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명교(Jeong Myeong-Kyo)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42
이 논문에서 필자는 김현의 고향이 진도와 목포라는 두 장소로 나뉘어졌다는 점에 착안하여, 김현의 고향 체험이 그의 정신적 성장에 어떤 영향을 주었으며, 그러한 영향이 그의 비평적 태도에 어떻게 투영되었는가를 살폈다. 우리의 고찰에 의하면, 김현은 자연 속에서 뛰어노는 즐거움을 만끽했던 진도를 떠나 목포로 이사하면서 사회화의 길에 들어서게 된다. 진도의 체험은 그에게 감각적 쾌락을 제공하고, 목포의 생활은 그에게 사회적 윤리를 요구한다. 이 두 가지 정신적 지향의 갈등은 그에게 문학을 선택하게 하고, 문학을 통해서, 그는 사회적 현실원칙에 저항하는 감각적 쾌락의 의미를 보전하고, 그 언어적 실천들을 섬세히 감식하는 비평가로서 자라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원칙과 쾌락원칙 사이의 갈등은, 김현에게 있어서 좀 더 복잡한 맞물림의 단계로 나아가게 된다. 즉, 그는 현실원칙에 대항하여 쾌락원칙을 추구한 게 아니라, 현실 원칙 및 그 원칙의 실제적 삶의 양상들에 감각적 매력을 부여하여, 그것들을 호기심 및 탐구의 대상으로 바꾼다. 그러한 변환의 밑바닥에는 그가 어린 시절에 행한 무의식적 작업이 개입되어 있는데, 그 무의식적 작업이란 정신의 활동성으로 하여금 사유를 앞지르게 하고, 음운론적 혹은 문법적 모호성을 활용한 의미의 치환을 통하여 현실원칙(신성성으로 대표되는)의 사항들에서 무거움을 덜어내고 그것들을 낯설어서 궁금한 것으로 만드는 작업을 가리킨다. 그러한 작업을 통해, 현실원칙은 단순히 따라야할 엄격한 윤리가 아니라, 주체가 스스로 제것화해 개발시켜 나가야 할 미지의 것이 된다. 이러한 전환은 섬세한 감각적 음미를 즐기면서도 그것을 어김없이 반성적 사유(현실원칙의 거울에 비추어진)로 이끌고 갔던 그의 비평적 생애의 근본 모형으로서 자리 잡았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article, we tried to look for the childhood experience of the critic Kim Hyun and its influence over his criticism. Kim Hyun's childhood in Jindo Island, his birthplace, was fulfilled by the enjoyment of the romping in the forest and on the beach. Since he moved to Mokpo in his first year of elementary school, he entered the world of socialization, and needed to learn the way to observe the social disciplines instead of enjoying the nature. This change oppressed him, and he began to realize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desire for the sensual pleasures in nature and the demand of the principles of the reality. The perception of this discordance led him to the literature. When reached full age, as a literary critic, he became a delicate connoisseur of the descriptions and the expressions of the Korean literary works, and had defended the sensual feast of the literature against the symbolic system of the society which includes norms, inhibitions, oppressions, punishments… Then his criticism evolved gradually to the more complicated level. He was not obstinate in pursuing the principle of the pleasure fighting against the principle of the reality; he turned the latter and its real items into the objects for inquiry and for curiosity by putting proper values and, in addition, proper bewitchment on them. This modification had its ground in his work of the unconsciousness in the childhood which had reduced the heaviness of the principle of the reality, represented by the obedience to the divinity. His work of the unconsciousness transformed the principle of the reality into what was strange, and therefore, what he wanted to know, by making the excess of the speed of his mental activity and by semantically displacing the word 'divinity' through the exploitation of homophonic ambiguity. With this unconscious work, the principle of the reality became attractive and gave the heuristic pleasure to Kim Hyun. He appreciated the value of the reflection through the reconsideration of the principle of the reality and sought the projection of the reflexive activity on the literature. His criticism proposed the interconnection between the sensual pleasure and the reflexive thought, arriving at the dreaming of the literature, to be presented as the suffering of the world by the writing itself: the very thing for enjoyment.
