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AT 처리기를 위한 수도쿠 퍼즐의 최적화된 인코딩

        권기현(Gihwon Kwon) 한국정보과학회 2007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4 No.7

        SAT을 이용해서 수도쿠 퍼즐을 풀기 위해서는 수도쿠를 SAT 처리기의 표준 입력 언어인 CNF 논리식으로 인코딩 해야 한다. 기존에 제시된 인코딩 알고리즘으로 크기가 큰 수도쿠를 인코딩하면 현재 SAT 처리기의 처리 수준을 넘을 정도로 많은 논리식이 생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크기가 큰 수도쿠를 다루기 위해서 수도쿠의 고정 셀을 이용하여 최적화된 CNF 논리식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고정 셀에 배정된 숫자는 불변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서 일부 변수의 값을 인코딩 단계에서 미리 결정할 수 있고, 이들 변수의 값을 이용해서 SAT 처리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절과 리터럴을 인코딩 단계에서 제거할 수 있다. 다양한 크기의 수도쿠 퍼즐에 적용한 결과 기존 인코딩 알고리즘에 비해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Sudoku can be regarded as a SAT problem. Various encodings are known for encoding Sudoku as a Conjunctive Normal Form (CNF) formula, which is the standard input for most SAT solvers. Using these encodings for large Sudoku, however, generates too many clauses, which impede the performance of state-of-the-art SAT solvers. This paper presents an optimized CNF encodings of Sudoku to deal with large instances of the puzzle. We use fixed cells in Sudoku to remove redundant clauses during the encoding phase. This results in reducing the number of clauses and a significant speedup in the SAT solving time.

      • KCI등재

        미국 SAT의 평가내용과 타당도 및 유용성에 관한 연구

        강승호(Seung-Ho Ka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7 교육평가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미국의 각 대학에서 중요한 입학전형자료의 하나로 활용되고 있는 SAT의 역사적 변화와 최근추세 및 평가내용을 알아보고, 이 검사의 예측타당도와 신뢰도 및 유용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SAT의 훈련효과와 문항의 편파성 등 이 검사의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미국 대학국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대학1학년 성적에 대한 SAT검사의 예측타당도는 중앙값으로 .42(예측능력은 18%)이고, 고등학교 내신성적의 예측타당도는 중앙값으로 .48(예측능력은 23%)이며, 고등학교 내신성적과 SAT점수를 합쳤을 때 예측타당도는 중앙값으로 .55(예측능력은 30%)이다. 그러나 다수 학자들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학성적의 예측에 있어서 SAT의 예측능력이 고등학교 내신성적보다 한결같이 낮고 또한 고등학교 내신성적에다 SAT점수를 추가함으로써 향상시킬 수 있는 예측능력이 단지 5% 또는 그 이하에 불과하여 SAT점수의 실질적인 기여도가 미약할 뿐만 아니라 대학입학전형에서 올바른 입학결정과 입학생들의 졸업비율을 향상시키는데 SAT자료의 유용성이 적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그리고 SAT의 언어영역과 수학영역검사의 내적일관성 신뢰도계수는 .90~.93이며, 검사-재검사 신뢰도계수는 언어영역과 수학영역검사 모두 .88이다. SAT의 훈련효과는 다수의 연구결과에서 분명히 그 효과가 있으며, 성별, 인종 및 소득에서도 문항의 편파성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review the evaluation components of the SAT and the predictive validity, reliability, usefulness, coaching effects, and item biases of the SAT, and to provide implication of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in Korea.<BR>  The study is based on the data from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oard and major literatures of study on the SAT.<BR>  The validity of greatest interest for the SAT is predictive validity: namely, the ability of the test to predict freshman grade point average(GPA) at a post-secondary institution. The College Board has compiled the results of validity studies carried out at 685 colleges by the Validity Study Service from 1964 to 1981 and found the following: a) the best single predictor of freshman GPA is high school record(either high school GPA or class rank), which had a median correlation .48(23% of predictive power) with the criterion across the colleges studied b) SAT verbal and mathematical scores taken together correlate with the criterion almost as well as high school record―median multiple correlation of .42(18% of predictive power) across the colleges studied, and c) SAT verbal and mathematical scores added to high school record improves the median correlation with the criterion to .55(30% of predictive power). Thus SAT scores little contribute variance to the prediction of success in college, over and above that which can be predicted on the basis on high school record alone.<BR>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oefficients of the SAT range from .90 ~.93. So it is very reliable test.<BR>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coaching effects and item biases in race, sex and income associated with the SAT.<BR>  In this study the problems of the SAT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given.

