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입학사정관의 역량모델 개발

        방재현,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2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competency model for college admissions officers in Korea. To pursue this goal,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about college admissions officers' competencies. Focus group interview and 4 SMEs review were implemented to revised the draft competency model for college admissions officers. A survey with 109 college admissions officers of 21 university were conducted to validate a draft competency model.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final competency model for college admissions officers was constructed with two competency areas, four roles, six common competencies and twenty-two task competencies. The competency areas were common competency and task competency and the roles were evaluator, researcher, planner, guider. The six common competencies were ethicality, professionalism, self-management, communication, teamwork, leadership. The twenty-three task competencies were the understanding of high school context, the understanding of high school context, the applicants’ documents of college entrance exam, the process of college entrance exam, verifying the reliability of applicants’ documents, understanding of assessment criteria and guidelines, analysis and assessment of applicants’ documents, judgement of the successful candidates, analysis of the college entrance exam results, utilization of the college entrance exam results, the understanding of admissions officers policy,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college entrance exam policy, deriving the assessment criteria and elements, developing the assessment guidelines, developing the interview questions, scheduling the college entrance exam, scheduling the assessment of college entrance exam, the understanding of college administration, planning the public-relations programs, developing the promotional strategy, making the promotional material presentation, consulting.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입학사정관의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으며,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문헌고찰과 심층면접을 통해 대학입학사정관 역량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대학입학사정관 잠정적 역량모델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대학입학사정관 잠정적 역량모델은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전문가 검토를 통해 2차례 수정되었고, 수정된 잠정적 역량모델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대학입학사정관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대학입학사정관의 역량모델은 공통역량과 직무역량의 2개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공통역량은 윤리성, 전문가 의식, 자기관리, 의사소통, 팀워크, 리더십 등 6개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직무역량은 지원자의 입학여부를 결정하는 평가자, 대입전형 및 제도에 대한 연구자, 대입전형 일정을 수립하는 기획가, 대학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안내자 등 4개 역할에 따라서 청소년 이해, 고등학교 교육현장 이해, 전형 평가자료 이해, 전형 과정 이해, 전형자료의 신뢰성 검증, 평가기준 및 지침 이해, 전형자료의 분석 및 평가, 지원자 합격 판단, 전형 결과 분석과 전형 결과 활용, 국내외 대입정책 및 전형 분석, 평가준거 요소ㆍ추출, 평가지침 개발, 인터뷰 문항 개발, 전형 일정 수립과 전형 평가 일정 수립, 대학 행정 이해, 홍보 프로그램 기획, 홍보 전략 수립, 홍보 자료 구성, 홍보 자료 전달, 전형 상담을 위해 상담 수행 등 22개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 KCI등재

        대졸취업자가 인식하는 대학교육의 학습성과 분석 연구: 역량인식과 대학교육기여도를 중심으로

        배천웅 ( Bae Cheon-ung ),남혜선 ( Nam Hye-su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1

        본 연구는 대졸취업자가 직장 및 사회 생활을 수행하는데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역량(역량인식)과 대학교육이 역량 개발에 도움을 준 정도에 대한 인식(대학교육기여도 인식)이 상응하는 정도를 분석하여 대학교육의 학습성과를 확인하였다.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 2014년(8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대졸취업자는 `전문분야지식 및 기술 역량`과 함께 `대인관계 역량`과 같은 인성적 자질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지만, 대학교육은 `대인관계 역량`보다는 `글을 읽고 쓰는 역량` 개발에 더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다. 대졸 여자 취업자들은 남자 취업자에 비해 `글을 읽고 쓰는 역량`, `대인관계 역량`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는데, 대학교육은 `전문분야지식 및 기술 역량` 개발에 더 크게 기여했다고 인식하였다. 일반대학 졸업자는 `전문분야지식 및 기술 역량`을 가장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하였으며, 대학교육기여도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전문대학 졸업자는 `대인관계 역량`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나, 대학교육기여도에서는 `자기관리 역량`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전공과 직장의 업무내용이 일치하는 정도가 높은 대졸 취업자일수록 역량인식과 대학교육기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노동시장에서 대학교육의 성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llege graduates` perceptions of the competence actually required at workplaces or in society (perception of competencies) and to assess their evaluation of college education that helps to develop competence (contributions of college).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Youth Panel of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using the data of 2014(8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emale graduates thought liter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more important compared to male graduates. However, college education was thought to contribute to developing competence knowledge and technical competence more than liter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Graduates from four-year colleges recognized that knowledge and technical competence were the most important among the competencies, and university education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developing this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graduates of junior college perceived interpersonal competence as the most important, but college education contributed to developing self-management competence more. College graduates who have a high degree of congruence between their majors and their workplaces have a higher recognition of competences and the contributions of college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suggestions were discussed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college education in labor markets.