한국비평문학회 2011 批評文學 Vol.- No.42
<P> 이 논문에서 필자는 김현의 고향이 진도와 목포라는 두 장소로 나뉘어졌다는 점에 착안하여, 김현의 고향 체험이 그의 정신적 성장에 어떤 영향을 주었으며, 그러한 영향이 그의 비평적 태도에 어떻게 투영되었는가를 살폈다. 우리의 고찰에 의하면, 김현은 자연 속에서 뛰어노는 즐거움을 만끽했던 진도를 떠나 목포로 이사하면서 사회화의 길에 들어서게 된다. 진도의 체험은 그에게 감각적 쾌락을 제공하고, 목포의 생활은 그에게 사회적 윤리를 요구한다. 이 두 가지 정신적 지향의 갈등은 그에게 문학을 선택하게 하고, 문학을 통해서, 그는 사회적 현실원칙에 저항하는 감각적 쾌락의 의미를 보전하고, 그 언어적 실천들을 섬세히 감식하는 비평가로서 자라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원칙과 쾌락원칙 사이의 갈등은, 김현에게 있어서 좀 더 복잡한 맞물림의 단계로 나아가게 된다. 즉, 그는 현실원칙에 대항하여 쾌락원칙을 추구한 게 아니라, 현실 원칙 및 그 원칙의 실제적 삶의 양상들에 감각적 매력을 부여하여, 그것들을 호기심 및 탐구의 대상으로 바꾼다. 그러한 변환의 밑바닥에는 그가 어린 시절에 행한 무의식적 작업이 개입되어 있는데, 그 무의식적 작업이란 정신의 활동성으로 하여금 사유를 앞지르게 하고, 음운론적 혹은 문법적 모호성을 활용한 의미의 치환을 통하여 현실원칙(신성성으로 대표되는)의 사항들에서 무거움을 덜어내고 그것들을 낯설어서 궁금한 것으로 만드는 작업을 가리킨다. 그러한 작업을 통해, 현실원칙은 단순히 따라야할 엄격한 윤리가 아니라, 주체가 스스로 제것화해 개발시켜 나가야 할 미지의 것이 된다. 이러한 전환은 섬세한 감각적 음미를 즐기면서도 그것을 어김없이 반성적 사유(현실원칙의 거울에 비추어진)로 이끌고 갔던 그의 비평적 생애의 근본 모형으로서 자리 잡았다고 할 수 있다.</P>
김대군 ( Dae Gu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7 윤리교육연구 Vol.0 No.12
본 논문은 사이버 공간이 갖는 놀이적 성격에 대해 분석을 했다. 오늘날 사이버 공간은 일의 공간이기도 하고 놀이의 공간이기도 하다. 현실공간에서의 일을 사이버 공간에 들어가서 하기고 하고, 사이버공간의 일을 현실로 연장시켜 이루어나가기도 한다. 현실공간에서 놀이가 사이버 공간에서 고스란히 펼쳐지기도 하고, 사이버 공간의 놀이가 현실로 연장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사이버 공간은 일과 놀이의 공간이기는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놀이공간으로서 사이 버 공간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다. 사이버 공간을 새로운 놀이판으로 보고, 사이버 공간에서 놀이하는 존재를 ``가상놀이 하는 인간``으로 규정지었다. 가상놀이 하는 인간의 본질을 규명하고, 사이버 놀이공간의 성격을 분석했다. 놀이판으로서 사이버 놀이공간은 놀이하는 인간들에게 쾌락을 제공함으로써 유인한다. 가상놀 이 하는 인간이 됨으로써 결국 잉여쾌락에 몰두함으로써 비극을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공간의 쾌락성과 비극성을 놀이와 관련시켜 조망했다. 다음으로 사이버공간에서의 놀이가 갖는 비윤리성을 기존의 윤리원칙으로 진단하고, 새로운 가상 놀이판의 윤리성 추구는 무엇보다 개인의 예의 갖춤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혼자 있을 때에도 흐트러지지 않는 자세를 갖는 것이 예의 기본임을 결론적으로 주장했다. 사이버공간의 놀이적 성격으로 볼 때, 예와 악의 조화가 가상놀이 하는 인간의 삶을 윤택하게 할 것이며, 이것이 무너질 때 가상공간은 새로운 해악을 가져다주는 적대적인 공간이 될 것임을 본 논문에서 살펴보았다. 사이버 공간에서 놀이가 윤리적이기 위해서는 기존의 윤리원칙들에 부합되지 않는 놀이들에는 제도적 제한을 가해야 하겠지만, 근본적인 대책은 가상놀이 하는 인간들의 자기절제력을 길러주는 것이 되어야 한다고 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mo Ludens`` in cyber space. In this paper, cyber space presumably refers to the space where netizens play. Cyber space provides us various opportunities to enjoy the games. The Homo Ludens in cyber space act in two ways. First, they do ``role play`` in the cyber space. While participating in the play, the players experience virtual reality. They can change freely their identity. Second, they are disposed towards jouissance(surplus pleasure). They spend too much time on-line just to get pleasure from cyber sex and so on. Excessive play on the cyber space may be problematic in most cases. The players are addicted to cyber play. The core components of addiction are salience, mood modification, tolerance, withdrawal, conflict and relapse. Therefore, establishing an ethical standard on cyber play is very important. I tried to present ethical standards on cyber space play. I reviewed cyber play from applied Beauchamp`s principle. After then, I suggested some play ethics based on Confucianism. I think self- regulation is more important than external regulation. We have to recover the spirit of Confucian Li in the cyber play space. The spirit of Confucian Li can be a touchstone in establishing cyber ethics.
