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푸치니의 오페라 <삼부작-Il Trittico>과 단테 신곡-La Divina Commedia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최철,이승권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0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9 No.3

        본 연구는 푸치니의 오페라 <삼부작- Il Trittico>과 단테의 『신곡- La Divina Commedia』의 연관성을 찾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서 콘텐츠의 재생산 가능성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두 작품의 연관성을 명시적으로 언급한 연구를 찾기가 매우 어렵다. <삼부작> 연구에서 『신곡』과의 연관성을 언급한 것은 『신곡』에서 형식적인 아이디어를 차용했다는 정도이다. 그러나 두 작품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는 오페라를 좀 더 심도 있게 고찰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푸치니 <삼부작>을 연구하는 많은 음악가와 연주자들에게 학문적 토대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단테를 연구하는 학자에게도 연구 소재의 다변화에 대한 길라잡이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한다. 연구자는 두 작품의 연구를 통해서 한국에서 공연되는 푸치니의 오페라를 새로운 시각에서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삼부작>은 단테의 『신곡』에서 소재를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신곡의 <지옥-Inferno>, <연옥-Purgatorio>, <천국-Paradiso>의 형식도 차용하였다. 게다가 등장인물, 내용, 사상적 측면에서도 영향을 받았음을 두 작품의 비교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버전으로 삼부작을 재해석하는 것은 새로운 창작이기 때문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작품을 비교한 결과가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 만족하고자 한다. Il Trittico (the triptych), known as one of the best pieces of Giacomo Puccini, and La Divina Commedia (the divine comedy) by Dante Alghieri,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poem of the Middle Ages and the greatest literary work in the Italian language, have been reviewed separately by many researchers. However, there have not been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l Trittico and La Divina Commedia. In this study, these two pieces were reviewed and compared from various aspects. Giacomo Puccini simply commented that he borrowed the formats of La Divina Commedia to write Il Trittico. As it can been seen in La Divina Commedia, which is divided into three cantiche: Inferno (Hell), Purgatorio (Purgatory), and Paradiso (Paradise), Il Trittico consists of three operas: Il Tabarro, Sour Angelica, and Gianni Schicchi. Along with the analogy in the formats of these two pieces, a great deal of similarity can be found in characters, stories, and underlying intention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ose music scholars and performers to understand Il Trittico in depth. Additionally, topics on the researches on La Divina Commedia can be expanded to fields of music and many other artistic genres.

      • KCI등재

        老舍與但丁的文學聯系

        葛濤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中國硏究所 2004 中國硏究 Vol.33 No.-

        The paper exemplified Laoshe's vast argument on Dante from historical point of view, and then research the important and long influence of Dante and La Divina Commedia. on Laoshe's writing. It proposed that Laoshe was profoundly influenced by La Divina Commedia. However, Laoshe transformed creatively the influence of La Divina Commedia interwith Chinese society.

      • KCI등재

        단테의 시와 정치적 이상

        김효신 ( Hyo Shin Kim )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구 한국이어이문학회) 2015 이탈리아어문학 Vol.0 No.46

        Questo saggio tratta dell’idea di pace di Dante che si trova in alcune poesie particolarmente della Divina Commedia. Per quanto riguarda l’ideale politico di Dante, si discute quasi maggiormente l’ideale dell’Impero romano, un dogma che aveva il suo piu solido fondamento nell’unita della costituzione ecclesiasitica. Infatti, Dante insisteva non solo l’ideale universale romano, cioe quello classico cristiano, ma anche l’unita e la pace della patria attraverso un’opera politica e filosofica, il De Monarchia. L’idea dantesca di pace non era tutta diversa da quella dell’Impero, perche non era affatto un programma di despostismo secolare. Sia nel De Monarchia, sia nelle poesie dantesche, l’imperatore universale non doveva essere il tiranno mondiale, ma in quanto signore universale, un augusto giudice, creatore di pace. Percio, siccome l’idea dell’Impero di Dante non era del mondo reale politico, ma superiore a ogni brama dei tiranni, del regno ideale cristiano religioso, esaltano la Pace Religiosa insieme a quella Politica le alcune poesie cosiddette “politiche dantesche” che si rappresentano l’idea di pace del mondo, cioe il suo ideale politico.

