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모델은 언어표현을 유연하게 처리하는가? - 재난문자를 활용한 평가 -

        이예빈,송상헌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4 언어사실과 관점 Vol.62 No.-

        이 연구는 사람이 비적형 문장(non-fully well-formed sentence)을 처리할 때 보이는 유연성(flexibility)을 언어모델에서도 관찰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언어모델이 사람과 같은 수준의 언어 능력을 갖추었는지 평가하기 위해서는 비적형 문장과 같이 유연성을 요구하는 벤치마크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재난문자를 기반으로 적형문과 비적형문 쌍으로 구성된 542개의 데이터세트를 구축하였다. 언어모델의 평가 방식은 이해와 생성의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각의 과업에 특화된 언어모델을 선정하였다. 이해 실험은 5종의 인코더 기반 언어모델(KLUE-RoBERTa, KoBERT, KR-BERT, mBERT, KoELECTRA)에 자연어 추론(Natural Language Inference) 과업을 적용하였다. 생성 실험은 디코더 기반 언어모델(ChatGPT-4)이 생성한 전보문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인코더 기반 언어모델은 비적형 문장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일관되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고 디코더 기반 언어모델이 작성한 전보문은 사람이 작성한 전보문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Korean language models can flexibly process non-fully well-formed sentences as they do fully well-formed sentences. For this purpose, we constructed a dataset of well-formed and telegraphic sentence pairs using disaster messages. We conducted two experiments utilizing this data: one with an understanding task on five encoder-based models (KLUE-RoBERTa, KoBERT, KR-BERT, mBERT, KoELECTRA) and the other with a generation task on a decoder-based model (ChatGPT-4).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revealed that language models show inconsistent performance in understanding and exhibit illogical patterns in generation, highlighting a gap between human language competence and language model's performance.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 the importance of robustness in language model evaluation methods and emphasize incorporating qualitative assessments to better reflect the complexity of human languag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remain significant challenges for language models to more accurately mimic human understanding and generation.

      • KCI등재

        패션모델의 자기표현력, 무대 자신감, 몰입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박근정 ( Keun-jung Park ),김영삼 ( Young-sam Kim )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2018 패션 비즈니스 Vol.22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a fashion model's self-expression has on stage confidence, commitment, and satisfaction. The differences in stage confidence, commitment and satisfaction were analyzed by comparing the frequency of fashion show experience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of professional male and female fashion models at fashion venues (Dongdaemoon Design Plaza) and model agencies from March 2, 2017 through April 10, 2017. A total of 248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and SPSS 21.0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indicated a fashion model's self-expression factors, including movement, meaning, and individuality, had positively impacted the model’s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nfidence, while acting ability negatively impacted such confidences. Secondly, movement meaning, expressive impulse, and individuality had positive impacts on behavioral commitment. A model’s expressive impulse was also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cognitive commitment. In addition, acting ability negatively impacted behavioral commitment, while it affected cognitive commitment positively. Third, a high level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nfidences about fashion shows, as well as a high level of behavioral and cognitive commitment, had a positive impact on fashion-show satisfac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commitment and fashion-show satisfaction by frequency of fashion show experiences. The findings can be utilized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a fashion model’s performance in order to increase the model's fashion-show satisfaction. It is also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enhance the quality of fashion shows.

      • KCI등재

        3차원 건축모델정보의 표현변용방식에 관한 연구

        박영호(Park, Young-Ho)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3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2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pplication and the change of various architectural models by analyzing expression viewpoint media, which were applied to the visual information of digitalized 3D contemporary architectural mod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pecify how modern architects have changed 3D architectural models to conceptual, logical, and formational visual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design. This study discovered a framework of analyses by theoretically investigating a relationship between expression media and expression change in the process of visualizing architectural models. Using the framework of analyses, this study analyzed how the expression viewpoints of architectural model information have been changed and applied. The transformation media of the visual information of digitalized 3D architectural models can be classified into conceptual, analytical, and formational information: 1) Contemporary architects used author-centered subjective viewpoints to express architectural concepts, which we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their design. They selected a perspective viewpoint and a bird"s eye view in order to present their architectural concepts and to depict them with one architectural model by expanding the visual scope of conceptual information. 2) Contemporary architects adopted observer-centered objective bird"s eye view expression media to effectively present their architectural information to building owners and viewers. They used transformal media, which integrate architectural information into 3D and change it to different scales, in order to express their architecture logically. 3) Contemporary architects delivered model information about the generation and change of forms by expressing the image of a project from an author-centered viewpoint, instead of objectively defining formational information. They explained the generation principle of architectural forms via transformal media which develop and rotate an architectural model.

