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입학전형과 대학생의 대학 생활 및 대학ㆍ전공 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조원기(Cho, WonKee),이수정(Lee, Soo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7

        이 연구는 한국 교육고용패널조사의 중3 코호트 중에서 4차 년도(2007년 조사, 당시 고3), 5차 년도(2008년 조사, 당시 대1), 6차 년도(2009년 조사, 당시 대2), 7차 년도(2010년 조사, 당시 대3), 8차 년도(2011년 조사, 당시 대4), 9차 년도(2012년 조사, 당시 대졸), 10차 년도(2013년 조사, 당시 대졸) 추적 결과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부 중심전형 대 수능중심전형에 초점을 주어 대입전형 방식이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첫째, 학생부중심전 형 학생이 수능중심전형 학생보다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학생부를 통해 선발된 학생들이 1학년 학업성취도에서는 떨어지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성적이 더 향상되었다. 둘째, 학생부중심전형의 전형 요소인 학생부 교과와 학생부 비교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대비변수가 유의한 값을 갖지 않는데 이는 학생부 교과와 학생부 비교과 전형 요소를 통해 선발된 학생들의 2, 3, 4학년 누적 평균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없게 나타나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성적 이외 의 요소를 중심으로 선발된 학생부 비교과 전형 요소 선발 학생들의 대학교 학업성취도가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를 불식시키는 결과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학생부중심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이 수능중심전형으로 입학한 학생들보다 학점 관리를 더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며, 학생부 비교과 자료를 대입전형에 활용할 경우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대학생활 적응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조사 자료의 보완을 통해 심층적인 분석을 해 볼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college admission on the academic achievement for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the school records and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by applying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ata of the 4th year (2007, 3rd grade in high school), the 5th year (2008, freshman in college), the 6th year (2009, sophomore), the 7the year (2010, junior), the 8th year (2011, senior), the 9th year (2012, graduator),and the 10th year (2013, graduator) among cohorts in 3rd grade in middle school based on the research of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the students of school records show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s than those of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They gradually increased their academic performance except the first year in college. Second, no significant values are observed in the contrast variables that indicate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selected by curriculum records and students by non-curriculum sinc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accumulated academic achievements in sophomore, junior, and senior students. Therefore,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selected by non-curriculum records have the same academic achievements. Third, in order to increase the academic performance, the attitudes and motivation for their major studies should be reinforced. Especially, it is verified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 studies increases the academic performance for the students selected by their academic records and the class attitude is the key for the students selected by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 KCI등재