      • KCI등재

        대학생 핵심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H 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고진영,정기수 한국교양교육학회 2017 교양교육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re Competency Assessment for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this assessment reflecting on educational mission, educational goals, and educational objectives.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tudents’ college year, college major, and campus location on core competencies. There are six different core competencies and two of them have two sub-competencies (see Figure 1 and Table 1). A total of 10,752 H college students responded to Core Competency Assessment. In order to develop and validate this assessment, expert group discussion was executed for conten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21.0. Results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37 items as the final assessment. In addition, MANOVA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lege year, college major, and campus location on core competencies. The results showed that junior and senior students had higher levels of the most of the core competencies, compared to freshman and sophomore students. In addition,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Arts and Physical Education had lower levels of all of the core competencies, compared to other majors.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also had lower levels of the most of the core competencies. Furthermore, students who were studying at Ansan campus had lower levels of all of the core competencies, compared to students who were studying at Seoul campus. In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order to provide a guideline to educate students meeting H university’s educational missions. Also, other universities can use and adopt the result of this study designing an assessment tool aligned with their educational missions. 이 연구는 대학별 교육이념, 교육목표, 및 교육목적에 기반한 핵심역량진단도구 개발의 중요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핵심역량진단도구 (HY-CCA)를 개발 및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타당화된 도구를 활용하여 대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으로 학년과 전공을 포함할 뿐 아니라, 두 곳의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는 H 대학의 특성을 반영하여 캠퍼스에 따른 핵심역량의 차이 또한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타당도와 10,752명의 자료를 근거로 SPSS 21.0을 사용해서 문항간의 내적 일관성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37개의 H 대학 핵심역량 진단도구 문항을 선별하였다. 둘째, 학년, 전공계열, 캠퍼스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한 결과, 3·4학년 학생들이 1·2학년 학생들에 비해 대부분의 역량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예체능계열의 학생들이 모든 핵심역량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이공계열 학생들도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과 지식·정보 수집 및 활용 역량을 제외한 대부분의 역량에서 다른 전공계열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또한, 안산캠퍼스 재학생들이 서울캠퍼스 재학생들에 비해 모든 핵심역량에서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 연구는 H 대학 학생들이 대학의 교육이념에 맞는 인재상으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가교 역할을 할 뿐 아니라, 나아가 타 대학에서도 그들이 추구하는 교육이념과 일관되는 하위 척도들을 선별적으로 적용 및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비서학 전공 대학생의진로역량이 취업의지에 미치는 영향과고용의 질 인식의 조절효과

        황정희,박선아,김연정 한국비서학회 2022 비서·사무경영연구 Vol.31 No.1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career competencies, will to work, and the perceptions of employment quality for secretarial position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cience. The second aim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areer competencies on the will to work.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q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petency and will to work was also analyzed. The response results of 388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cience at four-year colleges and two-year colleg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ile college students' career competencies and will to work were relatively high, their perception of the employment quality was low. In career competencies, reflection competency, relationship competency, and behavioral competency were high in that order.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erms of career competency, will to work, and perceived employment quality.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grade, two-year colleg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employment quality, and four-year colleg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will to work and perceived employment quality. Third, among the career competencies of students, relationship competency and behavior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will to work, and behavior competency had a greater effect on their will to work than relationship competency. On the other hand, the reflection competenc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will to work. Fourth, the perception of employment quality for the secretarial positions had no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petencies and the will to work. This study can serve as a guideline for the direction of major education for successful career employment support for secretarial colleg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역량, 취업의지, 비서직 고용의 질 인식이 개인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와 진로역량이 취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 과정에서 비서직 고용의 질 인식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과 2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388명의 비서학 전공 학생들의 응답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진로역량과 취업의지가 상당히 높았던 반면, 비서직 고용의 질 인식 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진로역량 수준은 성찰역량, 관계역량, 행동역량 순으로 밝혀졌다. 둘째. 진로역량, 취업의지, 비서직 고용의 질 인식 수준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학년에 따라 2년제 대학은 고용의 질 인식이, 4년제 대학은 취업의지와 고용의 질 인식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역량 중 관계역량, 행동역량이 취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행동역량이 관계역량보다 취업의지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찰역량은 취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넷째, 비서직에 대한 고용의 질 인식은 진로역량과 취업의지의 관계에 있어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비서학 전공 대학생들의 성공적인 진로 취업 지원과 전공 교육의 방향에 대한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단과대학별 신입생의 핵심역량 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만족도 요인 탐색: 대면과 온라인, 병행 수업상황의 비교

