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혁신학의 관점으로 평가한 진화 창조론: 우종학, 『과학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을 중심으로

        우병훈 ( Byunghoon Woo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60 No.-

        우종학, 『과학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에 제시된 진화 창조론은 과학의 연구 결과를 “일반계시”와 혼동하는 오류를 보여주고, 다윈주의 진화론과 자연주의의 틀에 너무 매여 있기 때문에 반기독교적 세계관을 내포하고 있으며, 주요 교리에 있어서 전통적 개혁신학의 가르침과 심각한 불협화음을 일으키기에 개혁신학이 받아들일 수 없다. 첫째, 우종학은 성경이 특별계시라고 한다면, 자연과학의 발견들은 일반계시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심각한 개념적 오류이다. 그의 진화 창조론은 이런 근본적인 혼동에서부터 출발함으로써 점차로 잘못된 논변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는 과학자를 마치 일반계시의 설명자로 보고 있는데, 이것은 전통적 개혁신학의 가르침과 전혀 다른 주장이다. 일반계시에 대한 가장 적절한 설명은 특별계시인 성경이기 때문이다. 둘째, 우종학의 진화 창조론은 다윈주의 진화론과 자연주의의 틀에 너무 매여 있는 경향성이 있다. 그가 비록 신(新)무신론을 비판하긴 하지만, 창조과학을 비판하는 지점에 가서는 거의 신(新)무신론과 다를 바 없는 입장을 전개한다. 이것은 논리적 모순일 뿐 아니라, 자연주의적이며 반기독교적인 세계관에 빠질 위험이 있다. 셋째, 우종학의 진화 창조론은 기독교의 주요 교리와 조화되기 힘들다. 그의 진화 창조론은 전통적 개혁신학의 아담과 언약에 대한 가르침을 왜곡시키며, 그로 인하여 원죄론은 설 자리가 없게 되고, 구원론 역시 타격을 받게 된다. 또한, 신론에 있어서는 이신론과 범신론을 왔다갔다 하며,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이라는 가르침 역시 침해당한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 전통적 개혁신학은 우종학, 『과학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에 제시된 진화 창조론을 받아들일 수 없다. The evolutionary creationism presented in Jong-Hak Woo’s Challenges of the Scientific Age and Christian Responses is unacceptable in Reformed theology because his theory shows the errors of confusing the results of science with “general revelation,” includes an anti-Christian worldview that is too attached to the Darwinian theory of evolution and naturalism, and discords seriously with major doctrines of the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First, Jong-Hak Woo claims that the discoveries of natural science are general revelation, if the Bible is special revelation. This is a serious conceptual error. His evolutionary creationism, starting from this fundamental confusion, gradually moves on to the wrong argument. He regards a scientist as a describer of general revelation, which is an entirely different argument from the teachings of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The most appropriate explanation for general revelation is found in the Bible which is special revelation. Second, the evolutionary creationism of Jong-Hak Woo has a tendency to be affiliated too much with the Darwinian theory of evolution and naturalism. Though he criticizes New Atheism, he formulates arguments that are very similar to New Atheism when he criticizes Creation Science. This not only is a logical contradiction but has the risk of falling into a naturalistic and anti-Christian worldview. Third, it is difficult for Jong-Hak Woo’s evolutionary creationism to harmonize with the major doctrines of Christianity. His evolutionary creationism distorts traditional Reformed doctrines of Adam and covenant, and in so doing loses a proper place for the doctrine of original sin and strikes a blow to soteriology. Additionally, in the doctrine of God, it goes back and forth between deism and pantheism and also damages the doctrine that the human being is the image of God. For these reasons,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should not accept the evolutionary creationism formulated in Jong-Hak Woo’s Challenges of the Scientific Age and Christian Responses.

      • KCI등재후보

        개혁신학에서 본 진화 창조론

        우병훈(Woo, Byung Hoon) 개혁신학회 2017 개혁논총 Vol.41 No.-

        This essay attempts to demonstrate that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cannot be harmonized with evolutionary creationism found in Dr. Jong-Hak Woo’s book, An Atheist Journalist Inquires of a Christian Scientist. The imagined interlocutor “Dr. Han Byeol,” the representer of Dr. Jong-Hak Woo’s ideas, argues for an evolutionary creationism, but his ideas cause many serious problems in theological issues as well as in logical consistency. First, the interlocutor argues that God created the world and human beings through the Big Bang and evolution. He, however, does not prove this but just presupposes it. Second, his theism is similar to deism in his scientific observation of nature and is close to pantheism in his interpretation of its results. Third, the interlocutor’s ideas clash with the Reformed doctrines of revelation, Scripture, Adam, the image of God, original sin, death, atonement, and Christ. In sum, the evolutionary creationism of the interlocutor is severely inconsistent with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 KCI등재