      • KCI등재

        『향연』과 단테의 문학적 노정

        김운찬 ( Woon Chan Kim )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2009 이탈리아어문학 Vol.26 No.-

        Il Convivio di Dante si colloca in mezzo tra Vita nuova e Commedia come un`importante tappa media nel suo sviluppo letterario. E la prima opera dopo l`esilio in cui il poeta coglie l`occasione di esprimere gli esiti dei suoi vasti studi sui diversi temi di filosofia, etica, politica, metafisica, ecc. Lasciata pero incompiuta al quarto trattato sembra che sia stata l`opera meno letta e fuori dall`attenzione dei critici rispetto alle altre opere. Non e chiarita la ragione dell`interruzione, ma puo darsi che coll`incominciamento del gran poema Commedia Dante avesse pensato che sarebbe stato inutile continuarla per la limitazione posta dalla sua forma discorsiva. Infatti Dante voleva metterci tutte le sue conoscenze accumulate dedicandosi diligentemente agli studi filosofici per dimenticare il dolore casusato dalla morte di Beatrice, e in conseguenza i suoi `trattati` risultano piuttosto pesanti e prolissi nel monotono sfoggio enciclopedico di erudizione, e il banchetto di sapere fa fatica ad attirare l`attenzione dei lettori. Cosi il Convivio finiva per diventare un progetto troppo ambizioso che non era facile realizzarsi pienamente in una singola opera. Ma da un`altra parte ha gettato le fondamenta di uno sviluppo futuro, e in effetti quasi tutti i suoi temi erano poi utilizzati nelle opere successive dalla Commedia, a De vulgari eloquenza e a De monarchia. Specialmente la Commedia riprende e ripete nella sua forma piu organica e coerente tante cose che Dante voleva scrivere nel Convivio. Anche le due opere in latino, si potrebbe dire, sono continuazioni delle idee gia sviluppate nei suoi trattati. In breve la vera importanza del Convivio sembra trovarsi non tanto nei suoi valori di se stesso come un`opera indipendente, quanto nei rapporti con altre opere che insieme costituiscono il percorso evolutivo del poeta.

      • KCI등재

        저승의 의미에 대한 『신곡』과 『신과 함께』 비교 연구

        정영찬 ( Youngchan Jung ),성신형 ( Shinhyung Se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저승의 의미를 탐구하기 위해서 문헌 고찰을 통한 비교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서구 유럽 문화를 대표하는 단테의 『신곡』과 동아시아에서 큰 주목을 받은 주호민의 『신과 함께』를 연구한다. 서구문화는 영육이원론을 바탕으로 이승과 저승의 분리를 말하고 있으며, 이는 연옥 교리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한편 동아시아 문화는 윤회사상을 바탕으로 이승과 저승의 연결을 말하고 있고, 이는 사구제(중유)에서 잘 드러난다. 본 연구는 내세는 종교적인 차원의 불연속적인 세계가 아니라, 민중들의 삶의 현실이 반영되어 현실 삶에 대한 정당한 심판과 새로운 삶에 대한 희망의 장소임을 논증하고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후 연구의 발전 과제로 조금 더 다양한 세계의 저승관에 대한 인문학적 탐구를 제안한다. This study compares Dante’s La Divina Commedia with Ju Homin’s Along with the God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afterlife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research method. Western culture speaks to the separation of this world from the afterlife based on the dualism of soul and body, which is well expressed in the doctrine of purgatory. Meanwhile, East Asian culture refers to the connection between this world and the afterlife based on the idea of Samsara and the principle of Saguje (Joongyu). This study argues that the afterlife is not a discontinuous world in the religious dimension, but a place of fair judgment and hope for a new life by reflecting the reality of people’s lives. Finally, this study proposes a humanistic exploration of the afterlife, which is more diverse as a development task for subsequent research.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단테의 신곡으로 본 판타지영화 ‘워크래프트’의 미장센 연구

