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현 비평에 있어서의 고향의 문화사적 의미

        정명교(Jeong Myeong-Kyo)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42

        이 논문에서 필자는 김현의 고향이 진도와 목포라는 두 장소로 나뉘어졌다는 점에 착안하여, 김현의 고향 체험이 그의 정신적 성장에 어떤 영향을 주었으며, 그러한 영향이 그의 비평적 태도에 어떻게 투영되었는가를 살폈다. 우리의 고찰에 의하면, 김현은 자연 속에서 뛰어노는 즐거움을 만끽했던 진도를 떠나 목포로 이사하면서 사회화의 길에 들어서게 된다. 진도의 체험은 그에게 감각적 쾌락을 제공하고, 목포의 생활은 그에게 사회적 윤리를 요구한다. 이 두 가지 정신적 지향의 갈등은 그에게 문학을 선택하게 하고, 문학을 통해서, 그는 사회적 현실원칙에 저항하는 감각적 쾌락의 의미를 보전하고, 그 언어적 실천들을 섬세히 감식하는 비평가로서 자라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원칙과 쾌락원칙 사이의 갈등은, 김현에게 있어서 좀 더 복잡한 맞물림의 단계로 나아가게 된다. 즉, 그는 현실원칙에 대항하여 쾌락원칙을 추구한 게 아니라, 현실 원칙 및 그 원칙의 실제적 삶의 양상들에 감각적 매력을 부여하여, 그것들을 호기심 및 탐구의 대상으로 바꾼다. 그러한 변환의 밑바닥에는 그가 어린 시절에 행한 무의식적 작업이 개입되어 있는데, 그 무의식적 작업이란 정신의 활동성으로 하여금 사유를 앞지르게 하고, 음운론적 혹은 문법적 모호성을 활용한 의미의 치환을 통하여 현실원칙(신성성으로 대표되는)의 사항들에서 무거움을 덜어내고 그것들을 낯설어서 궁금한 것으로 만드는 작업을 가리킨다. 그러한 작업을 통해, 현실원칙은 단순히 따라야할 엄격한 윤리가 아니라, 주체가 스스로 제것화해 개발시켜 나가야 할 미지의 것이 된다. 이러한 전환은 섬세한 감각적 음미를 즐기면서도 그것을 어김없이 반성적 사유(현실원칙의 거울에 비추어진)로 이끌고 갔던 그의 비평적 생애의 근본 모형으로서 자리 잡았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article, we tried to look for the childhood experience of the critic Kim Hyun and its influence over his criticism. Kim Hyun's childhood in Jindo Island, his birthplace, was fulfilled by the enjoyment of the romping in the forest and on the beach. Since he moved to Mokpo in his first year of elementary school, he entered the world of socialization, and needed to learn the way to observe the social disciplines instead of enjoying the nature. This change oppressed him, and he began to realize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desire for the sensual pleasures in nature and the demand of the principles of the reality. The perception of this discordance led him to the literature. When reached full age, as a literary critic, he became a delicate connoisseur of the descriptions and the expressions of the Korean literary works, and had defended the sensual feast of the literature against the symbolic system of the society which includes norms, inhibitions, oppressions, punishments… Then his criticism evolved gradually to the more complicated level. He was not obstinate in pursuing the principle of the pleasure fighting against the principle of the reality; he turned the latter and its real items into the objects for inquiry and for curiosity by putting proper values and, in addition, proper bewitchment on them. This modification had its ground in his work of the unconsciousness in the childhood which had reduced the heaviness of the principle of the reality, represented by the obedience to the divinity. His work of the unconsciousness transformed the principle of the reality into what was strange, and therefore, what he wanted to know, by making the excess of the speed of his mental activity and by semantically displacing the word 'divinity' through the exploitation of homophonic ambiguity. With this unconscious work, the principle of the reality became attractive and gave the heuristic pleasure to Kim Hyun. He appreciated the value of the reflection through the reconsideration of the principle of the reality and sought the projection of the reflexive activity on the literature. His criticism proposed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sensual pleasure and the reflexive thought, arriving at the dreaming of the literature, to be presented as the suffering of the world by the writing itself: the very thing for enjoyment.

