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풍류로서의 신라, 다시 쓰기로서의 신라

        이유미(Lee, Yu-Mi) 우리문학회 2018 우리文學硏究 Vol.0 No.57

        이 논문은 서정주의 신라정신이 함유한 의미망을 재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서정주의 신라정신은 그의 시집 『신라초』와 함께 영원성 혹은 초월적 미학의 성격으로 논의되어왔다. 하지만 시집 『신라초』 전에 출간한 『신라연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신라연구』는 박사논문자격으로 제출한 텍스트로서, 서정주의 신라관련 논의를 고찰할 수 있는 자료이기 때문이다. 또한 서정주의 『신라연구』가 김범부의 『화랑외사』와 비슷한 형식을 취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그들의 신라정신이 어떠한 동일성과 차이가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서정주는 『신라연구』와 『신라초』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신라정신의 핵심인 풍류를 신라인들의 삶의 태도로서 형상화했으며, 현대에 신라정신을 어떻게 창조적으로 접합할지 실험하였다. 그 결과, 그는 『신라연구』에서 신라인들의 삶의 태도와 사회적 상상으로서의 신라를 그려냈으며, 시집 『신라초』에서는 영적 성격을 구체화했을 뿐만 아니라 신라를 질마재로 전유함으로써 질마재 사람들이 신라정신을 계승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서정주의 신라정신은 영원성뿐만 아니라 영적 성격, 자연 융화적 속성, 풍류를 통한 삶에 대한 사유를 담지하고 있다. 따라서, 서정주의 신라정신은 그의 문학 활동 전반에 유기적인 관련성을 지님으로써 다양한 의미를 함유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meaning network of Seo Jeong-ju’s Silla spirit. Seo Jung-ju’s spirit of Silla has been discussed in combination with his poetry, SillaCho, as eternal or transcendental aesthetics. However, there is a need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Silla Studies that were published prior to the poetry Sillacho. Silla Studies is a text submitted as a doctoral dissertation, and it is material that has potential to examine the discussion of Seo Jeong-ju’s Silla. In addi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Seo Jung-ju’s Silla Studies are similar to Kim Bum-boo’s Hwa-rang-oi-sa, it is necessary to examine in detail the identity and difference of their Silla spirit. In the process of examining Silla Studies and the Sillacho, Seo Jeong-ju has shaped the spirit of Silla as the attitude of the life of Silla, and experimented on how to creatively connect the spirit of Silla to the modern age. As a result, he depicted Silla as the attitude and social imagination of Silla’s life in Silla Studies, and not only embodied the spiritual character in the poetry Sillacho, but also inherited the spirit of Silla by appropriating Silla as jilmajae. In this way, the Silla spirit is bearing not only eternity, but also spiritual personality, natural harmonious property, and reason for life through Pungryu. Therefore, Seo Jeong-ju’s Silla spirit contains various meanings through its organic relation to the entirety of his literary activities.

