 어떻게 조정하느냐의 문제와 관련이 있는데, 그 법적 성질에 있어서는, 그 본질에 어느 정도 부합하는 ‘상호명의신탁설’로 접근한다고 하여도, 이 이론에 대한 ‘공유설’의 비판을 수용하여 수정ㆍ보완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두 이론을 모두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의 모색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구분소유적 공유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부동산의 특정 부분을 구분소유하기로 하는 약정이 있어야 함은 당연한데, 이러한 구분소유의 약정 이외에도, 토지의 일부분을 특정 매수한 사람 사이에 분필에 의한 소유권이전등기를 하는 대신 공유로서의 지분이전등기를 한다는 합의, 즉 상호명의신탁에 관한 약정이 반드시 있어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구분소유적 공유의 지분 위에 저당권이 설정되어 실행(즉, 경락)된 경우에는, 그 지분의 처분에 대하여 당사자 사이에 의사의 교류가 없기 때문에, 이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가 문제 되는데, 구분소유적 공유의 법률관계에 있는 지분권을 목적으로 저당권을 설정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구분소유적 공유관계는 당사자 사이의 구분소유에 대한 약정으로 성립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약정으로 구분소유적 공유관계가 해소되는 것이 원칙이며, 이 경우 순수한 공유 관계로 전환된다. 이러한 구분소유적 공유관계를 해소하는 방법 내지 절차는 구분소유적 공유관계를 법적으로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This study is on the legal review about the co-ownership of divided ownership type. It is true that we doubt whether the co-ownership of divided ownership type is acknowledged in the Korean civil law-system or not, because Korean civil law adopt an externality on the transfer of a real right. The method of legal composition about the co-ownership of divided ownership type is classified with two. The one is the theory of mutual title trust, and the other is the theory of co-ownership.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been adopting the theory of mutual title trust through the precedent. The first theory, the theory of mutual title trust has many legal problems, for example, the theory is contradictory to the primary principle of the civil law and cannot resolve the legal relation of the disposal(sell and transfer) to the third party, the statutory superficies and the quota documentary, etc. The second theory, the theory of co-ownership can resolve the problems somewhat, but the theory also has legal problems. Eventually, we must modify the theory of mutual title trust, accepting criticism of the theory of co-ownership to minimize the theoretical problem, even though approach the theory that accord with the essence of the co-ownership of divided ownership type. It is necessary that we examinate ‘de lege ferenda’ about the co-ownership of divided ownership type in this background. That is to say, we hurry to seek new alternative to overcome both theories.

      • KCI등재

        고령소비자의 디지털 활용 유형에 관한 분석: 퍼지집합이론의 적용

        김민주 한국소비자원 2023 消費者問題硏究 Vol.54 No.2

        This study analyzes the types of digital use by elder consumers. For empirical analysis, 4 theoretical types are derived and fuzzy set theory is applied. Since the fuzzy set theory calculates the ‘degree’ belonging to each type, it shows how much an object belongs to each type in various aspects. In this study, data were acquired through a survey of 1,300 elderly consumers. These data were analyzed by Fs/QCA. According to the analysis, many elderly consumers who use the Internet belong to the cautious type, but a little belong to the skillful type.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elderly consumers using kiosks belonged to the cautious type. What is common in the use of the Internet and kiosks is that the degree of belonging to the skillful type in financial transactions of elderly consumers is higher than in other consumption fields.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verall digital use type according to gender or educational background, bu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in Internet use. These results giv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digital utilization-related policies targeting elderly consumers. It also shows that different approaches are needed for each digital device, consumption sector, and type of digital use. 본 연구에서는 고령소비자의 디지털 활용 유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이를 위해 4가지 이론적 유형을 도출 한 후 퍼지집합 이론을 적용한 경험적 분석을 시도한다. 퍼지집합 이론은 각 유형에 소속된 ‘정도’를 표현해주기 때문에 관심 있는 대상이 어느 유형에 얼마나 해당되는지를 다측면적으로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자료는 고령소비자 1,3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획득하였고, 이를 퍼지집합 이론을 적용한 Fs/QCA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터넷을 이용하는 고령소비자는 신중형에 많이 해당되지만 능숙형에도 어느 정도 해당되는 반면, 키오스크를 이용하는 고령소비자는 거의 대부분 신중형에 많이 해당되었다. 이때, 인터넷과 키오스크 이용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점은 고령소비자의 금융거래는 능숙형에 해당하는 정도가 그 어떤 소비분야보다도 더 높다는 점이다. 그리고 성별이나 학력에 따라서는 전체 디지털 활용 유형에 큰 차이는 없으나, 인터넷 이용에서는 학력에 따른 이용 경향에 다소 차이는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고령소비자 대상의 디지털 활용 관련 정책의 방향, 또 디지털 기기별, 소비분야별 그리고 디지털 활용의 유형별 구분된 접근의 필요성 등을 보여주는 함의를 지닌다.

