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방자치단체의 청소년정책계획수립에 관한 연구: 경기도 화성시를 중심으로

        김영호 ( Kim¸ Young Ho )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0 미래청소년학회지 Vol.7 No.1

        국가는 청소년기본법 제13조에 의하여 청소년육성에 관한 기본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는 매년 청소년육성에 관한 기본계획을 국가의 기본계획에 의하여 연도별 시행계획을 수립·시행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일부 기초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연도별 시행계획을 수립조차 못하거나 해당연도의 업무보고서로 대체하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청소년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청소년정책수립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화성시에 적용시켜 화성시청소년정책계획을 수립하였다. 정책수립모형은 1단계 국가청소년 기본계획에 대한 분석, 2단계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중장기계획 및 청소년 정책에 대한 실태를 분석, 3단계 1단계와 2단계에서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SWOT분석을 실시, 4단계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청소년요구조사, 5단계 여론수렴절차를 거쳐 정책 비전 및 방향 그리고 전략수립, 6단계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청소년 기본계획 수립 등 여섯 단계로 구성하였다. 이 계획수립모형을 경기도 화성시청소년정책계획에 적용하여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 연구과정에서 드러난 결과를 통한 기초지방자치단체의 청소년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정리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정부의 청소년기본정책은 청소년활동, 청소년복지, 청소년보호를 포함하는 청소년육성에 초점이 맞춰있으며, 여타 정책분야와의 연계성이 부족하여 국가 전체의 청소년정책으로서 보완해야 할 부분이 있으며, 이러한 정책의 영향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수립에서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둘째, 청소년정책 비전이나 정책목표선정에 있어 지방자치단체의 장기계획 목표와 일치가 용이하지 않다. 청소년 실태분석에 있어 나타난 문제는 청소년시설 인프라, 프로그램, 청소년관련 행정 조직 및 예산 등이 지방자치단체의 발전 속도를 따라 가지 못하고 있다. 셋째, 청소년요구조사를 통해 밝혀진 문제는 청소년들의 요구를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넷째, 지방자치단체의 독자적인 정책과제 선정 및 집행보다는 중앙정부의 정책과제를 지역 실정에 맞게 예산의 규모 안에서 집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According to the youth act article 13, the state has to establish basic plan for youth development per every 5 years. Also, local government has to make and act annual plan about youth development, based on Mater plan of nation. However, it's not easy to find these rules acted actually in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is basic research for local government youth policy formulation . Following is policy planning model of this study. 1. Analysis for national youth policy basic plan, 2. Analysis for local government's long term plan and actual conditions of youth works in local governments 3. SWOT analysis for data from step 1 and 2, 4. Analysis for survey about what is wanted to local government by youth. 5. Founding vision, direction and strategies of youth policy, based on public opinion. 6. Establishing youth basic plan of local governments. We can think about some points through the result displayed on this study. First, policy of central youth development is not connected strongly with other area's policies, and it has affect on process of formulating local policy. Second, it is not easy to make correspondence between vision of youth policy and local government's long term plan. Third, policy is not reflected enough needs of youth. Last, local government's does not make their own plan, rather they are just following central's plan with small modification.

      • KCI등재

        청년의 취업선호가 지역정착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엄창옥 ( Changok Um ),나주몽 ( Jumong Na ),백경호 ( Kyungho Baek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1 지역개발연구 Vol.53 No.2