      • KCI등재

        일반논문 : 낙오자와 영원인 -서정주의 신라 기획과 전율의 시학-

        정영진 ( Young Jin Jeong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1

        서정주는 당대의 허무주의를 현대 서구문명의 병폐로 이해했으며 신라정신을 통해 이 문제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 글에서는 우선 서정주의 신라정신이 그가 상상한 신라 사회에서 어떤 방식으로 기능하고 있었는지 살펴봄으로써, 서정주의 신라 기획이 사회문화적 가치체계로서 제안된 것이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서정주가 상상한 신라 사회는 현실규범과 현실논리에서 낙오한 이들이 영원성의 세계 속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사회였다. 이 ‘낙오자’들은 비록 현실로 복귀할 수 없지만 영원성의 세계에 거주하면서, 신라인들에게 영원성의 세계를 현시한다. 즉, 그의 신라 기획은 사회통합적 성격을 내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서정주의 시에는 이러한 신라사회의 모습이 전혀 드러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서정주는 서구정신과 신라정신의 대립이나, 현실세계와 영원성의 세계의 관계 역시 시에서 다루지 않는다. 그의 시에서 신라의 ‘영원인’들은 현실사회에서의 낙오자의 성격이 삭제된 채, 사랑의 주체로 나타난다. 이들은 다만 새로운 앎과 감동을 소유하고 절대적 세계를 현시한다. 즉, 신라 기획의 일부만이 시에 바쳐졌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서정주의 시인식에 따른 결과이다. 서정주는 현대시가 ‘전격적 쇼크’ 혹은 ‘전율’로 체험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신라 기획의 사상적 성격을 모두 제거하고, 불사(不死)의 이미지로 전형화 된 영원성의 세계만을 시화(詩化)했다. 불사의 이미지들은 현실 전부를 점유해버리는 현실초과의 성격을 띠는데 이로 인해 그것은 영원성으로 감각된다. 다시 말하면 현실에서의 절대성이 영원성으로 치환되고 있는 것이다. 서정주 시(중기시)의 개성(스타일)의 확립은 신라정신이라는 보편적 사상 기획에 근거한 것이기는 했지만, 동시에 순수시에 대한 신념과 현대사회에서의 시의 효과에 대한 그의 시인식에 따라 신라 기획의 일부만을 미학화 한 결과였다. Seo Jeong-ju understood nihilism at the time as a social ill of modern western civilization, and sought to overcome this problem through the Silla spirit. This article seeks to show that the Silla planning of Seo Jeong-ju was suggested as a sociocultural value system by examining how Seo Jeong-ju`s Silla spirit was functioning in the Silla society he imagined. The Silla that Seo Jeong-ju imagined was a society allowing those who failed in terms of the norms of reality and logic of reality to be born again within the world of eternity. Although these losers may not return to reality, they could show the world of eternity to the people of Silla, while residing in the world of eternity. Seo Jeong-ju`s Silla planning implied a character of social integration. However, Seo Jeong-ju`s poetry do not reveal such features of the Silla society at all. Not only that, Seo Jeong-ju does not deal with the conflict between the western spirit and Silla spiri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of reality and world of eternity in his poetry. The ‘people of eternity’ of Silla appear as the main agents of love in his poetry, and these agents display an absolute world and possession of new knowledge and impression. Thus, in other words, only a part of the Silla planning has been dedicated to his poetry, which is a result of Seo Jeong-ju`s cognition on poetry. Because Seo Jeong-ju believed that modern poetry must be experienced through ‘lightning shock’ or ‘thrill’, he removed all ideological characters of Silla planning, and only treated the world of eternity, which was embodied through the image of immortality, in poetry. The establishmen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tyle) of Seo Jeong-ju`s poetry (middle-period poetry) was based on the planning of a universal idea called Silla spirit, however, was also a result of treating only a part of the Silla planning aesthetically based on his cognition on poetry, concerning the effect of poetry in modern society and his principle on pure poetry.

