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배위량 선교사가 지역사회에 끼친 사회적 영향

        이혜정(Hye-Jung Lee) 영남신학대학교 2018 신학과 목회 Vol.49 No.-

        This study examines Daegu’s first western missionary William M. Baird (1862-1931), also known as Bae Wi-ryang, with focus on his social influence on the Korean communities. Through Baird, Daegu Stat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USA) conducted missionary work in earnest, thus triggering modern social change in the region of Daegu and Gyeongsangbuk-do. This is because the then missionary work did not stop only at preaching Christianity but performed educational mission and medical mission, thus even spreading modern thinking and civilizations. Baird, the first western in Daegu, left several episodes. Not lifting himself above the strong curiosity of Daegu locals over a foreigner, Baird could not stay for a long time in Daegu, but he led to opening the era of local missionary hub apart from Seoul-centered missionary work, and to creating the foundation for the missionary work of the Daegu and Gyeongsangbuk-do region. Afterwards, Baird, while staying in Pyongyang, established and ran Christia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established Korea’s first 4-year university, thus leading the way in promoting Joseon’s modern private education. The educational model, established by him, was applied to the nationwide missionary division, leading to Daegu establishing the first private school and middle school. It was through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that the establishment of Christian schools was found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view of value of the future generations. March 1 Daegu Movement was able to be conducted with the leading engagement of nearby churches, Christian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Christian education awakened Joseon people to mental enlightenment. The lesson from Baird was Christianity"s social role. In late Joseon era with political and social turmoil, the missionary work engaged in public education and medical services where the government could not extend its helping hand properly, spreading such services fast to the public. In addition, the missionary policy, which was focused on Korean alphabet friendly policy, women education policy and the public rather than the elite, had hugh ripple effects on the public. The missionary"s such decision was possible because he accurately identified the times and responded to them. Christianity"s social mission was essential. Faith, if shut up inside individual humans, will not go universal. Christian love should not stop at self-centered love. It should extend to the love of neighbors, love of peoples, and love of nations. It is not one"s own nation-centered selfish love, but universal love, humanitarian love, and altruistic love. Our love of our people and our love of our nation should not be based on collective selfish love, but should extend to humanitarian altruistic love. March 1 Movement was where the love extended. What are Christianity’s mission and roles that Korean society today call for? Efforts to look for such mission and roles and put them to practice are Christians’ mission. The lesson from Joseon missionaries was how Christians responded to those times. As social situations change, what society requires will be different. Christians’ mission today is that we should think deeply of our-era mission and role.

      • 대구․경북 개신교 근대교회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의주,장석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7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7 No.1

        The protestant modern church architecture was researched centering around Gwangju and Gangwon-do in Korea, recently. For comprehensive architecture studies, we also require researching of the protestant modern church architecture of Daegu and Gyeongsangbuk-do. So, this study showed status of the protestant modern church architecture and their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It is fully necessary to research modern architectures before it is vanished. These results can be useful data for studying of the Korean protestant modern church architecture.