        크리스천 과학자와 개혁신학자의 주장에 대한 이해 및 성찰 : 신학과 과학의 관계를 중심으로

        고훈(Hoon Ko)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3

        본 논문의 목적은 크리스천 과학자인 우종학의 주장과 개혁신학자 김병훈/우병훈의 주장을 이해하고, 그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오늘날 한국 교회의 모습을 성찰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다음의 절차를 따른다. 첫째, 2장은 1) 해석자의 학문적 배경, 2) 해석자의 상황과 사회적 위치, 그리고 3) 해석자가 사용한 담론적 맥락이라는 관점으로 크리스천 과학자인 우종학과 개혁신학자들인 김병훈/우병훈의 주장을 이해하고자 시도한다. 해석자의 주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1) 그렇게 주장할 수밖에 없었던 원인/상황과 2) 그러한 주장의 영향(효과)까지를 총체적으로 살펴야 한다. 특히 1번(학문적 배경)과 2번(상황/사회적 위치)의 맥락은 해석자의 주장에 대한 원인과 상황을, 3번(언어적 맥락)의 맥락 그의 주장에 대한 결과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기 때문에 필자는 그 세 요소를 선택하였다. 둘째, 3장은 앞선 장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오늘날 한국 교회의 모습을 성찰하고자 한다. 끝으로 필자의 의견과 본 논문이 공헌하고자 하는 바와 한계를 언급하며 마무리하고자 한다. There is currently a debate on whether theology can reconcile with science undertaken between Christian scientist, Jong-Hak Woo and reformed theologian, Byung-Hoon Kim/Byung-Hoon Wo. The former argues that religions can balance with science, accepting evolution or evolution theory. Conversely, the latter claims that reformed theology cannot reconcile with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deas of Christian scientist (Jong-Hak Woo) and of reformed theologian (Byung-Hoon Kim/Byung-Hoon Woo) and to suggest their practical meaning for the Korean Church. This paper will proceed as follows: First, section two explains the aforementioned research and its arguements by employing three views: 1) interpreter’s academic background 2) interpreter’s community/position, and 3) interpreter’s discourse. The three views help to analyze the reason/situation of interpreter (number 1 and 2) and the effect of interpreter’s argument (number 3). Second, the next section offers suggestions regarding the meanings of my paper for today’s Korean churches. Finally, I will organize the previous sections, set out my view, and deal with limits of my paper and future tasks.

      • KCI등재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김시종 연구

        하상일(Ha Sangil) 한국언어문학회 2009 한국언어문학 Vol.71 No.-

        This study looked into the poet Kang Su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started from Huh nam-gi, Kang Sun, and Nam si-woo, and it was transferred to Kim si-jong, Kim Yun, Jung hwa-hum, Kim hak-ryeol, and Jung hwa-su. Kim si-jong’s poetry world is the most important text to read the past, present, and the future of the Korean-Japanese Diaspora. His attitude reflecting the two Koreas critically can be considered to show vividly Diasporatic subject by looking at the dualism of society of the Korean-Japanese who only followed the contrast of North and South Korean ideological contrast. In addition, his poetry should be praised in that it realized its own identity by practically facing the reality of dual languages of the Korean-Japanese Diaspora conflicting between the mother language and the mother tongue. His poetry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the guide to newly establish uniqueness and subjecthood of ‘the Korean-Japanese’ beyond national ideality of the society of the Korean-Japanese who is still captured by North and South ideology.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was based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ideology of the Korean-Japanese who internalized their hurt of colonization and division. Therefore, most of works tried to stand for realistic nature directly showing political social issues, instead of focusing on deepening the lyricism to condense personal emotion to the indentified world. As post-nationalism, post-society discourse is currently appearing as the important issue beyond the boundary of race and nation, the perspective of ‘Diaspora’ and problem awarenes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the effective discourse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rapidly changing world. Kim si-jong’s poems have an important literary meaning as the text containing such the problem awareness.