      • KCI등재

        병렬 프로세서 기반의 패턴 분류 기법을 이용한 유전자 발현 데이터 분석

        최선욱(Sun-Wook Choi),이종호(Chong Ho Lee) 大韓電子工學會 2009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6 No.6

        최근 활발히 연구가 진행 중인 마이크로어레이로부터 얻어지는 유전자 발현 데이터를 이용한 질병 진단은,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분석하기 힘들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유전자 발현 데이터를 분석함에 있어서 유전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는 분석이 필요하다는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기존 기계 학습 알고리즘들을 이용한 분석에 한계가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특징들 사이의 고차원 상관관계를 고려 가능한 하이퍼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유전자 발현 데이터의 분류를 수행하고 기존의 기계 학습 알고리즘들과 분류 성능을 비교한다. 또한 기존 하이퍼네트워크 모델의 단점을 개선 한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병렬 프로세서 상에서 구현하여 처리 성능을 비교한다. 실험 결과, 제안 된 모델은 기존의 기계 학습 방법들과의 비교에서도 경쟁력 있는 분류 성능을 보여주었고, 기존 하이퍼네트워크 모델 보다 안정적이고 향상된 분류성능을 보여주었다. 또한 이를 병렬 프로세서 상에서 구현 할 경우 처리 성능을 극대화 할 수 있음을 보였다. Diagnosis of diseases using gene expression data obtained from microarray chip is an active research area recently. It has been done by general machine learning algorithms, because it is difficult to analyze directly. However, recent research results about the analysis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genes is essential for the gene expression analysis, which means the analysis using the traditional machine learning algorithms has limitations. In this paper, we classify the gene expression data using the hypernetwork model that considers the higher-order correlations between the features, and then compares the classification accuracies. And also, we present the new hypernetwork model that improve the disadvantage of existing model, and compare the processing performances of the existing hypernetwork model based on general sequential processor and the improved hypernetwork model implemented on parallel processors. In the experimental results, we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our model shows improved and competitive classification performance than traditional machine learning methods, as well as, the existing hypernetwork model. We show that the performance is maximized when the hyperntwork model is implemented on our parallel processors.

      • KCI등재

        Satir 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어머니의 의사소통, 정서표현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동주,조규판 한국미술치료학회 2013 美術治療硏究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the Satir Model on mothers' communicatio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efficacy. 24 mothers who attended N center in G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experimental group, comparative group, and control group. The group art therapy using the Satir Model was conducted to experimental group and the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to comparative group from October 12 to December 14 in 2011. But the control group has not been done any programs. The pre-test, the post-test and additional-test were conducted by using communication scale,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and self-efficacy scale. By using SPSS Ver. 20.0, the data was pressed as quantitative analysis with ANO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group art therapy using the Satir model and the group art therapy had positve effects on improving mothers' communication. Second, Both the group art therapy using the Satir model and the group art therapy had positve effects on improving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Third, Both the group art therapy using the Satir model and the group art therapy had positve effects on improving mothers' Self-efficacy. Particularly, the group art therapy using the Satir model generally showed more effects on improving mothers' communicatio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efficacy. And it also had continuous effects. Therefore, the group art therapy using the Satir model is needed for improving mothers' communication,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elf-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Satir 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어머니의 의사소통, 정서표현성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G시에 위치한 00센터 홍보를 통해 신청한 어머니들 중 24명을 선정하였고, 각각 8명씩 실험집단, 비교집단, 통제집단에 무선으로 배치하였다. 2011년 10월 12일부터 12월 14일까지 주 1회 120분 씩 총 10회기에 걸쳐 실험집단에는 Satir 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비교집단에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프로그램도 실시하지 않았다. 측정도구는 의사소통 척도, 정서표현성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추후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Ver. 20.0을 사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atir 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와 집단미술치료 모두 어머니의 의사소통 향상에 효과가 있다. 둘째, Satir 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와 집단미술치료 모두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 셋째, Satir 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와 집단미술치료 모두 어머니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다. 특히 Satir 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의사소통, 정서표현성 및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더 높으며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어머니의 의사소통, 정서표현성 및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Satir 모델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필요하다.