      • KCI등재

        김현 비평에 있어서의 고향의 문화사적 의미

        한국비평문학회 2011 批評文學 Vol.- No.42

        <P>&nbsp;&nbsp;이 논문에서 필자는 김현의 고향이 진도와 목포라는 두 장소로 나뉘어졌다는 점에 착안하여, 김현의 고향 체험이 그의 정신적 성장에 어떤 영향을 주었으며, 그러한 영향이 그의 비평적 태도에 어떻게 투영되었는가를 살폈다. 우리의 고찰에 의하면, 김현은 자연 속에서 뛰어노는 즐거움을 만끽했던 진도를 떠나 목포로 이사하면서 사회화의 길에 들어서게 된다. 진도의 체험은 그에게 감각적 쾌락을 제공하고, 목포의 생활은 그에게 사회적 윤리를 요구한다. 이 두 가지 정신적 지향의 갈등은 그에게 문학을 선택하게 하고, 문학을 통해서, 그는 사회적 현실원칙에 저항하는 감각적 쾌락의 의미를 보전하고, 그 언어적 실천들을 섬세히 감식하는 비평가로서 자라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원칙과 쾌락원칙 사이의 갈등은, 김현에게 있어서 좀 더 복잡한 맞물림의 단계로 나아가게 된다. 즉, 그는 현실원칙에 대항하여 쾌락원칙을 추구한 게 아니라, 현실 원칙 및 그 원칙의 실제적 삶의 양상들에 감각적 매력을 부여하여, 그것들을 호기심 및 탐구의 대상으로 바꾼다. 그러한 변환의 밑바닥에는 그가 어린 시절에 행한 무의식적 작업이 개입되어 있는데, 그 무의식적 작업이란 정신의 활동성으로 하여금 사유를 앞지르게 하고, 음운론적 혹은 문법적 모호성을 활용한 의미의 치환을 통하여 현실원칙(신성성으로 대표되는)의 사항들에서 무거움을 덜어내고 그것들을 낯설어서 궁금한 것으로 만드는 작업을 가리킨다. 그러한 작업을 통해, 현실원칙은 단순히 따라야할 엄격한 윤리가 아니라, 주체가 스스로 제것화해 개발시켜 나가야 할 미지의 것이 된다. 이러한 전환은 섬세한 감각적 음미를 즐기면서도 그것을 어김없이 반성적 사유(현실원칙의 거울에 비추어진)로 이끌고 갔던 그의 비평적 생애의 근본 모형으로서 자리 잡았다고 할 수 있다.</P>