      • KCI등재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김학렬의 시를 중심으로-

        하상일 ( Sang Il Ha ) 한민족문화학회 2011 한민족문화연구 Vol.36 No.-

        이 논문은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김학렬을 연구한 것이다. 김학렬은 해방 이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역사에서 허남기, 강순, 남시우를 잇는 2세대로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이론적 토대를 정립하는 데 기여한 비평가인 동시에,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과정과 변화양상을 통체적으로 담아낸 대표적인 시인이다.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은 『문학예술』, 『겨레문학』, 『종소리』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문학예술』은 <문예동>의 이념과 정체성을 가장 충실하게 반영하고 실천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의 가장 대표적인 잡지로, 김일성의 교시를 토대로 <총련>의 이념적 지향성과 <문예동>의 창작 방향을 제시하는 데 집중함으로써, 사실상 북한의 문예이론에 입각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의 지침서이자 대표적인 발표 지면으로서의 역할을 했다. 『문학예술』의 휴간 이후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은 『겨레문학』과 『종소리』를 통해 이어나갔는데, 특히 『종소리』의 창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00년 이전까지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발전과정은 재일조선인 사회운동의 발전 단계와 특성에 따라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공화국 창건 이후 <총련>이 결성되기 이전까지의 시기(1948년 9월~1955년 4월)이고, 둘째는 <총련> 결성 이후 김일성 주체사상을 바탕으로 창작의 기치를 드높이던 시기(1955년 5월~1973년)이며, 셋째는 재일조선인들의 조국방문을 시작으로 사상예술성의 강화가 이루어진 시기(1974년~1990년대)이다. 이러한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흐름에서 『종소리』의 창간은 넷째 시기의 시작을 의미한다. 즉 시 창작에 있어서 사상성과 예술성의 조화를 모색하는 뚜렷한 변화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종소리』의 출현은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김학렬의 시세계는 2000년 『종소리』에 창간 이전까지는 북한문학의 지도노선에 충실하여 수령 형상 창조와 조국(북한)에 대한 찬양 일변도의 작품을 썼다. 하지만 『종소리』에서는 이러한 경향을 직접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은 사실상 전무하고 근원적 고향의식에 바탕을 둔 통일에 대한 열망이나 재일조선인의 생활상을 통해 민족공동체의 모습을 형상화한 작품이 대부분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그의 시세계의 변화를 주목함으로써<총련>계 재일 다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양상을 동시적으로 살펴보았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poet Kim hak-ryeol,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started from Huh nam-gi, Kang Sun, and Nam si-woo, and it was transferred to Kim si-jong, Kim Yun, Jung hwa-hum, Kim hak-ryeol, and Jung hwa-su. Kim hak-ryeol`s poetry world was based on the yearning toward his mother country, our fundamental emotion. Kim hak-ryeol`s poetry showed strong politics including the pro-North Korea and anti-South Korea as a Chongryun member while dealing with ordeals and pains Koreans went through. His poetry announced right after making Chongryun showed socialistic realism while expressing straightly admiration for North Korea, and sneers and criticism for North Korean politics. In addition, he announced the purposeful poetry of propaganda supporting actively Chongryun`s patriotic projects. His poetry shows the point of confusion that seems hard to be considered as the one person`s poetry world because of a conspicuous gab between pre-and post- Chongryun of 1955. This resulted from the inner conflict and hurt that he could not but go through as the Korean who experienced the history of national divis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His poetry definitely became the most significant guide to overall understand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was based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ideology of the Korean-Japanese who internalized their hurt of colonization and division. Therefore, most of works tried to stand for realistic nature directly showing political social issues, instead of focusing on deepening the lyricism to condense personal emotion to the indentified world. As post-nationalism, post-society discourse is currently appearing as the important issue beyond the boundary of race and nation, the perspective of ``Diaspora`` and problem awarenes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the effective discourse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rapidly changing world. Kim hak-ryeol`s poems have an important literary meaning as the text containing such the problem awareness.

      • KCI등재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허남기 연구

        하상일(Ha Sang-il) 韓國批評文學會 2009 批評文學 Vol.- No.34

        This study looked into the poet Kang Su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started from Huh nam-gi, Kang Sun, and Nam si-woo, and it was transferred to Kim si-jong, Kim Yun, Jung hwa-hum, Kim hak-ryeol, and Jung hwa-su. Huh nam-gi's poetry had been processed to directly visualize the hurt of colonization and division based on anti-imperial, anti-feudal national consciousness and popular consciousness. The visualization of narrative mind that used the national sufferings as main materials had the meaning of aesthetic practice expressing poetic visualizat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His poetry shows the point of confusion that seems hard to be considered as the one person's poetry world because of a conspicuous gab between pre-and post- Chongryun of 1955. This resulted from the inner conflict and hurt that he could not but go through as the Korean who experienced the history of national divis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His poetry definitely became the most significant guide to overall understand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was based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ideology of the Korean-Japanese who internalized their hurt of colonization and division. Therefore, most of works tried to stand for realistic nature directly showing political social issues, instead of focusing on deepening the lyricism to condense personal emotion to the indentified world. As post-nationalism, post-society discourse is currently appearing as the important issue beyond the boundary of race and nation, the perspective of 'Diaspora' and problem awarenes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the effective discourse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rapidly changing world. Huh nam-gi's poems have an important literary meaning as the text containing such the problem awareness.

