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팔츠(Pfalz)의 개혁파 종교개혁의 발전(1558-1561) : 멜란히톤과 칼빈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안인섭 ( Ahn¸ Insub ) 한국개혁신학회 2021 한국개혁신학 Vol.71 No.-

        16세기 종교개혁 당시 독일에는 전통적인 봉건적 영주들과 선제후들 가운데 로마 가톨릭주의나 루터주의 지역과 맞닿아 있으면서 스위스에서 시작된 개혁주의를 시범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공간이 생겼다. 팔츠의 종교개혁은 신성로마제국의 정치적이고 외교적인 구조 위에서 열린 공간 속에서 배양되어 선-종교개혁(Pre-Reformation)이라는 잠복기를 통해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아우구스부르크 가신조(1548)와 아우구스부르크 종교화약(1555) 사이의 기간이 팔츠 종교개혁에서는 결정적인 시기였다. 오토 헨리 선제후(재위: 1556-1559)가 루터주의를 수용하게 되었는데 이때 순수 루터주의와 개혁주의가 어설프게 공존하게 되면서 분쟁의 씨앗이 잠재되어 있었다. 개혁신앙의 자양분을 가지고 있었던 프레드릭 3세가 즉위할 때(1559. 2.)부터 이미 하이델베르그 대학 내에는 헷수시우스의 순수-루터파와 클레비츠의 개혁파간의 갈등이 고조되어 있었다. 이 교회의 균열을 해결하기 위해서 프레드릭은 멜란히톤에게 조언을 청했다. 멜란히톤의 중재를 위한 "판단(Iudicium de Controversia Coenae Domini)"이 1559년 11월 1일에 작성되어 팔츠 선제후에게 보내져 해결의 방향을 제시하게 되었다(출판은 1560. 9). 멜란히톤은 “판단”에서 성찬에서 떡을 떼는 것을 고전 10:16을 인용하여 그리스도의 몸에 참여함이라고 해석하여 개혁파의 성찬론에 거의 근접했다. 그러나 5개월 후(1560.4.19.) 멜란히톤이 사망하게 되자, 팔츠는 신학적으로 지도력의 공백을 맞아 더욱 스위스를 바라보게 되었다. 제네바의 칼빈은 불링거(Heinrich Bullinger)로부터 자료를 넘겨받아 팔츠의 신학논쟁을 야기했던 순수-루터파 헷수시우스를 비판하는 논문을 출판(1561)하면서 팔츠의 개혁파 종교개혁에 직접적으로 신학적 개입을 했다. 1558년에서 1561년 사이에 위와 같은 역사적 격변이 일어나면서 팔츠는 개혁주의 종교개혁의 기반 위에 서게 되었다. 이런 개혁신학의 토대 위에서 팔츠 선제후에 의해 1562년에 시작해서 1563년에 하이델베르그 신앙고백서가 출판될 수 있었고, 그것이 각국으로 번역되고 확산됨으로 팔츠는 국제적 칼빈주의의 구심점이 되었다. 따라서 16세기 팔츠 지역의 개혁주의 종교개혁의 발전은 신성로마제국의 정치적인 맥락과 순수-루터파와 멜란히톤주의의 분열과 갈등, 그리고 칼빈과 불링거를 중심으로 하는 스위스 개혁주의의 연계라는 다차원적인 맥락에서 조명해야 할 것이다. During the Reformation of the sixteenth century, Germany had a space to apply the reformed thoughts that originated in Switzerland just like a pilot project among the traditional feudal lords and Electors, while meeting the borders of the Catholic or Lutheran regions. The Reformation of the Palatinate was cultivated in an open field on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structure of the Holy Roman Empire, and was gradually progressing through the incubation period of Pre-Reformation. The period between the Augsburg Interim (1548) and the Peace of Augsburg (1555) was decisive in the Palatinate Reformation. Otto Henry (reign as Elector: 1556-1559) accepted Lutheranism, when he poorly invited the Gnesio-Lutherans and reformed thinkers without consideration, leaving the seeds of conflict. From the period of Frederick III, new Elector of the Palatinate, who was nourished with the Reformed faith, came to the throne (1559 Feb.), there was already a conflict between Heidelberg's Gnesio-Lutherans and Reformed theologians as Klevitz in Heidelberg University. To resolve the theological conflicts, Frederick turned to Melanchthon for his advice. Melanchthon's "Judgment (Iudicium de Controversia Coenae Domini)" for arbitration was written on November 1, 1559 and sent to Elector the Palatinate to suggest the direction of resolution (published on 9 September 1560). Melanchthon's interpretation of breaking bread in the sacrament in “judgment” was quoted from 1 Corinthians 10:16 as a participation( koinonia) in the body of Christ, and came close to the sacramental theory of the Reformed theologians. However, after the death of Melanchthon (1560.4.19.), facing a doctrinal vacuum in its leadership, the Palatinate became to head to a theological view of Switzerland. Calvin of Geneva received a letter with the data from Heinrich Bullinger and made a direct theological intervention in the Reformation of the Reformed theology, publishing a writing (1561) criticizing the Gnesio-Lutheran Heshusius that caused the tough controversy in the Palatinate. Between 1558 and 1561 the above historical upheavals took place, putting the Palatinate on the basis of the Reformed theology. On this background, the Heidelberg Catechism, which began in 1562 by Elector of the Palatinate, was published in 1563. It was translated and spread throughout the whole Europe. The Palatinate became the pivotal place of the international Calvinism.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Reformed Reformation in the Palatinate in the sixteenth century should be recognized in the multilateral contexts of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Holy Roman Empire, the divisions and conflicts between Gnesio-Luterians and the followers of Melanchthon,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Reformed camps, such as Bullinger and Calvin, in Switzerland.