      • KCI등재

        김현의 마르쿠제 수용과 기억의 문제

        한래희 ( Han Lae-he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7

        글은 김현의 마르쿠제 이론 수용에서 발견되는 특징을 살피고 이것을 토대로 그러한 수용이 1980년 이후 김현 비평에 미친 영향과 의미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 김현의 마르쿠제 이론 수용 방식에 대한 논의가 김현의 외국이론 수용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을 파악한다는 차원에 그치지 않고 1980년 이전 김현 비평의 특징과 기본 전제들을 이해하고 1980년 이후 김현 비평의 변화를 파악하는 데에 중요한 열쇠가 된다는 문제의식을 토대로 ‘억압 없는 문명’과 ‘고통의 기억’을 핵심적 개념으로 하여 마르쿠제 이론의 수용 양상과 그것이 김현 비평에 미친 영향과 의미를 규명해 보려는 것이다. 본론에서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억압 없는 문명’이라는 마르쿠제의 핵심적 개념을 중심으로 1970년대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김현의 마르쿠제 이론 수용의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마르쿠제의 억압 없는 문명 개념은 현실원칙/수행원칙, 기본억압/과잉억압의 구분에 기초하여 사회학적 차원과 미학적 차원의 두 차원으로 진행되는데 김현은 전자의 차원은 생략하고 억압 없는 문명을 유토피아적인 예술의 세계로 해석하여 수용하고 있다. 분석의 결과 김현이 마르쿠제 이론을 이러한 방식으로 수용한 데에는 바슐라르 이론에 대한 기대가 크게 작용했음을 확인하였다. 1980년 이전 김현에게 완전한 자유를 가능케 하는 바슐라르의 충일성의 세계는 소외 문제를 극복하고 완전한 승화를 가능케 하는 기제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마르쿠제 이론의 중요한 요소인 ‘고통의 기억’은 상대적으로 관심을 받지 못한 채 마르쿠제 이론 수용이 이루어진다. 3장에서는 1980년 이후 김현의 비평적 사유와 비평 방법론의 변화를 탐구하였다. 표면적으로 볼 때 1980년대 김현의 글에서 마르쿠제의 개념은 주요한 비평방법론으로 나타나고 있지 않으나 고통, 기억, 시간을 중심으로 한 마르쿠제의 이론은 이 시기 김현이 처한 문학적 딜레마의 이해와 그에 대한 김현의 대응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이론적 기제라는 관점 하에 분석을 진행하였다. 1980년대 김현 비평은 두 가지 딜레마를 맞이하게 되는데 하나는 쾌락원칙 자체에 내재한 갈등이고 다른 하나는 ‘긍정을 위한 부정’이라는 방법론이 갖는 위기이다. 문학적 초월을 가능케 하는 기제로서의 쾌락원칙은 열반원칙으로 수렴될 위험성이 있고 방법론적 부정이라는 의식인의 자기조작은 야만적 폭력이 지배하는 현실 속에서 자기합리화나 허무주의로 변질될 수 있다. 변화에 대한 어떠한 기대도 가능하지 않는 상황 속에서 그리고 문학인들이 쉽게 빠져 들어가는 자기부정의 유혹 속에서 이러한 위기 극복을 위해 김현이 해결책으로 제시한 것은 ‘고통의 기억’에 머물기이다. 이것은 의식에 호소하는 방법론의 위험성을 극복하고 절멸의 위기에 놓인 예술의 존재의의를 다시 찾기 위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몸에 새겨진 고통의 기억에의 호소는 영속적일 수 없고 현실과의 타협의 위험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은 여전한 문제로 남는다. 고통의 기억에 대한 고수는 김현이 1980년대 후반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마르쿠제와 다시 만나는 지점에 해당한다. 1980년대 김현 비평의 주요 방법론으로 활용되지 않았던 마르쿠제는 고통의 기억 개념을 통해 ‘귀환’한다. 이것은 ‘죽어야 되기 전에’ 희생된 사람들에 대한 고통의 기억이 ‘위대한 거절’을 포기할 수 없는 사람들이 도달한 저항의 한 방법이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to study how Kim Hyun accept H. Marcuse’s theory and how it affect Kim Hyun’s latter criticism. The understanding of how Kim Hyun accept H. Marcuse’s theory is important not only for explain the characteristic of the way critic Kim Hyun accept foreign theory, but also for comprehending the Kim Hyun’s criticism after 1980. ‘Civilization without repression’ and ‘the memory of suffering’ are two key concept of this analysis. In chapter2, Marcuse’s Civilization without repression is based on dichotomy reality principle/performance principle, basic repression/surplus repression. Kim overlooked this dichotomy, and interpret Civilization without repression as aesthetic world. The expectation and belief about G. Bachelard’s theory is the reason for this kind of acceptance. Kim Hyun thinks that Bachelard’s imagination theory and aesthetic world can overcome the problem of alienation and make absolute freedom possible. The another key concept of H. Marcuse, the memory of suffering is paid little attention in this period. In chapter 3, the focus of analysis is the characteristic and dilemma of Kim Hyun’s criticism. The memory of suffering is a main analytic tools. It seems that H. Marcuse’s concepts like the memory of suffering, eros, and time are not important tools in Kim Hyun’s criticism in 1980’s, but those are very helpful for understanding Kim Hyun’s criticism in this period. Kim Hyun encounters two dilemma; one is contradiction in pleasure principle, and another is the danger of methodological negation. The memory of suffering carved in body is considered as a solution of these dilemma. Kim Hyun and H. Marcuse meet at the memory of suffering again. H. Marcuse who is paid little attention in Kim Hyun’s latter criticism returns through the concept, memory of suffering. This is because the memory of suffering is a method of resistance which anyone who refuses to give up ‘great refusal’ in barbaric reality can’t help resort to.

