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CT산업의 품질조정과 물가파급효과 분석

        이영수,조주현 정보통신정책학회 2002 정보통신정책연구 Vol.9 No.2

        본 논문에서는 ICT산업의 품질개선 효과에 따른 가격하락이 ICT산업과 이 산업을 사용하는 또 다른 산업의 물가지수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였다. ICT분야와 같이 기술발전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는 분야에서는 품질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져 정확한 물가지수 산정에 오차가 생길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품질조정을 고려하여 분석하지 않고 있어 본 논문에서는 품질조정을 고려한 물가지수를 이용하여 ICT산업의 물가파급효과를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품질조정을 고려했을 경우 물가하락 효과는 그렇지 않은 경우 보다 크게 나타나고 있어, ICT 분야로의 산업구조 재편은 물가하락을 유발함으로써 국민후생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price spillover effects of quality adjustment in those industries that are either producer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 or users of them. Quality-unadjusted price measures may create a bias in the ICT industry which have experienced rapid technological and market developments induced by fast quality changes. This paper draws on empirical studies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quality-adjusted and unadjusted price spillover effects in those industries that are either ICT-producing industries of ICT-using industries. As an outcome, we find that the quality-adjusted price spillover effects are large in comparison with the quality-unadjusted price spillover effects. What emerges from this brief discussion is that we may expect welfare increase by restructuring industrial structure to the ICT industry that leads to price decline.

      • KCI등재

        ICT 학습부진아를 위한 교수-학습 시스템의설계 및 구현

        장준형,이재호 한국정보교육학회 200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2 No.4

        ICT 소양 학습이 교육과정에 도입되어 시행된 이래 10여년의 시간이 지나 학습 결과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이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 ICT 교육을 진행함에 있어 교사가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이 학습수준의 차이가 많이 난다는 것이다. ICT 교과의 특성은 도구교과와 단계별 소양교과이다. 이런 특성을 가진 교과는 학습부진아에 대한 문제가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ICT 학습부진아를 판별하기 위하여 판별도구를 개발하여 경기도 관내 4개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고, ICT 학습 부진아로 판별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사의 지도 실태 파악을 위하여 고양시 관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상과 같은 단계별 분석과정에서 도출한 결과를 적용하여 ICT 학습부진아를 위한 교수-학습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ICT 학습부진아를 위한 교수-학습 시스템은 ICT 학습부진의 예방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판별검사모듈, 교수학습모듈, 피드백모듈 등으로 구성되는 웹기반시스템과 오프라인의 본시수업으로 구성된다. It is more than 10 years since ICT training learning was introduced to educational curriculum, and it is now time for overall consideration about the result of the education. The most important difficulties that the teachers have are that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the level of learning ability. The characteristics of ICT curriculum are its tool and stepwise progress. The main problem of a curriculum with such characteristics is with underachivers. To distinguish ICT underachivers, the present study was developed a distinction tool for investigation: The objects were the students in the 6th grade of the 4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and inquires were made to find out characteristics. Inquires were also made t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oyang-city to find out the actual instructional situation. A teaching-learning system will be suggested to prevent the occurring of ICT underachivers by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The system consists of a distinction examination module, a teaching-learning module and a feedback module, which are web-based, as well as an off-line actual class module. The purpose of the system is to prevent underachivers in ICT classes, so that the students' ability to utilize computer will be improved to a higher level.