      • KCI등재후보

        종교개혁자들의 예배개혁에 대한 고찰과 적용

        이승우 개혁신학회 2020 개혁논총 Vol.51 No.-

        종교개혁은 신학의 개혁이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신학의 개혁은 예배의개혁으로 이어졌다. 개혁자들은 자신들이 주장한 신학을 신앙을 구체화하는가장 중요한 장소인 예배에서 펼쳐 보여야 했다. 그러므로 예배의 개혁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본 글에서 필자는 종교개혁에서 예배개혁이 어떻게 이뤄졌는지 살피고 그 개혁의 기준과 의미를 오늘 우리에게 적용하고자 했다. 개혁자들은 예배에서 말씀과 성찬의 균형을 회복하고 성찬에서의 잘못된신학은 배격했다. 회중이 알아들을 수 있는 예배를 위해 자국어로 성경을 번역하고 설교했으며 예배를 인도했다. 만인제사장의 원리는 예배 현장에서 구현되었다. 개혁자들 간의 완전한 일치를 보지는 못했지만, 위험성이 있는 미신적이고 인간적 요소들은 제거되거나 제한되었다. 이러한 종교개혁자들의 개혁 정신이 오늘날 우리 예배 속에 제대로 적용되고 있는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개혁자들이 고민하고 싸워왔던 잘못된 신학과그 실행이 우리들의 예배 가운데 반복되지 않도록 개혁은 계속되어야 한다. 회중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다양한 개혁을 했던 개혁자들의 정신을 이어받아 오늘날 예배도 회중들의 적극적이고 능동적 예배 참여를 독려해야 한다. 성찬의 회복과 균형을 추구했던 개혁자들의 정신은 우리 예배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성찬을 더 자주 해야 하고 올바른 성찬의 이해를 추구해야 한다. 개혁자들이 예배에서 설교를 회복했던 정신은 회중의 삶을 이해하며 회중들이 쉽게 알아들을 수 있는 설교로 적용되어야 한다. 덧붙여 인본주의와 기복주의가 만연한 이 시대에 하나님의 말씀을 제대로 전하는 설교가 회복되어야한다. 현대 예배에서 중요한 비중으로 자리 잡은 음악적 요소들을 사용하는데도 개혁자들의 신학적 고민을 신중히 검토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회는 날마다 개혁되어야 한다는 개혁교회의 정신이 오늘 우리 교회들에서 신실하게 구현되고 있는지 고민해야 한다. 그리고 개혁자들이 고민하고싸워왔던 잘못된 신학과 그 실행이 우리들의 예배 가운데 반복되지 않도록개혁은 계속되어야 한다. The Reformation was a reformation of theology, and naturally, the reformation of theology led to the reformation of worship. The reformers had to unfold their theology that they had reformed in worship service. Therefore, it is very meaningful to study the reformation of worship. In this article, how worship reformation was carried out during the Reformation was examined, and an attempt was made to apply the standard and meaning of the Reformation today. Reformers restored the balance of the Word and the Eucharist in worship and rejected the incorrect theology of the Eucharist. They translated the Bible into their native language and preached in the language of the congregation. The doctrine of the “Priesthood for All Believers” was embodied in worship. Although there was no unified opinion between the reformers, superstitious and humanistic factors were removed or restricted. It is still questionable whether the core values of the reformers are applied correctly in our worship today. Reformation must continue so that false theology and its practices that the reformers struggled with are not repeated in our worship. Today, congregations should be encouraged to have active attitudes toward worship, and this follows the spirit of the reformers who made various reforms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congregation. The spirit of the reformers, who pursued the restoration and balance of the sacrament, should also be applied to our worship. The sacrament should be made more ofte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proper sacrament should be pursued. The efforts of the reformers to recover preaching in worship must be implemented as preaching that the audience can easily understand and preachers must understand the lives of the audience. In addition, in this era when humanism and shamanic beliefs are prevalent, preaching that reveals the Word of God must be restored. It is necessary for the theological concerns of the reformers on using music in worship service to be considered and applied profoundly to modern worship. We must consider whether the spirit of the Reformation, which is that the church must always be reformed, is being faithfully implemented in our churches today and reformation must continue so that false theology and its practices that the reformers struggled with are not repeated in our worship.