      • KCI등재

        사이버 공간의 놀이에 대한 윤리적 고찰

        김대군 ( Dae Gu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7 윤리교육연구 Vol.0 No.12

        본 논문은 사이버 공간이 갖는 놀이적 성격에 대해 분석을 했다. 오늘날 사이버 공간은 일의 공간이기도 하고 놀이의 공간이기도 하다. 현실공간에서의 일을 사이버 공간에 들어가서 하기고 하고, 사이버공간의 일을 현실로 연장시켜 이루어나가기도 한다. 현실공간에서 놀이가 사이버 공간에서 고스란히 펼쳐지기도 하고, 사이버 공간의 놀이가 현실로 연장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사이버 공간은 일과 놀이의 공간이기는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놀이공간으로서 사이 버 공간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다. 사이버 공간을 새로운 놀이판으로 보고, 사이버 공간에서 놀이하는 존재를 ``가상놀이 하는 인간``으로 규정지었다. 가상놀이 하는 인간의 본질을 규명하고, 사이버 놀이공간의 성격을 분석했다. 놀이판으로서 사이버 놀이공간은 놀이하는 인간들에게 쾌락을 제공함으로써 유인한다. 가상놀 이 하는 인간이 됨으로써 결국 잉여쾌락에 몰두함으로써 비극을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공간의 쾌락성과 비극성을 놀이와 관련시켜 조망했다. 다음으로 사이버공간에서의 놀이가 갖는 비윤리성을 기존의 윤리원칙으로 진단하고, 새로운 가상 놀이판의 윤리성 추구는 무엇보다 개인의 예의 갖춤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혼자 있을 때에도 흐트러지지 않는 자세를 갖는 것이 예의 기본임을 결론적으로 주장했다. 사이버공간의 놀이적 성격으로 볼 때, 예와 악의 조화가 가상놀이 하는 인간의 삶을 윤택하게 할 것이며, 이것이 무너질 때 가상공간은 새로운 해악을 가져다주는 적대적인 공간이 될 것임을 본 논문에서 살펴보았다. 사이버 공간에서 놀이가 윤리적이기 위해서는 기존의 윤리원칙들에 부합되지 않는 놀이들에는 제도적 제한을 가해야 하겠지만, 근본적인 대책은 가상놀이 하는 인간들의 자기절제력을 길러주는 것이 되어야 한다고 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mo Ludens`` in cyber space. In this paper, cyber space presumably refers to the space where netizens play. Cyber space provides us various opportunities to enjoy the games. The Homo Ludens in cyber space act in two ways. First, they do ``role play`` in the cyber space. While participating in the play, the players experience virtual reality. They can change freely their identity. Second, they are disposed towards jouissance(surplus pleasure). They spend too much time on-line just to get pleasure from cyber sex and so on. Excessive play on the cyber space may be problematic in most cases. The players are addicted to cyber play. The core components of addiction are salience, mood modification, tolerance, withdrawal, conflict and relapse. Therefore, establishing an ethical standard on cyber play is very important. I tried to present ethical standards on cyber space play. I reviewed cyber play from applied Beauchamp`s principle. After then, I suggested some play ethics based on Confucianism. I think self- regulation is more important than external regulation. We have to recover the spirit of Confucian Li in the cyber play space. The spirit of Confucian Li can be a touchstone in establishing cyber ethics.