      • KCI등재

        탐구 학습 모형을 적용한 체육과 ICT활용 교수 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이재무,김종희 한국정보교육학회 200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3 No.1

        본 연구는 탐구교수학습 모형에 기반한 체육과 ICT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교수학습에서의 효율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최근, 체육 교육에도 ICT를 활용이 다양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ICT 단순 활용방식에서 벗어나 교수․학습의 구체적 절차와 방법인 ‘학습모형’에 기반한 ICT 활용을 연구함으로써 학습 목표와 효과를 높이도록 하였다. 체육과의 육상, 체조 단원에 적용되는 탐구교수학습모형을 ICT 활용 수업에 적합하도록 재구성하여 절차적 모형으로 각 단계를 정의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ICT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5학년 수업에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교수 학습 목표 달성의 효율성을 높이고 학습의 흥미유발과 학습 만족도를 높이고 멀리뛰기의 기능적인 면에서 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proposes to develop an ICT teaching learning material for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inquiry learning model, and to verify its efficiency by applying that material. Departing from the conventional simple applications of ICT, this paper studies ICT applications based on a 'learning model' with specific teaching-learning processes and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greatest effect for the final learning objective. This study reconstructed an inquiry-teaching-learning model for track and field and gymnastics lessons to fit ICT teaching-learning material, defined at each level with a process model; and developed a feasible curriculum. The developed material was applied to the 5th grade lessons. The result of this application indicated increased efficiency in the teaching-learning objectives, inducing interest in learning as well as in other technical or functional aspects.

      • KCI등재

        초ㆍ중학생 ICT 리터러시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요인 분석

        김종민,안성훈,임현정,김한성 한국정보교육학회 201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초ㆍ중학생 ICT 리터러시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요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 학교는 150개의 학생 4, 5, 6학년 총 6,383명, 교사 총 337명, 중학교는 학교 150개의 학생 1, 2, 3학년 총 9,183 명, 교사 총 315명을 대상으로 ICT 리터러시를 측정하고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교사 영향요인을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는 교사의 컴퓨터 활용능력이 ICT 리터러시 전체수준 및 7개 하위능력에 큰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고, 교육활동에 ICT 활용 정도는 ICT 리터러시 전체수준 및 7개 하위능력에 큰 부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중학교는 교사의 ICT교육 관련 전공 여부, 최종학위의 순으로 ICT 리터러시 전체수준 및 7개 하위능력에 큰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 연수와 예비교사 교육과정에 교육 시수를 확보하는 방안 과 정보교과 담당 교사의 자기개발을 지원하거나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 factors influencing ICT literacy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ICT literacy was measured in 6,383 students in 4th, 5th and 6th graders, 337 teachers in 150 elementary schools, and 9,183 students in 1st, 2nd and 3rd graders, 337 teachers in 150 middle schools. Additionally, we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plore teachers’ influential factors. As a result, our finding indicated that the level of teachers' computer literacy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ICT literacy(overall and 7 sub-domains) while ICT utilization during class and teachers’ age had a negative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ICT literacy(overall and 7 sub-domains). In addition, we found that major in ICT education and the level of teacher edu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middle students’ ICT literacy(overall and 7 sub- domai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increasing hours in th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course and supporting or promoting the self –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school teachers in middle schools.