      • KCI등재후보

        정당방위의 이론과 현실

        배종대 ( Jong Dae Bae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07 고려법학 Vol.0 No.49

        Among various theoretical frames of criminal law, the justification theory would probably be rated towards perfection, not only in terms of structure but also in terms of its contents. Justifiable act of article 20, self defense of article 21, act of necessity of article 22 are among the five categories of the types of justification. Although these five share the ultimate conclusion that they are being justified, each of them has got its unique process in drawing that conclusion. Hence, it is quite significant in both theory and practice, to study the subtle differences between each type of justification. Act of necessity is, along with self defense, certainly the most significant one among numerous types of justification. However, in spite of its theoretical abstruseness and complexity, the bare reality over juridical applications of act of necessity is more or less miserable. The reason why I have used the term so drastic as miserable, is because its usage in legal practice is desperately rare. There had been hardly any other court case except one which had quoted the article that mentions act of necessity. For every academic work is supposed to aim at the betterment of human life, criminal law theory cannot be something exceptional. In other words, what we call ``theory for the theory`` would end up being understood meaningless in the academic fields of law. Interestingly enough, we may perceive the same situation in the practice of self defense. Just like the case of act of necessity, no one would doubt the academical significance of the theory of self-defense. It is placed in the very beginning of vast majority of criminal law textbooks. However, it seems that the Supreme Court had hardly ever recognised self defense seldom in the practice. This is the point where my dubious question on the reality of self defense had arose. Considering the ever-so-splendid theoretical pavement, my scholarly curiosity could not help of being aroused, facing such humble reality of self defense. Then we may be confronted with the following questions: had the original self defense cases ran away to somewhere? If they did, where are they hidden, indeed? In addition, what is the purpose of hiding, and are those purposes legitimate enough? If such enormous disparation between the theory and practice cause paradoxic situation, what could be done to solve the paradox? Efforts of solving these questions are what this short essay is ultimately aimed at. I doubtlessly believe that such efforts will in turn contribute to fix and to repair the structure of justification theory. Moreover, after reading the last page of this thesis, I hope the readers could get a tip on what sort of criminal law concepts should be avoided of being used in practice. Concepts such as social ethics, socially accepted rules, or general thoughts on justice would be among the typical examples of such.

