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텍스트 이해의 상호텍스트성

        김도남 국어교육학회 2002 國語敎育學硏究 Vol.14 No.-

        독자의 텍스트 이해는 상호텍스트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톡자가 마음속에 구성하게 되는 의미는 단순히 텍스트의 내용을 그대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다중 텍스트의 연결되어 재구성한 것이다. 독자의 텍스트 이해 과정에 작용하는 상호 텍스트적인 요인은 텍스트와 다중 텍스트, 독자의 요인이다. 독자는 이해하는 과정에서 이들을 연결하게 됨으로서 의미를 구성 하게 된다. 읽기의 과정은 인식, 해석,이해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인식은 독자가 텍스트의 기호를 해독하고, 구절과 문장, 문단의 뜻을 연결하여 마음속에 표상함으로써 전체 텍스트의 뜻을 아는 활동이다. 해석은 텍스트의 행간에 들어 있는 속뜻을 풀이해 내는 활동이다. 독자는 행간의 속뜻을 풀이하기 위하여 자신의 관점과 다른 텍스트의 관점을 활용하여 텍스트의 속 뜻을 풀이하여 낼 수 있다. 이해는 독자가 텍스트의 속뜻을 받아들여 깨닫는 것이다. 독자는 텍스트 이해 과정에서 텍스트의 뜻과 속뜻을 바탕으로 새로운 생각을 구성하게 됨으로써 이해에 이르게 된다. 독자의 텍스트 이해 과정은 여러 용인이 상호텍스트적으로 융합되는 과정이다 독자는 읽기 과정에서 마음속에 내적 텍스트를 구성한다. 이들 내적 텍스트는 인식 텍스트, 해석 텍스트,이해 텍스트이다. 이들 텍스트들은 여러 텍스트의 내용들이 함께 상호 적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독자의 텍스트 이해는 다중 텍스트의 작용으로 상호 텍스트적으로 구성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and the result of reading comprehension based on intertextuality. The meaning which is composed by reader during reading process is fused multiple tests' meaning. The reader connect meaning of text and multiple texts. So, the process of reading comprehension have compelx interaction among factors of text, the reader's prior knowledge and the content of multiple texts. The reader links those factors for making meaning. The process of reading comprehension is divided three stages: apprehension,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The apprehension is to recognize the meaning of text. The interpretation is to find out significance of text. And understanding is to reconstruct the reader's idea. The reder's comprehension of text was accomplished by interaction text, prior knowledge and multiple text. That is, the process of comprehension is to making intertextaul connection among multiple texts. The reader constitute inner text linking content of multiple text during reading. The inner text linking content of multiple text during reading. The inner text be formed each comprehension stages. Those inner text are mosaic which is composed by interaction reader's prior knowledge between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ext and multiple text.

      • 텍스트 이해 교육의 접근 관점 고찰

        김도남 국어교육학회 2002 國語敎育學硏究 Vol.15 No.-

        텍스트 이해에 대한 교육적인 접근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들 방식은 특정한 텍스트 이해의 관점을 바탕으로 한다. 텍스트 이해 교육에 대한 접근 관점은 크게 텍스트 중심의 접근 관점, 독자 중심의 접근 관점, 시화적 상호적용 중심의 접근 관점, 문화 중심의 접근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텍스트 중심의 접근 관점은 텍스트 이해를 필자의 생각이나 텍스트 내용 구조를 중심으로 지도하는 방식이다. 이 관점은 칠자 중심으로 구분 할 수 있다. 독자 중심의 접근 관점은 텍스트 이해를 독자의 용인을 중심으로 지도하는 방식이다. 이관점은 기능 중심 접근과 스키마 중심의 접근, 전략적 사고 중심의 접근,언어적 사고 중심의 접근으로 구분할 수 있다.사회적 상호 작용 중심의 접근 관점은 텍스트 이해를 다른 독자와의 상호 작용을 중심으로 지도하는 방식이다. 이 접근 관점은 공동체 참여 중심의 접근, 집단적 토의 중심의 접근, 소집단 탐구 중심의 접근, 내적 애화 관계 중심의 접근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문화 중심의 접근 관점은 텍스트 이해에 문화의 용인을 중심으로 지도하는 방식이다. 이 관점은 무식성 확장 중심의 접근 이해 요소로 보는 접근, 참여 대상으로 보는 접근, 언어 관습의 유지와 전승으로 보는 접근, 향유화 생산 대상으로 접근을 구분할 수 있다. 이들 접근 방식들은 텍스트 이해 교육에 선택적으로 수용되어 활용 되고 있다. 앞으로 텍스트 이해 교육은 텍스트 이해의 관점과 사회의 변화 및 독자의 요구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교육 내용과 지도 방법의 탐구가 필요하다. There are some reading instruction theory which is explanation for teaching-learning of reading comprehension. Those reading instruction theory are affected of reading theory which is research for interpretation of reading act. A point of view teaching reading is conducted by selected perspective of reading instruction theory. This paper investigates reading instruction approaches that are applied teaching reading all the while. In this paper divided reading instruction approaches into four forms: text based approach reader based approach, social interaction based approach and culture based approach. Those each approach is make up influential factor of text understanding. The reading teacher selects the content and the method from one or several approaches of reading instruction theory to instruct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In the same manner way the teaching reading for the future would be selected the content and the method in several perspective of reading instruction theory. So, the task of reading instruction theory is seek after learning factor and teaching method on social interaction and culture based text understanding.