        청년 일자리 부족과 노동시장의 미스매치 문제는 지역에서 수도권으로의 청년 유출의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청년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지금까지 지역에서는 한편으로는 지역전략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청년 일ㆍ경험 지원 정책을 실시하며 노동시장의 미스매칭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청년유출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지역노동시장의 미스매칭으로 인한 청년유출문제를 지역청년의 취업선호에서 찾고자 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지역청년의 취업선호에 맞는 지역노동시장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지역청년의 지역정착을 유도할 수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청년의 취업선호를 조사하고, 이 취업선호의 어떤 요인이 청년들의 지역정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광주, 대구, 강원의 청년을 대상으로 조사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취업선호의 어떤 요소가 지역정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보면, ‘자신의 기능과 능력 활용’, ‘회사의 규모와 지명도’, ‘직무의 사회적 의미’, ‘능력중시 회사’, ‘전근이 없거나 한정된 지역 내에서의 전근’ 요인이 지역정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설명변수가 강원에 비해 대구와 광주에서 적극적 정착에 더 큰 영향을 주었으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여성보다 남성이 적극정착에 영향을 더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방자치단체가 청년들이 지역 내에서 사회ㆍ경제적 역할을 키우고,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제공할 경우 청년의 지역정착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Lack of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youth and job mismatch are the main reasons for the problem of youth outflow from the region to the metropolitan area along with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In order to reduce the outflow of youth, local governments are actively implementing policies to support youth work experience and trying to resolve the mismatch, but the achievements are not showing well. If local governments provide 「work-experience」 policies based on youth job preferences and reduce mismatches successfully, the possibility of youth settling in the local area will increase. Based on these predic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youth job preferences on local settlement using 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OLR). The survey data of youth in Daegu, Gwangju, and Gangwon was used in this analysis process. As a result, factors such as ‘use of one's own skills and capabilities’, ‘the size and reputation of the company’, ‘social meaning’, ‘capacity-oriented companies’, and ‘areas with no commuting or limited commut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ocal settlement of youth. There was a som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from region to region. the job preference factors of youth in Daegu and Gwangju had a greater influence on local settlement compared to youth in Gangwon. It is thought to reflect the geographical factor that Gangwon is close to the metropolitan area. In addition, we confirmed that the older group, the more males than females had an influence on local settlement. This means that if local governments provide various ways for youth to develop their social and economic roles and utilize their abilities within the region, the local settlement of young people can increase.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조례 분석-서울특별시 본청 및 25개 기초자치단체 조례를 중심으로-