      • KCI등재

        현실감 있는 3차원 얼굴 애니메이션을 위한 실시간 표정 제어

        김정기 ( Kim Jung-gi ),민경필 ( Min Kyong-pil ),전준철 ( Chun Jun-chul ),최용길 ( Choi Yong-gil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6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7 No.2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동영상으로부터 영상 내에 존재하는 사람의 얼굴 및 얼굴 특징점들을 자동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얼굴 모델의 표정을 실시간으로 제어함으로써 현실감 있는 얼굴 애니메이션 처리가 가능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입력 영상의 각 프레임으로부터 얼굴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해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색상 공간을 이용한 파라미터 검출 방법에 대변되는 새로운 비파라미터 검출 방법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파라미터 검출 방법은 일반적으로 얼굴의 피부 색상분포를 가우지언 형태로 표현하며 특히 주변조명의 변화 및 배경 영상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정확한 영역의 검출을 위한 부가적 작업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Hue와 Tint 색상 성분에 기반을 둔 새로운 스킨 색상 공간을 제시하고 모델의 분포특성을 직선 형식으로 표현하여 얼굴검출 시 발생되는 오류를 축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검출된 얼굴 영역으로부터 정확한 얼굴특성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각 특징영역에 대한 에지검색 결과와 얼굴의 비율 비를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얼굴의 특징 영역을 검출하였다. 추출된 얼굴 특징점 변화 정보는 3차원 얼굴 모델의 실시간 표정 변화에 적용되며, 보다 실감 있는 얼굴 표정을 생성하기위하여 사람의 근육 정보와 근육의 움직이는 방법을 나타내는 Waters의 선형 근육 모델에 새로운 근육 정보들을 새롭게 추가함으로써 확장 적용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대상의 얼굴표정을 3차원 얼굴 모델에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다. This work presents a novel method which extracts facial region and features from motion picture automatically and controls the 3D facial expression in real time. To extract facial region and facial feature points from each color frame of motion pictures a new nonparametric skin color model is proposed rather than using parametric skin color model. Conventionally used parametric skin color models, which presents facial distribution as gaussian-type, have lack of robustness for varying lighting conditions. Thus it needs additional work to extract exact facial region from face images. To resolve the limitation of current skin color model, we exploit the Hue-Tint chrominance components and represent the skin chrominance distribution as a linear function, which can reduce error for detecting facial region. Moreover, the minimal facial feature positions detected by the proposed skin model are adjusted by using edge information of the detected facial region along with the proportions of the face. To produce the realistic facial expression, we adopt Waters`s linear muscle model and apply the extended version of Water`s muscles to variation of the facial features of the 3D face. The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approach efficiently detects facial feature points and naturally controls the facial expression of the 3D face model.

      • KCI등재

        시각적 모델에 따른 곱셈식 표현 방법에 대한 연구

        김주창,이광호 한국수학교육학회 2019 初等 數學敎育 Vol.22 No.1

        In this study, students' multiplication expression method according to visual model was analyzed through paper test and eye tracking test. As a result of the paper-pencil test, students were presented with multiplication formula. In the group model (number of individual pieces in a group) × (number of group) in the array model (column) × (row), but in the array model,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answered the multiplication formula in the (row) × (column). From these results, we derived the appropriate model presentation method for multiplication instruction and the multiplication expression method for visual model. 본 연구는 시각적 모델에 따른 학생들의 곱셈식 표현방법을 지필 검사 및 시선추적 검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지필검사 결과 학생들은 곱셈식으로 제시하는데 있어 묶음 모델에서는 (묶음 내 낱개의 수)×(묶음의 수), 배열모델에서는 (가로)×(세로)로 답하는 비율이 높았으나, 배열모델에서는 모양에 따라 (세로)×(가로)로 답하는 비율이 높은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곱셈 지도 시 적절한모델 제시 방법과 시각적 모델에 대한 곱셈식 표현 방법에 대한 논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인간 친화 로봇의 다양한 복합 감정 표현을 위한 다차원 복합 감정 모델 설계