      • KCI등재

        시 텍스트 이해를 위한 소설 상호텍스트 활용의 실제

        박지윤(JI YOON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9

        본 연구는 시 텍스트 이해를 위해 소설 상호텍스트가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실제 예를 들어 보이는 데 목적이 있다. 독자의 스키마를 이용하여 독자의 능동성을 강조하는 읽기 전략은 항상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대안으로, 선행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해 상호텍스트를 활용할 수 있는데, 텍스트 생산자와 수용자는 선행 텍스트에 대한 지식과 후행 텍스트에 대한 규칙을 인지해야 한다. 이를 ‘징표’와 ‘변형’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징표’와 ‘변형’을 중심으로 상호텍스트가 선행 텍스트 이해에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하나의 텍스트가 선행 텍스트에 대한 상호텍스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증명인 ‘징표’를 설정하고, 그 하위 범주로 ‘질료적 반복’과 ‘형식적 반복’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상호텍스트가 하나의 텍스트로서 인정받기 위한 증명으로 ‘변형’을 들었는데, 여기서는 이 변형이 선행 텍스트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치라는 점을 설명하였다. 소설 상호텍스트가 시 텍스트 이해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징표’와 ‘변형’을 통해 곽재구의 시 ‘사평역에서’와 임철우의 소설 ‘사평역’을 예로 들어 보였다. This study aims to illustrate how the novel interactive texts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text of a poem. Although there have been arguments that mutual text is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preceding text, it has often be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a parody. Therefore, the study identified the meaning of the preceding text with respect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receding text with respect to ‘marking’ and ‘variations’. Set the marking to verify that a single text is a mutual text for the preceding text, and set the regional repetition and formal repetition in that sub category. And as the mutual text has been shown as a proof to be recognized as a single text, it has explained that this transformation is a device that can aid in understanding the preceding text. The novel cited examples from Kwak Jae-gu “in Sapyeong station and Lim Cheol-woo s novel Sapyeong Station