      • KCI등재

        국내 실정에 적합한 스마트팜 개발 전략 -6차산업의 발전을 위한 ICT 기술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상호,주형근,Han, Sang-Ho,Joo, Hyung-Ku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2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국내 사정에 적합한 스마트팜 기술 전략을 ICT 기술의 국내 사정에 적합한 차별화를 중심으로 제안하고자 했다. 해외 농산업 선진국의 경우 각 나라의 지형적 특성, 농산업 특성, 국민 수요 특성 등을 전반적으로 반영한 특정 단계 개발에 주력함을 확인했으나, 국내 스마트팜의 경우 해외 기술을 여과 없이 수용하여 국내사정에 적합한 기술의 선별적 개발이 수행되지 않음을 확인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농촌 인구의 급격한 감소, 인구 고령화, 농작물 가격 경쟁력 상실, 휴경지 증가, 경지 이용률 감소 등 문제에 따라, 차후 스마트팜 ICT 기술 개발 방향성을 품질 좋은 농산물을 창출하여 가격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성능의 우수함, 노동인구 고령화에 따른 사용의 용이성, 영세한 경영규모에 적합한 경제성 등에 주목하여 스마트팜을 추진해야 함을 제시했다. 첫째, 경제성 차원에서 영세농가(1차) 경영환경에 필요한 기능들만 선별하여 ICT 기술을 구성하고, 이들과 원활한 의사소통 체계를 ICT 기술에 적용하여 실제 농가에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점차적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비용 감소에 일조할 수 있음을 제안했다. 둘째, 성능차원에 있어서는 국내 고령화 인구에 적합한 빅데이터 난이도 조절, 이들에게 적합한 언어사용, 이들의 예측 성향을 반영한 알고리즘 설정 등 ICT의 의사소통 기능 개선에 주목한다면 작동 정확성을 증대할 수 있음을 제안했다. 셋째, 사용용이성 차원이다. 6차산업(1차(농업,임업)+2차(농수산물가공)+3차(서비스,농어촌체험,유통)) 발전을 위한 ICT 기술에 기반한 스마트팜은 특정 명령어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바, 특정 명령에 빅데이터에 근거한 추론을 통한 추가적 기능들이 자동적으로 수반될 것과, 각 지역적 환경에 맞춤화된 빅데이터 구성에 기반한 장치를 미리 세팅, 표준화하여 사용용이성을 촉진할 수 있음을 최종 제시했다. This study tried to propose a smart farm technology strategy suitable for the domestic situation, focusing on the differentiation suitable for the domestic situation of ICT technology. In the case of advanced countries in the overseas agricultural industry, it was confirmed that the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 specific stage that reflected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ricultural indust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s demand. Confirmed that no enemy development is being performed. Therefore, in response to problems such as a rapid decrease in the domestic rural population, aging population, loss of agricultural price competitiveness, increase in fallow land, and decrease in use rate of arable land, this study aims to develop smart farm ICT technology in the future to create quality agricultural products and have price competitiveness. It was suggested that the smart farm should be promoted by paying attention to the excellent performance, ease of use due to the aging of the labor force, and economic feasibility suitable for a small business scale. First, in terms of economic feasibility, the ICT technology is configured by selecting only the functions necessary for the small farm household (primary) business environment, and the smooth communication system with these is applied to the ICT technology to gradually update the functions required by the actual farmhouse. suggested that it may contribute to the reduction. Second, in terms of performance, it is suggested that the operation accuracy can be increased if attention is paid to improv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ICT, such as adjusting the difficulty of big data suitable for the aging population in Korea, using a language suitable for them, and setting an algorithm that reflects their prediction tendencies. Third, the level of ease of use. Smart farms based on ICT technology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dustry6.0 (1.0(Agriculture, Forestry) + 2.0(Agricultural and Water & Water Processing) + 3.0 (Service, Rural Experience, SCM)) perform operations according to specific commands, finally suggested that ease of use can be promoted by presetting and standardizing devices based on big data configuration customized for each regional environment.

      • KCI등재

        ICT R&D 투자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김정언,김원년 한국자료분석학회 2012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4 No.3

        R&D is an important factor in supporting a sustainable economic growth as it increases productivity with the technical development. In 2010, the amount of R&D in the ICT industry reaches to more than seventeen trillion won, which is 53% of the total R&D amount in Korea. ICT R&D is likely to have the spillover effect on the growth of not only its industry but also the other industry because the role of ICT has been strengthened as the infrastructure of the entire economy. For an analysis of R&D investment’s productivity, panel database was established based on nine year data in 24 industries. The results show that R&D investment in ICT sector makes a big contribution to the growth of the industry through capital deepening and increased total factor productivity. In particular, R&D investment in ICT sector contributes to its growth more than that in other sectors. 우리경제에서 ICT 산업은 GDP 비중이 8%에 달하는 주요 산업이다. 특히 ICT 산업의 R&D는 2010년 기준 전체 R&D 투자 32조 8천억원의 53%인 17조 3천억원을 차지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R&D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ICT는 지식경제의 진전에 따라 경제 전반의 인프라적 특성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ICT 산업의 R&D 투자는 ICT 산업뿐만 아니라 타 산업에까지 파급효과를 미칠 수 있다. 이 경우 ICT 산업의 R&D 투자는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담보하기 위해 의미가 크다. 본 논문에서는 2000-2009년까지 10년간 시계열 자료와 25개 산업의 횡단면 자료를 결합한 패널 데이터를 구축했다. 그리고 성장회계 접근법과 생산함수 추정 방법론을 통해 ICT 산업 R&D 자본의 성장 기여를 추정했다. 추정 결과 산업별 R&D 투자는 각 산업의 부가가치를 투입물로서 증가시키고, ICT 산업의 R&D 투자는 총요소생산성 향상을 통해서 부가가치를 향상시키는 파급효과도 존재한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 KCI등재