      • KCI등재후보

        1520년대 스트라스부르의 종교개혁

        황대우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9 생명과 말씀 Vol.23 No.1

        This paper is dealing with the territorial Reformation of Strasbourg, the southern city of Germany in the sixteenth century. The political structure of Strasbourg was close to the ideal polity of Plato. The top political organization of the city was the small Council, in general called the City Council. The urban Reformation could not have happened without the mutual cooperation between Church and Government. It was not easy, because there were much disagreement of opinion on the urban Reformation between the Reformers and the members of the City Council. The first Reformer of Strasbourg was Mattäus Zell. He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works of Luther the Reformer of Wittenberg in order to preach evangelically. In 1523, three Reformers arrived in Strasbourg. They were Wolfgang Capito, Caspar Hedio, and Martin Bucer. Unlike the first two, the last was not invited. Bucer quickly increased his influence. Within a short time, he became the leader of the Strasbourg's preachers. The attitude of the preachers for the Reformation of Strasbourg always were active and positive while that of the city councilors usually were passive and negative. For the Reformers it was a divine mission to preach purely the Word of God. The councilors thought that the stabilization of the city was more important than the evangelical preaching. The conflicts between Strasbourg's preachers and councilors were results of those different attitudes for the Reformation. In spite of passive attitude of the city councilors, Strasbourg finally became the reformed city, so that she abolished the Mass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21 February 1529. The primary cause of the urban Reformation was the evangelical preaching of the Reformers. The citizens strongly supported them because of their enthusiasm of the pure evangelism. Consequently, the City Council commanded the preachers to preach the Word of God only. In fact, the enthusiastic preaching of the Reformers had gradually removed a lot of the socio-political difficulties and obstacles to the urban Reformation. In short, the Word of God was the motive power of the Reformation of Strasbourg in 1520s. 본 논문은 1520년대 독일 남부도시 스트라스부르의 종교개혁을 다루고 있다. 16세기 스트라스부르의 정치 구조는 플라톤의 이상적인 정치구조에 가까웠다. 이 도시의 최고 정치 기구는 시의회라 불리는 소의회였다. 교회와 정부의 협력 없이는 스트라스부르의 종교개혁은 불가능했다. 하지만 그 둘 사이의 갈등은 불가피했다. 왜냐하면 도시개혁을 위해 교회의 대표자들인 종교개혁자들은 언제나 적극적이고 능동적이었던 반면에 시의회는 거의 항상 소극적이고 부정적인 자세였기 때문이다. 스트라스부르의 첫 종교개혁자는 마테 첼이었다. 그는 복음적인 설교를 하는데 있어서 비텐베르크 종교개혁자 루터의 영향을 받았다. 1523년에 3명의 종교개혁자가 스트라스부르에 들어왔는데 그들 중 부써는 초대받지 못했으나 빠르게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단 기간에 스트라스부르 설교자들의 리더가 되었다. 종교개혁자들은 개혁이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신앙적 사명이라고 생각했던 반면에 시의회는 말씀보다 도시의 안녕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 시의회는 도시가 무질서한 혼란에 빠지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야 했기 때문에 때론 종교개혁자들과 대립하곤 했다. 비록 이런 갈등과 반목은 불가피한 일이었지만 스트라스부르는 결국 1529년 2월 21일에 미사를 폐지하기로 결정함으로써 공적으로 종교개혁을 수용했다. 스트라스부르 종교개혁의 성공을 이끈 주요 원인은 설교자들의 복음 설교였다. 스트라스부르 설교자들은 순수한 복음 설교를 통해 시민들의 지지지를 받게 되었다. 그 결과 시의회도 순수한 복음 설교 외에 다른 것을 설교하지 못하도록 금지하는 명령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 이런 점에서 순수한 복음 설교에 대한 종교개혁자들의 믿음과 열정이 도시의 모든 정치적, 사회적 장애물을 극복하도록 만들었다. 한 마디로, 1520년대 스트라스부르 종교개혁은 하나님의 말씀이 승리한 사건이었다.