        김효일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8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6 No.2

        단테의 신곡은 중세 서양사상의 중심맥락으로 사실적인 묘사와 문학적 리얼리티로 인해 사후세계에 대한 몽환성을 환상성으로 전이시킨 작품이다. 이러한 신곡의 시각이미지성이 영화를 배경으로 전개되는 그로테스크 이미지의 연계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영화 ‘워크래프트’는 스토리 구성의 근본적인 맥락이 새로운 주거지를 찾아 떠나는 디아스포라의 여정에서 출발하게 된다. 영화 ‘워크래프트’는 중세의 그로테스크한 이미지를 미장센으로 적용하여 근원적 맥락인 단테의 지옥과 연옥, 천국의 이미지를 연장시킨 환상성을 중심으로 시각 이미지를 전개시키고 있다. 단테의 서사시에 등장하는 상상력은 중세의 그로테스크 이미지의 사실적 디테일을 중심으로 영화의 배경과 이미지를 재현하고 있다. 공간에 대한 인식론적 가치는 인간이 유물론적 의미를 담아내는 개념적 정리로서 모든 물질은 공간 안에 속하게 되며, 공간의 틀 안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본 연구는 영화의 그로테스크한 이미지 표현이 몰입과 수사적 표현으로 재현하고자 하는 연출 의도와는 다르게 영화의 설정과 근원적 스토리의 중심체계에 의해 관객에게 전달되는 이미지의 연속성이 연계되지 않는 것이다. 영화 ‘워크래프트’에서의 공간은 비유클리트 공간과 유클리트 공간으로의 이동이 디아스포라의 과정으로 영화의 설정이 구조화시키고자 하였으나, 공간의 변화가 디아스포라의 과정으로 인지되지 않고, 수사적인 표현으로 국한된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Dante's La Divina Commedia, the central context of medieval Western thought, is a fantasy version of Illusional about the afterlife due to realistic descriptions and literary reality. The visual image of these new songs was intended to reveal the link between Grotesque images, which are being developed in the background of the movie. The film ‘Warcraft’ centers on the fantasy of extending the original context of Dante's images of inferno and paradiso by applying the medieval grotesque image to Mise-en-Scène. The imagination in Dante's epic reproduces the background and image of the movie, centered on the realistic details of the medieval Grotesque image. The cognitive value of space reaches the conclusion that all matter falls within the framework of space and can not escape from the framework of space as a conceptual arrangement in which humans capture materialistic meanings.This research is a continuation of images that are not delivered to the audience by the setting of the film and the central system of the original story unlike the director's intention to reproduce the Grotesque image expression with immersion and rhetorical expression. The space in the movie ‘Warcraft’ is a medium in which the transition to the non-Euclidean space and the Euclidean space serves as a medium to transform the conceptual value of space into the diaspora process.

      • KCI등재

        <디구셩미리몽>의 저자와 그 의미

        김주현(Ju Hyeon Kim) 한국현대소설학회 2011 현대소설연구 Vol.- No.47

        <Future dream of the earth> had been published in The Korea daily newspaper of Korean language version from 15 July 1909 to 10 August 1909 with total 19 series. In this paper, I have clarified the author of <Future dream of the earth> was Shin Chae-ho through the various denotation signs of this work. The character which indicated in this work as an enlightenment journalist, a bookaholic and a nationalist are harmonizing with Danjae. The ideological tendency of this work and its characteristics in discourse, such as form of mongyurok(夢遊錄), insertion of poems, colloquial style, rhythm of Pansori(판소리), are very much similar to Danjae`s literature characteristic. Therefore, it confirms that Danjae is the author of <Future dream of the earth>. Shin Chae-ho wrote the preface of Visiting Jegalliyang in the dream(夢見諸葛亮) in the year 1908, along with this, he wrote <A judgement on the sin of many old people(許多古人之罪惡審判)> and <A frightful scene of Hell(地獄慘景)>. <Future dream of the earth> has some similar connections with the above mentioned works. However it is very similar with <The Dream of heaven(꿈하늘)> in the context of structures. It also shows the influences taken from Chunhyangjeon(春香傳), and La Divina Commedia in this work. <Future dream of the earth> and <The dream of heaven> show a little different aspec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at period as well as transformation of writer`s consciousness. It is also related to the transformation of writer`s consciousness due to the Japanese colonial rule. We can say that he proceeded to the cultivation of consciousness of national subjects from the dimension of enlightenment nationalism. It is clearly showing the consciousness of Danjae of enlightenment period through <Future dream of the earth>, and this work needs to receive the high evaluations on this point.