        김광병,김수정 사회복지법제학회 2020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1 No.2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e "Ordinances in Support of Out-of-School Youths" was enacted in a form reflecting the consistency with the "Act on Support for Out-of-School Youth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Out-of-School Youth Act"). For this purpose, as of August 2020, the ordinances enac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he 25 local governments in Seoul were the subjects of the study, and the provisions of the ordinanc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is study, the levels of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s in Support of Out-of-School Youths" were very low,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dinances and the laws was not harmonious. In some cases, the provisions of the "Out-of-School Youth Act" were taken without modification and enacted as ordinances, or the provisions of the law were selectively excluded even if there was no ordinance, it was possible to apply based on the "Out-of-School Youth Act." In addition, although the ordinances of the local governments had to be enacted in detail, there were many more abstract provisions than the "Out-of-School Youth Act"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 indicating that the function of the ordinances did not work well. In some instances, however, some specific ordinances were enacted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evant local government. It can be observed that the function of the ordinance has performed effectively in that the provisions such as "Support for costs for certifications required for academic progress and employment" and "Scholarship support to provide career exploration opportun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 "Introduction of special guidance programs for youth at risk of school interruptions" and "Guide to family consultation and support for the youth outside school" were included neither in the "Out-of-School Youth Act" nor i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 It can be construed that this was established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problems, and desires of different local governments. Since ordinances have features that need to be established by embodying the provisions of the laws or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government, the current method of enacting the ordinances needs to be amended. Seeing that the provisions stipulated by laws and regulations are applied consistently nationwide, it is redundant to repeatedly stipulate them in the ordinances. Instead, it is required to make efforts to stipulate the provisions missing in the laws and regulations, reflecting the different needs of local governments. Therefore, in order for the "Out-of-School Youth Act," the metropolitan government's ordinances, and the regional municipalities' ordinances to function in harmony, the provisions of the ordinance reflecting the problems and desires, which are the characteristic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ased on the "Out-of-School Youth Act" at the level of the metropolitan ordinances. In addition, the regional municipalities' ordinance needs to be configured of the provisions of the ordinance reflecting the problems and needs of different local governments based on the "Out-of-School Youth Act"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조례’가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학교밖청소년법)’과의 관계를 반영한 형태로 제정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8월 현재 기준 서울특별시 본청 및 서울시 25개 기초자치단체에서 제정된 조례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조례의 내용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조례’의 제정 수준은 매우 낮은 상태로 조례와 법령과의 관계가 조화롭지 못했다. ‘학교밖청소년법’의 내용 그대로 가져와 조례로 제정하였거나, 선택적으로 법의 내용을 제외시킨 수준으로 굳이 조례가 없더라도 ‘학교밖청소년법’에 근거하여 지원이 가능한 수준이었다. 또한 기초자치단체 조례가 구체적으로 제정되어야 함에도 ‘학교밖청소년법’과 서울시 본청 조례보다 더 추상적으로 제시된 내용도 많아 조례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반영한 일부 특색이 있는 조례 내용이 제정되기도 했다. 서울시 본청 조례의 ‘학업진행 및 취업에 필요한 자격취득을 위한 비용 지원’과 ‘진로탐색 기회 제공을 위한 장학금 지원’ 기초자치단체 조례의 ‘학교중단위험 청소년 대상 특별지도 프로그램 운영’, ‘학교 밖 청소년 가정에 대한 상담 및 지원 안내’ 등은 ‘학교밖청소년법’에는 없거나 서울시 본청 조례에도 없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조례의 기능이 잘 작동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곧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특성, 문제, 욕구를 반영하여 제정됐다고 해석할 수 있다. 조례는 법령의 내용을 구체화하거나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반영하여 제정되어야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현재와 같은 조례의 제정 방식은 수정될 필요가 있다. 법령에서 규정한 내용은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조례에서 그 내용을 반복적으로 규정할 필요는 없으며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을 반영하여 법령에 없는 내용을 규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학교밖청소년법’과 광역자치단체 조례, 기초자치단체 조례가 조화롭게 기능하기 위해서는 광역자치단체 조례 차원에서 ‘학교밖청소년법’에 근거하여 서울시의 특성인 문제와 욕구를 반영한 조례 내용을 구성하고, 기초자치단체 조례에서는 ‘학교밖청소년법’과 서울시 본청 조례에 근거하여 해당 기초자치단체의 문제와 욕구를 반영한 조례 내용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지방이주청년의 지원을 위한 로컬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 일본 도쿠시마현 가미야마정 사례에 대한 사회연결망분석을 중심으로

        김희수,정일지,정석 한국도시설계학회 202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3 No.5

        This study examines the network structure, status, role, and activity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ng subjects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the case of Kamiyama Town, Tokushima Prefecture, which establishes local governance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local migrant youth. This study suggests important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support system for local migrant youth in the future and the formation of governance at the local community level.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as a defining example of combining the local visioning process and youth support policies, the process can be regarded as a forum for discussion among various actors to recognize and exchange local problems at the local community level. Second, the youth migration and the settlement support policy together created an organically interconnected system of the basis of socioeconomic foundation, such as jobs, local communities, and the basis of activities, such as residence, business start-ups, and community spaces. Third, various participants engaged in joint activities, forming a dense network with each other.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creating a layer and network of multiple relationships and resources surrounding young immigrants is critical in youth migration. Lastly, in the process of youth migration, the local governance was strengthened through a structure encouraging the participation among diverse young migrants and through a collaborative system between the administrative authorities the citizens, and the private sector. 본 연구는 지방이주청년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로컬 거버넌스를 형성하고 있는 도쿠시마현 가미야마정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참여주체들 간 네트워크 구조와 지위 및 역할, 활동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는 향후 국내 지역사회 차원에서의 지방이주청년 지원체계 구축방향과 거버넌스 형성을 위한 주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지역의 비전과 청년 지원정책이 융합된 사례로서 지역사회 차원에서 지역의 문제를함께 인식하고, 교류할 수 있는 다양한 주체 간 논의하는 장을 마련하고 있었다. 둘째, 청년의지방이주와 정착지원은 사회경제적 기반이 되는 일자리와 커뮤니티, 활동기반이 되는 거주, 업무창업, 커뮤니티 공간이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체계를 만들고 있었다. 셋째, 다양한 참여주체들이 공동 활동에 참여해 서로 간 촘촘한 연결망 구조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는 이주청년을둘러싼 다양한 관계와 자원의 층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부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행정부문과 시민 및 민간부문의 협업체계를 바탕으로 내ㆍ외부 역량 있는 다양한 인적자원참여를 유도해나가는 구조로 로컬 거버넌스를 강화해가고 있었다.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청년 정책개발 사례연구: 광주광역시 동구를 중심으로