      • KCI등재

        '신라정신'의 특징 거론에 대한 성찰

        최재목,김태연 한국국학진흥원 2012 국학연구 Vol.0 No.20

        This is a reflec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 of silla. In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Gyongju recently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for finding its identity. If so, traditionally, they usually pay attention to some concepts, Hwarang, Silla, Gyongju and so on. Paying attention to the Hwarang, Silla, Gyongju originates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After that, this tradition continues, even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president Lee Sung-man and Park Chung-hee, now days. South Korea respect the spirit of Silla face the North Korea's policy respecting the Koguryo. We can not be ignor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se political ideas. Silla was a kingdom that lasted one thousand years. They trade with the Arab world through a network of international marine transportation. Such as that, Silla is progressive, and has opened mind. Many students went to study in the Tang Dynasty of China. And Silla has an open discussion institutions as Hwabak. This tradition needs to be reviewed again in nowday also. However, overemphasizing the spirit of Silla only is not right. Because we must respect Goguryeo, Baekje's sprit and tradition buried in our history too. We have to do not lost the balance is a very important problem in our society. Because, in the history of Korea, Silla is very important, but not in Korea only Silla history. 이 논문은 일반적으로 ‘신라정신(新羅情神)’이라 거론되는 특징들을 성찰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성찰’이란 종래의 논의를 재음미해보고 반성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경상북도를 위시한 경주 등지에서 지역의 정체성을 찾을 경우 대개 ‘화랑(花郞)’ 문제를 포함한 ‘신라정신’ 운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신라에 대한 주목과 재음미론이 나오는 것은 사실 현재의 일만이 아니고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 이승만 및 박정희 정권기로 이어지는, 이른바 ‘북-고구려정신’에 대항하는 ‘남-신라정신’의 확립과 계승이라는 정치사적인 측면을 갖는다. 천년 왕국이었던 신라는 문물교류를 통해 여러 나라의 문화를 받아 들였으며, 한반도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이 되었다. 또 천년 전 통일신라는 신라방, 해상무역네트워크, 실크로드를 통해 아랍권으로부터 6개월이라는 짧은 시간에 장신구를 수입하였으며, 철기를 수출하였다는 등의 史實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신라의 특성은, 포용성ㆍ개방성ㆍ국제성ㆍ자유성ㆍ다양성ㆍ융합성ㆍ조화성이 공존한 사회였다고 평가되는 것처럼, 우리 역사상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고 있다. 물론 거기에는 정치사적인 의미의 해석도 관여해 있지만, 적어도 신라정신을 현실의 맥락에서 다시 인식, 수용하고자 한다면, 취사선택할 점을 제대로 평가하고, 그것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갈 지혜가 필요하다. 그렇지 못하다면 나날이 퇴락하는 듯한 현재 경주의 모습처럼 ‘신라정신’ 운운의 논의도 실효성 없는 ‘과거에 대한 낭만적 회상’에 불과할 것이다. 더욱이 ‘신라정신’ 운운이 지차체의 근시안적인 사업 차원이나 정치권의 알팍한 지역색 이데올로기 확보를 위한 논리전개를 넘어서서, 통일신라의 해외 무역로와 실크로드의 문화, 정보 네트워크 등을 어떤 방식으로 깊이 있고도 새롭게 인식해야 하는가를 다시 성찰하는 일에서 출발하는 냉정함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김동리 역사소설의 신라정신 고찰

        곽근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04 新羅文化 Vol.24 No.-

        Kim Dong-lee left his footprints on the history of Korean current literature. He was also interested in writing historical novels and left many works. Among those novels, there are a large number of works with a setting of Silla. He published Kim Dong-lee’s Historical novels<Silla> which puts his sixteen short stories together as a form of series. So far, the study of this publication has not been accomplished yet. It has been ignored from the beginning of the study of his works. Even if it had been studied, the study just mentioned its side issues or was far from its essence.However, Kim Dong-lee’s historical novels are quite important among his works. Especially, his Silla serial novels should be studied properly because they mean the settlement of his literary interest. Kim Dong-lee made an effort to seek the spirit of Silla by showing his imagination and not distorting the history of Silla in his novels. As a result, he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essence of the spirit of Silla lies in loyalty and filial piety, egalitarianism, spirit of art, and piety. He considered these as the virtues we should take over and develop continuously.