      • KCI등재
      • KCI등재

        영지주의자로서의 단테 연구: 『향연』과 『신곡』의 연옥편을 중심으로

        한성철 한국비교문학회 2019 比較文學 Vol.0 No.79

        Gnosticism in modern times includes a variety of contemporary religious movements, stemming from Gnostic ideas and systems from ancient Roman society. Gnosticism is an ancient name for a variety of religious ideas and systems. Purgatorio (“Purgatory” in English) is the second section of the Divine Comedy, which is an epic poem written by the great Italian poet, Dante. Dante gave the Purgatorio a structure and Gnosis agrees with this. Dante’s structure consists of nine levels. The poets enter the third terrace, which is filled with souls of wrathful penitents. Dante begins to have visions of gentleness, which is an example of the opposite virtue of wrath. The wrathful forever wonder in a cloud of black smoke, which is a manifestation of the anger that clouded their mind and blinded them when they were alive. The souls in this part of the poem do not shout out any examples, but Dante does have a conversation with Marco Lombardo, Cathasrs credent, about permanent truth and free will. Dante also has visions about punished wrath. Dante as gnostics confirmed: when we die our body disintegrates and becomes dust but our psyche lives on. 영지주의란 용어는 아직 완전히 정립되지 않은 개념이며 학자들에 따라 달리 규정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그리스도교와 비 그리스도교를 막론하고 2세기에서 5세기까지 그리스-로마 세계에서 융성한 다양한 종교운동을 총칭하여 영지주의라 일컫는다. 그러나 중세 이후 유럽에서 암암리에 확산된 영지주의는 그리스도교 영지주의라고 할 수 있다. 영지주의 그리스도교는 그리스도교 신학과 그리스-로마 철학 그 중에서도 플라톤의 철학과 세계관이 만나 탄생한 것이다. 이들이 영지주의라 불린 것은 그들이 그노시스(Gnosis) 곧 지식을 중시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자신들만이, 다른 이들에게는 알려지지 않은 특별한 비밀 지식을가졌다고 여겼다. ‘영지주의자’라는 단어는 다양한 관점과 신조를 포괄하는 용어지만, 하나같이 자신들만이 비밀스러운 지식을 가졌다는 엘리트 의식이 있었다. 문학적 가치 면에서 단테의 우수성과 탁월성을 폄하할 평론가는 없다. 다만 그의 작품들이 그리스 문화를 기반으로 중세 스콜라 철학을 재해석 한 것이라는 평가는 설득력 있는 주장이다. 사실 그의 작품에 등장하는 여러 요소들 중 그의 독창성으로 평가할 부분은 그다지 많지 않다. 베아트리체에 대한 그의 감정도 현대적 의미에서 보면 그다지 건강해 보이지 않는 집착과 편집성이 드러난다. 그러나 베아트리체를 성모 마리아가 아닌 지혜의 상징인 소피아(Sophia)의 이미지로 해석해보면 단테의 또 다른 의도를 발견할 수 있다. 그의 교회에 대한 개혁은 단순히 부패한 교회의 인적, 물적 청산으로 그치지 않고 신앙의 본질 다시말하면 순수했던 원시 그리스도 공동체로의 회귀를 꿈꾼다. 이 지점에서 영지주의적 그의 지향이 은연중에 드러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