      • KCI등재

        미국 SAT 문항 분석을 통한 수능 언어 영역 개선 방향 탐색

        노은희 ( Eun Hee Noh ),박기범 ( Ki Beom Park ) 국어교육학회 2009 國語敎育學硏究 Vol.34 No.-

        본고는 우리나라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미국의 SAT에서 언어 영역 관련 시험의 문항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SAT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대다수 미국의 대학들이 입학전형 자료로 활용하는 대표적인 시험으로서 우리 수능의 틀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으며 사고력을 지향하는 평가 목표가 수능과 유사하기 때문에 분석 대상으로 삼게 되었다. SAT 언어 영역 시험을 분석한 결과, 수능과 비교하여 얻을 수 있었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문의 길이가 다양했으며, 기존의 글을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발췌함으로써 독해 자료의 실제성과 분야별 특성을 중시하였다. 둘째, 평가 목표 및 요소가 사실적 사고와 추론적 사고에 치중되었으며, 어휘·어법을 중심으로 표준적인 영어 사용 능력의 측정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셋째, 문항 유형과 형식이 단순하고 반복적이며 간결하여 수험생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넷째, 난이도 면에서 지문은 고교 졸업생 수준에 적합한 반면 문항은 다소 쉬운 편이었고, 문제은행을 통해 적정한 난이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였다. 다섯째, 에세이 쓰기를 통해 실제적인 서술식 평가를 하고 있었다. 여섯째, 시험을 추론능력검사와 교과학력검사로 이원화하여 실시하고 있었다. SAT(Scho1astic Aptitude Test) is one of the requirements of admissions to the U.S.A. and Korea colleges. SAT is the standardized examination similar to Korea`s S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Language Section of SAT in Korea, on the basis of comparing those of U.S.A. In order to achieve the aim of this study, we particularly analyzed the critical reading items, the writing items on the SAT Reasoning Test and the literature items on the SAT Subject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ssages vary in length and are taken from a variety of fields, not revising the original texts. Second, the critical reading items measure a student`s literal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ability, and the writing item focus on a student`s vocabulary and grammar proficiency. Third, the questions are stereotyped, repetitive, and simple. Therefore most of the students are accustomed with these types of questions and come to feel easy understanding the questions. Forth, passage difficulty is appropriate for high school students, but item difficulty is low for them. Because all of items are selected from the Item Bank according to item difficulty, the SAT can constantly maintain the degree of difficulty. Fifth, writing section includes multiple-choice questions and an essay. The essay tests students` ability to articulate a coherent argument, supporting a point of view on an issue specified on the test. Sixth, the SAT is divided into The Reasoning Test and The Subject Test. The Reasoning Test assesses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students need for academic success in college-skills that students learned in high school. The Subject Test measures students` knowledge and skills in particular subject areas, as well as their ability to apply that knowledge.