      • KCI등재

        삼국유사 “桃花女 鼻荊郞” 설화의 사회 통합적 의미

        이종주 한국구비문학회 2017 口碑文學硏究 Vol.0 No.47

        This study looks to newly interpret the folk tale, “Dohwanyeo and Bihyungrang”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with a wide range of motifs. It is widely accepted that two kinds of perspectives are academically established. From a more concrete perspective one represents the viewpoints of historians. Who have pointed out that Jinji of Silla had been ironically described as the good king in that folk tale, despite the fact that he had been dethroned because of his lack of faithfulness and creation of political chaos. They further insisted that descendants from Muyeol of Silla may have tried to restore the honor of their ancestor, Jinji of Silla, revering him as the good king. Scholars of Korean literature, though. only partially agree with historians views on the matter. Focusing on Bihyung’s spiritual ability to chase ghosts, they often view it as a motif to analyze folk tales on the basis of folk beliefs. These two viewpoints seem to provide only a partial or fragmentary interpretation, having overlooked many motifs within, “Dohwanyeo and Bihyungrang.” The characters in the folk tale should be examined as integrated motif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Jinji of Silla, Bihyung, and Jinpyeong of Silla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s motifs or meanings in the folk tale. To illustrate, Jinji of Silla himself was dethroned from his position king. However. regardless of his humble birth, his son, Bihyung, was brought up well and made an effort to help Jinji of Silla recover his honor and admiration as the good king in the folk tale. Bihyung was born out of wedlock. and, despite this he succeeded in ‘building a bridge across Sinwonsa Temple’ with the help of spirits. This reflects his spiritual ability not only to integrate spirits representing the humble or the alienated, but also to expel those spirits. Jinpyeong of Silla had shown his greatness, accepting Bihyung, son of his political opponent, and curtail conflict and division in Silla. In other words, he was shown as the great king and received the jade belt from the heaven. This folk tale reveals social integration as the critical theme, discussing characters who embraced the son of an opponent’s spirits, and the humble and alienated. The theme of social integration can also be observed in other folk tales over time. “Yeonorang and Seonyeo,” a folk tale dating to 400 years before “Dohwanyeo and Bihyungrang” presented Seo, a humble woman, who had weaved splendid silk fabric, and offered it for the ritual practice of begging the moon and sun to shine again. With the aid of her silk offering, moon and sun indeed began to shine. at his folk tale also demonstrates, though Seo was humble and weak, she able to help the country extract itself from difficulties. This folk tale illustrates how society should be integrated beyond the local, a hierarchy, or gender. This universal theme of social integration leads to the modern folk tale, “Hwasungbuzi,” the story of a man who takes care of a woman and her son. In effect, he is also blessed because of with his benevolent caring. 이 논문은 삼국유사 “도화녀 비형랑”설화에 대한 해석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학계에서는 진지왕이 황음으로 쫓겨났음에도 성제로 표현된 사실에 주목하여, 후대의 무열왕계가 진지왕을 복권시키려 한 결과라고 설명하였다. 국문학계는 비형이 귀신을 쫓는 신격으로 자리 잡는 화소에 주목하여 민속신앙차원에서 이 설화를 분석하였다. 필자는, 기존 해석이 설화가 간직하고 있는 여러 화소에 대한 선택적 혹은 나열적 설명이라는 비판의식을 가지고, 여러 인물화소를 통합적 차원에서 해석해야한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진지왕, 비형, 진평왕 세 명에 대한 화소가 서로 융합되어 있는 구조임을 전제로 하고, 이 세 인물이 서로 의미적으로 어떻게 결합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진지왕은 정치적으로 쫓겨나야하는 존재였지만, 그가 불륜으로 낳은 아들 비형이 국가적 인재로 성장하면서 성제로 추앙되는 서사적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두 번째 인물 비형은, 불륜의 소생이었으나, ‘신원사 다리놓기’라는 국가적 사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자신처럼 신분이 떳떳하지 못한 존재들, 즉 귀신으로 상징되는 소외세력을 통합하면서, 귀신을 물리치는 신격으로 좌정한다고 분석하였다. 세 번째 인물 진평왕은 적대자의 아들이었던 비형을 거두면서 신라사회의 갈등과 분열을 통합하는 왕이 되고 있었다. 하늘이 옥대를 내려준 사람답게 통합을 실천하는 존재가 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런 논리로써, 이 설화는 적대자의 아들, 소외된 세계를 끌어안는 사회 통합의 의미가 핵심임을 구조적으로 설명하였다.