        학생부 중심 대입제도의 추진과정과 정책문제 분석

        안선회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6

        Since the Moon Jae-in government, the process of public debate is under way to improve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In spite of the expansion of the social debate on the school record-focused selection system, actual achievements are negligible. Thus this study analyzed how the university entrance policy has changed by the regime change and what kind of policy problems were caused and intensified as a result.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d analyzed the primary data published by the MOE. When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primary data, relevant research reports such as academic papers or news articl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ledge to improve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was suggested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was made right after the regime change. The curriculum was revised after the regime change, and the college entrance system was changed again in the next regime when the revised curriculum was applied to the field. However, school record-focused selection system has been strengthened despite the differences of political ideology between the previous and subsequent administrations. The point is that the government has commonly regarde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s core cause of weakening the public education normalization and soaring private education expenses. As a result, the proportion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as reduced and the proportion of the school record-focused selection system was increased. This result was possible because of the expansion of the influence of high school teachers on student selection and the expansion of autonomy of universities. In other words, the current school record-focused selection system is a system of co-ownership or division of students' selection authority for high school teachers and university professors. Second, the current college admission system hinders selection of promising students, and fails to select qualified ones. In particular, weakness of fairness and objectivity, school record competition, increase of cheating on college entrance, increase in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inequality in the college admission selection are getting bigger.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the legislation of the college admission policy reflecting the public opinion as a way to prevent the excessive change of the college entrance system and to correct the policy problems by the regime change. 문재인정부 집권 이후 최근 대입제도 개선을 위한 공론화 과정이 진행되었다. 그 과정에서 학생부중심 대입제도에 대한 사회적 논쟁이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개편 결과도 여전히 학생부중심 대입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권 교체에 따른 대입정책의 변동 양태를 분석하면서 정권교체에도 불구하고 학생부중심 대입제도가 형성되고 추진된 과정과 그에 따른 정책문제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이며, 연구대상 문헌은 주로정부에서 발표한 일차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일차자료를 구하기 어려운 내용은 연구보고서와 학술논문, 당시 언론자료를 찾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정권 교체에 다른 대입정책 변동을 분석한 결과, 정권 교체 직후 대입제도 개편작업이 반드시 이루어졌으며, 이전 정권의 교육과정 개정 내용을 반영하기 위해 대입제도가 또 변경되고 있었다. 하지만, 정권 교체와 정부 간 정치이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현행 학생부 중심 대입제도는 여러 정부를 거치면서 계속 확대되었다. 이들 정부는 공통적으로 대입 문제의 핵심 원인을 대학수학능력시험으로 보고, 공교육 강화와 사교육비 경감을 위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약화시키면서 학생부 중심의 대입제도를 강력하게 추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학생부 중심 대입제도가 계속 확대된 이유를 학생 선발에 대한 고등학교 교원들의 영향력 확대와 대학의 자율권 확대를 모두 지향하였기에 가능하였다고 분석하였다. 즉, 현행 학생부 중심 대입제도는 고등학교 교원과 대학 교원의 학생 선발 권한 공동보유체제 또는 교사‧교수의 학생선발권한 분점체제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선행연구를 종합하여 현행 학생부 중심 대입제도의 정책문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행 대입제도는 창의인재의 선발을 저해하며, 적격자 선발에 실패하고 있다. 특히, 학생부 중심 대입제도로 인하여 대입선발에서의 공정성과 객관성 약화, 내신 성적 경쟁과 입시부정의 증가가 심각해지고 있다. 또한 현행 대입제도는 사교육비 증가, 선발 불평등 심화 등의 정책문제를 야기하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에서 정권 교체에 따른 대입제도의 지나친 변경과 정책문제 개선을 위해 국민 여론을 반영한 대입제도 법제화 필요성과 주요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등학교 학생부 교사의 역량모델링

        서명희(Seo, myunghee),김민정(Kim, min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9

        최근 학교 폭력 등 다양한 학내 문제의 발생과 해결이 중요한 이슈가 되면서, 학생부 교사의 역할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중등학교학생부 교사의 직무를 정의하고, 학생부 교사들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구체적 으로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가장 먼저 학생부 교사의 직무를 정의하기 위해 단위학교의 업무 분장표와 관련법을 분석하였으며, 교사들의 역량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학생부 교사와 유관한 역량을 추출하였다. 이와 함께 현직 학생부장 교사 5명과 개별 심층인터뷰를 통해 역량의 내용을 추가하여 학생부교사의 잠정적 역량을 도출하였다. 그런 다음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잠정 도출된 역량을 수정하였다. 마지막으로는 도출된 역량의 타당도를 획득하기 위해 일선에 있는 현직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7개 역량군18개 역량을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학생부 교사의 역량은 일반교원의 역량에 비하여 학생들에 대한 열정과 인성적 자질, 학생들에 대한 본보기 역할을 위한 자기관리영역과 문제해결능력 등이 강조되었다. 연구결과는 향후, 교사들의 인사배치, 연수프로그램 개발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as the cause and resolution of various school problem such as violence has become a very important issue, the role of the ministry of the student teacher becomes more important than ever before.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role of secondary school the ministry of the student teacher and find out concretely what the desired competency for the teacher is. Firstly, to define the role of the ministry of the student teacher, analyzing segregation of duties and related laws in school unit was conducted and relevant competencies for the ministry of the student teacher were extracted through related literature review about competency for school teachers. Secondly, potential competencies of the ministry of the student teacher were deducted through adding more detailed contents by in-depth individual interview with 5 current head teachers. After that, Delphi survey of focus group was implemented to revise potentially designed competency for the ministry of the student teacher. Survey for current teachers was conducted to obtain the validity of potentially designed competencies and finally, 7 units of competency and 18 detailed competencies of secondary school the ministry of the student teacher were settled. The study result has it that passion for students, qualification of personality and self-regulation for role model about the students are especially emphasized in competency of the ministry of the student teacher, compared to that of general teacher. Based on the findings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result will be put to use for base line data such as personnel allocation of teachers and developing training programs.