      • KCI등재

        이해조 판소리 산정의 문학-미디어적 성격(1) -< 옥중화 >에 한정된 방법론적 시론

        임형택 ( Hyeong Taek Im ) 한국고소설학회 2015 古小說 硏究 Vol.40 No.-

        이 글의 목적은 미디어 변환에 입각하여, 이해조의 판소리 산정(刪正)을 분석함으로써, 그것이 지니는 문학사적 성격과 의의를 새로운 시각에서 조명해보려는 데에 있다. 이해조의 산정이, 판소리를 근대 문자미디어[문자+책+인쇄]로 변환한 작업이라는 사실은, 우선 그 텍스트들이 『매일신보』에 최초 게재될 때 명시돼있었던 산정과 관련한 사실적 정보[(春香歌 講演)-名唱 朴起弘 調-解觀子 刪正: <옥중화>의 경우]에 근거한다. 이 정보는 단행본에서도 축소된 형태[(春香歌演訂): 『옥중화』의 경우]이지만 명시됐었다. 더욱이 단행본화 과정에서 이뤄진 작업은 통상적인 수준의 교정을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애초 산정의 기조는 그대로 유지됐던 것이라고 하겠다. 따라서 이 글은 이해조의 판소리 산정 작업에 대한 선행연구들에서, 미디어 변환에 입각한 고찰이 시도돼본 일이 없었다는 사실에 의문을 품을 수밖에 없었다. 그동안의 선행연구들은 이해조의 판소리 산정을 일반적인 개작으로 간주하고, 선별된 이본과의 내용 비교를 통하여, 산정된 텍스트들에 문학사적 평가를 내리는 데 주력해왔다. 다만 최근의 연구들 중에는 근대 신문 또는 출판을 콘텍스트 차원에서 논급한 경우가 더러 있었다. 하지만 그러한 논점 및 논거들이 미디어 변환으로서의 산정을 해명해줄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이해조의 산정 텍스트들이 각 계열에서 중심을 차지했다는 기존논지의 반복적 강화에 다소 기여할 수 있을 뿐이라고 판단되는 까닭에서다. 이 글은 선행연구들에서 소상하게 이뤄졌던바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에 준하는 내용 분석의 기반 위에서, 미디어 변환 자체의 효과를 탐색하는 데 주력하였다. 어쨌든 선행연구들은 미디어 변환의 이전-이후 텍스트 간 비교를 수행했던 셈인데, 그 논의들을 살펴볼 때 결과물로서의 양 텍스트 간에서는 유의미한 미디어적 차이가 거의 발생되지 않음이 확인되었기 때문이다. 미상불 선행연구들이 상호미디어성(intermediacy)을 취하지 않은 또는 못한 이유는 바로 결과물들 간의 미디어적 상등성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구술성 대 문자성’의 미디어 비교관점을 간과하지는 않되, 그보다는 미디어 변환 자체의 효과에 주목하기 위해 재매개론(Remediation)에 입각한 텍스트 분석 및 비교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이해조 판소리 산정의 효과와 미학은, 비매개된(mediated transparently) ‘현장’(←판소리←명창)에 하이퍼매개성(hypermediacy)을 띤 작가(→텍스트→현장)가 출입함으로써 고취된 ‘현장성’이라고 정리되었으며, 이해조 판소리 산정의 문학-미디어적 성격은 ‘현장(성)의 재매개’라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론은 기존 연구들에 비해 그다지 새롭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논의가 동일 콘텐츠에 대한 다양한 미디어 변환을 연구하는 유효한 시각과 방법론이라는 점은 더 확장된 사례들을 통해 보완 및 지지될 필요가 있다. 즉 이 글은 이해조의 판소리 산정 텍스트들 중에서 <옥중화>의 분석 결과에만 의존한 것이므로, 시론(試論)으로서 두 갈래의 후속 연구를 예비하게 된다. 하나는 이해조의 다른 산정 텍스트들[<강상련>, <연의각>, <토의간>] 분석을 통한 이 글 논지의 확장-일반화이며, 다른 하나는 비슷한 시기에 <춘향전>을 재매개했던 한국문학사의 다른 두 거물의 텍스트[<고본춘향전>(최남선), <일설춘향전>(이광수)]와의 비교를 통한 한국 근대 초기 서사[소설]문학사의 보완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new perspectives on the literature.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s that Pansori Sanjeong by Lee Haejo has as literature, by analyzing it in terms of media transformation. It has been proved that the Sanjeong of Lee Haejo is a work of transforming Pansori into modern literature media(letter+book+press)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provided by Maeilshinbo which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the scripts, or the texts of Sanjeong. Even though such information can be found in an abstract volume, the necessary information was clearly stated in Maeilshinbo. Furthermore, the process of publishing a separated volume prevented it from going beyond the simple proofreading, which in turn helps the original contexts of Sanjeong remained unchanged. Given the proposition above, a question seems to arise that there have not had any attempts to investigate media transformation in the previous studies which do research on Lee Haejo’s Pansori Sanjeong. The previous studies seem to focus more on how to evaluate the historic value of texts of Sanjeong as a literature by comparing the contents selected from different versions. This is because the previous studies consider Lee Haejo’s Pansori Sanjeong as an ordinary adaptation. There are some of studies in recent years that discuss the modern newspapers or publications in the light of its contexts. However, such a perspective or discussion seems to fail to fully explain Sanjeong in terms of media transformation. The only contribution that the previous studies have made is more or less to strengthen the repetitive viewpoints that the texts of Lee Haejo’s Pansori Sanjeong took the central position in each branch. This article tries to focus on exploring the effects themselves of media transformation by means of the content analysis which is parallel to intertextuality that the previous studies have used.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previous studies simply compared the media transformation which occurred in previous literature to which occurred later. This type of studies can only help to conclude that there were no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previous and later literature in terms of texts. The reason that the previous studies did not or could not consider intermediality in their studies is because of mediacy superiority among research results. In this sense, this article performed text analysis as well as text comparison in terms of remediation in order to emphasize the effects of media transformation. It also did not overlook the importance of comparative perspectives of orality and literacy. This articl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effects and aesthetics of Lee Haejo’s Pansori Sanjeong are the result of on-site characteristics which is empowered by the presence and absence of the author (text-the onsite) with hypermediacy to on-site which was transparently mediated. It also concluded that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Lee Haejo’s Pansori Sanjeong is on-site remediation. The article depends to a great degree upon the analytical results of Okjooghwa among other texts of Lee Haejo’s Pansori Sanjeong so that it suggests that further studies need to examine two different perspectives. The one is to generalize this article by means of analyzing Lee Haejo’s other Pansori Sanjeong texts Kangsangryun, Eunyeokgak, and Toyeogan. The other is to compare the points of this article with the ChunHyang.jeon texts remediated by two great novelists, Gobon ChunHyang-jeon by Choi Namsun and Ilseol ChunHyang-jeon by Lee Gwangsoo.