        안호석,최진영 한국로봇학회 2009 로봇학회 논문지 Vol.4 No.3

        This paper introduces a design of multi-dimensional complex emotional model for various complex emotional expression. It is a novel approach to design an emotional model by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emotional model which used a three-dimensional emotional space with some problems; the discontinuity of emotions, the simple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necessity of re-designing the emotional model for each robot. To solve these problems, we have designed an emotional model. It uses a multi-dimensional emotional space for the continuity of emotion. A linear model design is used for reusability of the emotional model. It has the personality for various emotional results although it gets same inputs.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our model, we have tested with a human friendly robot.

      • KCI등재

        『파계(破戒)』에서 『봄(春)』으로 -문말 표현의 변화가 의미하는 것

        강정균 ( Kang Jeong-gyun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15 日本硏究 Vol.0 No.66

        『파계(破戒)』(1906)는 지금까지 주로 소설 내용이 주된 연구대상이 되어왔다. 소설내용의 연구가 대부분이었던 이 텍스트에도 그 표현에 주목하는 연구도 최근에는 적지 않다. 체언맺음(?言止め)이나 ?이고(ので、からで)?로 문장이 끝나는 종지표현 등의 토송(藤村)문학 전체와의 관련, 『봄(春)』 등과의 비교, 교정과정에서 보이는 차별용어의 연구, 혹은〈화자(語り)〉의 시점에서 풀어나가는 연구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 텍스트의 문말 표현에 주목하는 선행논문은 거의 없다. 본론은 토송문학 전체에서 『破戒』의 특징적인 문말 표현이라 할 수 있는 ?인 것이다(のである)?를 실마리로 해서 토송의 문말 표현의 변화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고찰의 내용은 동시대와의 관계, 『破戒』와 『春』의 표현 차이의 분석, 그리고 그 차이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묻는 것이다. 고찰 결과 『破戒』의 문말 표현 ?のである?는 『多情多恨』 이후의 동시대 문말 표현의 흐름을 따르고 있고 ?のである?는 화자가 어떤 형태(설명, 이유 등)로든 강하게 나타나는 표현이라는 것을 어학논문의 분석을 참고해 알 수 있었다. 『春』은 토송과 그의 동료들을 모델로 하고 있는데 토송을 모델로 한 기시모토(岸本)와 당시 이미 사망한 北村透谷를 모델로 하는 아오키(?木) 이외의 다른 인물의 감정표현을 자제하거나 매우 암시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여기에는 『破戒』와 『春』 사이에 불거진 모델문제에서 모델의 감정표현이 문제가 된 것이 크게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에는 1인칭이 주어로 오는 경우에만 성립하는 감정표현(예를 들어 슬프다, 기쁘다)이 ?のである?를 문말로 쓰면 3인칭도 주어로 올 수 있는 ?のである?의 용법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破戒』에서 ?のである?를 문말 표현으로 해서 3인칭 주어의 감정표현을 많이 하고 있는데 『春』에서는 그 감정표현이 줄어들고 있으므로 당연히 ?のである? 표현도 줄어들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のである?의 격감현상은 화자가 문말에 현재화(?在化)하는 현상을 많이 줄어들게 하는 효과를 초래했는데 이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토송 소설은 『春』 이후에 진정한 자연주의 소설 작법으로 발전해 가는데 그 작법 중의 하나가 화자가 소설 내에서 자기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방향으로 노력했다는 것인데 화자가 현재화하는 ?のである? 표현은 그 방향과는 반대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破戒』에서 『春』으로의 변화는 藤村 한 사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현 단계에서의 필자의 가정이다. ?었다(た)?체를 근대소설의 도달점으로 볼 수 있다면 더 넓게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함유하고 있다고 하겠다. Research on “The Broken Commandment (破戒)” (1906) has mainly focused on its context up until now. However, recent research is starting to focus more on expressions than on the context itself. However, there is not much prior research on word-ending expressions of this literary texts. This research mainly focuses on the word-ending expression “nodearu”, a unique expression found in Toson’s “The Broken Commandment.”The key content will be about the relationship with the period then, the analysis between the expressions in “The Broken Commandment” and “Spring,” and what the differences actually mean. As a result, word-ending expression “nodearu” in “The Broken Commandment” follows the expression used during the period after “Tajyoutakon” and has been made clear that “nodearu” is a strong expression of the narrator whether it is for explaining or reasoning based on analyzing linguistics research papers. “Spring” is based on Toson and his colleagues, suggestively expressing other characters’ emotional expressions apart from Kishimoto whom was modeled after Toson, and Aoki modeled after Kitamura Toukoku. The problem here is on the model’s emotional expressions in “The Broken Commandment” and “Spring,” due to the emotional expression (e.g., sad, happy) that can normally be only used in a first person perspective, but can also turn into a third person perspective usage if “nodearu” is used as the word-ending expression. Many expressions ending with “nodearu” in “The Broken Commandment” is in third person perspective to express feelings, but in “Spring,” those expressions are not as viable-leading to the decreased usage of “nodearu.” This decrease in the usage of “nodearu” led to the reduction of strong expressions from the narrator. Toson’s literature really began to face naturalism after “Spring.” His tried to write the novel so that the narrator does not show oneself in the context, the exact opposite of the usage of “nodearu” expressions. What this research is arguing is that it the change from “The Broken Commandment” to “Spring.” is not only about Toson himself. If the past tense expression “ta” is interpreted as the final destination of modern novels, it mean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for future advancement of this usage.