      • KCI등재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역사신학적 고찰-

        임원택 ( Won Taek Lim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2 생명과 말씀 Vol.6 No.-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은 ‘신학’(theologia)이란 용어가 “하나님의 말씀” (Word of God)과 “하나님에 관한 말”(word concerning God) 둘 다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했다. 신학이 하나님의 말씀을 의미하든 혹은 하나님에 관한 말을 의미하든, 어느 경우라도 하나님과의 인격적 만남을 경험함 없이는 신학을 올바로 할 수 없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은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신학의 의미를 특별히 강조한다. 우리의 신학이 하나님의 말씀이 되려면 우리 자신들이 먼저 하나님을 인격적으로 알아야 한다. 그래서 개혁주의생명신학은 하나님과의 인격적 만남을 강조한다. 성경을 통해 우리가 만나는 하나님은 추상적인 하나님이 아니라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하나님, 즉 인격적인 하나님이시다. 신학은 대상을 추상화하고 고정하며 상대화하는 학문이 될 수 없다. 그러므로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 영국의 개혁신학자들은 “theology”라는 용어보다는 “divinity”라는 용어를 선호했다. 게다가 츠빙글리와 칼빈 그리고 불링거는 “theologia” 라는 용어를 정의하거나 논의하지 않았다. 그들에게 중요했던 것은“religio”라는 개념이었다. 그들은 신자들에게 하나님을 올바로 알고 예배하도록 가르치는 매우 실천적인 가르침에 관심을 가졌다.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은 종교개혁자들의 이런 실천적 관심을 계승했다. 이렇듯 신학과 관련해서 종교개혁자들과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은 신앙의 실천을 지향했음이 명백하다.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명제는 신학이 하나님에 관한 지적 앎이 아니라 하나님을 인격적으로 앎이라는 의미다. 그렇다면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선언은 신앙의 실천을 매우 강조했던 종교개혁자들과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의 입장에 굳건히 서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개혁신학자들은 이론과 실천의 균형을 추구했다. 그런데 개혁파 정통주의자들 중 다수는 신학의 이론적 측면을 인정하면서도 신학의 실천적 측면을 강조했다. 참된 신학의 목표는 하나님께 영광돌림과 우리의 구원이기 때문이다.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선언은 신학이 영혼을 살리고 교회를 세우는 것이기에, 참된 신학은 단지 지적 앎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생명을 담은 복음이어야 함을 천명하고 있다. 멸망으로 이끄는 신학은 실천이 없는 신학인 반면, 살리는 신학은 성경의 가르침대로 실천하는 신학이다. 그러므로 “신학은 학문이 아니다”라는 선언은 종교개혁자들과 개혁파 정통주의자들의 입장에 굳건히 서있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 우리 신학자들이 자성하고 현재의 교회를 다시 확고히 세우는데 마땅히 감당해야 할 역할이 있음을 다시금 환기시키는 당위적 선언이다. Justifying the use of the term theologia, the Reformed orthodox understood theology to mean both “Word of God” and “word concerning God.” Whether theology means God`s word or our word concerning God, we cannot perform the right doing of theology in either meaning without our personal encounter with God. Reformed Life Theology puts special emphasis on the meaning of theology as God`s word. A theologian should have a personal knowledge of God before his or her theology becomes God`s word. Reformed Life Theology emphasizes our personal encounter with God. For our God in the Bible is not an abstract God but God of Abraham, Isaac, and Jacob, thus being a personal God. Theology cannot be a science that makes its object abstract, fixed, and relativized. Therefore, theology is not a mere academic discipline. The English theologians expressed a decided preference for the term “divinity” over the word “theology.” In addition, Zwingli, Calvin and Bullinger neither defined nor discussed the term theologia, but the concept of religio was of primary importance to them. They were interested in the very practical teaching that showed the right way of knowing and honoring God. The Reformed orthodox inherited such a practical concern of the Reformers. Thus, with theology, both the Reformers and the Reformed orthodox evidently headed toward the praxis of religion. The statement that “theology is not a mere academic discipline” means that theology is not a mere intellectual knowledge about God but a personal knowledge of God. Then, this statement can be understood as standing in the line of the Reformers and the Reformed orthodox, who paid great emphasis on the praxis of religion. The Reformed theologians pursued the balance of theory and practice. Acknowledging the speculative dimension of theology, however, a large number of Reformed orthodox emphasized its practical dimension. For the goal of true theology is the glorification of God and our salvation. The statement that “ theology is not a mere academic discipline” clarifies that theology, which gives life to our soul and our church, thus a true theology, cannot be a mere intellectual knowledge, but should be a gospel containing the life of Jesus Christ. While a theology leading to perdition is a theology that does not have a praxis, a theology giving life is a theology that has a praxis according to the teaching of the Bible. The statement that “ theology is not a mere academic discipline,” Therefore, not only stands in the line of the Reformed tradition, but also clarifies that today`s theology should reflect on itself and play its proper role in reestablishing the present church.