      • KCI등재

        문명화 전령에서 모범적 황국신민으로 : 대구지역 사범교육의 변동을 사례로

        이경숙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4 嶺南學 Vol.0 No.88

        이 글은 근대적 사범교육이 도입된 시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대구지역 사범교육의 체제와 교육방침을 통해 사범교육이 양성하고자 한 인물상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을 관공립사범학교에만 한정하지 않고 민간의 다양한 사범교육과정들까지 포함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민간에서 1905년 전후하여 애국계몽운동이 전개될 때 대구에서는 1906년 관찰사와 광문사(일명 달성광문사, 대구광문사) 등이 협력하여 사립대구사범학교를 세웠다. 사립대구사범학교를 통해 지역민들은 문명화의 소명 아래 사범학교 학생들을 장차 문명화를 전달하는 전령으로 키우려고 했다. 다른 민간 사범교육 형태 중 하나로 기독교가 중심이 된 사범교육도 있었다. 미션스쿨 부설 사범과, 성경학교, 주일학교 등을 통해 미국인 선교사들이 그들의 미국식 아동관과 교육관을 지역민들에게 전파하고자 했다. 한편, 삼일운동을 계기로 높아진 교육열로 각 지역에 공립사범학교들이 만들어질 때 대구에서도 1923년 경상북도공립사범학교를 설립했다. 그리고 공립사범학교의 교육 질이 낮고, 재정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그리고 후대 학무국장의 회고로는 극심한 자유주의 때문에 통일성을 기하기 위해 1929년 조선총독부는 공립사범학교들을 폐지하고 기존에 설립된 관립경성사범학교 외에 평양과 대구에 관립사범학교를 설치했다. 조선총독부가 통제하는 관공립사범학교들은 ‘교육칙어의 실현자’, ‘황국의 도의 선구자’ 같은 교육방침을 통해 학생들을 모범적인 황국신민으로 양성하고자 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system and policies of teacher education in Daegu, from the advent of modern education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analyzes the character traits that the education system and policies sought to instill.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n 1906, the governor and Gwangmunsa joined forces to establish the private Daegu Normal School. This institution aimed to train teachers who would serve as messengers of civilization, responding to the call for enlightenment. In addition to this, there were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fluenced by Christianity among other forms of private education. American missionaries endeavored to impart their American-style views on children and teaching methods to the local population through mission schools, Bible schools, and Sunday schools. In contrast, following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Daegu established the Gyeongsangbuk-do Public Normal School in 1923. However, due to the low caliber of students and financial constraint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bolished public normal schools in 1929, replacing them with government-run normal schools in Pyongyang and Daegu. Both public and government-run normal schools aimed to mold students into exemplary Subjects of the Japanese Empire(皇國臣民, Hwangguk Sinmin) through educational policies such as “realizers of the Educational Decree” and “pioneers of the Japan imperial way”.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의 지역소멸 방지와 미래성장 동력을 위한 행정통합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오사카도 구상(大阪都構想)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손미경(Son Mi-Kyoung),김옥채(Kim Ok Cha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0 로컬리티 인문학 Vol.- No.24

        그 어느 때보다 ‘삶의 질’에 대한 관심 증대라는 시민의 수요 충족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어떠한 행정적 발전 전략을 구사할 것인가는 모든 도시가 직면한 중요한 과제이다. 21세기 이전까지는 수도권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영역 등 모든 권력이 집중되는 ‘일극화 지향’을 통해 효율적으로 생계형 사회를 확보하고 안정시키는 발전의 일차적인 목적을 달성했으나, 장기적으로 지역의 우수한 인재 유출, 도시로의 인구이동 등으로 인해 지역의 중소도시는 물론이고 지역의 대도시조차도 소멸 위기에 직면한 상태이다. 도시경영과 도시발전 전략의 중요성은 점점 증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것이 오사카도 구상이다. 이 글은 수도권 대도시 중심의 발전 전략과 정책으로 인한 지역소멸, 지역 도시의 위기라는 상황에서, 오사카도 구상이 일종의 도시 진화를 위한 합리적인 소프트웨어 행정시스템 개발사례인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오사카도 구상이 탄생한 배경과 목적, 그리고 추진체계와 추진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소통과 협의의 절차와 내용 등을 분석하여, 이 정책이 민주성과 투명성의 가치를 달성하고 있는지 그리고 정책적 형평성이 보장되고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대구 · 경북 행정통합 등 향후 광역시와 그 광역시를 포괄하는 자치단체 간의 행정통합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s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the ‘quality of life’ and institutional efforts to fulfill people’s demand, the importance of urban management and development strategies by a local government is gradually increasing. Prior to the 21st century, most metropolitan cities in the capital area achieved the primary purpose of securing and stabilizing subsistence society efficiently through ‘unipolar pursuit,’ which centralizes all powers in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reas. However, small, medium, and even large cities in non-capital regions are facing a crisis of extinction due to the continued brain drain and population drift to more populated ones over the long-term. The importance of both the urban management and the development strategy is on the rise, and the Osaka Metropolis Plan sprang from this critical mi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whether the Osaka Metropolis Plan is the case of a reasonable administrative system development as a software for the urban evolution while regional cities are facing the crisis of its extinction due to the development strategies and policies of large cities in the capital area. In specific, this study analyzes the background and objective of the Osaka Metropolis Plan as well as the procedure and details of communication and consultation shown while the process has been made. By doing so, this study additionally examines whether the policy establishes the democratic and transparent values and guarantees its equ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implications regarding administrative integration between metropolitan cities and local governments embracing these cities, such as the case of Daegu and Gyeongsangbuk-do.