      • KCI등재

        텍스트 이해에 대한 멱함수 법칙의 시사

        김도남 한국국어교육학회 2016 새국어교육 Vol.0 No.10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about reader’s the understanding of text based on a macro level. The reader takes a piece of information, concept, idea and knowledge in reading, or he has the deepest insights for a matter of concern the subject. This characteristics of understanding of text can be explained by the power law distribution. From the power law’s viewpoint, the number of the former of reader’s understanding is many, but the latter is a few. In the power law distribution, the part of the few is called the emergent understanding. The emergent understanding is beyond the reader’s present cognition level, and gain a new consciousness. This understanding is achieved through efforts to transcend the limits of the recognition of the text or the reader. Readers need to be interested in this emergent understanding. The implication of power law for reader’s understanding of text are three matter. The need of awareness for the power law in reader’s understanding of text, Oriented towards emergent understanding, and Reading Education Reflecting Emergent Understanding. In short, we take an interest in the power law of reader’s understanding of text, and enables the reader to emergent understanding of text.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emergent understanding and the reading education for this. 이 논의는 독자의 텍스트 이해에 대한 거시적 측면을 검토해 본 것이다. 독자는 텍스트를 읽으면서 개별적인 개념이나 지식을 부분적으로 이해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상에 대하여 깊이 있는 통찰로 안목을 얻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텍스트 이해의 특성을 멱함수의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 멱함수는 반비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인데 독자의 텍스트 이해에서 작은 이해는 수가 많고, 큰 이해는 그 수가 적다. 독자의 텍스트 이해에 대한 멱함수 그래프에서 오른쪽 부분에 분포하는 큰 이해를 창발적 이해라 하였다. 창발적 이해는 독자의 인식의 전환을 이루는 이해이다. 이 이해는 텍스트나 독자의 인식의 한계를 넘기 위한 노력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독자는 이 창발적 이해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텍스트 이해에 대한 멱함수 법칙이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이해의 멱함수 존재, 창발적 이해에 대한 지향, 창발적 이해를 반영한 읽기 교육을 들 수 있다. 텍스트 이해에 대한 멱함수 법칙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읽기와 읽기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필요하다. 특히 멱함수 법칙에서 드러나는 창발적 이해에 대한 인과 관심이 필요하다. 창발적 이해를 설명하고 이를 추구하기 위한 읽기 교육적 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독자의 장면적 텍스트 이해 방법 고찰