      • KCI등재

        죽음 충동 개념에 관한 철학적 전망 : “호모 루덴스”의 죽음 충동

        남경아 대동철학회 2016 大同哲學 Vol.75 No.-

        필자의 논의는 우리 인간에게 있어서의 “모든 충동은 죽음의 충동”이라는 라캉의 주장에 대한 동의에서 출발한다. 「쾌락 원칙을 넘어서」에서 프로이트가 죽음 충동 개념을 도입한 이래로 죽음 충동에 관한 많은 유의미한 논의들이 있어왔다. 그러한 논의 중에는 엄밀성에 있어서 가치 있는 연구들도 있었고 삶의 가치를 풍요롭게 해 줄 연구들도 있었다. 개념 자체에 관한 논의들은 프로이트의 기획의 본 의도를 더욱 명확하게 해 준 것들도 있었고, 그의 논의가 가진 맹점을 날카롭게 비판한 것들도 있었다. 개념의 엄밀성을 보다 정교하게 해 줄 연구들은 지금도 여전히 풍부하게 진행 중일 것이다. 그래서 필자의 연구는 그와는 다소 다른 관점에서 기획됐다. 필자는 오늘날 우리에게 가장 절실한 것으로서 삶에 대한 보다 건강하고 건전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설명을 꼽는다. 그리고 그러한 설명이 다름 아닌 철학함이고, 철학 실천이라고 이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철학에 관한 필자의 그와 같은 기본적 이해 혹은 신념의 바탕에서 출발한 것으로 필자는 본고에서 죽음 충동 개념을 통해 새로운 철학적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필자는 “말하는 주체”로서 우리가 처한 구조적 현실에서의 여러 고통들은 상징과 실재를 등가화하려는 시도 속에서 발생한다고 본다. 결코 등가화될 수 없는 불가능한 것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시도되는 실재의 상징화는 또 다른 불가능으로 치달을 수밖에 없지만, 그러한 충동들은 그 과정에서 우리에게 ‘너머의 쾌’를 제공해주기도 한다. 또한 충동하는 주체에게는 상징의 무한 부정을 통해 자유롭게 삶을 새롭게 해석해낼 수 있는 자유가 허락된다. 필자는 그런 종류의 충동들을 다름 아닌 “호모 루덴스”의 “죽음 충동”으로 해석하고 있으며, 이것이 고통을 넘어서는 고양된 삶에 이바지 한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My argument in this paper starts at the agreement with the assertion of Lacan, J. that "every drive is virtually a death drive". Since S. Freud introduced the concept, Death Drive first in the 'Beyond the pleasure principle', there have been many meaningful discussions regarding it. Some studies are valuable concerning their strictness and some of them are significant as they enrich life values. Some discussions about the concept itself made the original intention of Freud clearer and there were sharp criticism the weak point of his argument. There should be a lot of studies that can make his argument more sharply and they must be on going. So my project for the concept, Death Drive heads for the slight different direction from them. I regard an explanation that can give a help to the healthful and sound life as the most urgently needed nowadays. And I understand that it is nothing but a philosophy or in other words philosophical practice. This study starts from such basic understanding or belief, and I intend to suggest a new philosophical project by the concept, Death Drive in this paper.

      • KCI등재

        마르쿠제의 생물학적 혁명

        문현병 대동철학회 1999 大同哲學 Vol.5 No.-

        마르쿠제의 생물학적 혁명이론은 문명비판임과 동시에 해방이론으로서 그의 비판이론의 전개과정에서 아주 특징적인 것이다. 그의 생물학적 혁명이론은 프로이트주의에 대한 재해석에서 나온 것이다. 그는 프로이트주의를 정신치료의 차원에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사회이론이나 정신분석의 철학으로 격상시키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는 현대문명을 비판할 뿐만 아니라, 억압으로부터의 해방의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이 논문은 마르쿠제의 ��Å��Å에로스와 문명-프로이트에 대한 철학적 탐구��Å��속에 있는 ‘문명(화)의 변증법’을 재구성하고, 그 속에 드러난 ‘본능구조 혁명이론’의 현대적 의의를 검토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1) 마르쿠제의 비판이론과 프로이트주의의 관계, 2) 마르쿠제의 프로이트주의적 문명비판, 3) 생물학적 혁명에 대한 마르쿠제의 전망, 4) 본능구조의 혁명의 내용 등을 차례대로 정리하고, 5) 결론 : 혁명과 유토피아에서 그 문제점들을 지적하였다. Herbert Marcuse's theory of Biological Revolution is the critique of civilization, and rather unique to his critical theory as revolution theory. This theory originated from the reinterpretation of Freud's theory. He accepted Freud's theory not as psychoanalysis itself, but as the critical theory of society or the philosophy of psychoanalysis. By doing so, he attempt to not only criticize contemporary civilization, but seek to possibility of emancipation from repression. Reconstructing the dialectic of civilization(culture) in Marcuse's work Eros and Civilization : A Philosophical Inquiry into Freud, this paper aim to pursue present significance of the theory of revolution in the structure of instincts. Therefor I have summarized the following : 1) The relation between Marcuse's critical theory and Freudianism, 2) Marcuse's Freudian critique of civilization, 3) his expectation or vision of biological revolution, 4) the concrete, material contents of revolution in the structure of instinct. And then enumerated the problems of that revolution.