      • KCI등재후보

        필수기록물 관리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대구⋅경북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박민정,이지원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연구 Vol.15 No.2

        Continuous management and attention are needed to essential records that play a vital role in continuing and restoring the organization’s operations and functions in the emergencies or disasters and after the disaster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essential records management and propose plans to revitalize essential records management.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41 public institutions in Daegu and Gyeongbuk on the current status and recognition of essential records manag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re were many institutions that applied the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oriented public standards rather than the agency’s own guidelines or manuals. In addition, even if disaster preparedness was carried out by applying public standards, there were many institutions that only distinguished types of essential records. In addition, they showed a passive attitude toward the tasks and procedures that must be performed in order to select and protect essential records, such as the role of screening essential records for each subject, inventory management, protection methods, and protection plans. Only some institutions provided training on mandatory records for employees within the institution, and the heads of institutions, executives and general staff had low awareness of the required records. The agreement of the Records Manager on adding essential records-related provisions and terms to the law was also lowBased on foreign cases and survey results, plans for vitalizing management of essential records. such as strengthen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essential records, reinforce the effectiveness of essential records standards, providing training courses related to essential records, and supplement the measurement standards for the essential records evaluation indicators, were proposed. 필수기록물은 비상사태나 재난 발생 시 그리고 재난 이후, 기관의 업무와 기능을 신속히 회복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기록물로서, 지속적인 관리와 관심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필수기록물 관리 현황을 파악하고, 필수기록물에 관리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구⋅경북의 공공기관 중 41개관을 대상으로 필수기록물 관리 현황 및 담당자 인식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기관 자체의 지침 혹은 매뉴얼보다 중앙 행정기관 위주의 공공표준을 준용하는 기관이 많았으며 공공표준을 준용하여 재난대비를 실시하더라도 필수기록물 선별에는 유형 구분만 하는 기관이 많았다. 또한 각 주체별 필수기록물 선별 역할과 목록 관리, 보호방법, 보호계획 등 필수기록물이 선별되고 보호되기 위해 행해져야 하는 업무와 절차들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소수의 기관만이 기관 내 직원들을 대상으로 필수기록물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였고, 기관장, 임원 및 일반 직원들의 필수기록물에 대한 인식도 낮았다. 법률상 필수기록물에 대한 조항 및 용어 추가에 대한 기록관리 담당자들의 동의도 낮았다. 본 연구에서는 필수기록물에 대한 해외 사례와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필수기록물 관리 관련 법령 강화, 필수기록물 관련 표준의 실효성 제고, 필수기록물 관리 교육 실시, 필수기록물 평가지표의 측정기준 보완을 국내 필수기록물 관리 활성화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영천의 독립전쟁 전통과 군사시설