      • KCI등재

        '신라정신新羅情神'의 특징 거론에 대한 성찰

        최재목(崔在穆),김태연(金泰然) 한국국학진흥원 2012 국학연구 Vol.0 No.20

        이 논문은 일반적으로 ‘신라정신新羅情神"이라 거론되는 특징들을 성찰해 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성찰’ 이란 종래의 논의를 재음미해보고 반성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경상북도를 위시한 경주등지에서 지역의 정체성을 찾을 경우 대게 ‘화랑花郞’문제를 포함한 ‘신라정신’운운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신라에 대한 주목과 재음미론이 나오는 것은 사실 현재의 일만이 아니고 일제강점기, 해방이후 이승만 및 박정희 정권기로 이어니즌 이른 바 ‘북고구려 정신’에 대항하는 ‘남-신라정신’의 확립과 계승이라는 정치사적인 측면을 갖는다. 천년왕국이었던 신라는 문물교류를 통해 여러 나라의 문화를 받아들였으며. 한반도 정치ㆍ경제ㆍ문화의 중심이 되었다. 또 천년 전 통일신라는 신라방, 해상무역네트워크, 실크로드를 통해 아랍권으로부터 6개월이라는 짧은 시간에 장신구를 수입하였으며, 철기를 수출하였다는 등의 사실史實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신라의 특성은 포용성개발성국제성ㆍ자유성ㆍ다양성ㆍ융합성ㆍ조화성이 공존한 사회였다고 평가되는 것처럼, 우리 역사상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고 있다. 물론 거기에는 정치사사적인의미도 해석도 관여해 있지만, 적어도 신라정신을 현실의 맥락에서 다시 인식, 수용하고자 한다면, 취사선택할 점을 제대로 평가하고, 그것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갈 지혜가 필요하다. 그렇지 못하다면 나날이 퇴락하는 듯한 현재 경주의 모습처럼 ‘신라정신’ 운운의 논의도 실효성 없는 ‘과거에 대한 낭만적 회상’에 불과할 것이다. 더욱이 ‘신라정신’ 운운이 지차제의 근시안적인 사업차원이나 정치권의 알팍한 지역생 이데올로기 확보를 위한 논리전개를 넘어서서, 통일신라의 해외 무역로와 실크로드의 문화, 정보 네트워크 등을 어떤 방식으로 깊이 있고도 새롭게 인식해야 하는가를 다시 성찰하는 일에서 출발하는 냉정함이 필요할 것이다. This is a reflec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 of silla. In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Gyongju recently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for finding its identity. If so, traditionally, they usually pay attention to some concepts, Hwarang, Silla, Gyongju and so on. Paying attention to the Hwarang Silla, Gyongju originates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After that , this tradition continues, even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president Lee Sung-man and PARK Chung-hee, now days. South Korea respect the spirit of Silla face the North Korea’s policy respecting in Koguryo. We can not be ignor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se political ideas. Silla was a kingdom that lasted one thousand years. They trade with the Arab world through a network of international marine transportation. Such as that, Silla is progressive, and has opened mind. Many students went to study in the Tang Dynasty of China. And Silla has an open discussion institutions as Hwabak. This tradition needs to be reviewed agin in nowday also. However, overemphasizing th espirit of Silla only is no right. Because we must respect Goguryeo, Baekje’s sprit and tradition buried in our history too. We habe to do not lost the balance is a very important problem in our society. Because, in the history of Korea, Silla is very important, but not in Korea only Silla history.

      • KCI등재

        미당의 신라 정신 탐색 초기에 나타난 선덕여왕의 시적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선덕여왕찬(善德女王讚)」과 「선덕여왕(善德女王)의 말씀」을 중심으로 -

        정상원 ( Jung Sangw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6 한국어문교육 Vol.20 No.-