      • KCI등재

        민간 모형의 의미 특성

        임지룡 한글학회 2011 한글 Vol.- No.294

        This study discusses semantic properties of folk models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cognitive view of folk models demonstrates a common-sense view of the world formed through daily experiences, in contrast to expert models based on expertise. Second, typical examples of folk models are sense expressions, emotional expressions, proverbs and popular versions.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sense expressions are closely motivated by folk models. Folk models of emotional expressions are conceptualized through physiological metonymy, conceptual metaphor, and scenario mechanisms. Proverbs and popular versions are a treasury of folk models and include unlimited potentiality of folk understanding. Third, philosophical objectivism and autonomous linguistics have overestimated the merits and excellence of expert models and have highlighted their negative aspects and limits. Cognitive linguistics has given folk models a proper meaning, identifying their significance in terms of explanatory power, factuality, familiarity, and predictability. To sum up, folk models as a foundation for the forming and understanding of language culture, reside in ordinary language and need to be explored in conjunction with expert models. 이 글의 목적은 언어공동체의 공유 지식인 인지 모형 가운데 ‘민간 모형’을 중심으로 의미적 특성을 살피는 것으로서,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 모형은 인지 모형의 일환으로서 경험을 통해 상식 수준으로 형성된 세계관이며, 전문 지식에 바탕을 둔 전문 모형과는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다. 둘째, 민간 모형의 전형적인 양상은 감각 표현, 감정 표현, 속담, 속언에 잘 나타난다. 그 중 감각 표현의 구조와 의미는 민간 모형에 의해 긴밀히 동기화되어 있고, 감정 표현의 민간 모형은 생리적 환유와 개념적 은유, 시나리오 기제를 통해 개념화된다. 또한 속담과 속언은 민간 모형의 보물창고로서 민간 이해의 무한한 잠재력을 내포하고 있다. 셋째, 객관주의 철학 및 자율언어학은 전문 모형의 장점과 우월성을 과대평가하고, 민간 모형의 부정적인 측면과 한계를 과장하였다. 그 반면 인지언어학은 민간 모형의 의의와 가치를 제대로 부여하였는데, 민간 모형의 의의는 설명력․사실성․친숙성․예측력에 있다. 요컨대, 일상 언어에 내재해 있는 민간 모형은 언어문화를 형성하고 이해하는 기반으로서, 전문 모형과 상보적으로 탐구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