        입법학의 관점에서 바라 본 정보통신 특별법

        김현철 한국입법학회 2013 입법학연구 Vol.10 No.2

        입법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입법학에 있어서 정보통신 분야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나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이 우리생활에 미치는 영향만큼이나 정보통신 분야의 입법은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세계적 기업인 애플 과 구글의 고속 성장과 전세계인이 이용하는 정보통신 환경에는 창의적인 생각과 이를 실현시키는 비즈니스, 앱스토어(콘텐츠시장), 초고속통신망, 아이폰과 갤럭시폰 등의 우수한 기기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를 정보통신 전문가들은 소위 콘텐츠(C)ㆍ 플랫폼(P)ㆍ네트워크(N)ㆍ디바이스(D)로 대변하는 자기 완결적 생태구조라고 하며, 이러한 환경을 우리 산업에도 도입하고 육성하자는 것이 최근의 여론이다. 이에 따 라 제19대 국회에서 정보통신 진흥 및 융합 활성화 등에 관한 특별법(ICT 특별법) 이 제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입법학의 관점에서 ICT 특별법을 분석하였다. ICT 특별법은 미래 창조과학부가 정보통신 분야의 총괄부처로서 조정체계를 마련하고, 정보통신산업의 진흥과 융합의 활성화에 필요한 구체적인 내용들로 이루어 긍정적 역할이 기대된 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도 예상된다. 입법과정의 관점에서 지나치게 짧은 발 의와 심의 기간, 실제 정부안이지만 의원입법의 형식을 빌린 입법으로 인하여 부실 입법이 우려된다. 입법기술의 관점에서는 다른 법률과의 충돌과 내용 중복, 업무위 탁의 남용, 추상적이고 모호한 개념의 남용 등이 문제된다. 또한 입법정책의 관점에 서는 신속처리제와 임시허가제가 무리한 행정규정으로 실질적 효율성이 반감될 수 있으며,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규정도 미흡하다. 입법이론의 관점에서는 ICT 특 별법에 포함된 다수의 조항이 법규범의 과잉으로 나타나 산업현장에서 오히려 혼란 을 야기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Legislative Studies aims to study on how to legislate the law in a systematic way, however, ICT field was least concerned in the light of Legislative Studies. However, recently the legislation within ICT industry has been changing as significantly as ICT technology has shown development and influenced on our daily life. Wide range of benefits and advantages derived from ICT technology and innovative environments where people all over the world can enjoy as well as highly growing two ICT global giant firms are the outcome of creative ideas and thoughts. This was also generated by businesses to realize these creative thoughts, App store (contents market), a high-speed communications network, great devices such as iPhone and Galaxy phone, Apple and Google. ICT experts call this the self-contained ecological structure, which is represented with Contents(C)ㆍ Platform(P)ㆍNetwork(N)ㆍDevice(D). And recent public opinion stated that we should introduce this ICT environment to our industry and promote it. To meet the demand, 19th National Assembly has legislated Special Act on the vitalization of the promotion and convergence of ICT industry (Special Act on ICT) by law. In this paper, we analyzed Special Act on ICT from the view of Legislative Studies. As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established the coordination system for the Special Act on ICT as it is responsible for overseeing and prepared in a concrete way with precise subject matters that are necessary to the vitalization of the promotion and convergence of ICT industry, Thus, Special Act on ICT is expected to play a positive role. However, the following problems are anticipated at the same time. When it comes to the legislation process, bill proposal and legal deliberation timing are too short. Also, poor legislation process is concerned, which is originally proposed by the government bill but actually presented in the form of legislation by Assembly members. In terms of legislation methodology, legal conflict with other laws, duplication, abuse of consignment, abuse of abstract and ambiguous concept, etc. are concerned. Additionally, regarding legislation policy, ineffective administrative regulations such as Fast Track and Temporary Permit System may decrease actual efficiency and provisions for user protection are insufficient. In respect of legislation theory, we would like to point out that Special Act on ICT could cause confusion in industrial field as too many clauses included in Special Act on ICT may result in the excessive of regulations.