      • KCI등재후보

        다미아니의 교회관과 종교개혁 이전 교회개혁운동

        김봉수 ( Bong Soo Kim ) 개혁신학회 2011 개혁논총 Vol.19 No.-

        근대의 종교개혁 이전의 중세 교회의 개혁가들 중에는 후에 근대 종교개혁가들이 보여주게 될 사상적 특징들을 자신의 개혁이념으로 삼아 교회개혁운동을 추구한 사람들이 있었다. 그런 인물들로는 먼저 성직계급주의를 극복함으로써 <제2차바티칸 공의회>를 예감한 인물로 인정받는 다미아니(Petrus Damiani, 1007-1072)를 말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시대 순서를 따라 발도(Peter Waldo, 1140-1218)와 위클리프(John Wyclif, c. 1328-1384), 그리고 후스(Jan Hus, c. 1369-1415)를 예로 들 수가 있다. 위에서 말한 중세의 교회개혁가들은 루터와 칼빈을 비롯한 근대의 종교개혁가 들이 보여준 개혁이념들인``오직 성경(sola scriptura)``, ``오직 믿음(sola fide)``, ``오직은혜(sola gratia)``, 그리고``만인제사장(priesthood of all believers)``과 같은 것들 중에 일부를 자신이 추구했던 교회개혁운동의 사상적 토대로 삼았다는 점에서 일치한다. 다미아니는``교회와 국가의 역할 분담``, ``교회의 동일한 구성원인 성직자와 평신도``, ``영성 추구에서 나타난 남녀 차별의 극복``과 같은 말들로 표현되는 만인제사장적 교회관을 보여주었다. 발도와 그의 추종자들은 성경에 근거하려는 태도와 초대교회의 정신을 회복하려는 시도를 통해 그런 개혁이념을 드러내 보였다. 위클리프는 최대한 많은 사람들에게 성경을 보급하고, 성직자와 평신도 사이의 차별을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일종의 성경 중심주의를 보여주었다. 끝으로 후스는 중세에 지배적이었던 계급적 교회론을 부인하면서 교황무오설에 이의를 제기함으로써 근대의 종교개혁운동을 준비한 측면이 없지 않다. 정리해 보면 중세의 교회개혁가들인 다미아니, 발도, 위클리프, 그리고 후스는 구원을 위해 필요하다는 종교적 근거에서 주장되던 권위에 대한 복종을 그 특색으로 하던 시대 한 가운데서 계급적 교회관에 정면으로 도전하면서, 만인제사장적교회관에 입각한 성경적 교회를 회복하기 위한 교회개혁운동에 헌신한 사람들이다. 따라서 이런 사실을 근거로 종교개혁 이전 교회개혁가들과 그들이 추구한 교회개혁운동에 대한 평가가 이전보다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Damian lived in the midst of the hierarchical medieval society. Nevertheless, he thought that there must be a profound equality among the members in the Christian world, a fellowship which is not ruptured by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His rejection of episcopal immunity was found once again in his profound intuition that the sacerdotal office demands service to one`s flock rather than domination over it. Damian`s conception of the equality between the members of Church was not differ from the idea of priesthood of all believers, which echoed in the reformed theology of Luther and Calvin. As they did, Damian quoted core verses from Paul, John, and Peter to support his own reform movement. "Do you not know that your bodies are members of Christ himself"(1 Corinthians 6:15). "Who loved us, and washed us from our sins in his own blood, and made us a kingdom, and priests to God and his Father"(Revelation 1:5-6) "You are a chosen race, a royal priesthood, a dedicated nation, and a people claimed by God as his own, to proclaim the triumph of him who has called you out of darkness into his marvelous light"(1 Peter 2:9). The equalitarianism of ``priesthood of all believers`` might force Damian to maintain a balance of power between the radical and the moderate in Curia. But after his death, the condition of affairs has changed. Hildebrand acceded to the Pontiff as Gregory VII. And he accepted the radical and class-conscious theory of Humbert in his reign. From this time, in the medieval Catholic Church a kind of clericalism began to grow. Due to this bad condition we can see a group of reformers who acted before the reformation. Waldo, Wyclif, and Hus were the representatives for this group. They and their followers denied openly the papal power and the hierarchy of Church. And they, like Augustine or Damian, found the basis of their reforms in the Bible. Most of them, therefore, on the ground of the spirit ``priesthood of all believers`` that comes from ``sola scrpitura``, they sought to embody an antihierarchical and brotherly view of Church in their reforms. For this purpose they were willing to be excommunicated or burned to death. To sum up, including Damian, the reformers before the reformation not only attacked the clerical sins (simony and nicolaitism), but also devoted themselves to build an ideal Church, of which the apostles said in the New Testament. Because of this they could show the similar aspects with the reformers (as Luther and Calvin) of the reformation, and was evaluated friendly by them. Taking into this, I would say that the evaluation of reforms before the reformation is need to be more positive.

      • 개혁주의생명신학으로 본 한국교회 청년대학생사역의 문제점과 그 대안: 제2의 종교개혁을 기대하면서

        안오순 ( Ahn Oh Soon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7 생명과 말씀 Vol.18 No.-

        한국교회는 민족의 아픈 현실 속에서 겨자씨 한 알처럼 시작하였지만 대한민국의 건국과 조국의 근대화와 산업화, 그리고 민주화에 큰 기여를 하면서 소금과 빛의 역할을 다하였다. 그러나 오늘의 한국교회는 사회로부터 사랑과 존경을 받지 못하고 있다. 더욱 심각한 일은 청년대학생이 교회를 떠난다는 사실이다. 이 겨레와 함께 하였던 한국교회가 그 겨레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다. 교회가 영적인 생명력을 잃어버리고 세속의 가치를 따라가고 있기 때문이다. 교회 안팎에서 “제2의 종교개혁이 일어나야 한다.”는 말이 들리고 있다. 한국교회는 암담한 중세교회 현실에서 개혁의 횃불을 높이 들었던 개혁자들의 후예로서 개혁운동을 시작할 때이다. “교회는 `개혁된 교회`가 아니라 `항상 개혁하는 교회`이어야 한다.” 개혁은 한 시대에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계속되어야 할 성경정신이다. 그 개혁운동은 어디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하는가? 개혁운동은 청년대학생사역에서부터 일어나야 한다. 그리고 그 개혁운동은 개혁주의생명신학에 뿌리를 둬야 한다.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유일한 목표는 성령의 능력으로 우리 자신이 변화되어 주님의 몸 된 교회를 살리고, 세상에 그리스도의 생명의 복음을 전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다. 따라서 필자는 한국교회 청년대학생사역을 개혁주의생명신학의 렌즈로 진단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그 대안은 한국교회 지도자들이 청년대학부사역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고, 1대1 성경공부와 소그룹 사역, 그리고 성경적 설교를 통하여 공동체성을 회복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한 사람을 신행일치의 제자, 평신도 자비량 선교사로 양성하는 것이다. 그 모든 일의 뿌리에는 전도와 기도가 있어야 한다. 한국교회가 성경적 생명가치를 회복시키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을 붙들고 사역과 삶의 현장에서 실천한다면 위기를 극복하고 제2의 종교개혁운동이 일어날 것이다. 그리하여 한국교회는 다시 한번 겨레와 하는 함께 하는 생명력 있는 교회, 한반도를 넘어서 오대양 육대주에 수많은 선교사를 파송하고 세계역사에 중추적인 역할을 감당하는 제사장 나라로 쓰임 받을 것이다. The Korean church, which originated as a kernel of wheat during national crisis, has now spread its roots and grown as a tree in which birds can nes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is nation, its modernization,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the church took its role as the salt and light of society. However, in contemporary society, the church has found itself in disrepute. The most pressing issue lies in that youths do not wish to stay within the church, highlighting that is has become outdated and is increasingly shunned. The reason for this lies in that churches have lost their spiritual power and have conformed to the secularism of this world. This highlights the need for the second reformation of the church. Today`s believers are the descendants of reformers in the middle age who lifted their voices and effected change. Reformation entails continuity, it is not finished with the work of one generation but it is a continual and ongoing process of change. Churches must be reformed continually. This is biblical reformation. Where will this change begin? Campus youth ministry is the starting point of reformation. The foundation of this lies in Reformed Life theology. The ultimate purpose of Reformed Life theology is to let ourselves to be transformed by the power of the Spirit so that we may resuscitate the church and glorify God. In light of this, I would like to propose alternative ways to address the current spiritual situation of campus youth ministry in Korea. Alternatives such as encouraging a paradigm shift in Korean spiritual leaders regarding campus youth ministry, the recovery of the Christian community through one to one Bible study, small group ministry and Biblical preaching. Its fruit will be the genuine disciple who practice Biblical teachings in their actual lives and self-supporting lay missionaries who can spread the gospel of Jesus to the world. The root of all these works must be evangelization and prayer. Reformed Life theology is the way to restore the Biblical values of life. We must pay heed to it and cling to it, practice it until the second reformation arises in our generation. With this, the Korean church will be regain its spiritual power and influence and Korea will become a conduit for sending missionaries the world over. And God will use Korea as a priestly nation for world mission again.