        김윤미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3 嶺南學 Vol.- No.86

        이 글은 영천의 근대사를 전쟁과 군사적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독립을 향한 전통은 독립운동사의 관점을 넘어 군사사의 관점에서 바라볼 때, 독립전쟁의 전통이라 할 것이다. 전근대에서 근대로, 근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외부의 군사강점에 맞서 싸운 군사활동은 국군의 역사차원에서 포괄적인 운동사의 관점보다 의병전쟁에서 독립전쟁으로 확대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전쟁은 다양한 군사시설을 포함한 군사흔적을 해당 지역에 남기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경북 영천에 주목했다. 본문에서는 먼저 영천의 의병전쟁과 독립운동의 전개를 살펴보았다. 경북의 여타 지역과 교통망이 연결되어 있던 영천은 다른 지역과 연대하여 을미의병과 정미의병을 일으켰다. 일본의 침략을 막고자 일으킨 의병전쟁은 이후 3‧1독립운동, 일본·만주·중국 등 국내외 독립전쟁으로 이어졌다. 다음으로 한반도에서 일본군의 군사활동을 검토했다. 일본은 한국주차군 제14연대와 한국주차헌병대를 영천에 파견하여 의병의 활동을 막았고, 식민지가 된 한반도에 일본군 2개 사단을 상주시켰다. 대구에 본부를 둔 일본 육군 보병 제80연대의 영향 아래 있었던 영천은 아시아태평양전쟁 시기 금호에 영천비행장을 건설하고 항공부대를 주둔시켰다. 영천의 주요 지점에는 고사포를 설치하고 부대를 편성했으며, 일본군이 주둔하고 지역의 치안을 담당하는 헌병대도 활동하고 있었다. 당시 군사시설은 현재까지 남아있다. This article revisits the modern history of Yeongcheon from a war and military perspective. The tradition of independence is the tradition of the War of Independence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military history beyond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From the modern era to the present, military activities have expanded from the War of Militancy to the War of Independence, rather than a comprehensive movement history in terms of the history of the national army. In addition, wars leave military traces in the region, including various military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Yeongcheon, Gyeongbuk Province.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mercenary war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Yeongcheon. Yeongcheon is connected to the rest of Gyeongbuk by a transportation network. Therefore, Yŏngcheon was able to join forces with other regions to launch the Eulmi's Disease and Jeongmi's Disease. This led to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the Japanese, Manchurian, and Chinese wars of independence at home and abroad. Next, we reviewed Japanese military activities on the Korean Peninsula. Japan dispatched garrisons and gendarmes to Yeongcheon to stop the activities of the samurai. Japan then stationed two divisions of the Japanese army on the Korean Peninsula. Yeongcheon came under the influence of the 80th Japanese Army Infantry Regiment, headquartered in Daegu. During the Asia-Pacific War, Yeongcheon built Yeongcheon Airfield and stationed aviation units. High-powered artillery was installed at key points and troops were organized. Japanese troops were stationed and gendarmes were in charge of policing the area. The military facilities remain to this day.

      • KCI등재

        일제강점기 동해선(東海線) 3선(線)과 지역

        전성현 ( Jeon Sung-hyun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7 石堂論叢 Vol.0 No.69