        부기철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2

        In this study, various youth problems that young people experience (decreased employment quality and poor quality of employment due to poor employment structure, deterioration of overall quality of life due to social poverty of young people, spread of psychological isolation through reduction of the self-reliance base of young people, lack of social roles of young people This study studied the case of developing policies to solve problem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such as the discontinuation of permanence with society and the outflow of local talents. In this study, the problems of young people were diagnosed, and the status of youth policies of each municipality (Seoul, Busan, Daegu, Gwangju, Gyeonggi-do, Jeollanam-bukdo, Chungcheongnam-bukdo, Jeju-do, etc.) was analyzed. The study sample was composed of 450 subjects, and 401 copies were collected. The main contents are the housing status of the youth, the status of jobs such as labor, 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of the youth, the living status of the youth, the cultural leisure status of the youth, and the mental health status of the youth. As a result of the study, local youth policies were established. The vision of the local government is to create a youth ecological city that is flying with young people, and the goal is to create a 60,000 youth ecological city with happy youth. The core values ​​are the youth policy, the vivid field-oriented youth policy, the emergent youth ecological urban policy, and the mutual contribution youth policy. The strategies are participation communication, housing welfare, job creation, start-up support, and youth culture. The core tasks are: First, establishing a youth culture network that communicates and imagines with the youth, second, work + residence + welfare = supplying a type of residential space where the youth is happy, and third, implementing a target job disclosure system for youth to create better jobs, and starting a business. From youth to support, the youth-led support center is operated by the youth, and fifth, the youth culture shopping mall and youth culture and youth distribution free market are created. Twenty-one implementation tasks were presented as detailed action tasks. Lastly, in order to develop and succeed in the youth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first, all members must have the will to systematically implement the policies. Second, in order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policy, it is necessary to secure a budget that can support the project.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rganic cooperative system of local government related departments. These efforts will serve as a cornerstone for solving youth problems. 본 연구는 청년들이 겪는 다양한 청년 문제를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책을 개발한 사례를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들의 문제를 진단하였고, 각 자치단체(서울, 부산, 대구, 광주, 경기도, 전라남·북도, 충청남·북도, 제주도 등)의 청년 정책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표본은 45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401부를 회수하였다. 연구결과, 지방자치단체의 청년 정책을 수립하였다. 지방자치단체의 비전은 청년과 함께 비상하는 청년 생태 도시를 만드는 것이고, 목표는 행복한 청년거주 6만 청년 생태 도시를 조성하는 것이다. 핵심가치는 상상만큼 이루어지는 청년 정책, 생생한 현장 중심 청년 정책, 비상하는 청년 생태 도시정책, 상부상조 지역공헌 청년 정책이다. 전략은 참여소통, 주거복지, 일자리 창출, 창업지원, 청년문화이다. 핵심과제는 첫째, 청년과 함께 소통하고 상상하는 청년문화네트워크 구축, 둘째, 일+주거+복지 = 청년이 행복한 유형의 주거공간 공급, 셋째, 더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청년 일자리 목표 공시제 시행, 창업에서 지원까지 청년이 주도하는 청년 종합지원센터 운영, 다섯째, 청년문화쇼핑몰 및 청년문화와 청년유통 프리마켓 조성이다. 세부 실행과제로 21개 실행과제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청년 정책을 개발하고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첫째, 정책을 체계적으로 실천하려는 의지를 전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어야 한다. 둘째, 정책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사업을 뒷받침할 수 있는 예산확보가 반드시 되어야 한다. 셋째, 자치단체 관련 부서의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이러한 노력은 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지방정부의 청년 주거 정책을 통해 본 ‘청년’ 의미와 청년의 인식