      • KCI등재

        초등학생 ICT기기 중독수준과 ADHD성향

        최진오 ( Jin Oh Choi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의 ICT기기 중독실태를 알아보고 ADHD성향이 이러한 ICT기기 중독수준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서울, 경기지역 16개 초등학교 4-6학년 학생 총 1,406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분석된 결과에 의하면 연구대상 학생들의 2.8%가 인터넷중독, 4.3%가 휴대폰 중독 위험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ICT기기 중독수준이 매우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ICT기기 중독현상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남학생의 경우 인터넷 중독비율이, 여학생의 경우 휴대폰 중독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휴대폰 중독수준 모두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특히, 학업성취 수준이 낮은 그룹이 인터넷, 휴대폰 중독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DHD성향과 ICT기기 중독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과잉행동/충동성, 주의력결핍성향 모두 인터넷, 휴대폰 중독수준과 정적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ADHD성향과 개별학생변인과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ADHD성향은 ICT기기 중독수준이 높으면 높을수록 이를 더욱더 가속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level of ICT device addiction of the 4-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ADHD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06 4-6th sixth grade students of 16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educational regions. Results indicated that 2.8% and 4.3% of the students had Internet and cellular phone addiction respectively. While male stud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Internet addiction, female students tended to have more cellular phone addiction. As the grades of students increased, their level of ICT device addiction also increased. Also, the lowest academic achievement group of students tended to maintain the highest Internet addiction level. In term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ADHD characteristics and ICT addiction, it was possible that the ADHD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increased their level of ICT addiction.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nteraction effects of ADHD characteristics and their demographic variables on ICT device addiction level, the more ICT addiction the students had, the higher their ADHD characteristics increased their ICT device addiction level.

      • KCI등재

        감성ICT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강선아(Sun-A Kang),조수미(Sumi Cho) 한국산업경제학회 2013 산업경제연구 Vol.26 No.4