        허영주 핵심역량교육학회 2022 핵심역량교육연구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w personal and educational factors affect the changes in core competencies of college freshmen in face-to-face, online, and parallel class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2,421 freshmen who entered N University in the 2018-2020 school year were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e competencies of N University freshmen improved the most in the face-to-face, but improved to a lesser extent than the face-to-face in the parallel, and decreased in the online classes. However, the change in core competencies was found to vary by college. While the core competencies of freshmen at the College of Engineering decreased in all classes, it at the College of Health and Welfare improved in all classes. It at the Global College of Commerce and Commerc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ace-to-face, while it increased slightly in the online and decreased in the parallel. It can be seen that at the College of Creative Arts and Culture improved more than three times in the face-to-face, and decreased in the online and parallel. Second, it was found that core competency increased when the initial value of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performance were high and the change in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performance increased. However,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in core competencies were found to vary by college. In the College of Engineering,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initial value of the curriculum and the greater the change in the curriculum, the higher the core competency. In the Global University of Commerce, it was found that increased as the quality of classes and educational performance increased. In the College of Health and Welfare, it was found that increased as the initial value of the curriculum was high and change in educational performance increased. In the College of Creative Arts and Culture, it was found that increased as the initial value of education quality and educational performance were high, and change in the educational performanc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creased. Through this, it was suggested that a differentiated support strategy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llege is needed to improve the core competencies of new students. 본 연구는 대면-대면 및 대면-온라인, 온라인-병행 수업상황에서 대학 신입생들의 개인적 요인과 교육적 요인이 핵심역량의 변화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N대학교에 2018-2020학년도 입학한 신입생 2,42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1학년에서 2학년 사이의 핵심역량 변화량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대학교 신입생들의 핵심역량은 대면-대면 수업상황에서 가장 크게 향상되었고, 온라인-병행 수업상황에서는 대면-대면 수업상황에서 보다는 적지만 향상되었고, 대면-온라인 수업상황에서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핵심역량 변화량은 단과대학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과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은 모든 수업상황에서 감소한 반면, 보건의료복지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은 모든 수업상황에서 향상되었다. 글로벌상경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은 대면-대면 수업상황에서는 큰 폭으로 상승한 반면, 대면-온라인 수업상황에서는 소폭 상승하였고 온라인-병행 수업상황에서는 소폭 감소하였다. 창조문화예술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은 대면-대면 수업상황에서는 다른 단과대학의 3배 이상 향상되었고, 대면-온라인 수업상황과 온라인-병행 수업상황에서는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대학교육만족도 하위영역 중에서는 교육과정 초기값과 교육성과 초기값이 높고, 교육과정 변화량과 교육성과 변화량이 증가할 때, 핵심역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핵심역량 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단과대학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과대학은 교육과정 초기값이 높고 교육과정 변화량이 클수록 핵심역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글로벌상경대학은 수업의 질과 교육성과 변화량이 클수록 핵심역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보건의료복지대학은 교육과정 초기값이 높고, 교육성과 변화량이 클수록 핵심역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창조문화예술대학은 교육의 질과 교육성과 초기값이 높고, 교육성과와 교육환경 변화량이 클수록 핵심역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신입생들의 핵심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과대학 특성에 맞는 차별적인 지원전략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 간호대학 신입생의 사회적 관계망, 대인관계역량 및 문제해결역량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경은(Kyung Eun Lee),최효신(Hyo Sin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 이후 간호대학 신입생의 사회적 관계망, 대인관계역량 및 문제해결역량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는 2022년 5월 15일부터 5월 31일까지 D 광역시 2개 대학 간호학과 1학년에 재학 중인 149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사회적 관계망, 대인관계역량 및 문제해결역량, 대학생활 적응을 측정하는 자가 보고형 설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s,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전공만족도에 따라 대학생활 적응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만족도, 문제해결역량, 사회적 관계망 크기와 접촉빈도, 대인관계역량, 대학생활 적응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인관계역량, 전공만족도 및 사회적 관계망 접촉빈도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36.6%였다. 결론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도를 높이기 위해서 전공의 만족도와 대인관계역량을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to evaluate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problem-solving competency of nursing college freshmen on college life adaptation after COVID-19.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49 first-year nursing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D from May 15 to May 31, 2022, and data collection was measur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measuring social network,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problem-solving competency. Data analysis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the SPSS 23.0 program. Results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lege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major satisfaction. Major satisfaction, problem-solving competency, social network size and contact frequency,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college life adaptat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In addition, factors affecting the adaptation of nursing college freshmen to college life were in the order of interpersonal competence, major satisfaction, and social network contact frequency,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36.6%.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hat can improve major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in order to increase the adaptability of nursing college freshmen to college life.