      • KCI등재

        비인격적 감독의 선행요인 고찰: 상사의 업무 과부하, Type A 성격, 번아웃이 비인격적 감독에 미치는 영향

        강민철,신유형 한국인사관리학회 2019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3 No.2

        In today’s organizations, leadership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organi- zational effectiveness. However, many employees are suffering from the dark side of leadership exercised by their supervisors, which causes a great deal of negative effects and damage not only to employees but also to their organizations. Therefore, to suggest managerial solutions to the dark side of leadership, it is essential to examine potential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such leadership. Thus, in this study, we focused on ‘abusive supervision’(Tepper, 2000) as the dark side of leadership and explored the personal and environmental antecedents of abusive supervision. Abusive supervision is defined as employees’perceptions of the extent to which supervisors engage in the sustained display of hostile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 excluding physical contact(Tepper, 2000). We identified supervisors’ work overload and Type A personality as environmental and personal antecedents of abusive supervision, respectively. Work overload pertains to having many responsibilities and job demands in limited time. Type A personality is a personality trait that is highly sensitive to time pressure and achievement. Prior research on the antecedents of abusive supervision has examined environmental and personal factors separately. Complementing this line of research, we examined moderation and moderated-mediation effects of Type A personality by drawing on conservation of resources theory, frustration-aggression model, affective events theory, and ego depletion theory. More specifically, we proposed the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s’burnou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and abusive supervision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supervisors’Type A personality on this relationship. In order to test our hypotheses, we used survey-based data gathered from 390 super- visor-subordinate dyads in 86 South Korean companies. To alleviate potential common method variance, we asked supervisors to report on the levels of work overload, Type A personality, and burnout. On the other hand, subordinates assessed their supervisor’s abusive supervision level. We controlled for gender, age, supervisor-subordinate dyadic tenure, and leader-member exchange in all subsequent data analyses. We used SPSS 22.0 and AMOS 18 programs as analytic tool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supervisors’ work overload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burnout. This relationship was more pronounced when supervisors’ Type A personality was high than when it was low. Supervisors’ burnou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abusive supervision. The bootstrapping analysis showed that supervisors’ work overload exerte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ir abusive supervision through burnout. Furthermore, we found a significant moderated- mediation effect, such that the indirect effect of supervisors’ work overload on abusive supervision through burnout was stronger for supervisors with high Type A personality than for those with low Type A personality.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the abusive supervision literature by attending to the roles of Type A personality and work overload in abusive supervision. Furthermore, the present findings offer practical implications to reduce abusive supervision in organizations. 최근에 들어서 많은 조직에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뿐만 아 니라 조직 전체적으로도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문제에 대한 해결 방법을 고찰하고 관리 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환경적/개인적 선행 요인들이 상사들로 하여금 비인격적 감 독에 관여하도록 하는지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적인 요인으로써 업무 과 부하와 개인적 요인으로 Type A 성격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상사의 번아웃을 일으키고 이는 상사 의 비인격적 감독으로 이어지는 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가설이 도출되었다. 가설 1은 상사의 업무 과부하는 상사의 번아웃과 정(+)의 관계를 가질 것으로 예측하였다. 가설 2는 상사의 Type A 성격 변수가 업무 과부하와 번아웃 간의 관계에서 상호작용 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측한다. 가설 3은 상사의 번아웃과 비인격적 감독이 정(+)의 관계를 가질 것으로 예측한다. 가설 4는 업무 과부하와 비인격적 감독 간의 관계에 대한 번아웃의 매개 효과 를 상정한다. 가설 5는 Type A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예측한다. 이러한 가설 검증을 위해 다양한 한국 기업들의 상사-부하 390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상사의 성별, 나이, 부하와의 재직기간, 상사-부하 교환관계를 통제한 SPSS 분석 결과, 모든 가설은 지지되었다. 즉, 상사의 업 무 과부하와 번아웃과 관계는 정(+)적으로 유의미했으며, 번아웃을 매개로 하여 비인격적 감독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 과정에서 성취욕이 높거나 시간적 압박을 많이 받는 Type A 성 격을 가진 상사의 경우, 업무 과부하 상황 하에서 더 많은 번아웃을 경험하고 이에 따라 비인격적 감독 행위에 관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앞서 비인격적 감독의 선행요인을 밝히는 연구들에서 다뤄지지 않았던 환경과 개인 변수들의 상호작용을 연구했다는 점에서 비인격적 감독 문헌의 이론적 폭을 확장하는데 기여한다. 본 연구 결과는 또한 앞으로의 비인격적 감독의 선행 요인을 밝히는 연구에 있어서 개인적 요인 과 맥락적 요인을 따로 구분하여 연구하는 것이 아닌, 둘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실무적 시사점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 언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