      • KCI등재후보

        개혁주의 관점에서 본 신사도개혁운동

        양현표 ( Hyun Phyo Yang )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30 No.-

        신사도개혁운동은 1990년대 이후 일어나고 있는 성령운동 혹은 은사운동으로서, 와그너가(Peter Wagner)가 1997년에 정의한 교회 성장과 관련된 이론이다. 단순히 와그너의 창작물이 아니라 20세기 초반 이후 비성경적이라고 규정된 여러 성령운동들의 복합체라 하겠다. 신사도개혁운동의 핵심은 초대교회의 사도가 아직도 승계되어 현존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오늘날의 사도 역시 초대교회 당시의 사도와 동일한 은사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것으로서 성경의 권위보다 우월한 계시를 지금도 받고 있으며 초대교회의 사도들보다도 탁월한 표적과 기사와 능력을 행한다는 것이다. 또한 성경적인 근거가 없는 여러 현상들을 성령의 역사로 간주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들은 개혁주의에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허무맹랑한 이야기이다. 사도직분은 초대 교회 이후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신사도개혁운동 주창들은 성경에 기록된 사도의 자격과 용례를 오해하고 있으며, 사도와 관련된 성경구절(고전12:28; 엡4:11)을 잘못 해석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 완성된 성경의 권위를 부정하는 부류라 하겠다. 진정한 사도는 열 두 제자와 바울뿐이다. 사도직 복원은 비성경적인 주장이다. 왜냐하면 그들은“오직 성경으로”를 거부하고“성경 외 계시”(“Scripture Plus Apostolic Tradition”)를 주장하고 있기때문이다. 성경의 권위를 전혀 인정하지 않고 성경 본문을 자가당착적으로 해석하고, 역사적이고 전통적 신학을 부인하는 자들이다. 사도는 오직 성경시대에만 존재했던 특별한 직무요 은사이다. 따라서 오늘날 사도직의 복원에 기초한 신사도개혁운동은 비성경적인 종교운동이라 할 것이다. 안타까운 현실은 한국의 많은 교회들이 양적 성장에만 매몰되어 신사도개혁운동을 성령운동이란 미명하에 무분별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이다. In 1997, Peter Wagner coined the term “New Apostolic Reformation” to an up-and-rising Spiritual gifts movement that is related to the theory of church growth. Wagner, however, was not the creator of this movement. He simply combined many non-biblical Spiritual movements after the early 20th century and termed the collection of movements as the “New Apostolic Reformation.” The purpose of the NAR movement is to encourage the faith of the Apostles of the early Church. This movement supports the idea that the same Spiritual gifts and powers the early Apostles had still exist today. Thus, supporters believe that Apostles exist in today’s Church. At its root, the NAR believes that today’s Apostles receive a Spiritual revelation that is far superior than those the Apostles of the early church received. Supporters of the NAR believe that they receive new insights and blessings that the early Church did not receive. They also believe today``s Apostles can perform signs and miracles that are superior to those the original apostles performed. Similarly, they regard many of the miraculous symptoms as true works of the Holy Spirit when they are not based on Biblical truth. The NAR Movement cannot be accepted by Reformed Theology because there is no Biblical basis to the movement. Contrary to the NAR, the Reformed Theology’s belief is that Apostles do not exist after Biblical times. Those who believe in the ideas of the NAR misunderstand the qualifications of an Apostle and misinterpret Bible verses related to the office of Apostles (1 Cor. 12:28; Ep. 4:11). Furthermore, the NAR denies the authority of the completed Bible, which includes the belief that the only Apostles are the 12 Disciples and Paul. The idea that Apostles still exist today is unbiblical because they deny “Sola Scriptura” and insists “Scripture Plus Apostolic Tradition.” Followers of the NAR do not realize the authority of the Bible and they deny historical traditional theology. According to traditional theology, Apostles only existed during the Biblical era, in which the Twelve and Paul received special God-ordained gifts and powers. Therefore, the restoration of Apostles in today’s Church is unbiblical, making NAR an unbiblical religious movement. Unfortunately, many churches in Korea accept the ideas and beliefs of the NAR as a God-ordained spiritual movement because of its connection to church growth.