      • KCI등재

        대학입학전형에 따른 고교 학생부성적,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대학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이혜연(Hye Yeon Lee),조명희(Myoung Hee Jo),이현우(Hyeon Woo Lee) 한국진로교육학회 2016 진로교육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고교 학생부성적,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대학학업 성취도 간의 종단적 관계를 대학입학전형별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교의 2011학년도부터 2014학년도까지의 신입생 중 모든 데이터가 있는 2,207명의 자료를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이 중 389명의 자료를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종단적 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집전형별 고교 학생부성적은 수시전형이,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은 정시전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대학학업성취도는 모집전형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근 4년간 입학생의 고교 학생부성적,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대학학업성취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교 학생부성적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은 대학 1학년 1학기의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2011학년도에 입학한 학생을 대상으로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대학학업성취도가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지를 살펴본 결과, 1학년 평점이 높을수록 이후 향상률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교 학생부성적,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과 대학학업성취도 간의 종단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고교 학생부성적은 1) 대학평점 초기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 대학평점 변화율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수학능력시험 표준점수는 1)과 2)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aims to analyze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high school grade,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cores, and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by types of admission. The study analyzed the data obtained from 2,207 freshmen who matriculated A university from 2011 to 2014 through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regression analysis. Also,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through latent growth model was used for 369 freshme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student recruitment strategies, high school grade of early decision admission had high and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cores appeared high in regular admission. Also,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student recruitment strategi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high school grade,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cores, and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of freshmen over 4 years. Third, although high school grades and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cor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the influence was slight. Lastly, as the higher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of first year grades(of 2011 freshmen), the lower the rate of increase. Considering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high school grade,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cores, and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high school grade had an significant effect on 1) initial value of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had no effect on 2) the rate of variation of university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scores had no effect on both 1) and 2).

      • KCI등재

        대입전형에서 학생부 내신 반영 강화 정책과 고교생의 사교육비 지출간의 관련성 분석

        이수정,조원기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4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college-admission system focused on high-school GPA influences Korean high-school students’ use of private tutoring services. Data were drawn from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1st?9th waves).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examine whether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focused on high-school GPA was effective in reducing Korean parents’ expenses on private tutoring services for their high-school children. Findings showed that students, who were admitted through the college-admission system that high-school GPA was applied as a major criterion, had spent less money on private tutoring services in high school days than those admitted through the system tha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as applied. The findings imply that the college-admission system, where high-school GPA is a major criterion for admission decision, is effective in reducing high-school students’ use of private tutoring services. 이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의 중학교 3학년(2004년) 코호트에 대한 1차 자료(2004년 조사), 4차 자료(2007년 조사, 고 3), 5차 자료(2008년 조사, 대학 1년), 9차 자료(2012년 조사, 대졸)까지의 추적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대입전형에서 학생부 반영 비중이 큰 ‘수시모집’과 ‘특별전형’ 방식을 적용할 때 고3 학생의 사교육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대입전형에서 학생부 내신 반영 비중의 강화’가 고교 사교육비 경감에 어느 정도 효과적인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 결과, 수시모집 학생이 정시모집 학생에 비해 사교육비를 덜 지출한 것으로 나타나, 대입전형에서 수능성적의 비중을 약화시키고 학생부 자료의 반영 비중을 높이면 고교생의 사교육비 경감에 일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다만 일반전형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성적 이외의 다양한 전형 자료를 활용하는 특별전형의 경우에는 사교육비 경감에 대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최근 ?2015학년도 대학입학전형 기본사항(2013.9)?에 발표된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실시할 학생부의 비교과 자료에 대한 평가 방안에 대해서는 사교육비 유발 문제와 관련하여 더 구체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 KCI등재