      • KCI등재
      • KCI등재

        김동리의 「까치소리」 다시 읽기

        임영봉(Lim, Young-bong)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1 No.-

        살의 충동에 사로잡힌 ‘봉수’라는 주인공이 살인 행위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 ?까치소리?의 주제에 대해 작가 김동리는 화엄사상이라는 불교적인과론의 표현을 의도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상식적인 독해에 의거할 때 작가의 그런 의도는 실패한 것으로 판명된다. 작가 김동리의 의도와 작품 내용의 불일치 문제는 ?까치소리?에서 작가의 ‘오인’이나 ‘착각’이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환기시켜주고 있으며 이러한 성격의 오인은 김동리의 내면을 지배하고 있는 무의식과 모종의 욕망을 드러내 주고 있다. ‘이중 액자식 구성’이라는 ?까치소리?의 복잡한 이야기 형식 또한 작가의 억압된 무의식이 작용한 결과이다. ?까치소리?에서 작가의 유년기 체험과 정신적 외상은 ‘모성적 초자아’의 대두와 ‘죽음 충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아버지의 권위를 대리하고 있는 모성적 초자아는 주인공 봉수의 정상적인 삶을 방해하면서 외설적인 쾌락을 부추기는 존재이다. ?까치소리?의 마지막 장면에서 주인공 ‘봉수’는 쾌락원칙의 경계를 넘어 충동적인 향락의 주체 자리에 서게 된다. 이 충동적 향락의 주체인 ‘봉수’의 폭력적 ‘파괴 충동’은 궁극적인 차원에서 죽음을 통해 무기체의 상태로 되돌아감으로써 영원한 안정과 평화를 얻고자하는 작가의 무의식의 표현으로 볼 수 있다. This is an essay that attempts to unveil the multilayered meanings and new possibilities of interpretation of Kim Dong-ri’s literature, focusing on the “The Cry of Magpies”(Contemporary Literature, 1966.10). “The Cry of Magpies” carries with it a special meaning and a problematic status in the context of Kim’s literary world. It relates how the death drive of the main character, Bong-su, eventually leads to an act of murder. Kim argues that the story’s theme is the expression of Hwaom Idealism, a Buddhist idea related to causationism. However, based on reading in the common sense, it seems that the intentions of the author fail to be achieved.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author’s intentions and the content of “The Cry of Magpies” brings to attention the fact that a misconception or illusion may be at work in the author’s thinking. the author’s stubbornness, which derives from this type of misconception, could be seen as an expression of the subconscious and a sort of desire that dominates Kim’s inner world. In terms of structure, “The Cry of Magpies” has a double-double narrative or frame story; that is, it not only consists of an external story and an internal story, but the internal story also has another frame story within. The use of this complex story structure may be seen as an irruption of the author’s suppressed subconscious. The significance of “The Cry of Magpies” comes from the fact that it is an expression of the author’s childhood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trauma. In the story, the psychological trauma of the author manifests itself through a maternal superego and a death drive. The maternal superego, which substitutes for a father’s authority, is a distracting factor that gets in the way of a normal life for Bong-su; it is also a source of obscene pleasure. In the very last scene, Bong-su is reborn as a subject of impulse that goes beyond the pleasure principle, through the act of murder. The nature of the destructive violence shown by this impulsive character could be seen as an inverted expression of the author’s desire to acquire eternal stability and peace by returning to a state of nothingness in death.

      • KCI등재

        한국의 반-신천지 현상에 대한 종교학적 고찰 : ‘비윤리성’ 담론에 대한 정신분석의 ‘윤리’적 독해를 통하여

        이정은 ( Lee¸ Jung Eu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2021 종교문화비평 Vol.39 No.39