      • KCI등재

        교육 수요자 - 공급자 관점에서 EBS수능강의의 효과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 초록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병모 안암교육학회 2007 한국교육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초록고등학교의 학생·학부모들(교육 수요자)과 교사(교육 공급자이면서 수요자)들이 EBS수능방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EBS수능강의에 대해 어떤 인식과 반응을 보이고 있는가에 대해 체제적 분석을 통해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학생, 교사, 학부모이며, 연구 방법은 문헌연구, 참여관찰 및 심층면접 등을 통한 기술·분석이었다. 그 결과, 첫째, 초록고등학교 교사들은 정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정책에 대해 일단 순응하는 자세를 보였다. 반면에, 학생들은 EBS수능방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능강의 시청 방법이 자신들이 기대했던 의도나 방식에 맞지 않아 실망의 눈빛으로 외면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EBS수능강의가 교육적 측면보다 사교육비 경감이라는 경제적 측면을 강조하다 보니 일선 학교에서 공교육 내실화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한마디로, 초록고등학교에서 EBS수능강의를 통한 공교육 내실화는 이상적인 공염불이며, 오히려 학생들의 교사 불신으로 인해 학교 내 교육 공동체 간에 새로운 갈등을 야기 시켰다. 셋째, 학부모들은 무료로 시청하는 EBS수능강의 내용을 어떤 식으로든 수능시험에 반영한다는 교육부 의지 때문에 EBS수능강의가 사교육비 절감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quality of recognition and reaction of students, parents(educational users) and teachers(educational providers and educational users), through system analysis, by which they would show during the「EBS SAT Lecture」at the「EBS SAT Loom」 in GREEN High School. Subjec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Qualitative data were gathered mainly through participants observation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and they were analyz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As a resul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of GREEN High School, at the first stage, showed a position of adaptability to the「EBS SAT Lecture」policy which was carried by government. However,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BS SAT Lecture at the EBS SAT Room showed disappointment though they had expectation to it first. Second, because the Ministry of Education would approach「EBS SAT Lecture」at economic aspect rather than educational, I analyzed that it was difficult to normalize public education within GREEN high school through the 「EBS SAT Lecture」. In other words, normalizing public education within GREEN high school through the EBS SAT Lecture began with a good intention, but the consequence was vain. A New conflict between educational subjects within the school stirred up as students distrusted teachers. Third, parents thought that the EBS SAT Lecture was available for the cost-cutting of private education because they thought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posed that the EBS SAT Lecture should be reflected in the SAT in some way or other. Fourth, students recognized that the「EBS SAT Lecture」did not include many questions pertaining to the SAT. I analyzed that「EBS SAT Lecture」 also did not help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대학수학능력시험 물리 문제 비교

        김명하,김상순,이소진,홍승우 한국물리학회 2013 새물리 Vol.63 No.10

        The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KCSAT) problems for Physics I and II are compared with the US SAT physics problems. As to format, both the KCSAT and the SAT have multiple-choice-type questions. While the SAT has simple multiple-choice questions, the KCSAT has a combined structure of multiple choices. In the contents,nearly half of the test problems on the KCSAT are on classical mechanics whereas about 37% of the SAT problems are on classical mechanics. The SAT has more questions on modern physics than the KCSAT. About 7% of the problems in the SAT are outside the scope of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showing that the SAT physics deals with broader range of subjects. The KCSAT often involves questions with more than two concepts mixed together whereas the SAT questions are simple and straightforward, which makes the KCSAT questions more difficult than the SAT questions. The results of our analyses can be useful in reformulating new KCSAT physics questions based on the new 2009 National Curriculum. 수능 물리 I, II 문제와 미국 SAT 물리 문제를 비교하였다. 두 시험 모두객관식 선택형 문제이지만, 수능 문제 대다수가 합답형 문제인 반면, SAT 문제는 단답형이다. 수능 문제의 거의 절반이 고전역학 영역인데 반해,SAT는 37%정도가 고전역학 영역이고 대신 현대물리를 상대적으로 많이다루고 있다. SAT 문제 중 7% 정도는 우리 교과과정 이외에서 출제되어상대적으로 넓은 범위에서 출제된다. 수능 문제는 물리적 상황이복잡하며 두 개 이상의 개념을 복합적으로 조합한 문제가 많은 반면, SAT 문제는 그림이나 그래프가 있더라도 단순하며 문제 설명도 간단하여,수능이 SAT 보다 어렵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는 제7차 교육과정 보다현대 물리 내용이 보강되어 학생들이 물리를 더 어려워 할 수 있고,수능의 과학탐구영역 과목 선택에 있어서 물리 선택 비율이 낮다는 점을고려하면, 2014학년도 새로운 수능 문제 출제를 위해 본 연구 결과가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수능독일어와 SAT 독일어 문항 비교분석

        성지혜 ( Sung Ji-hye ),허남영 ( Heo Nam-you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교사교육연구 Vol.57 No.3