죽음 충동 개념에 관한 철학적 전망 : “호모 루덴스”의 죽음 충동
남경아 대동철학회 2016 大同哲學 Vol.75 No.-
필자의 논의는 우리 인간에게 있어서의 “모든 충동은 죽음의 충동”이라는 라캉의 주장에 대한 동의에서 출발한다. 「쾌락 원칙을 넘어서」에서 프로이트가 죽음 충동 개념을 도입한 이래로 죽음 충동에 관한 많은 유의미한 논의들이 있어왔다. 그러한 논의 중에는 엄밀성에 있어서 가치 있는 연구들도 있었고 삶의 가치를 풍요롭게 해 줄 연구들도 있었다. 개념 자체에 관한 논의들은 프로이트의 기획의 본 의도를 더욱 명확하게 해 준 것들도 있었고, 그의 논의가 가진 맹점을 날카롭게 비판한 것들도 있었다. 개념의 엄밀성을 보다 정교하게 해 줄 연구들은 지금도 여전히 풍부하게 진행 중일 것이다. 그래서 필자의 연구는 그와는 다소 다른 관점에서 기획됐다. 필자는 오늘날 우리에게 가장 절실한 것으로서 삶에 대한 보다 건강하고 건전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설명을 꼽는다. 그리고 그러한 설명이 다름 아닌 철학함이고, 철학 실천이라고 이해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철학에 관한 필자의 그와 같은 기본적 이해 혹은 신념의 바탕에서 출발한 것으로 필자는 본고에서 죽음 충동 개념을 통해 새로운 철학적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필자는 “말하는 주체”로서 우리가 처한 구조적 현실에서의 여러 고통들은 상징과 실재를 등가화하려는 시도 속에서 발생한다고 본다. 결코 등가화될 수 없는 불가능한 것들 사이에서 끊임없이 시도되는 실재의 상징화는 또 다른 불가능으로 치달을 수밖에 없지만, 그러한 충동들은 그 과정에서 우리에게 ‘너머의 쾌’를 제공해주기도 한다. 또한 충동하는 주체에게는 상징의 무한 부정을 통해 자유롭게 삶을 새롭게 해석해낼 수 있는 자유가 허락된다. 필자는 그런 종류의 충동들을 다름 아닌 “호모 루덴스”의 “죽음 충동”으로 해석하고 있으며, 이것이 고통을 넘어서는 고양된 삶에 이바지 한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My argument in this paper starts at the agreement with the assertion of Lacan, J. that "every drive is virtually a death drive". Since S. Freud introduced the concept, Death Drive first in the 'Beyond the pleasure principle', there have been many meaningful discussions regarding it. Some studies are valuable concerning their strictness and some of them are significant as they enrich life values. Some discussions about the concept itself made the original intention of Freud clearer and there were sharp criticism the weak point of his argument. There should be a lot of studies that can make his argument more sharply and they must be on going. So my project for the concept, Death Drive heads for the slight different direction from them. I regard an explanation that can give a help to the healthful and sound life as the most urgently needed nowadays. And I understand that it is nothing but a philosophy or in other words philosophical practice. This study starts from such basic understanding or belief, and I intend to suggest a new philosophical project by the concept, Death Drive in this paper.
문현병 대동철학회 1999 大同哲學 Vol.5 No.-
마르쿠제의 생물학적 혁명이론은 문명비판임과 동시에 해방이론으로서 그의 비판이론의 전개과정에서 아주 특징적인 것이다. 그의 생물학적 혁명이론은 프로이트주의에 대한 재해석에서 나온 것이다. 그는 프로이트주의를 정신치료의 차원에서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사회이론이나 정신분석의 철학으로 격상시키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는 현대문명을 비판할 뿐만 아니라, 억압으로부터의 해방의 가능성을 찾고자 한다. 이 논문은 마르쿠제의 ��Å��Å에로스와 문명-프로이트에 대한 철학적 탐구��Å��속에 있는 ‘문명(화)의 변증법’을 재구성하고, 그 속에 드러난 ‘본능구조 혁명이론’의 현대적 의의를 검토해 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1) 마르쿠제의 비판이론과 프로이트주의의 관계, 2) 마르쿠제의 프로이트주의적 문명비판, 3) 생물학적 혁명에 대한 마르쿠제의 전망, 4) 본능구조의 혁명의 내용 등을 차례대로 정리하고, 5) 결론 : 혁명과 유토피아에서 그 문제점들을 지적하였다. Herbert Marcuse's theory of Biological Revolution is the critique of civilization, and rather unique to his critical theory as revolution theory. This theory originated from the reinterpretation of Freud's theory. He accepted Freud's theory not as psychoanalysis itself, but as the critical theory of society or the philosophy of psychoanalysis. By doing so, he attempt to not only criticize contemporary civilization, but seek to possibility of emancipation from repression. Reconstructing the dialectic of civilization(culture) in Marcuse's work Eros and Civilization : A Philosophical Inquiry into Freud, this paper aim to pursue present significance of the theory of revolution in the structure of instincts. Therefor I have summarized the following : 1) The relation between Marcuse's critical theory and Freudianism, 2) Marcuse's Freudian critique of civilization, 3) his expectation or vision of biological revolution, 4) the concrete, material contents of revolution in the structure of instinct. And then enumerated the problems of that revolution.