      • KCI등재후보

        종교개혁의 참된 기초와 방식: 트렌트 회의의 개혁 법령에 대한 칼빈의 비판 연구

        김요섭 ( Yosep Kim ) 개혁신학회 2022 개혁논총 Vol.59 No.-

        16세기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의 성격과 강조점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를 당시 전개된 로마 가톨릭의 개선 시도와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1545년부터 1564년까지 계속된 트렌트 회의는 16세기 로마 가톨릭의 자체 개선 시도를 대표하는 사건 가운데 하나이었다. 칼빈은 1547년 발표한 “트렌트공의회 교령과 해독제”를 통해 트렌트 회의의 주요 교리 결정 사항을 반박하고 종교개혁의 바른 기초와 타당한 방식을 적극적으로 설명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트렌트 회의의 “개혁법령”들에 대한 칼빈의 비판을 검토함으로써 프로테스탄트 종교개혁의 목적과 요점을 규명하려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16세기 로마 가톨릭의 변화 시도에 대한 해석상 논란에 대해 간략히 소개한 후, 이 맥락 가운데 트렌트 회의의 배경과 진행과정, 그리고 주요 결정 사항들을 검토한다. 그리고 이어서 칼빈의 “해독제”와 “교회개혁의 필요성”에 나타난 칼빈의 비판을 구체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그의 비판 가운데 발견할 수 있는 종교개혁에 대한 그의 주장들을 정리한다. 칼빈을 포함한 종교개혁자들은 성경의 가르침에 충실한 합당한 예배를 회복하고 바른 공동체를 수립함으로써 교회를 세우신 그리스도의 주권을 재확립하는 신앙적 개혁을 주장했다. 그리고 트렌트 회의가 대표하는 로마 가톨릭의 개선 시도를 반박하면서 이에 맞서 성경 진리에 합치한 교리를 개혁의 기초로 확립할 것, 그리스도의 통치권 구현을 교회개혁의 유일한 목적으로 삼을 것, 오직 하나님의 영광만을 드러내기 위해 기득권과 세속적 욕망을 단호하게 포기할 것을 강조했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the sixteenth-century protestant reformation, we need to compare it with the renewal attempts of the Roman Catholic side in that period. The Council of Trent (1545-1564) was the most important official attempt of the Roman Catholic renewal. John Calvin published “Acts of the Council of Trent with the Antidote” in 1547 to refute the early decisions of this Council.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the purpose and the focal points of the sixteenth-century protestant reformation by analyzing Calvin’s criticism of the Council of Trent. After briefly dealing with the controversy o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Roman Catholic reactions to the protestant reform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historical background, process, and the reformation decrees of the Council. Like other protestant reformers, Calvin maintained that the true reformation of the Church was nothing but the pious commitment for the re-establishment of Christ’s sole headship in the Church. He refuted the decisions of the Council of Trent because they intended to confirm and strengthen the papal authority and the Roman Catholic hierarchical system. Against the Roman Catholic renewal, the protestant reformation emphasized three practical points: the truth of Scripture as the only ultimate standard, realization of Christ’s headship as the sole purpose of the church reformation, and resolute commitment in abandoning all the worldly interest for the glory of God.