        본 논문에서는 수능독일어와 SAT 독일어 문항을 비교·분석하여 수능독일어 문항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SAT는 미국의 대학입학 자격시험으로서 수능의 틀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었으며, 일반적인 사고력 측정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평가 목표가 수능과 닮아 있다. 이에 본 연구가 수능독일어를 비롯한 국내 독일어 능력평가 문항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데 참고할 만하다고 판단하였다. 수능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수준에 맞게 개별 교과의 특성을 바탕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문항의 출제를 지향한다. 하지만 매년 정해진 교과에 신뢰도와 타당도는 물론이거니와 변별성까지 갖는 문항을 출제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학생들의 실수를 유발하거나 평가 목표와는 다소 거리가 있어 보이는 요소에 초점이 맞춰진 문항들이 출제되고 있다는 것은 이러한 상황을 방증한다. 그리고 이러한 현실이 현재 독일어와 함께 선택교과로 분류된 제2외국어 교과목들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은 논의의 필요성을 더한다. 교수·학습은 교육과정에 따라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데, 학생들이 수능의 출제 경향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면 수업도 수능 문항의 유형을 배제한 채 진행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수능독일어와 SAT 독일어 문항을 비교·분석하여 그 결과를 수능독일어 제고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두 시험의 문항을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두 시험 모두 수험생들의 대학수학능력을 평가한다는 취지에서 그 방향이 같았지만 형식 및 내용적 측면에서는 몇 가지 차이점을 보였다. 특히 SAT에서 듣기 문항 출제를 통한 통합적 언어능력 평가, 단순하고 반복적인 문형을 활용한 문항 제작, 다양한 매체의 활용 등은 현 수능독일어 문항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데 참고가 되리라 본다. This study aimed to seek ways to improve items on the German I test on the Suneung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esting items on the German I test on the Suneung and the Gernam test on the SAT. The SAT has a strong influence on forming the framework of the Suneung and also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it in the way of aiming at measuring the general ability to think. Therefore, specific items on the SAT deserves to be identified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the Suneung and come up with measures for improvement. The Suneung aims to make items which have reliability and validity based on content and level based on the high school curriculum. However, it ist not easy to make items every year in the fixed subject, having not only reliability and validity, but also discrimination. The fact that some items focused on causing students to make mistakes or docking points which are far away from evaluation objectives shows this situation. An in-depth discussion is needed now, because this situation can influence the reaction of students towards second foreign language subjects including German. The teaching and learning aim is to improve basic communicative ability for daily living according to the curriculum, but lesson plans cannot help considering the type of items on the Suneung because students are sensitive to tendency of items in the Suneung. In this respec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German I test on the Suneung and the German test on the SAT and provides possibilities for improvement on the German I test on the Suneung. When analysing items by type, both are the same in evaluating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of students, but have several differences in form and content. Expecially, evaluation of integrated language ability through listening and item construction using simple and repetitive sentence structure on the SAT deserves more attention to discuss problems development with items on the Suneung.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통계적 소양 평가의 가능성 모색 - SAT 통계 문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정무,이경화,유진수,이정아 대한수학교육학회 2016 수학교육학연구 Vol.26 No.3

        In the mathematics curriculum that was revised in 2009, statistical literacy is explicitly addressed as a goal and specific objectives are included. However, statistical literacy has not been addressed in the studies on KSAT. This study aimed to draw implications on how to improve KSAT in a sense that statistical literacy could be evaluated instead of testing typical facts or skills by comparing KSAT with SAT. We use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and category of context of PISA framework (OECD, 2013) to administer the comparison of KSAT and SAT. Result shows that both KSAT and SAT use various context, but items in KSAT is limited in assessing critical understanding. We suggested several ways to develop context-based items for KSAT in which statistical literacy could be assessed. 통계 정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을 강조하는 통계적 소양이 통계 교육의 목표로 주목 받고 있다. 통계적 소양 교육을 위해서는 평가의 역할이 중요하다. 특히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우리나라 학교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통계적 소양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이 출제될 필요가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PISA 평가틀(OECD, 2013)을 이용하여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통계 문항이 통계 정보에 대한 비판적 이해 능력을 측정하는지, 다양한 맥락을 활용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대학입학시험에서 통계적 소양의 평가와 측정을 반영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미국의 대학입학시험인 SAT의 통계 문항과 비교 또한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수능과 SAT 모두 다양한 유형의 맥락을 활용하고 있었으나, 수능에 출제된 통계 문항들은 비판적 이해 능력을 평가하는 것에 있어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SAT에 출제된 통계 문항에는 비판적 이해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다. 이를 포함하여 통계적 소양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문항들이 있다. 이 문항들을 참고하여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통계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에 적합한 통계적 소양 평가 문항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논술교육이 수능 성적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영진 ( Young Jin Lee ) 청람어문교육학회 ( 구 청람어문학회 ) 2009 청람어문교육 Vol.39 No.-