        입학전형요소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 -2011학년도 A대학교 사례-

        최현석,하정철,Choi, Hyun-Seok,Ha, Jeong-Cheol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2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2011학년도 A대학교 입학생 중 일반전형으로 입학하여 현재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입학전형요소가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였다. 학업성취도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전형요인을 찾아 대학의 특성에 맞는 학생 선발 정보를 제공하여 각 대학별 입시안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분석결과 성별, 모집시기별로 입학전형요소가 학업성취도에 다른 방식의 영향을 주는 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여학생들이 남학생보다 학업성취도가 더 높고, 수시모집 학생들에 비해 정시모집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성별 분석에서 남학생은 수능성적, 여학생은 학생부성적이 학업성취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집시기별 분석에서는 정시(나)는 학생부성적, 정시(다)는 수능성적이 학업성취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We analyse the relations betwee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university admission factors among the class of 2011 at A university classified by sex and entrance test type. We can provide helpful tools for the university entrance policy by finding the intimate admission factors with academic achievement. We found that the university admission factors had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differently according to sex and entrance test type. Female students and regular admission achieved more than male students and occasional admission, respectively. Korea scholastic aptitude test had mor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for male students and regular admission type NA but academic achievement in high school life had more effects for female students and regular admission type DA.

      • KCI등재

        대입전형유형별 입학생 특성 분석

        강기수,조규판 안암교육학회 2017 한국교육학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of enrolling students by college admission tract and give suggestions of policy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For the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187,631 enrolling students in 2015 and 2016 from 46 universities were analyzed. Th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of enrolling students by type and region of high school they graduated, whether or not they got national scholarship at university, whether or not dropouts, income bracket, and GPA were analyzed. There were differences of characteristics of enrolling students by type and region of high school they graduated, whether or not they got national scholarship at university, whether or not dropouts, income bracket, and GPA.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high school grades focused selection system are favorable students who live in rural area and low in SES comparing to essayfocused selection system and SAT focused selection system. Students who entered university by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high school grades focused selection system show low rate of dropouts, high GPA comparing to essayfocused selection system The results suggest administering various curriculum, recording and administering student record objectively, considering the method to reducing teacher task, building fair evaluation system, simplifying college admission system and evaluation component, administering various college admission. 이 연구는 대입전형유형별 입학생의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정책제언을 하 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사업에 참여하 고 있는 전국 46여개 대학의 2015년, 2016년 전체 입학생 187,631명을 대상으로 대입전 형유형별 특성을 전수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대입전형유형별 입학생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입전형유형별 출신고교 유형, 출신고교 지역, 국가장학금 수혜여부, 중도탈락여부, 소득분 위, 학업성취도(GPA)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입전형유형별 출신고교 유형 간, 출신고교 지역 간에 차이가 있었다. 또 대입전 형유형별 중도탈락 여부, 국가장학금 수혜여부, 소득분위, 학업성취도(GPA)에도 차이가 있었 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학생부종합전형이나 학생부교과전형은 논술위주전형이나 수능 위주전형에 비하여 지역적, 경제적으로 취약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전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부종합전형과 학생부교과전형은 대학 적응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중도탈락률이나 학업성취도에서 수능위주전형보다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에 근거한 정책제언으로 다양한 전형을 고려한 다양하고 융통성 있는 교육과정 운영, 공정 하고 객관적인 생활기록부의 기록과 관리, 교사의 업무 경감 방안 강구, 투명하고 공정한 평 가시스템 구축, 대입전형 평가요소의 간소화와 유형화, 다양한 대입전형 운영 등을 제시할 수 있다.

      • KCI등재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메타분석

        김소정(Sojung Kim),이윤선(Yoonsun L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통해 학생부종합전형과 정시 일반전형 요소가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친 평균 효과크기를 분석·비교하여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일반적인 결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를 위해 관련 연구물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메타분석에 포함된 개별 연구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Risk of Bias 포맷을 활용하였으며, funnel plot과 Egger의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물들의 비대칭성을 확인하였다. 표준화된 평균차에 대한 효과크기, 통합추정치, 통계적 이질성, 신뢰구간 등을 추정하였으며,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있는 변인들의 조절효과를 산출하기 위해 메타 ANOVA를 실시하였다. 주제, 변인의 성향, 통계치 특성, 연구대상, 측정도구, 중복 방지 등의 연구물 선정기준을 적용하여 12편(k=36)의 문헌이 메타분석에 포함되었으며, 메타분석에 사용된 연구물들의 출판편향은 존재하지 않았다. 무선효과모형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생부종합전형에 비해 수능전형과 학생부교과전형에서 작은 효과크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 결과, 입학년도 및 학년 수준이 연구 간 분산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부 종합전향제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안정화되면서 학생들의 학업성취 차이가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관련된 국내 연구물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앞으로는 대학 생활적응과 관련된 다양한 결과변수를 활용하여 분석을 시행하고,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들을 조절변인으로 투입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the meta-analysis on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f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 life records. We use the risk of bias format to evaluate the quality of each study included for this meta-analysis. Asymmetry of the studies is confirmed by Funnel plot and Egger’s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 sizes of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integrated estimates, statistical heterogeneity, confidential intervals are estimated, and the meta ANOVA was implemented for the additional explanation of the effect sizes calculated. The results shows that 12 studies (k=36)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and that the publication biases did not exist. The results of meta analysis by randomized effects revealed that there showed a little effect for CSAT and Admissions of High School Records, but not for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 Records. On the other hand,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shows that the year of college entrance and the level of grade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explain the distributions between studies, which confirms that as time passes and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becomes stable,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chievement decrease. While this study focuses on the domestic studies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meta-analysis, we suggest that for the future study various 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students’ college life adjustment should be included for the analysis and that the variables affecting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hould be included as moderators.