        이소영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이 연구는 2019년 1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진행된 ‘영구임대아파트 공동체 활성화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청년들이 인식하는 지방정부의 청년 주거 지원 정책이 가진 의미와 한계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청년 정책’ 관련 보고서 등의 문헌연구와 입주 청년들을 대상으로 면접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지방정부와 입주 청년들이 가진 ‘청년상’이 달랐으며, 둘째, 사업과정 속에서 입주 청년들은 기존 주민들과 자신들을 경계 지으며, 공적인 모임보다는 사적 모임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청년들은 사업의 홍보를 위한 존재 등 도구적 위치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었다. 결국 이러한 한계들이 시범 사업의 취지와 멀어지게 만드는 요인이 됐다. 면접 조사 결과를 통해 이 연구는 사업 대상의 명확성이 필요하며, 주민들을 위한 활동보다는 청년들이 정착할 수 있게 하는 요소들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향후 사업 운영 조직들의 면접조사와 장기간 거주한 뒤 입주 청년들의 인식 변화 등의 추가적인 면접 조사가 보완된다면 청년 주거 정책의 바람직한 모델을 구축하는 데까지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how youth think of the local-government-led youth housing support policy and its limitation, with the case of the ‘community revitalization project for the permanent rental apartment’, which had been done from Jan. 2019 to Feb. 2020. For this purpose, the interviews were done with the youth tenants of the apartment and a literature study on ‘youth policy’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result of the interviews shows the followings. First,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tenants had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he meaning of ‘youth’. Second, the youth tenants involved with the project tended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ose non-involved and had a tendency to prefer having private meetings to public gatherings. Third, the youth tenants often thought of the project as a part of the local-governmental means of public relations or marketing. These sorts of limitations were the factors that made the project have deviated from its initial goal. From the result of the interview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a more detailed specification of the target subjects is needed and further efforts should be done primarily for helping the settlements of youth tenants rather than for general resident activities. For the construction of a more comprehensive model for the youth housing support policy, some additional interviews are required to be done with the governmental department in charge of administering the project in the future and about the changes in the youth tenants’ perceptions over time.

      • KCI등재

        청년의 정책참여 구현을 위한 청년기본법의 발전방안

        조진우 경상국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法學硏究 Vol.30 No.2

        After the financial crisis, the long-term economic stagnation prevented young people from finding good employment and forced them into non-regular jobs. As a result, the lives of adolescents are getting worse and they are unable to properly enter society unlike in the past. The youth employment crisis has now expanded into a youth life crisis, and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promoted diverse youth policies. Youth have continued to demand policy-making to overcome the crisis, and local governments have established the Youth Basic Ordinance.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institutionalization of youth policy, the Youth Framework Act was established to summarize youth policy. The Youth Framework Act and the Youth Basic Ordinance stipulate that the youth who are the subject of the policy are not merely the beneficiaries of the policy, but the subject of policy establishment. In order for adolescents to function as policy makers, youth participation in policy establishment and enforcement is essential. Youth participation means that youth do not just represent their willingness to policy, but that youth effectively take the lead in establishing and enforcing polic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further strengthen and specifically specify the weight of young people who participate in the composition of the Youth Policy Committe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inimum provision for women to participate in youth so that the opinions of women are fully reflected in youth policies. In addition, the opinions of the youth who participated in the policy establishment should not be ignored, and the cooperation between the youth's opinions and the policies should be further strengthene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youth's opinions presented for this purpose through what process, and if they do not reflect this, disclose the reasons and increase the objectivity of the policy. It is also necessary to strengthen the functions of local councils in relation to youth participation and expand youth participation at the local council level.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eliminating the duplication of functions of youth-related organizations, clarifying their roles, and enabling them to perform not only the enforcement of youth policies but also the intermediate functions that induce youth participation. In connection with youth participation, there will also be a substantial use of information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youth human resources governments and youth policies. Overcoming the increasingly fierce youth crisis is not just about setting a timely policy for youth, but for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policy development and enforcement so that they can be positioned as policy actors. is important. There will be a need for a foundation for youth policies to ensure that youth do not frustrate the crisis of youth life.