        김도남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4 No.-

        This study explores the reader’s text comprehension method with the scene understanding presented by Lorenzer as a psychoanalytic method. Lorenzer’s understanding of the scene was proposed by Habermas as the basis for arguing about the limitations of Gadamer’s universality of understanding. The result of the argument is that scene understanding is also included in the universality of understanding. In the scene understanding, the counselor first composes the actual scene, the infancy scene, and the transference scene through conversation with the counselee(patient). Then, through the semantic association of these scenes, the counselor understands the counselee and treat his psychosis. This scene comprehension provides the logic that can explain the reader’s method of comprehension of the text. In text comprehension, the actual scene composition allows the reader to grasp the text content from the observer’s point of view. The infancy scene composition becomes the grounds scene, allowing the reader to find the basis for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text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explorer. Transference scene composition provides an opportunity for self-understanding by allowing the reader to directly experience the text situa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an experienced person. By allowing these three scenes to interact structurally, the reader achieves self-understanding through the total association of meaning. The scene text understanding method enables the reader to realize the universality of self-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that generates one’s own life. 이 논의에서는 로렌쩌가 정신분석 방법으로 제시한 장면적 이해를 활용해 독자의 텍스트 이해 방법을 탐구한다. 로렌쩌의 장면적 이해는 하버마스가 가다머의 이해의보편성이 갖는 제한점에 대해 논쟁하면서 그 근거로 제시한 것이다. 논쟁의 결과는 장면적 이해도 이해의 보편성에 포함된다는 것이다. 장면적 이해에서는 먼저 상담사가 내담자(환자)와의 대화를 통하여 실제 장면, 유아기 장면, 전이 장면을 구성한다. 그다음 이들 장면의 의미연관을 통하여 내담자를 이해하고, 그의 정신증을 치료하게 된다. 이 장면적 이해는 독자의 텍스트 이해의 방법을 설명할 수 있는 논리를 제공한다. 텍스트 이해에서 실제 장면 구성은 독자가 관찰자의 입장에서 텍스트 내용을 파악하게 한다. 유아기 장면 구성은 근거 장면이 되어 독자가 탐구자의 입장에서 텍스트의 의미를 해석 할 수 있는 근거를 찾게 한다. 전이 장면 구성은 독자가 경험(참여)자의 입장에서 텍스트 상황을 직접 경험하여 자기 이해의 계기를 마련해 준다. 독자는 이들 세 가지 장면이 구조적으로 상호작용하게 함으로써 의미의 전체연관을 통하여 자기 이해를 이루게 한다. 장면적 텍스트 이해 방법은 독자가 자기 이해와 자기 삶을 생성하는 이해의 보편성을 실현하게 한다.

      • KCI등재

        도구교과로서의 국어교육, 대상 텍스트 연구 -정보텍스트와 문학텍스트의 문맥상 의미 이해 특징을 중심으로-

        정은아 ( Eun Ah Chung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6 No.-

        본 연구는 국어교육에서 도구교과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텍스트로서 정보텍스트 뿐 아니라 문학텍스트도 주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논하는 것이 목적이다. 국어교육에서 읽기 능력은 문맥상의 이해 능력 면이 주요하다는 견지에서 본고는 정보텍스트와 문학텍스트의 대표적 문종을 택하여 문맥상 의미 이해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결과, 정보텍스트는 ‘문맥상의 의미 이해가 비교적 단순하면서 말하고자 하는 바를 명확하게 드러내는 구조’를 문학텍스트는 ‘문맥상의 의미 이해가 비교적 복잡하면서도 말하고자 하는 바가 감동적으로 와 닿는 구조’를 그 특징으로 하였다. 이러한 특징들은 여타 텍스트를 읽어 내거나 표현하는데 있어서 ‘명료한 전달’ 혹은 ‘깊이 있는 울림과 섬세하고 풍성한 전달’ 등 의 읽기 능력을 학습자에게 기여할 것이다. 사실, 정보텍스트가 일반적으로 단순한 문맥적 의미 이해 양상을 보일지라도 더욱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문학텍스트와 유사한 방식의 복잡한 맥락을 상당히 필요로 한다. 이에 의미의 이해에 있어서 채워야 할 여러 유형의 빈자리가 많은 문학텍스트가 상대적으로 빈자리가 적은 정보텍스트 읽기를 수월하도록 도울 것이다. 정보텍스트와 문학텍스트가 지니는 이러한 특징들은 학교나 직장에서 주로 다루게 되는 정보텍스트에서나, 사적인 독서 영역에서 압도적 우위를 두고 있는 문학텍스트에서나 긍정적 도움을 줄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a discussion that an informational text and a literary text are all needed to achiev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tool subjects. So, we consider the feature of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both texts carefully, based on the idea that the making sense in context is a very important reading ability. As a result, compared with the clear structure of an informational text, a literary text has a complicated feature of making sense, a full and deep emotion. We could understand that a literary text has a good ability on reading and writing an informational text. Because, an informational text also needs a complicated structure for a full and deep emotion etc. to get an effective expression. So, the feature of both types would be good working on other subjects, college and/or careers and private reading etc.