        본 논문은 ‘Covid-19’의 등장 초기에, 한국 사회에서 전염병에 대한 불안과 함께 등장했던 대대적인 ‘반-신천지 관념’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그중에서도 이 ‘관념’의 가장 핵심을 차지하는 신천지의 ‘비윤리성’ 및 ‘비도덕성’에 대한 비판에 주목하여 프로이트를 재해석한 라캉에게서 비롯된 ‘정신분석의 윤리’의 관점에서 신천지 현상을, 그들의 ‘윤리’와 ‘도덕’의 문제를 새롭게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 논의는 국가적인 위기 상황마다 반복되고 있는 ‘반-개신교계 신종교적 태도’에 대한 비판적 고찰로까지 확장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단 전문가’를 중심으로 한 기성교회적 시각이 그대로 반영되고 있는 ‘비윤리성’ 담론은 신천지를 비롯한 개신교계 신종교에 대한 한국 사회의 지배적 입장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진리’ 담론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비진리적’이기 때문에 ‘비윤리적’인(반대도 동시에 가능한) 신천지에 대한 어떠한 사유도, 사회적 공존도 불가능하게 한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정신분석의 윤리’를 통해 타인과의 관계의 문제에 속한 ‘도덕’과 나 자신의 욕망에 대한 충실함에 주목하는 ‘윤리’를 구별함으로써 이러한 상황에 개입하고자 했다. 신종교에 대한 기존의 종교학적 연구들이 ‘낯선 것을 친숙하게 하는 것’에 강조점을 두었다면, 필자는 ‘친숙한 것을 낯설게 하기’에 강조점을 두고 이 현상에 대한 비평을 시도하고자 한 것이다. 즉 신천지에 대하여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비윤리성’ 담론을 ‘정신분석의 윤리’의 언어를 통해 ‘낯설게 하기’를 시도함으로써, 공존 불가능하다고 생각될만큼 낯선 신천지를 조금이나마 친숙하게 만들어보고자 하였다. 신천지 신자들은 “성서 예언의 성취”에 대한 욕망을 기성교회와도 사회와도 타협하지 않는 방식을 통해 ‘쾌락원칙을 넘어서’기를 시도한다. 그들은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신앙과 불신앙 사이에서 세속 사회의 기준에 맞춰 믿음을 저울질하는 기성교회와 달리, 자신들은 “하나님이 약속한 ‘새 하늘 새 땅’이 신천지를 통해 실제로 이루어졌으며, 이루어져가고 있음”을 진정으로 믿고 있을 뿐이라고 주장한다. 이 믿음을 지키기 위해 모든 사회적 규범과 가치들을 거스르게 되고, 사람들의 비웃음을 산다고 할지라도 말이다. 이처럼 신천지 신도들이 꿈꾸고 욕망했던 것에 대해 사유하는 행위는 이들이 했던 행위들, 사회적으로 비판받는 행위들을 새로운 시각에서 사유해보려는 시도를 가능하게 한다. ‘진리 대 비진리’의 차원이 아니라, 욕망의 층위에서 우리의 욕망 추구방식과 실현방식에 대해, 꿈꾸는 ‘이상세계’의 내용과 그것을 이루어나가는 방식에 대해 논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낯설게 하기는 친숙하게 하기로, 나아가 새로운 공존에 대해 상상해보기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anti-ShinCheonJi ideas’ of Korean society in the early stages of Covid 19. ‘Anti-ShinCheonJi ideas’ focuses on criticizing ShinCheonJi’s ‘unethicality’ and ‘anti-morality.’ So I have re-examined the ShinCheonJi phenomenon, especially their ‘ethics and morality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thics of Psychoanalysis’ that originated from Lacan. This discussion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extended to critical considerations on the ‘anti-Protestant new religion ideas’ that has been repeated in every national crisis situation. The ‘unethicality discourse’ on ShinCheonJi reflects the perspective of the established church centered on conservative Protestant ministers called ‘experts on heresy.’ The ‘unethicality discourse’ is based on the ‘truth discourse’. Therefore it makes it impossible for any considerations or social co-existence of ShinCheonJi, which is unethical because it is untruthful(the opposite is possible at the same time). In this paper, I tried to intervene in this situation by distinguishing between ‘morality’ which belongs to the problem of relations with others and ‘ethics’ that focuses on loyalty to one’s own desires through ‘ethics of Psychoanalysis.’ ShinCheonJi believers attempt to ‘beyond/out of the principle of pleasure’ by never compromising with established churches and society on their desire for “the fulfillment of biblical prophecy.” According to them, the established church members are weighing their faith to the standard of secular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y insist that they only truly believe that “the ‘new heaven and new earth’ promised by God has actually been and is being achieved through ShinCheonJi,” even if they go against all social norms and values and get people’s ridicule to keep their faith. Thinking about what ShinCheonJi believers dream and desires makes it possible to analyze from a new perspective even the actions they did and those that are socially criticized. We can discuss with them the contents of a dreamy ‘ideal world' and the ways of achieving it, not the dimension of ‘truth vs. untrut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