      • KCI등재

        지역문화의 청소년 인식에 따른 콘텐츠 개발방향

        박부원(Park, Boo-won) 인문콘텐츠학회 2017 인문콘텐츠 Vol.0 No.46

        본 연구는 2007년, 2013년과 2017년의 3개년에 걸쳐 동일한 설문지를 기반으로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지역문화에 대한 청소년의 의식변화 추이를 조사하고 이를 심층 비교ㆍ분석한 결과이다. 각 시점 간의 의식변화 양상과 정도를 현 시점에서 진단하여 지역문화에 기반한 인문적 가치를 인식하고 생활 속에서 지역문화의 소중함을 일깨우기 위한 인문체험 콘텐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지역문화는 지역민이 주체이고, 지역문화의 미래적 가치는 지역 내부의 자발적인 원동력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볼 때, 지역사회에서 청소년이 가지고 있는 ‘지역에 대한 관심과 태도’ 등은 지역의 미래를 결정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지역문화에 기반한 청소년의 의식과 가치관이 개성 있고 건강할 때 지역의 건강한 성장을 이끌 수 있다. 지역문화 교육은 끝없는 아이디어 싸움으로 다양한 지역문화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가공하거나 포장하여 지역민에게 올바로, 그리고 뜻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가치를 창출하는 행위이다. 즉, 지역에 기반한 인문적 가치를 인식하고 생활 속에서 지역문화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과정으로의 인문체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첫째, 인문체험을 위한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다. 지역사회는 다양한 인문콘텐츠 자원이 상호 교류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수요자 맞춤의 재미있는 인문체험 프로그램을 확충해야 한다. 학생들의 관심을 보다 적극적으로 돌릴 수 있는 재미요소를 부각한 킬러콘텐츠의 확보가 필요하다. 셋째, 전문기획운영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를 기반으로 지역학교 교사와 문화단체, 공공기관과 연계하는 매개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최근 지역문화 교육은 양적 성장보다 질적 성장으로 변화되고 체험과 참여라는 새로운 차원으로 전환되고 있다. 가치 측면에서도 전통지향에서 현재ㆍ미래적 관점의 문화향유에서 가치창출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최신 트랜드에 부합되는 새로운 인식과 다양한 현실접목 방법을 통해 지역문화를 지역민의 삶의 일부로 이끌어내는 단계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hange in consciousness of youths toward regional culture,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ame survey created by the researcher over 3 years in 2007, 2013, and 201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lture contents. By examining the aspects and the degree to which the youth recognize local culture over time, its primary purpose is to make aware of the humanistic value of the local culture as well as its importance in our daily lives. Given that local residents lead and develop a local culture whose value is achieved by the voluntary driving force within the local community, an ‘interest and attitude toward a community’ that youths have within their community can be said to determine the future of 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regional value. Also, a healthy growth of community can be achieved when the youths have healthy consciousness and values based on the local culture. Local cultural education is an endless struggle for ideas, and is an act of creating values in various meaningful and right ways for local residents by collecting, processing, and refining various materials on local culture. In other words, a humanities experience is needed to perceive community-based humanities value and realize the importance of local culture in daily life. To do so, it is necessary to build an ecology for humanities experience. A community must built a platform to interactively exchange various humanities content resources of a community by developing infrastructure. Second, a user-focused, amusing humanities experience programs must be expanded, as it is necessary to acquire killer contents emphasizing on fun elements to attract the interest of students more actively. Third, specialized planning and operation personnel are needed to act as mediators connecting local school teachers, cultural organizations, and public institutions. Recently, local culture education is turning into qualitative growth than quantitative growth, with conversion into a new dimension of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t is also changing into a present and future-oriented cultural value from the traditional-oriented value. Thus, new awareness and various ways to apply to reality that meet the latest trend will enable local culture to be part of local residents.