      • KCI등재

        텍스트 이해를 위한 상호텍스트 활용의 실제 - 문학 텍스트와 미디어 텍스트의 징표와 변형을 중심으로 -

        박지윤 ( Ji Yoon Park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4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는 과정은 독자가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 과정과 같다. 이때 독자는 자신의 경험과 스키마를 바탕으로 의미를 구성해 나가는데, 이때 상호텍스트는 텍스트 이해에 중요한 수단이 된다. 이 글은 텍스트 이해를 위해 상호텍스트성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그 실제를 들어 보이는 데 목적이 있다. 상호텍스트가 텍스트 이해를 돕는다는 논의는 몇 차례 있었지만, 추상적이고 원론적이기 때문에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문학 텍스트와 미디어 텍스트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텍스트 이해를 위한 상호텍스트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살펴본다. 상호텍스트에서 중요한 징표와 변형을 미디어 텍스트에서는 각각 반복과 복합으로 보고, 반복 징표의 하위 범주로는 내용, 통사 구조, 사회적 맥락, 거시 구조 등의 유사성으로 보았다. 문학 작품 중 ‘봉산탈춤 제6과장’의 상호텍스트는 개그콘서트 ‘달인’ 텍스트로, ‘구운몽’의 상호텍스트는 영화 ‘매트릭스’로 보고 이의 징표와 변형을 확인하여 미디어 텍스트가 문학 텍스트와 친연성이 있으며 상호텍스트로서 독자의 텍스트 이해에 효용성과 의의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rocess of reading and understanding the texts is the same as the reader`s organizing the meaning of it. At this time, the reader organizes the meaning based on his own experience and schema. Here the intertexts play a great role in helping people understand the texts. This paper is to show you how the intertextuality was used for helping people understand the texts and how it was used with the actual examples. There were some discussions that the intertexts help people to understand the texts. But as they were abstract and theoretical, it is now required that the specific and empirical proposals are to be suggested. According, I will try to find out how the intertexts should be used for understanding the texts by focusing on the similarity between literary texts and media texts. I deemed that the important mark and transformation in intertexts are repetition and combination each in media texts and that the subcategory of the repetitive mark includes the contents, syntax structure, social context and macro structure. I deemed the intertexts in "Bongsan Mask Dance Section 6" as the text of "a Master" in Gag Concert and also deemed the intertexts in "Guunmong" as the movie "Matrix" and checked their marks and transformations in order to find out that the media text has some affinity to the literary texts and that they are effective in readers understanding the texts as the intertexts.

      • KCI등재

        설명적 텍스트에서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이 국어 읽기 이해도에 미치는 영향