        미당의 ‘신라 정신’은 그가 탐색한 ‘신라’ 표상에 바탕을 두어 산출된 것인데, 그 구체적인 면모는『신라초』를 통해 살필 수 있다. 신라 정신은 물론『신라초』를 통해 담대하게 전개되지만, 이 시집 전후(前後)에 출간된 시집들을 통해 추적할 수 있는 미당의 전통 지향적이고 동양적인 사유의 노정(路程)에서 함영(涵泳)하고 있다. 또한, 신라 정신의 각 내용들은 개별작품에 전일(全一)하게 반영된 것만은 아니며, 때로는 교합(交合)하여 조봉(遭逢)한다. 본고는 당대의 사회.문화.역사.정치적 현실에 대한 미당의 문학적 실천보다는 신라 정신을 기조(基調)로 펼쳐지는 시세계 내부에서 나타나는 통시적 움직임의 한 단면에 주목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신라 정신 탐색 초기의 작품으로서 그간 주목 받지 못했던「善德女王讚」을 재독(再讀)하고 분석하고, 아울러 이 시편과 농밀한 관계에 있는「善德女王의 말씀」을 비교.고찰함으로써 신라 정신 탐색 초기의 궤적을 살폈다.「선덕여왕찬」은 현세적 삶의 긍정과 사랑의 실천이라는 신라 정신을 담지하고 있는 최초의 시이다. 이 작품을 계승한「선덕여왕의 말씀」에서 포착할 수 있는 중요한 변화는, 이상적인 신라 세계에 대한 미당의 목마름이 한층 커졌다는 것이다. 이러한 염원은 선덕여왕을 넘어 다양한 신라 정신을 수용하여 본격적으로 시화한『신라초』의 작업으로 이어진다 Midang’s Silla Spirit is come out based on his exploration of Silla representation. The specific aspect of Silla Spirit is can looking through『Shilla-Cho』. But by it is deployed with confidence in this collection, Silla Spirit is included in Midang’s tradition directed and Oriental thoughts as can be seen the front and the rear collections. This study aims at poetic imagery and its implications of Queen Seondeok which is exposed in Midang`s early exploration of Silla Spirit rather than the creator``s response of contemporary society, culture, history, and political realities. Tried to read again「善德女王讚」and compared with「善德女王의 말씀」. And revealed part of early exploration of Silla Spirit Through this work. The contents of two pieces is temporal life of optimism and symbol of love.「善德女王의 말씀」inherited「善德女王讚」. Important changes that can intercept in「善德女王의 말씀」is the widening of thirst for Silla Spirit. Midang tried to quench his thirst by『Shilla-Cho』

      • KCI등재

        김동리 소설의 변신 모티프 연구-신라 연작 소설을 중심으로-

        오은엽 한국언어문학회 2012 한국언어문학 Vol.82 No.-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ontological conditions for the motif of metamorphosis centering on the series of Silla in Donglee Kim’s Historical Novels. Donglee Kim has created the writer’s sole literary archetype by variously involving the self-references related to the meaning of the soul of Silla, as well as the canonical message. In “Madam Suro,” Kim maintained the canonical message and the fantastic mystery of Madam Suro’s story and song. At the same time, he sublimated the beauty of Suro by whom gods became moved in the artistic soul of the Silla nation. The belief that the artistic stage started with the beauty of Suro moves the order of the universe, and the wailful parting for the sake of artistic consummation are the elements that reveal the ‘soul of Silla’ or ‘spirit of Silla’ connected with the Silla nation’s unconsciousness that reveres beauty and sanctity. The appearance of Suro in which the soul of Silla is realized is like the process of transforming into a shaman. These aspects of metamorphosis are recreated as Donglee Kim’s own literary archetype in his other works, as well, through the theosophism and wonders by the shamans who keep alive the soul of Silla. Among others in the series of Silla, Kim shows vulgarization of those figures with sacredness and prodigiousness, as part of metamorphosis, by recreating the stories of the extraordinary people, e.g. “Seok, Talhae,” “Choi, Chiwon,” and “Ureuk,” based on the motif of an unfulfilled love. The components of “Seok, Talhae” attenuates the wonder; instead, they intensify the aspect of humanity that shows anguish between allegiance and love. “Choi, Chiwon” retains a minimum of the canonical message and adopts the technique of a three-fold story-within-a-story narration in which the story of ‘Ssangnyeobun’ is being deduced. In portraying the humane aspect of Choi, Chiwon who got enamored with Surang, Donglee Kim shows the unreachable beauty and the tragedy of the fated love via the Buddhist imagination. In “Ureuk”, the other side of the genius musician, Ureuk is magnified. Prince Ureuk of Gaya, who appears in the imaginary story of “Ureuk-jeon,” is accomplishing his love, which is impossible in reality, through music in a fantastical way. With regard to music, Ureuk fiercely continues to pursue the perfection of self and he is described as a hermit who transcends human limits and seeks the supreme bliss. Thus it becomes a melodious poetic text, rather than a historical novel. The soul of Silla that Kim pursues in the works set in Silla is related with the belief that the utmost of humans exerts influence on a world beyond the phenomenal world. When reinterpreted by means of the ontological conditions for the motif of metamorphosis, many of Donglee Kim’s works, which have been denigrated or disregarded, can be found as an essential pivot of the consistent aesthetic system penetrating Kim’s world of novels, not only are they related to one another with a systematic aesthetical principle.