      • KCI등재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허남기 연구

        하상일 한국비평문학회 2009 批評文學 Vol.- No.34

        This study looked into the poet Kang Su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started from Huh nam-gi, Kang Sun, and Nam si-woo, and it was transferred to Kim si-jong, Kim Yun, Jung hwa-hum, Kim hak-ryeol, and Jung hwa-su. Huh nam-gi’s poetry had been processed to directly visualize the hurt of colonization and division based on anti-imperial, anti-feudal national consciousness and popular consciousness. The visualization of narrative mind that used the national sufferings as main materials had the meaning of aesthetic practice expressing poetic visualization of historical consciousness. His poetry shows the point of confusion that seems hard to be considered as the one person’s poetry world because of a conspicuous gab between pre-and post- Chongryun of 1955. This resulted from the inner conflict and hurt that he could not but go through as the Korean who experienced the history of national divis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His poetry definitely became the most significant guide to overall understand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was based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ideology of the Korean-Japanese who internalized their hurt of colonization and division. Therefore, most of works tried to stand for realistic nature directly showing political social issues, instead of focusing on deepening the lyricism to condense personal emotion to the indentified world. As post-nationalism, post-society discourse is currently appearing as the important issue beyond the boundary of race and nation, the perspective of ‘Diaspora’ and problem awarenes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the effective discourse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rapidly changing world. Huh nam-gi’s poems have an important literary meaning as the text containing such the problem awareness.

      • KCI등재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하상일(Ha, Sang-Il) 한국문학회 2010 韓國文學論叢 Vol.56 No.-

        이 논문은 해방 이후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정화수의 시세계를 연구한 것이다. 특히 해방 이후 재일조선인 조직의 변화 과정을 통해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양상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정화수의 시세계를 <총련>계 재일조선인의 의식 변화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정화수 시인은 2000년 이후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의 변화를 주도한 시인으로, 그가 중심이 되어 발간한 '종소리'는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혁신된 모습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재일조선인 사회는 '민단'과 <총련>을 중심으로 한 남북의 이념적 대리전 양상을 노골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재일조선인들의 인권이나 생활보다는 남북한의 이해관계에 종속된 정치조직의 성격이 강했다. <총련>의 결성은 재일조선인들의 생활과 민족운동에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왔다. <총련>계 재일조선인 문학예술 운동은 북한과의 조직적인 연대 위에서 혁명적 문예전통과 주체적 사실주의창작방법론을 확립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은 『문학예술』, 『겨레문학』,『종소리『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문학예술』은 <문예동>의 이념과 정체성을 가장 충실하게 반영하고 실천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의 가장 대표적인 잡지로, 김일성의 교시를 토대로 <총련>의 이념적 지향성과 <문예동>의 창작 방향을 제시하는 데 집중함으로써, 사실상 북한의 문예이론에 입각한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활동의 지침서이자 대표적인 발표 지면으로서의 역할을 했다. 문학예술의 휴간 이후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은 『겨레문학』과 『종소리』를 통해 이어나갔는데, 특히 『종소리』의 창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00년 이전까지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발전과정은 재일조선인 사회운동의 발전 단계와 특성에 따라 크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공화국 창건 이후 <총련>이 결성되기 이전까지의 시기(1948년 9월~1955년 4월)이고, 둘째는 <총련> 결성 이후 김일성 주체사상을 바탕으로 창작의 기치를 드높이던 시기(1955년 5월~1973년)이며, 셋째는 재일 조선인들의 조국방문을 시작으로 사상예술성의 강화가 이루어진 시기(1974년~1990년대)이다. 이러한 재일조선인 시문학의 흐름에서 종소리의 창간은 넷째 시기의 시작을 의미한다. 즉 시 창작에 있어서 사상성과 예술성의 조화를 모색하는 뚜렷한 변화를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종소리의 출현은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되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정화수의 시세계는 1980년 북한에서 출간한 시집 영원한 사랑 조국의 품이여에 수록된 시편들과 2000년 이후 종소리에 발표한 시편들 사이에 내용과 형식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시집에 수록된 시들에서는 수령 형상 창조와 조국(북한)에 대한 찬양 일변도의 작품이 대부분이었던 반면, 종소리에서는 이러한 경향을 직접적으로 형상화한 작품은 사실상 전무하고 근원적 고향의식에 바탕을 둔 통일에 대한 열망이나 재일조선인의 생활상을 통해 민족공동체의 모습을 형상화한 작품이 대부분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그의 시세계의 변화를 주목함으로써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전개 양상을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poet Jeong Hwa-su,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started from Huh nam-gi, Kang Sun, and Nam si-woo, and it was transferred to Kim si-jong, Kim Yun, Jung hwa-hum, Kim hak-ryeol, and Jung hwa-su. Jeong Hwa-su‘s poetry world was based on the yearning toward his mother country, our fundamental emotion. Jeong Hwa-su‘s poetry showed strong politics including the pro-North Korea and anti-South Korea as a Chongryun member while dealing with ordeals and pains Koreans went through. His poetry announced right after making Chongryun showed socialistic realism while expressing straightly admiration for North Korea, and sneers and criticism for North Korean politics. In addition, he announced the purposeful poetry of propaganda supporting actively Chongryun’s patriotic projects. His poetry shows the point of confusion that seems hard to be considered as the one person’s poetry world because of a conspicuous gab between pre-and post- Chongryun of 1955. This resulted from the inner conflict and hurt that he could not but go through as the Korean who experienced the history of national divis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His poetry definitely became the most significant guide to overall understand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was based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ideology of the Korean-Japanese who internalized their hurt of colonization and division. Therefore, most of works tried to stand for realistic nature directly showing political social issues, instead of focusing on deepening the lyricism to condense personal emotion to the indentified world. As post-nationalism, post-society discourse is currently appearing as the important issue beyond the boundary of race and nation, the perspective of ‘Diaspora’ and problem awarenes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the effective discourse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rapidly changing world. Jeong Hwa-su's poems have an important literary meaning as the text containing such the problem awareness.