        조경은 ( Kyung Eun Cho ),김회수 ( Hoi Soo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4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에 추가된 삽화, 텍스트의 개인화 및 관련된 추가 텍스트가 학습자의 작동기억 수준에 따라 국어 읽기학습 이해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2(작동기억: 상, 하) × 4(텍스트 유형: 일반텍스트, 삽화텍스트, 개인화텍스트, 다중텍스트) 요인 설계로 이루어졌다. 중학교 2학년 164명을 대상으로 작동기억과 텍스트 유형에 따라 각각 8개의 집단에 무선 배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실험 결과 학습자의 작동기억이 텍스트 이해도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화 텍스트와 삽화텍스트가 작동기억 용량이 큰 집단의 텍스트 이해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중텍스트보다는 다른 세 가지 텍스트(개인화 텍스트, 삽화텍스트, 일반화텍스트)에서 학습자의 텍스트 이해도가 높았다. 그러나 작동기억 용량이 낮은 집단에서 개인화 텍스트와 삽화텍스트가 다른 텍스트 유형에 비해 텍스트 이해도를 높이는 데에 우월하지 못했다. 이 연구에서는 삽화텍스트나 개인화 텍스트가 모든 학습자에게 일반적으로 텍스트 이해를 높인다는 선행연구의 주장과는 달리 학습자의 작동기억이 이러한 텍스트의 효과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of working memory (central executive, phonological loop, and visuospatial working memory) and text types (personalized text, text with illustrations, multiple text, and controlled text) on reading comprehension of expository text. The experiment was designed 2(working memory capacity: high and low)×4(text types: controlled text, illustration text, personalized text, and multiple texts) two way pretest-posttest comparison factorial designs. One hundred sixty-four seco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ght treatment groups in the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central executive working memory and phonological loop working memory and text types on the recognition test scores while there were also significant main effects of three working memory components and text types on both recognition and inference test scores. High working memory group outperformed on both recognition and inference tests of personalized text and text with illustrations than the other two texts. High working memory students got the lowest scores on both recognition and inference tests of the multiple text.

      • KCI등재

        문자 텍스트와 영상 텍스트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하채현 ( Chae Hyun Ha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1 한국어문교육 Vol.9 No.-

        이 글은 ``매체``가 다른 문자와 영상에 대한 학생의 이해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기 위한 조사 연구이다. 문사 텍스트와 영상 텍스트에 대한 학생의 이해에 관한 기초 연구는 조사 연구(survey research)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연구문제로 설정한 것과 관련된 설문 문항을 만들어 배포하였다. 표집된 설문지를 spss로 분석하여 검토하였다. 대학교 교양 수업 수강자를 대상으로 전체 학생 266명이 설문 작성에 참여하였고, 강의를 맡고 있는 교수자 26명이 참여하였다. 조사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문자 텍스트의 개인적인 체험은 지적 즐거움, 지혜, 성숙을 위해서, 영상 텍스트의 개인적인 체험은 감각적 즐거움, 흥미와 몰입을 위하여 한다고 대답하였다. 그리고 문자 텍스트 수업과 영상 텍스트 수업에서 두 수업의 목표가 동일하다고 보는 인식이 두드러졌다. 만약 두 수업의 목표가 다르다면 문자 텍스트 수업은 표현력과 상상력의 향상, 문학적 지식의 획득을, 영상 텍스트 수업은 영상 예술의 이해, 문화생활의 영위를 지향해야 한다고 학생들이 대답했다. 마지막으로 서사 이해에서 내용 이해와 인물 이해를 더 잘 할 수 있는 텍스트는 영상 텍스트라고 보는 응답이 우세했다. 그러나 상상력을 더 잘 발휘하게 하는 텍스트는 문자 텍스트라고 보는 응답이 많았다. 기억의 지속성에서는 영상 텍스트가 약간 우위에 있지만 문자 텍스트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고는 매체에 따른 학생과 교수사의 인식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매체 활용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인식도 조사를 통하여 여전히 학생들과 교수자들이 매체에 따른 학습의 차이점에 그다지 주목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수자들은 문자와 영상이 주는 인식적 차이를 무시한 채, 내용 파악의 용이함을 매체 활용의 중요한 이유로 생각하고 있는 반면 학생들은 영상을 내용 파악이 용이한 매체로 여기지 않고 있었다.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교육 현장에서 교수자와 학생의 매체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서 학습 목표와 목적에 맞는 매체의 적절한 활용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about media in the other paper and images are different from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how the research is to look at. Paper text and visual text based on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academic research method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s set up a research problem involved creating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Sampled were analyzed by SPSS questionnaire were reviewed. University of the classes to target the entire student participants created 266 people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instructor responsible for teaching 26 people were involv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ersonal experience of paper text and intellectual pleasure, wisdom, maturity, to the personal experience of visual text sensual pleasure, excitement and commitment that you replied to. Paper text and visual text classes have the same goal of seeing that perception was found. If the two classes of the goals in different characters, text lessons expressiveness and imagination improved, literary knowledge acquisition for the class should be, and visual text class visual arts,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life of the lead for the teaching point should be the student replied. And understand the contents and characters in narrative comprehension can better understand the text was the visual text. However, a better exercise of the imagination that the text was paper 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