      • KCI등재

        대학생의 코칭역량이 진로변인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진로성숙도, 진로준비행동, 취업불안의 관계-

        박윤희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코칭역량이 진로변인들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대학생의 코칭역량이 진로성숙도, 진로준비행동과 취업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소재 S대학교에서 진로 관련 교양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56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회귀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코칭역량과 코칭역량의 하위요인들 모두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 간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반면에 대학생의 코칭역량과 코칭역량의 하위요인들 모두 취업불안과 부적인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코칭역량은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코칭역량은 취업불안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코칭역량의 하위요인들의 진로변인들에 대한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자기다움과 커뮤니케이션 요인들은 진로성숙도, 진로준비행동과 취업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행동변화요인은 진로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에는 정적인 영향을 그리고 취업불안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코칭역량은 진로에 대한 준비, 진로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대학생의 코칭역량은 취업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에게 취업불안을 낮추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코칭역량의 향상을 통해 취업불안감을 줄이면서 진로준비와 실행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코칭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입증하는 후속 연구들이 이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on career maturit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anxiety with the aim of examining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on major career variabl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took liberal arts courses related to career and employment at S University in Seoul, and the data of 356 people were finall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deriv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coaching competency and the sub-factors of coaching competen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the other hand, both the coaching competency and the sub-factors of the coaching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anxiety. Second,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coaching competency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anxiety. Thir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influence of the sub-factors of coaching competency on career variables, self-worth and communication facto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areer maturit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anxiety.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behavioral change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anxiety. Through these findings,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was identified as a variable that positively influenced specific actions for career preparation and career realiz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play a role in lowering job anxiety for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career preparation and implementation will be possible while reducing job anxiety by improving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Based on these findings, various subjects and non-subject programs were proposed to strengthen the coaching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We hope that follow-up studies to pr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inue.

      • KCI등재

        교수설계 변인과 대학생 핵심역량 간의 관계에서 학습참여의 매개효과

        홍주연(Hong Ju yeon),송해덕(Song Hae D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6