      • KCI등재후보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정화흠 연구

        하상일 ( Sang Il Ha ) 영주어문학회 2011 영주어문 Vol.21 No.-

        This study looked into the poet Jung hwa-hum,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started from Huh nam-gi, Kang Sun, and Nam si-woo, and it was transferred to Kim si-jong, Kim Yun, Jung hwa-hum, Kim hak-ryeol, and Jung hwa-su. Jung hwa-hum`s poetry world was based on the yearning toward his mother country, our fundamental emotion. Jung hwa-hum`s poetry showed strong politics including the pro-North Korea and anti-South Korea as a Chongryun member while dealing with ordeals and pains Koreans went through. His poetry announced right after making Chongryun showed socialistic realism while expressing straightly admiration for North Korea, and sneers and criticism for North Korean politics. In addition, he announced the purposeful poetry of propaganda supporting actively Chongryun`s patriotic projects. His poetry shows the point of confusion that seems hard to be considered as the one person`s poetry world because of a conspicuous gab between pre-and post- Chongryun of 1955. This resulted from the inner conflict and hurt that he could not but go through as the Korean who experienced the history of national divis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His poetry definitely became the most significant guide to overall understand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was based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ideology of the Korean-Japanese who internalized their hurt of colonization and division. Therefore, most of works tried to stand for realistic nature directly showing political social issues, instead of focusing on deepening the lyricism to condense personal emotion to the indentified world. As post-nationalism, post-society discourse is currently appearing as the important issue beyond the boundary of race and nation, the perspective of ``Diaspora`` and problem awarenes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the effective discourse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rapidly changing world. Jung hwa-hum`s poems have an important literary meaning as the text containing such the problem awareness.