임영봉(Lim, Young-bong)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1 No.-
살의 충동에 사로잡힌 ‘봉수’라는 주인공이 살인 행위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 ?까치소리?의 주제에 대해 작가 김동리는 화엄사상이라는 불교적인과론의 표현을 의도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상식적인 독해에 의거할 때 작가의 그런 의도는 실패한 것으로 판명된다. 작가 김동리의 의도와 작품 내용의 불일치 문제는 ?까치소리?에서 작가의 ‘오인’이나 ‘착각’이 작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환기시켜주고 있으며 이러한 성격의 오인은 김동리의 내면을 지배하고 있는 무의식과 모종의 욕망을 드러내 주고 있다. ‘이중 액자식 구성’이라는 ?까치소리?의 복잡한 이야기 형식 또한 작가의 억압된 무의식이 작용한 결과이다. ?까치소리?에서 작가의 유년기 체험과 정신적 외상은 ‘모성적 초자아’의 대두와 ‘죽음 충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아버지의 권위를 대리하고 있는 모성적 초자아는 주인공 봉수의 정상적인 삶을 방해하면서 외설적인 쾌락을 부추기는 존재이다. ?까치소리?의 마지막 장면에서 주인공 ‘봉수’는 쾌락원칙의 경계를 넘어 충동적인 향락의 주체 자리에 서게 된다. 이 충동적 향락의 주체인 ‘봉수’의 폭력적 ‘파괴 충동’은 궁극적인 차원에서 죽음을 통해 무기체의 상태로 되돌아감으로써 영원한 안정과 평화를 얻고자하는 작가의 무의식의 표현으로 볼 수 있다. This is an essay that attempts to unveil the multilayered meanings and new possibilities of interpretation of Kim Dong-ri’s literature, focusing on the “The Cry of Magpies”(Contemporary Literature, 1966.10). “The Cry of Magpies” carries with it a special meaning and a problematic status in the context of Kim’s literary world. It relates how the death drive of the main character, Bong-su, eventually leads to an act of murder. Kim argues that the story’s theme is the expression of Hwaom Idealism, a Buddhist idea related to causationism. However, based on reading in the common sense, it seems that the intentions of the author fail to be achieved.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author’s intentions and the content of “The Cry of Magpies” brings to attention the fact that a misconception or illusion may be at work in the author’s thinking. the author’s stubbornness, which derives from this type of misconception, could be seen as an expression of the subconscious and a sort of desire that dominates Kim’s inner world. In terms of structure, “The Cry of Magpies” has a double-double narrative or frame story; that is, it not only consists of an external story and an internal story, but the internal story also has another frame story within. The use of this complex story structure may be seen as an irruption of the author’s suppressed subconscious. The significance of “The Cry of Magpies” comes from the fact that it is an expression of the author’s childhood experiences and psychological trauma. In the story, the psychological trauma of the author manifests itself through a maternal superego and a death drive. The maternal superego, which substitutes for a father’s authority, is a distracting factor that gets in the way of a normal life for Bong-su; it is also a source of obscene pleasure. In the very last scene, Bong-su is reborn as a subject of impulse that goes beyond the pleasure principle, through the act of murder. The nature of the destructive violence shown by this impulsive character could be seen as an inverted expression of the author’s desire to acquire eternal stability and peace by returning to a state of nothingness in death.
남경아 ( Kyung Ah Nam ) 한국동서철학회 2015 동서철학연구 Vol.77 No.-
Jouissance is the one of the most creative and attention-getting concept in the theory of Lacan (Jacques Lacan, 1901~1981). However, it is not easy for us to find the detailed discussion for its concept itself in both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Instead, it is not hard for us to meet the references regarding the Jouissance; most of them refer it as the one which is ‘hard to define’. I regard the Jouissance as the concept associated with matter of the pleasure, and I also grasp it as the one of the essential concept for the descriptions related to the neurotic symptoms in the psychoanalytic treatment. In this contex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of the Jouissance. I expect this study could also explain how our mental pleasure is produced in the structural asp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