        국내 ICT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으나, 이에 대한 성장률은 낮아지고 있다. 이는 그동안 IT강국으로 자리매김했던 국내 ICT산업에 대한 현황을 평가한 결과 국내시장이 성장의 한계에 도달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국내 ICT산업을 되돌아보고, 기존 ICT산업을 새로운 산업형태로 재탄생시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새로운 ICT산업의 하나로 감성ICT산업을 대상으로 국내 감성ICT산업과 감성ICT융합산업의 시장규모를 추정하고, 이를 토대로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도출한다. 감성ICT산업과 감성ICT융합산업은 기존의 일반 ICT산업과 타산업간의 융합이 보다 광범위하게 융합할 가능성으로 인해 그 경제적 파급효과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분석결과, 감성ICT산업의 총생산유발액은 5년 누적 총206조원, 감성ICT융합산업의 총생산유발액은 약503조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었다. 부가가치유발액은 2011∼2015년까지 감성ICT산업과 감성ICT융합산업으로부터 총118조원으로 예상되었다. 감성ICT산업과 감성ICT융합산업의 수입유발액은 2011년 각각 1조3천억원과 7조원으로 추정되었고, 2015년에는 각각 9조 5천억원과 10조 8천억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고용유발인원은 2011∼2015년까지 5년간 감성ICT산업과 감성ICT융합산업의 양 산업으로부터 5년간 총210만명의 고용이 유발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감성ICT산업 및 감성ICT융합산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기존의 ICT산업 자체는 물론 융합이 가능한 비ICT산업까지 그 범위를 확대시킨다면 산업전반적인 혁신을 기대할 수 있다. The ratios of ICT industry in GDP is continuously increasing. However the growth rate of ICT industry is decreasing during the same period. Also ICT industry reached the growth limit in the domestic market. Therefore, we need to review domestic ICT industry and recreate a new type of ICT industry. This paper estimates the market size of both domestic emotional ICT and emotional ICT convergence industries and calculates its effect on Korean economy. As emotional ICT and emotional ICT convergence industries analyzed in this study has a possibility of broader convergence than the ones of existing general ICT and other industries, it is expected to have a great effect on Korean econom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estimated 206 trillion Korean won of total induced production from emotional ICT industry accumulated for 5 years and 503 trillion Korean won from emotional ICT convergence industry. Second, we estimated total 118 trillion Korean won of induced added value from both emotional ICT and emotional ICT convergence industries from 2011 to 2015. Third, we estimated 1.3 trillion Korean won and 7 trillion Korean won of induced import from the emotional ICT and emotional ICT convergence industries in 2011 respectively and they are expected to reach 9.5 trillion Korean won and 10.8 trillion Korean won in 2015. They expected total 2.1 million people of induced employment from both emotional ICT and emotional ICT convergence industries for 5 years from 2011 to 2015. As we can see the results, the emotional ICT and emotional ICT convergence industries will have a huge impact on Korean econom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we can take it as an opportunity for an innovation throughout the whole industries by expanding the convergence to non-ICT industries possible as well as current ICT industry.

      • KCI등재

        한·일 간 ICT 산업의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박명섭,한낙현,박성재,김성국,박영현,주세환,한세연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6 지역산업연구 Vol.39 No.2

        한국의 경우 ICT 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 과제로는 과학기술 및 ICT의 융복합을통한 제조업의 업그레이드 전략을 통해 중국 등 신흥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는 것과 R&D, 부품소재 등 제조업의 핵심역량을 강화하여 제조업 경쟁력을 독일, 일본 등의 선진국 수준으로 제고시켜야 하는 것이다. 특히, 지역별 경제 협력이 가속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글로벌 가치사슬을편입시킬 수 있는 국제적인 협력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에 한국 ICT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협력 방안으로 일본 ICT 산업 및 정책을 분석하고자 한다. 일본은 ICT 제조업 관련 기술 및 소재등에 있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 일본정부는 관련 산업 육성 및 경쟁력 강화를위하여 다양한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일본 ICT 산업의 원천기술·서비스와 관련하여 한국ICT 산업과 시장의 유사성이 높기 때문에 전략적인 가치창출 및 시너지가 극대화될 수 있는 다수의 환경요건들이 갖추어져 있는 바 최적의 협력국가라고 판단된다. Following the global economic depression, the Korean economy is also making efforts to acquire sustainable growth capacity and the importance of the ICT industry as the next generation’s growth engine is on the rise. Japan is internationally competitive at technologies and materials related to the ICT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government has recently begun to promote various policies in order to nurture the related industries and to fortify its competitiveness. Particularly because its similarity with the domestic ICT industry and market on issues concerning the original technology and services is quite high, Japan is considered as the optimal country for cooperation, with multiple environmental factors that can maximize the strategic value generation and synergy. At a period when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is accelerat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that can enhance global values chain is being required. In this respect, this study will analyze the ICT industry and the related policies of Japan as a cooperation method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ICT indu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