        현대 사회에서 실제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이 중요해지면서 대학에서는 학습자 역량을 교육목표로 선정하고 다양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방법을 적용하는 등 대학생들의 역량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 대학생 핵심역량을 촉진시키는 교육적 변인들을 탐색하고자 본 연구는 교수설계 변인과 대학생 핵심역량 간의 관계와 학 습참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704명의 대학생 설문결과, 교 수설계 변인, 학습참여, 대학생 핵심역량 간에는 구조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학습참여는 이 둘 사이를 부분매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변인간의 영향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교수설계 변인 중 수업방법, 시험 및 과제, 평가가 대학생 핵심역량은 물론 학습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참 여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행동적 참여, 정서적 참여, 인지적 참여는 모두 대학생 핵 심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대학생 핵 심역량 향상을 위해서 학습자들의 학습참여를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교수설계 변인 중 수업방법, 시험 및 과제, 평가 등의 교수설계 변인을 고려하여 수업을 설계 하는 것이 의의가 있음을 시사한다. Competencies development is even more critical today in the face of social challenges. Accordingly, student needs to develop competencies such as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and self-management. For the improving college student key competencies, institutions try to set of educational goal reflecting competencies and to apply learner-centered instructional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instructional design variables and student engagement influence college students’ key competencies and to examine a mediation effect of student engagement. For th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704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ⅰ) The research model shows good fit indices. Also student engagement variable mediate between instructional design variables and college student key competencies. (ⅱ) Instructional design variables significantly affect on college student key competencies. In particular, instructional method, exam and task, and evaluation were significant on college student key competencies. (ⅲ) Instructional variable significantly affect on student engagement. Instructional method, exam and task, and evaluation are also significant to student engagement. (ⅳ) Student engagement significantly affect on college students’ key competencies. In conclusion, student centered instructional method, exam and task, and evaluation should be aligned for effective instructional design. Also student engagement should to be considered to improve college student key competencies.

      • KCI등재

        긍정심리자본, 감성지능, 소통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장해순,이만제 한국소통학회 2023 한국소통학보 Vol.22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ffect adaptation to a college life in Korean college students. The summary of the main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with hig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re good at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particular, amo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resilience factor i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social adaptation, emotional adaptation, physical adaptation, and attachment to a college, and the hope factor on academic adaptation. Second, college students with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tend to better adaptation to college life. Particularly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it is analyzed that the factor of emotional regulation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social adapt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and the factor of emotional use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emotional adaptation, physical adaptation, and attachment to college. Third, it i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with higher communication competence are better at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particular, among the communication skills, it is found that the factor of reducing social tension has the greatest effect on emotional adaptation, physical adapt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and interaction management on social adaptation, and cooperation/support on attachment to a college.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college life adaptation, it is found that the factor of emotional use, which is a sub-fa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resilience, a sub-factor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ve the greatest influence. 본 연구는 긍정심리자본, 감성지능, 소통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 는가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자본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대학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긍정심리자본 중 회 복탄력성 요인은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 신체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에, 희망 요 인은 학업적 적응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감성지능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대학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감성지능 중 감성조절 요 인이 사회적 적응, 학업적 적응에, 감성활용 요인이 정서적 적응, 신체적 적응, 대학에 대한 애착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소통능력이 높은 대학 생일수록 대학생활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통능력 중 사회적 긴장완화 요인이 정서적 적응, 학업적 적응, 신체적 적응에, 상호작용관리는 사회적 적응에, 협력 /지지는 대학에 대한 애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소통능력, 긍정심리자본, 감성지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감성지 능의 하위요인인 감성활용과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인인 회복탄력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완벽주의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이연실,서인균 한국보건복지학회 2017 보건과 복지 Vol.19 No.-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perfectionism on their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o find how such perfectionism could mediate their interpersonal competence by means of internalized shame. A total of 619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s subjects of this study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process the data gathered from the survey. The major outcomes of the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perfectionism was found to have no negative influence on their interpersonal competence; second, college students' perfectionism exercised positive influence on their internalized sense of shame; third, college students' internalized sense of shame had negative effect upon their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fourth, college students' perfectionism turned out to fully mediate their internalized sense of shame, affecting thus their Interpersonal competence negatively. This means that college students' perfectionism would not have negative impact upon their interpersonal competence directly but could exercise negative effect on their interpersonal competence just by affecting first their internalized sense of shame which in turn, as a mediator, could exercise a negative impact on their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basis of the study, practical intervention measures were discussed here with an aim to promote the mental health of the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완벽주의가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지역 대학생 61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완벽주의는 대인관계 유능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완벽주의는 내면화된 수치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은 대인관계 유능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완벽주의는 내면화된 수치심을 완전매개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완벽주의는 직접적으로 대인관계 유능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매개변인인 내면화된 수치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쳐 대인관계 유능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완벽주의가 강할수록 내면화된 수치심 정도가 높아져 대인관계 유능성 수준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