      • KCI등재

        김동리 소설의 변신 모티프 연구

        오은엽(Oh, Eun-yeop) 한국언어문학회 2012 한국언어문학 Vol.82 No.-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ontological conditions for the motif of metamorphosis centering on the series of Silla in Donglee Kim's Historical Novels. Donglee Kim has created the writer's sole literary archetype by variously involving the self-references related to the meaning of the soul of Silla, as well as the canonical message. In "Madam Suro", Kim maintained the canonical message and the fantastic mystery of Madam Sum's story and song. At the same time, he sublimated the beauty of Suro by whom gods became moved in the artistic soul of the Silla nation. The belief that the artistic stage started with the beauty of Suro moves the order of the universe, and the wailful parting for the sake of artistic consummation are the elements that reveal the 'soul of Silla' or 'spirit of Silla' connected with the Silla nation's unconsciousness that reveres beauty and sanctity. The appearance of Sum in which the soul of Silla is realized is like the process of transforming into a shaman. These aspects of metamorphosis are recreated as Donglee Kim's own literary archetype in his other works, as well, through the theoscphism and wonders by the shamans who keep alive the soul of Silla. Among others in the series of Silla, Kim shows vulgarization of those figures with sacredness and prodigiousness, as part of metamorphosis, by recreating the stories of the extraordinary people, e.g. "Seck; Tslhse". "Choi, Chiwon", and "Ureuk", based on the motif of an unfulfilled love. The components of "Sed; Talhae" attenuates the wonder; instead, they intensify the aspect of humanity that shows anguish between allegiance and love. "Cnoi, Chiwon" retains a minimum of the canonical message and adopts the technique of a three-fold story-within-a-story narration in which the story of 'Ssanznyeobun' is being deduced. In portraying the humane aspect of Choi, Chiwon who got enamored with Surang, Donglee Kim shows the unreachable beauty and the tragedy of the fated love via the Buddhist imagination. In "Ureuk", the other side of the genius musician, Ureuk is magnified. Prince Ureuk of Gaya, who appears in the imaginary story of "Ureuk-jeon", is accomplishing his love, which is impossible in reality, through music in a fantastical way. With regard to music, Ureuk fiercely continues to pursue the perfection of self and he is described as a hermit who transcends human limits and seeks the supreme bliss. Thus it becomes a melodious poetic text, rather than a historical novel. The soul of Silla that Kim pursues in the works set in Silla is related with the belief that the utmost of humans exerts influence on a world beyond the phenomenal world. When reinterpreted by means of the ontological conditions for the motif of metamorphosis, many of Donglee Kim's works, which have been denigrated or disregarded, can be found as an essential pivot of the consistent aesthetic system penetrating Kim's world of novels, not only are they related to one another with a systematic aesthetical principle.