        일제강점기 동해선의 계획과 건설과정은 조선총독부의 조선 산업개발과 한반도 종관철도라는 ‘제국의 이해’와 함께 3선 연선지역, 즉 강원도, 경상남북도 지역의 개발과 그 수혜로서 원산, 대구, 부산지역의 번영이라는 ‘지역의 이해’가 반영되어 있었다. 그러나 만주사변 이후 전시체제에 따른 조선총독부의 철도건설 우선권이 북부조선으로 이동하면서 차일피일 미뤄진 결과, 동해선은 조선의 산업개발이라는 측면에서 부분적으로 제국과 지역의 이해에 복무할 수 있는 3선 체제의 지역철도에 머무르고 말았다. 그런데 중부선과 남부선의 연결은 거점 지역 간의 경쟁을 불러일으켜 종속 관계로 재편시키는 등 ‘지역의 이해’도 큰 틀에서는 ‘제국의 이해’ 관계 속 산물이었다. 이는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동해선 3선의 운영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우선 동해선은 뒤늦은 개통과 3선 모두 연결되는 간선 형태가 아니라 지선에 그쳤기 때문에 운영 면에서 간선철도로서의 식민지적 역할은 상당히 제약되어 있었다. 5대 간선을 제외하면 여객수송이 화물수송보다 두드러졌는데, 이는 지역교통과 관광에 의한 것이었다. 특히 여객수송에서 새롭게 ‘제국의 이해’에 복무하는 ‘관광식민주의’적 역할을 부분적으로 담당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화물수송에서는 북부선을 통한 임산물, 수산물, 광산물의 유출과 남부선을 통한 미곡 등 농산물의 유출, 그리고 전 선로의 공산품 유입이 두드러졌다. 이는 동해선 개통이 지역개발과 문명의 확산이기도 했지만 결과적으로 농촌 경제의 도시 종속과 함께 식민지 경제의 제국 종속을 심화시키는 과정이기도 했다. The planning and construction process of the Donghae lin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flected the ‘understanding of the empire’, which was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 railroad on the Korean peninsula of the Chosun Governor General. And it reflected the ‘understanding of the local’, which is the prosperity of Wonsan, Daegu, and Busan as the development and benefits of Gangwon-do and Gyeongsang-do. However,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the Chosun Governor General decided to build the railway to North Korea, and the Donghae line was delayed. As a result, Donghae line has stayed in the three-way local railway that can partly serve the empire and local understanding in industrial development. Howev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Jungbu Line and the Nambu Line led to a rivalry between the base cities and reorganized into subordinate cities. This means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local’ was the product of ‘understanding of the empire’. Although this is limited, the same was true for the operation of the third line of the Donghae line. First, the Donghae line was opened not by the connected trunk line but by separate branch lines, so the colonial role of the trunk line was insignificant in terms of operation. Passenger traffic, however, was more prominent than cargo traffic except for the five trunk lines, which was due to local traffic and tourism. Particularly, it can be said that it was partly responsible for the new role of 'tourist colonization' in passenger transport. On the other hand, in cargo transportation, the outflow of forest products, aquatic products, minerals through the Bugbu Line, the outflow of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Nambu line, and the influx of industrial products from the whole railway stand out. In the end, the opening of the Donghae line is also a process of regional development and the spread of civilization, but as a result, it deepened the subordination of the rural economy or the imperial dependency of the colonial economy.

