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지구과학 내용 구성 방안 탐색 -천문 영역을 중심으로-

        김현종 ( Hyunjong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6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지구과학 내용 영역과 핵심개념의 변화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을 조사하고, 국내외 지구과학과 교육과정의 천문 영역 학습 요소 비교·분석을 통해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천문 영역 내용구성(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전환하면서 지구과학 교과목에 도입된 내용 영역 및 핵심개념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4명의 지구과학교육 전문가들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미국, 캐나다 British Columbia(BC)주, 일본, 국제바칼로레아 디플로마 프로그램(IBDP) 교육과정에 제시된 천문 영역학습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지구과학 내용 영역중 학생들이 가장 큰 매력을 느끼는 내용은 천문 영역으로 나타났다. 천문 관련 핵심개념에 가장 큰 흥미를 느낀다고 응답한 고등학생들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천체관측 관련 내용이 삭제된 것에 대해 많은 아쉬움을 나타내었다. 국내외 교육과정을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와 IBDP 교육과정이 가장 많은 양의 천문 영역 학습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캐나다 BC주와 IBDP의 경우, 천문 영역을 독립된 과목으로 개설하며, 우리나라와 가장 유사한 일본의 교육과정은 지구과학 과목에서 천문 영역의 내용을 다루고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천문교육강화를 위해 학생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학습 요소와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는 천문 관련 내용으로 지구과학 일반 선택과목을 구성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문 영역은 다양한 학문의 배경지식이 요구되며 교과 연계 학습이 필요하므로 일반적인 천문학의 지식체계를 따라 진로 선택과목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천문교육을 통한 과학소양교육 실현에 초점을 두고 2022 개정 교육과정 지구과학 선택과목의 천문 영역 내용 구성(안)을 제안하였다.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composition of contents on the area of astronomy for high school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based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changes in Earth Science core concepts over the curriculum revisions, and analysis of learning elements in the area of astronomy for domestic and foreign Earth Science curriculum. Four Earth Science education experts compared and analyzed the astronomy contents presented in Korea, the US, British Columbia (BC) in Canada, Japan, and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Diploma Program (IBDP) curriculum.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high school stu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ere most interested in the core concepts of astronomy expressed a lot of regret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astronomical observation were eliminated fro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of comparing domestic and foreign curriculum, Korea and IBDP curriculum dealt with the largest amount of learning elements in astronomy. In the case of BC in Canada and IBDP, astronomy was offered as an independent subject, and the curriculums of Japan and Korea dealt with astronomy in the Earth Science subject.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general elective courses in Earth Science with astronomy-related contents with high discriminating power in order to strengthen astronomy education. Since astronomy requires background knowledge from various disciplines and inter-disciplinary learning was required,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career-related elective courses in Earth Science so that astronomy can be dealt with according to the knowledge structure of general Astronom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ays to organize astronomy contents for Earth Science elective courses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천문과학관 프로그램에 반영된 과학교육과정의 분석

        윤광아,최상인,정구송,이호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9 科學敎育硏究誌 Vol.33 No.1

        이 연구는 과학 교육과정 중 천문관련 단원의 내용과 천문과학관의 전시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천문과학관이 교육과정의 내용과 목표를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국내 천문과학관 5곳으로 천문과학관 프로그램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 내용을 평가하고 프로그램 형태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 때 사용된 평가도구는 교육부(1997)에서 고시한 과학교육과정 내용과 교육과정 평가원(2000)에서 제시한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을 근거로 고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천문과학관에서는 과학 교육과정 내용 중 천문관련 학습요소를 대부분 반영하고 있었다. 이는 천문과학관이 비형식 교육 기관으로서 학교 과학 교육과 비교적 잘 연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교육과정 반영비율은 5학년이 가장 높으며, 전시 형태는 패널 형태가 가장 많았다. 평가점수는 반영비율에 비하여 낮았는데 이는 향후 천문과학관의 프로그램을 선정함에 있어 과학 교육과정을 더 충실히 반영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uch the programs of astronomy museums reflect the contents and objectives of current science curriculums. To attain the aim,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museum programs and science curriculum have been made. Five domestic astronomy museums have been selected. The contents and forms of their programs have been studied and appreciated by assessment instruments for astronomy museum programs. The assessment instruments were devised in consideration of both the science curriculum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1997) and the achievement and evaluation criteria of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stronomy museums reflect most of the learning elements of science curricula concerning astronom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stronomy museum as an informal education institute is comparatively well connected to science education. The 5th grade science curriculum reflected mostly on the museum programs, and too many of the astronomy museum programs were in forms of panel exhibition. Science curricula fared well but they failed to reflect the curricular objectives, which resulted m relatively low assessment scores. It is sugges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a foundation and act as guidance for selecting and developing astronomy museum programs which include the contents of the science curriculums more substantially.