      • KCI등재

        ‘신라정신’의 번안으로서의 『질마재 신화』와 그 윤리적 의미

        남기혁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5 No.-

        This paper aims to reveiw poems of “Myth of Jilmajae(질마재)” by Midang Seo Jung-joo(미당 서정주) in terms of ethical consciousness. In particular, the problems of Silla-spirit(신라정신) appearing in these poems were analyzed. Midang looked upon Jilmajae’s stories that preserved the traditional lifestyle, the religious conviction and the nature-oriented mind as a translation of Silla’s stories. In these poems, the narrator frequently interferes actively in the represented world to interpret and reinstruct the customs and the ethics of Jilmajae. In other words, Midang’s ideology and the ethical view contained in the poetics of Silla-spirit became the absolute standard to interpret life and ethical consciousness. In this respect, the nationalistic ideology contained in the poetics of the Silla-spirit is problematic. Despite the sexual morality, the images of abjection and the laugh have the elements of negating the symbolic order or liberating the oppressed in the poems of “Myth of Jilmajae”; the ethical order always retrieves equilibrium. In this process, the morality in the individuals’ inner world, or ethical reflexivity ceases entirely. In addition, the voices and the desires of the individuals integrate into thatthose of the ethical community. The attitude of conformity with destiny that people in Jilmajae had in this context can be understood. Similarly, the Midang’s political (un)consciousness operates vividly in the represented stories handed down orally in Jilmajae. Midang’s poetic work to operate the post-modern aesthetics at the very point of the borderline between the poetic word and the shamanistic language, myth and history, morality and art, individual and community.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aid that Midang’s poetic work led to a regrettable result. 본고는 미당 서정주의 시집 『질마재 신화』(1975)에 반영된 신라정신론과 여기에 담긴 윤리의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주지하듯이 미당은 한국 전쟁을 전후로 ‘신라’라는 고대적 시간과 설화 세계를 탐색하기 시작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라정신’론을 자신의 시론으로 정립하고 시집 『신라초』와 『동천』등에 수록된 전통주의 시를 창작했다. 『질마재 신화』는 미당이 신라정신론과 전통주의 시 창작에 쏟아지는 문단 내외의 비판을 의식하면서, 신라정신이 오늘날까지 민간에 전승되어 역사적 실체로서 살아 숨 쉬고 있음을 입증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런 점에서 ‘질마재’는 ‘신라’의 번안에 해당된다. 어쩌면 질마재는 ‘신라’라는 선험적 시니피에가 없었다면 재현될 필요도 없고 재현될 수도 없는 세계였다. 시집 『질마재 신화』의 서술자는 재현되는 세계에 능동적으로 개입하여 질마재의 풍속과 윤리를 재해석 혹은 재구성한다. 이 과정에서 신라정신론의 이념과 윤리관이 질마재의 삶과 윤리를 해석하는 절대적 심급으로 작동한다. 문제는 신라정신론에 내재한 국가주의 이데올로기이다. 사실 『질마재 신화』에 넘쳐나는 성적 이미지, 풍속, 배설물의 이미지, 해학적인 웃음 등은 지배 체제의 상징적 질서를 부정하거나 해체할 만한 해방의 요소를 풍부하게 지니고 있다. 하지만 질마재의 풍속과 윤리를 재현하는 서술자의 언어는 이 모든 것을 평형의 상태도 되돌리고 공동체의 인륜 질서를 보존한다. 공동체의 도덕 규율이나 인륜 질서와 대립하는 개인의 내면적 모럴, 혹은 윤리적 성찰성은 완전히 작동을 멈추고 질마재를 살아가는 구성원 개개인의 목소리나 욕망은 집단의 그것으로 흡수, 소멸된다. 이와 같이 ‘질마재’의 이야기 속에는, 신라를 소환하고 전유했던 미당의 정치적 (무)의식이 생생하게 작동하고 있다. 미당은 시적 언어와 주술적 언어, 신화와 역사, 윤리와 예술, 개인과 집단의 경계가 무너지는 그 지점에서 탈근대의 미학을 작동시켰다. 하지만 그의 신화 탐색은 끝내 당대 현실에 대한, 기성의 정치 현실에 대한 순응으로 귀착하였으며, 이는 미당 자신이 신라정신론에 내재한 국가주의 윤리의 바깥을 상상하지 않은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