      • KCI등재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강순 연구

        하상일(Ha, Sang-il) 한국문학회 2009 韓國文學論叢 Vol.53 No.-

        이 논문은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강순을 연구한 것이다. 강순은 해방 이후 허남기, 남시우 등과 함께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형성기를 주도한 시인이다. 그는 해방 이후 총련 산하 문예동을 중심으로 활동하다가 조직의 이념적 폐쇄성에 반발해 문예동을 탈퇴하고 남한과 북한 양쪽 모두와 비판적 거리를 두면서 재일 디아스포라의 사회역사적 실존을 성찰하는 데 주력하였다. 우리말로 시를 창작하면서 재일 디아스포라의 이중 언어 현실을 깊이 고민했으며, 1960-70년대 남한의 진보적 시인들의 시집을 일본어로 번역 소개함으로써 1960년대 이후 남한 시문학과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교섭에 일익을 담당했다. 첫 시집 󰡔강순시집󰡕은 해방 이후 재일 디아스포라의 역사적 변화과정을 고려하여 총련 결성 이전의 시와 이후의 시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총련 결성 이전의 경우에도 해방 직후부터 남북한이 각각 단독정부를 수립(1945-1948)하기까지 시의 양상과 그 이후부터 총련이 결성되기 전(1949-1954)까지 시의 모습은 일정한 차이가 있는데, 전자가 해방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조국으로 귀환하지 못한 재일조선인들의 근원적 향수와 민족의 정한을 드러내는 민족적 표상의 형상화에 중점을 두었다면, 후자는 해방이 분단으로 고착화되어버린 현실에 대한 비판과 총련계 재일 지식인으로서 민족 분단의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실천적 모습을 형상화하는 데 강조점을 두었다. 그리고 총련 결성 이후(1955-1964)의 시세계는 총련의 지도자로서 북한에 대한 찬양과 남한에 대한 비판을 목적으로 하는 선전선동의 양상을 두드러지게 표방하였다. 두 번째 시집 󰡔강바람󰡕은 남북의 경직된 이데올로기에 철저하게 종속되어 극단적 대립과 갈등으로 치닫는 재일조선인 사회의 이원화에 대한 비판과, 이러한 대립과 갈등을 오히려 조장하는 반통일세력, 즉 미국, 일본과 같은 외세는 물론이거니와 민족보다 이념을 더 우선시하는 재일조선인 내부의 조직적 폐쇄성에 대한 강한 부정을 담아냈다. 이러한 그의 시의 경향은 그가 1964년 <조선신보사>를 그만두고 총련 조직을 떠난 가장 큰 이유가 된다고도 할 수 있는데, 디아스포라적 주체로서 그의 시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가 민족의 통일에 있었음을 명확하게 제시했음에 틀림없다. 그리고 그는 해방 이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의 민족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모어로서의 일본어와 모국어로서의 우리말 사이에서 첨예한 갈등을 겪어온 이중 언어의 현실을 특별히 주목하였다. 또한 이러한 이중 언어의 현실조차 이데올로기적 허구성에 구속되어서는 안 된다는 문제의식으로, 재일조선인들의 실존을 규정하고 민족 정체성을 구현하는 언어의 실천적 가치에 대해 깊이 고민하였다. 그의 시가 이데올로기 중심의 󰡔강순시집󰡕의 경향에서 벗어나 재일 디아스포라의 생활상을 구체화하는 󰡔강바람󰡕의 세계로 변화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poet Kang Su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started from Huh nam-gi, Kang Sun, and Nam si-woo, and it was transferred to Kim si-jong, Kim Yun, Jung hwa-hum, Kim hak-ryeol, and Jung hwa-su. Kang Sun’s poetry world was based on the yearning toward his mother country, our fundamental emotion. Kang Sun's Sijip (󰡔강순시집󰡕) showed strong politics including the pro-North Korea and anti-South Korea as a Chongryun member while dealing with ordeals and pains Koreans went through. On the other hand, Kangbaram(󰡔강바람󰡕) in which he collected creative poems after leaving Chongryun, announced the work reflecting the existence of Korean-Japanese Diaspora at the neutral position neither for Chongryun nor for Mindan. His poetry announced right after making Chongryun showed socialistic realism while expressing straightly admiration for North Korea, and sneers and criticism for North Korean politics. In addition, he announced the purposeful poetry of propaganda supporting actively Chongryun’s patriotic projects. After leaving Chongryun, Kangbaram(󰡔강바람󰡕) showed critical self-reflection against the conspicuous reality of dualism of the Korean literary in Japan, and it aims to give the direction to overcome the divided nation’s reality through all-out criticism of anti-reunification forces. After liberation, the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was based on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ideology of the Korean-Japanese who internalized their hurt of colonization and division. Therefore, most of works tried to stand for realistic nature directly showing political social issues, instead of focusing on deepening the lyricism to condense personal emotion to the indentified world. As post-nationalism, post-society discourse is currently appearing as the important issue beyond the boundary of race and nation, the perspective of ‘Diaspora’ and problem awareness have attracted attention as the effective discourse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rapidly changing world. Kang Sun’s poems have an important literary meaning as the text containing such the problem awar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