      • KCI등재

        지역청년의 정주 및 귀환 결정요인

        엄창옥(Um, Chang Ok),노광욱(Roh, Kwang Uk),박상우(Park, Sang Woo) 한국지역사회학회 2018 지역사회연구 Vol.26 No.3

        한국에서 청년층의 지역 간 이동은 지역경제활력과 잠재성장에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최근 ‘지방소멸’의 가장 중요한 원인 역시 지방 청년의 수도권 유출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지방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에 대한 연구성과도 상당하게 누적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주로 경제적 요인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최근 변화하고 있는 청년층의 이동과 직업선택의 특성을 포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년층의 수도권 이동원인으로 경제적 요인만이 아니라 사회적 요인, 관계적 요인, 주체적 요인과 같은 다양한 변수를 포함하는 설문조사를 통해 지방청년의 유출과 유출청년의 지방 귀환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청년의 지방 유출과 귀환의 요인으로 경제적 요인도 중요하지만, 관계적 요인과 주체적 요인도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삶의 만족도가 청년의 정착과 귀환에 결정적 요인으로 분석되었는데, 이 만족도는 경제적 요인보다 사회관계적 요인, 주체적 요인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에 따르면, 지방의 청년층 노동력을 지역에 정착시키고 유출된 청년층 노동력을 지역으로 귀환시키는 정책은 경제적 정책뿐만 아니라 지역문화의 혁신, 사회적 관계자본 형성 그리고 청년의 주체적 참여를 확장하는 정책에 초점을 맞추어야한다는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다. Inter-local movement of the youth is working as a critical factor in the local economic activity and potential growth power in Korea. In particular, recently we are paying attention to the outflow of local youth generation from local area to the metropolitan area as the most important cause of ‘collapse of the local area’. Therefore, research performance on the youth outflow toward the metropolitan area have been accumulated considerably in Korea. However, these studies fail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ent youth culture shift and job selection criterion of young people, because of mainly focusing on economic factor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outflow of local youth and the possibility of return to the their provinces through a survey that included variables such as social factors, relational factors, and subjective factors as well as economic factors. This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relational and subjective factors are also very important as factors of youth"s outflow and return to rural areas even though economic factors are very important. In particular, ‘the satisfaction with life’(so called work-life balance) was analyzed as a critical factor in the settlement and return of young generation, which is more affected by social and subjective factors than by economic factors. According to this analysis, We could understand the implications that policies for settlement and return of the youth to the local area should focus not only on economic factors but also on innovation of local culture,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and the subjective-participation of young people.

      • KCI등재

        도시청년 지역 연계의 사회혁신 거버넌스: ‘청정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강민정,강예원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23 사회적기업연구 Vol.16 No.2

        This study is on the program called ‘Cheong(the youth) Jeong(stay) Project, literally meaning the area where young people stay. Against the background of wicked problems in the Korean society such as decreasing population and weakening local economies, increasing unemployment of urban youths, the Project sought to the urban youth’s work and life in local communities in the local regions during the year of 2018 to 2021. Initially launched as a community service program of a non-profit social venture ‘JUMP’ and then being a policy partner of Seoul city government, the Project and ‘JUMP’ provided urban youths with new work opportunities and tailored mentorship programs in local regions, allowing them to explore possibilities of alternative life in the regions. At the same time, as a host place, local communities facing the extinction of population could have opportunities to employ young people at local companies and to provide social services such as after-school classes for kids. On top of the program’s innovative aspects, this case study shows that the political leadership that employs experimental ideas of a social venture for solving social issues, visible performance outcomes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 project, coordinating roles among participating organizations, and sharing goals and mutual trust among players in public and civil sector were necessary in order to succeed in such a social innovation program. At the same time, this case study sheds lights on some elements that limit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program; the political aspect of opportunity widow(mayoral power to decision-making), institutional constraints regarding public budget execution, conflicts of interest between Seoul and local governments surrounding young people’s in and out of the territory, and different expectations among local companies and the urban yout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