        본 연구는 논술교육이 수능 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논술과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간의 관련성에 대해, 실질적으로 논술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이 논술교육을 이수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수능 결과에 있어 유의한 차이점을 보이는지, 논술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이 다양한 이수 방법(목적, 경로 시작시기, 학습횟수, 논술 프로그램 유형 및 내용)에 따라 수능 성적의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 또한 학생들이 논술과 수능에 대한 어떠한 인식 및 견해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9학년도 수능에 응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논술교육 이수에 대해서는 빈도분석을 통해 인문계열 학생들이 대입논술고사 준비를 목적으로 사교육 및 공교육을 통해 주 1~2회의 강의 및 첨삭 방식을 통한 지도를 받아 왔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논술교육 여부에 따른 집단 간 독립표본 t검증 결과에 따르면 논술교육을 이수한 학생은 이수하지 않은 학생에 비해, 수능의 전과목에 걸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논술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이 과목별 최소 13점 이상의 평균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와 함께 논술교육의 이수방법에 대한 수능 성적의 일원분산분석 결과에 따르면, 목적, 프로그램 유형 및 내용에 대한 수능 성적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논술교육 이수방법 간의 상관분석에서는 목적과 경로, 시작시기, 학습횟수, 경로와 시작시기, 학습횟수, 프로그램의 유형, 시작시기와 학습횟수, 프로그램의 내용 등에서 상관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흥미로운 점은 목적과 시작시기, 경로와 시작시기, 경로와 프로그램 유형, 시작시기와 프로그램 내용 부분에 대해서는 역상관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의 관계 속에서 주로 중심이 되는 부분은 시작시기인데 이는 시작시기가 언제부터인가가 아니라 얼마만큼 논술교육 이수방법의 요건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서 집중적으로 수행하느냐가 관건임을 보여주고 있는 자료이다. 논술과 수능의 관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에서 논술교육은 대체로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며, 논술교육은 특히 수능의 언어 영역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견해를 밝히고 있다. 최근 논술교육이 지향하고 있는 `통합교과적 지식`의 습득, 이해분석력, 문제해결력, 창의력에 관련된 부분들이 수능과도 관계가 있음을 고려해볼 때 논술교육을 받는 것이 논술 능력 향상과 더불어, 수능 성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s of essay instructions on Korea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KSAT). The main focus is as follows: 1. whether the students who took an essay course show meaningful differences over those who did not 2. whether the students who finished the essay course make differences in the SAT scores, depending on various methods: aim of essay learning, essay starting time, learning method of essay, type of essay program 3. perceptions and views of students towards the essay instructions and the SAT. I carried out a survey of 360 students who applied for the SAT in 2009 to analyze the above three things. After us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I analyzed the results.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indicate that the students of liberal arts took essay instructions through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once or twice a week for the SA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test,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all areas of SAT in the case of the students who finished essay courses. The results of 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 essay instructions demonstrat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essay instructions and the SAT scores. In a correlation analysis on essay instructions, there showed some relations among these factors: aim of essay learning, essay starting time, learning method of essay, type of essay program. In a survey on cognition of student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ssay instructions and the SAT, students mentioned that essay instructions have significant impacts on verbal section in the SAT. Given the fact that acquiring the `knowledge of integrated curriculum`, understanding analytical skills, problem solving skills and creativity are related to the SAT, we can see that essay instruction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AT scores as well as improvement on essay.

      • KCI등재

        SAT에 기반한 포인터가 있는 프로그램을 위한 목적 지향 테스트 데이터 생성

        정인상 ( In-sang Chung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8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9 No.2

        지금까지 테스트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하기 위한 대부분의 연구는 프로그램에 포인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최근에 포인터가 있는 경우에도 테스트 데이터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방법들이 제안되었지만 테스트할 프로그램 경로를 완전하게 명시해야 하는 경로 기반 방법이거나 프로그램을 실제 실행해야 하는 방법들이다. 이 논문에서는 프로그램 경로를 완전하게 명시하지 않아도 포인터가 있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테스트 데이터 생성 문제를SAT(SATisfiability) 문제로 변환하고 SAT 해결도구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하는 정적 방법이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을 1차 관계 논리 언어인 Alloy로 변환하고 Alloy 분석기를 통하여 테스트 데이터를 생성한다. So far, most of research on automated test data generation(ATDG) deals with programs without pointers. Recently, few works have been done on ATDG in the presence of pointers, but they are path-oriented techniques which require the specification of an entire program path to be tested or a program to be executed. This paper presents a new technique for generating test data even without specifying a program path completely. The presented technique is a static technique which transforms the test data generation problem into a SAT(SATisfiability) problem and makes advantage of SAT solvers for ATDG. For the ends, we transform a program under test into Alloy which is the first-order relational logic and then produce test data via Alloy analyzer.