      • KCI등재후보

        인쇄술과 종교개혁

        정원래(Jeong Won Rae) 개혁신학회 2016 개혁논총 Vol.40 No.-

        본고는 인쇄술과 종교개혁의 상호 연관성에 관한 논의이다. 전통적으로 종교개혁은 인쇄술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아더 G. 딕킨스처럼 현대의 연구자들 일부는 마치 인쇄술의 결과가 종교개혁인 것처럼 이해하려는 시도도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은 인문주의와 종교개혁 정신의 확산과 그 영향력을 행사함에 있어서 인쇄술이 지닌 의미들을 명확히 살펴보하려 한다. 이를 위해, 인문주의의 원전에 대한 강조와 연구들이 인쇄술을 통해 보급되는 과정을 제시하고, 나아가 인쇄술로 인해 수많은 성경들이 평신도 층까지 보급되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어서 종교개혁의 발발 이후에 인쇄술은 종교개혁의 산물들을 전 지역으로 확산시키는 중요한 수단이었음을 분명하게 하려 한다. 가장 먼저는 인문주의자들의 노력과 수고가 인쇄술을 통해 긍정적인 결과를 낳았고, 또한 인쇄술을 통해 종교개혁의 정신적, 실제적인 토대를 형성하였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인쇄술은 성경을 모든 지역의 모든 사람들에게 들려졌고, 여성과 농부로 대표되는 평신도들과 나그네에게도 들려주었다. 무엇보다도 표준적이고 통일된 성경의 보급은 종교개혁의 정신을 시간과 공간의 한계성을 벗어나도록 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그 핵심적인 도구가 인쇄술이다. 또한 인쇄술을 통해 15/16세기는 당대의 시대정신과의 분리와 더불어 교부들의 시대와의 연결을 나았고, 그 연결은 새로운 변화와 역사를 낳았다. 이러한 성장과 변화는 연구자들에게는 성경을 서로 비교하거나, 원전과 대조를 통한 연구를 통해 새로 번역함으로 온전한 성경을 제공하려는 노력을 낳았다. 평신도들에는 보다 적극적인 독자로서 올바른 해석을 요청하는 성장을 낳았다. 인쇄술은 이러한 문화적∙신앙적 발달을 가능케 했고, 동시에 종교개혁의 정신이 발현되는 가장 훌륭한 수단의 하나였다. 이런 점에서 인쇄술과 종교개혁은 매우 긴밀한 상호 관계를 지니고 있음은 명백하다. This paper is a discussion of the interconnectedness of printing and the Reformation. Traditionally, it was evaluated that the Reformation was relied heavily on typography. However, some researchers at present represents the modern attempt to understand as if the Reformation were merely the result of printing. In these circumstances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typography, that is its influence and spread the spirit of humanism and the Reformation The labor and efforts of humanist resulted in much positive through typography, it is also revealed that they were to the spiritual and practical foundation of the Reformation through the printing. Above all, through the printing, the spread of the works of Church fathers and the standard and unified laity Bible, the Reformation could escape th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That is the most significant contribution of typography. Through the 16th century, typography brought a connection between the age of the Fathers of the Church and the Reformation, although the separation from the spirit of the latest period. This connection through typography gave birth to new and changing history.

      • KCI등재후보

        벤저민 브레큰리지 워필드와 존 머레이의 개혁주의 성화론 비교연구: 제2축복 완전주의 신학에 대한 개혁신학의 평가와 대응

        김광열 ( Kim Kwang Yul ) 개혁신학회 2022 개혁논총 Vol.60 No.-

        19세기와 20세기에 미국 개신교회 안에서 등장했던 완전주의들 즉 오벌린 완전 주의와 케직 성화론에 대한 두 명의 개혁신학자들의 평가와 대응에 대해서 비교, 연구한 논문이다. 두 명의 개혁신학자 워필드와 머레이는 자신의 시대에 영향력을 끼치고 있던 완전주의 성화론에 대해서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평가하되, 특히 후자의 경우 케직 성화론에 대한 평가와 함께 신학적 대화를 통해서 개혁신학 성화론을 더욱 균형있게 정립하는 데 이바지했다고 볼 수 있다. 19세기 자유주의 현대신학에 대하여 성경적 개혁신학을 변호하는데 앞장섰던 워필드는 성경관에서뿐만 아니라, 성화론의 주제에 있어서도 오벌린 완전주의 성화론을 개혁신학의 관점으로 평가하는 일을 충실하게 수행했다. 개혁신학의 원리들 중의 하나인 “하나님의 주권적 구원”의 관점에서 오벌린 완전주의 안에서 제시되고 있는 인본주의적, 혹은 펠라기우스의 자연주의 성화론의 문제점들을 비판적으로 평가했던 것이다. 머레이도 오벌린 완전주의와는 다소 다른 모습을 지닌 케직 성화론을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평가했다. 교파적 다양성을 띄고 있었던 케직 성화 교훈이 기존의 완전주의와 다른 요소들도 있었지만, 전체적으로는 완전주의 범주에 있으므로 머레이는 개혁신학의 관점에서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위기 성화를 강조하면서도 그것과 함께 성화의 점진성을 간과하지 않고 가르쳤던 점, 그리스도와의 연합의 성화론적 중요성을 강조한 부분들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워필드의 평가가 성경적 성화가 가르치는 점진적 성격에 초점을 맞춰서 완전주의 성화론을 비판한 반면에, 머레이의 경우 케직 성화론의 문제점을 비판하면서도, 그들이 강조하는 성화의 즉각적인 측면에 대해 관심을 갖고 신학적 대화를 하면서 그 이후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서, “결정적 성화교리”(doctrine of definitive sanctification)를 성화의 즉각적인 측면에 대한 개혁신학 성화론으로 정립했다고 사료된다. 두 명의 개혁신학자들은 자기 시대에 등장했던 신학적 오류들에 대해서 성경적 가르침에 근거하여 비판할 뿐만 아니라, 또한 신학적 대화를 통해서 개혁신학의 성화론을 균형있게 정립하는 일을 함께 충실히 수행했다고 사료된다. This paper deals with two Reformed theologians’ efforts to evaluate perfectionism in 19c and 20c to see how did they express the Reformed doctrine of sanctification together and how did each respond to perfectionism differently. The one is B. B. Warfield who criticized Oberlin perfectionism of Asa Mahan and Charles Finney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doctrine of the progressive sanctification. The other is the evaluation on Keswick perfectionism by John Murray who not only criticized it from the Reformed perspective but also utilized some biblical elements in their teaching, especially regarding the immediate aspect of sanctification. Both Reformed theologians together criticized unbiblical teachings of the perfectionism from the perspective of Reformed theology. Furthermore after paying attention on some biblical insights in Keswick’s teachings, Murray had attempted to build up the Reformed teaching on the “immediate aspect” of biblical sanctification with his doctrine of “definitive sanct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