      • KCI등재

        일제강점기 東海線 3線과 지역

        전성현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7 石堂論叢 Vol.0 No.69

        The planning and construction process of the Donghae lin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reflected the ‘understanding of the empire’, which was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the railroad on the Korean peninsula of the Chosun Governor General. And it reflected the ‘understanding of the local’, which is the prosperity of Wonsan, Daegu, and Busan as the development and benefits of Gangwon-do and Gyeongsang-do. However,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the Chosun Governor General decided to build the railway to North Korea, and the Donghae line was delayed. As a result, Donghae line has stayed in the three-way local railway that can partly serve the empire and local understanding in industrial development. Howev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Jungbu Line and the Nambu Line led to a rivalry between the base cities and reorganized into subordinate cities. This means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local’ was the product of ‘understanding of the empire’. Although this is limited, the same was true for the operation of the third line of the Donghae line. First, the Donghae line was opened not by the connected trunk line but by separate branch lines, so the colonial role of the trunk line was insignificant in terms of operation. Passenger traffic, however, was more prominent than cargo traffic except for the five trunk lines, which was due to local traffic and tourism. Particularly, it can be said that it was partly responsible for the new role of 'tourist colonization' in passenger transport. On the other hand, in cargo transportation, the outflow of forest products, aquatic products, minerals through the Bugbu Line, the outflow of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Nambu line, and the influx of industrial products from the whole railway stand out. In the end, the opening of the Donghae line is also a process of regional development and the spread of civilization, but as a result, it deepened the subordination of the rural economy or the imperial dependency of the colonial economy. 일제강점기 동해선의 계획과 건설과정은 조선총독부의 조선 산업개발과 한반도 종관철도라는 ‘제국의 이해’와 함께 3선 연선지역, 즉 강원도, 경상남북도 지역의 개발과 그 수혜로서 원산, 대구, 부산지역의 번영이라는 ‘지역의 이해’가 반영되어 있었다. 그러나 만주사변 이후 전시체제에 따른 조선총독부의 철도건설 우선권이 북부조선으로 이동하면서 차일피일 미뤄진 결과, 동해선은 조선의 산업개발이라는 측면에서 부분적으로 제국과 지역의 이해에 복무할 수 있는 3선 체제의 지역철도에 머무르고 말았다. 그런데 중부선과 남부선의 연결은 거점지역 간의 경쟁을 불러일으켜 종속 관계로 재편시키는 등 ‘지역의 이해’도 큰 틀에서는 ‘제국의 이해’ 관계 속 산물이었다. 이는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동해선 3선의 운영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우선 동해선은 뒤늦은 개통과 3선 모두 연결되는 간선 형태가 아니라 지선에 그쳤기 때문에 운영 면에서 간선철도로서의 식민지적 역할은 상당히 제약되어 있었다. 5대 간선을 제외하면 여객수송이 화물수송보다 두드러졌는데, 이는 지역교통과 관광에 의한 것이었다. 특히 여객수송에서 새롭게 ‘제국의 이해’에 복무하는 ‘관광식민주의’적 역할을 부분적으로 담당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화물수송에서는 북부선을 통한 임산물, 수산물, 광산물의 유출과 남부선을 통한 미곡 등 농산물의 유출, 그리고 전 선로의 공산품 유입이 두드러졌다. 이는 동해선 개통이 지역개발과 문명의 확산이기도 했지만 결과적으로 농촌 경제의 도시 종속과 함께 식민지 경제의 제국 종속을 심화시키는 과정이기도 했다.

      • KCI등재

        건설업등록기준의 제도적 사례를 통한 컨설팅 방안 연구

        송진향,이윤석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9 경영컨설팅연구 Vol.19 No.2

        The main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analyze problems of Construction Business Registration Standard (CBRS) and to propose some rational improvement plans. In order to suggest some improvement plans, this research thoroughly investigated previous studies regarding CBRS and ‘business area’, and conducted a survey with related local construction business practitioners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principal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introducing enforced disqualification systems for ineligible companies and supportive systems for outstanding companies. Detailed improvement action plans are as follows. The existing construction ability evaluation method should be improved by thoroughly investigating the management condition of companies using two months average balance certification. Representatives and engineers without a construction career need to be restricted from construction business registration or complete minimum training/education programs provided by related associations. Disqualified companies including representatives who disturbed the market previously should be restricted from the construction business and their construction processes throughly monitored. 본 연구는 대구․경북 건설업체 종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현행 건설업 등록기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합리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건설업 등록기준과 업역제도를 중심으로 한 문헌연구와 지역업체 관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및 건설업 관련 종사자들의 인터뷰를 분석하는 연구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건설등록 기준 정책의 개선방향은 부적격 업체의 원활한 퇴출과 우수 업체의 성장을 촉진시켜 시장 기능의 정상화를 도모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건설업 등록을 위한 자본금의 기준은 일부 상향 조정 및 보유실태 점검을 강화하여 기업의 경영 상태를 명확히 평가하는 등 시공능력평가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기술 인력과 관련해서는 해당 업종의 현장 경력이 있는 기술자들을 보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건설업 경력이 없는 대표자와 기술자는 해당 협회 등에서 소정의 교육을 이수하고, 기본 자격을 취득 후 건설업 등록을 허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거 시장 질서를 왜곡한 대표자에 대하여 건설업 진입을 제한하는 것도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