      • KCI등재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메타분석

        김소정,이윤선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the meta-analysis on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f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 life records. We use the risk of bias format to evaluate the quality of each study included for this meta-analysis. Asymmetry of the studies is confirmed by Funnel plot and Egger’s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 sizes of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integrated estimates, statistical heterogeneity, confidential intervals are estimated, and the meta ANOVA was implemented for the additional explanation of the effect sizes calculated. The results shows that 12 studies (k=36)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and that the publication biases did not exist. The results of meta analysis by randomized effects revealed that there showed a little effect for CSAT and Admissions of High School Records, but not for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of High School Records. On the other hand,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shows that the year of college entrance and the level of grade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explain the distributions between studies, which confirms that as time passes and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becomes stable, the differences of academic achievement decrease. While this study focuses on the domestic studies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 meta-analysis, we suggest that for the future study various dependent variables related to students’ college life adjustment should be included for the analysis and that the variables affecting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hould be included as moderators.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통해 학생부종합전형과 정시 일반전형 요소가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친 평균 효과크기를 분석·비교하여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일반적인 결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를 위해 관련 연구물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메타분석에 포함된 개별 연구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Risk of Bias 포맷을 활용하였으며, funnel plot과 Egger의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물들의 비대칭성을 확인하였다. 표준화된 평균차에 대한 효과크기, 통합추정치, 통계적 이질성, 신뢰구간 등을 추정하였으며,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의미있는 변인들의 조절효과를 산출하기 위해 메타 ANOVA를 실시하였다. 주제, 변인의 성향, 통계치 특성, 연구대상, 측정도구, 중복 방지 등의 연구물 선정기준을 적용하여 12편(k=36)의 문헌이 메타분석에 포함되었으며, 메타분석에 사용된 연구물들의 출판편향은 존재하지 않았다. 무선효과모형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생부종합전형에 비해 수능전형과 학생부교과전형에서 작은 효과크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 결과, 입학년도 및 학년 수준이 연구 간 분산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부 종합전향제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안정화되면서 학생들의 학업성취 차이가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관련된 국내 연구물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으나, 앞으로는 대학 생활적응과 관련된 다양한 결과변수를 활용하여 분석을 시행하고, 학업성취에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들을 조절변인으로 투입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그룹별 수능 및 학생부 성적과 대학 입학 후 성적 분석

        최현석,송규문,이병로,김태윤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3

        College freshmen are classified into three (i.e., high, middle, low) groups according to their Korean Scholastic Aptitude Test (KSAT) scores. Within each group, relations between high school GPA (grade point average), KSAT score and their grades at college are analyzed. As a result, distinct features of each group are noticed, which may provide college authorities with useful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its own admission policy.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2005 and 2006 admission data of Keimyung University. 본 논문은 2005년과 2006년 계명대학교 입학생의 입시 성적 및 입학 후 성적을 기초로 작성된 논문으로 대학 입학생들을 수능 성적에 따라 상ㆍ중ㆍ하 세 개의 그룹으로 구분한 후 그룹별로 학생부 성적, 수능성적, 대학 입학 후 성적의 상호 관련성을 분석한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 세 그룹 간에 상이한 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는 대입 자율화 방안에 따른 각 대학별 입시안 마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상.중.하 그룹에 관계없이 일학년 성적이 이학년 성적을 예측하는 훌륭한 변인이 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대학 입학 후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가 일학년 학업 성적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