      • KCI등재

        사토 노부히로의 대외관 - 구제와 침략 -

        최은석 동북아역사재단 201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30

        This article aims at reexaminating the so-called expansionist perception of the world seen in Satō Nobuhirō(佐藤信淵, 1769~1850)’s works, supproting Park Hun’s criticism against the previous studies of the field and borrowing his categorization of the perceptions into the perception of the world at war and the expansionist perception of the world.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is devoted to examining Satō’s Kondō Hisaku (A Secret Strategy of Expansion, 1823), and the nativist influence on the work being represented in Satō’s Tenjuki which is a derivation of Hirata Atsutane’s Tama no Mahashira . Succeeding part can be said a new addition to the field. This part examines Satō’s other works which expresses different version of his view, that is, the perception of the world at war. Three works of Satō’s are cited and examined here; Seiyō Rekkoku Ryakushi (Compact History of the Western Powers ), Bōkaisaku (Strategy of Defending Seacoast ), and Sonkazatekiron (Argument on Supporting China to Dispel the Western Barbarians ). Even though they shows slight differences to each other, especially on the issues concerning China, they share common attitude of treating China as Japan’s foremost partner or the most important barrier against the West in the world at constant war. Being ciritcally different the perception of the world and China in 1823, this view of the world at war and appraisement of China’s status should be said Satō’s basic and consistent position. This conclusion would mean that the view expressed in 1823 was a mere happening instigated by nativism. Examination of Satō’s passion for saving people done in the final part, however, shows that the view of 1823 was a sort of messianism, a belief that the Prince could save the world as well as Japan and would give his people peaceful and prosperous life. 본고는 막말유신기 일본의 대외관 연구에 보이는 그간의 편향성을 비판한 박훈 논문(2008)의 의의와 틀을 지지하면서, 그 속에서 웅비론적 대외관으로 분류된 사토 노부히로(1769~1850)의 대외관을 재검토한다. 경세론자로서 유명한 사토는 『우내혼동비책』이란 저작에서 표방한 극도로 팽창론적인 대외관과 그 실행 구상으로도 이름이 알려져 있다. 본고의 제1절은 이 『혼동비책』에서 드러난 대외관을 검토하는데 할당된다. 거기서는 필자가 주목하는 것은 비슷한 시기에 나왔으며 히라타 아쓰타네의 『영능진주』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천주기』의 언급이다. 필자는 『천주기』에서 표명된 일본 지상주의가 『혼동비책』의 웅비론적 대외관의 사상적 전제가 된다고 본다. 제2절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던 사토 대외관의 또 다른 측면을 검토한다. 이는 곧 전국적 대외관으로, 『서양열국사략』, 『방해책』, 『존호좌적론』으로 이어지는 흐름이다. 이들 저작을 살펴볼 때, 사토의 대외관은 웅비론적인 것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전국적 대외관이라는, 동시대의 다른 사상가들과 공유하는 바가 많은 관점을 아우르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국가의 주권 보지와 힘이라는 기준으로 세계를 파악하는 현실주의적 입장에 근사한 것으로, 이 속에서 조선은 부용의 속지로 파악되어 세계를 구성하는 주체로서의 의의를 부정당하며 한편으로 중국은 상황에 따라 일본의 위협 요인이거나 협조 대상으로 정위되고 있다. 아울러, 저작의 수와 저술 시기를 볼 때 전국적 대외관이 오히려 사토의 일관된 대외관이었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곧 『혼동비책』의 대외관이 오히려 일시적인 것이었음을 시사한다. 제3절에서는 다시 이 저작으로 돌아가 『혼동비책』의 팽창론의 근저에는 현실의 구제에 대한 사토의 열망이 복류(伏流)로서 자리잡고 있으며 이것이 종교적 열정과 결합되어 웅비론적 대외관으로 이어졌음을 검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