      • KCI등재

        최근 천문학 연구 키워드와 천체 분야 교육과정 내용 요소 비교 분석

        신현정,권우진,가석현 한국과학교육학회 202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2 No.2

        힉스입자 발견, 블랙홀 이미지 촬영, 외계행성 탐사, 깊은 우주탐사, 중력파 관측 등 최근 천문학은 매우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학생들도 상대적으로 흥미가 높은 분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 천문학 연구 저널에서 높은 빈도로 등장한 키워드들과 중고등학교과학 교육과정에 포함된 천문학 내용 요소를 7개 영역별로 비교하여 천문학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우선 선정된 4개 저널-ApJ, ApJL, A&A, MNRAS-에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게재된 모든 논문의 키워드를 R 패키지로 수집하여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교육과정 내용 요소는 7학년부터 12학년 학생이 배우는 과목중 천문학 내용 요소가 포함된 6개 과목(과학, 통합과학, 지구과학I, 지구과학II, 물리II, 융합과학)의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내용 체계표, 성취기준, 성취기준해설을 현직 교사들이 코딩한 결과를 종합하여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문학에서꾸준하게 많이 등장하는 키워드는 ‘galaxies: formation, galaxies: active, star: formation, accretion, accretion discs, method: numerical’ 이다. 둘째, 천문학 교육과정은 모든 학생이 배우는 공통 과학 과목 안에서 ‘High Energy Astrophysical Phenomena’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었으나 키워드 수준에서 보면 과목별, 학년별 내용 요소 배치와 새롭게 도입할 만한 주제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과목의 근간을 이루는 과학연구 분야와교육과정을 비교한 탐색적 연구로서, 연구 결과는 향후 천문학 교육과정 개정에 시사점을 줄 수 있는 기초 연구가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천문학적 사고를 반영한 천문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과학관 천체 투영관 수업 사례

        최준태,이기영,박재용 한국지구과학회 2019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천문학적 사고를 반영한 과학관 천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천문학적 사고 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문헌 연구를 통해 천문학적 사고의 구성 요소를 선정한 후 사고력 학습 발달 모형을 응용하여 시연과 관찰, 문제 제시와 사고 활동, 지원과 모둠 토의, 시연과 평가의 네 단계로 구성된 천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사후 검사에 대해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을 이용한 교수·학습 활동의 사전과 사후에 학생들의 수준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천문학적 사고를 반영한 과학관 천문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천문학적 사고를 증진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이 프로그램은 천문 영역의 공간적 사고와 관련하여 관측된 천문 현상을 우주에서 보는 관점에서 재구성하여 모델링하는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고, 시스템 사고와 관련하여 천문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시스템을 조직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는 학생들의 천문학적 사고를 발달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stronomy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astronomical thinking to be used at science museu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astronomical thinking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After selecting the components of astronomical thinking through literature studies, we developed an astronomy education program consisting of four stages: demonstration and observation, and question and thinking, support and group discussion, demonstration and assessmen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e conducted a covariance analysis on the pre- and post-tes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o examine the level of students’ thinking before and after using the program in teaching and learning.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stronomy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astronomical thinking was effective in promoting students’ astronomical thinking ability. In particular, this program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ability of modeling by reconstructing the observed astronomical phenomenon from the viewpoint of the universe with respect to spatial thinking in the astronomy domain. It was also effective to improve the ability of organizing the system by gras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constituting the astronomical system in relation to the system thinking in the astronomy domai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suggesting a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to develop students’ astronomical thinking.

      • KCI등재

        천체투영관 수업이 학생들의 천문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김완수 ( Wansoo Kim ),심현진 ( Hyunjin Sh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科學敎育硏究誌 Vol.42 No.1

        천문학은 학생들이 쉽게 흥미를 느끼는 분야로 과학에 대한 호기심을 토대로 과학적 핵심역량 함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제한된 공간인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학교 교육을 통해서는 천문학의 핵심 개념 이해에 필요한 공간적 사고를 발달시키기 어렵다. 주로 과학관에 위치하며 체험, 관람시설의 성격을 지닌 천체투영관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천문학 개념을 교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천체투영관에서 진행되는 비형식 교육은 정규 교육과정을 보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체투영관을 이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초등, 중등, 고등학생에게 적용하여 천체투영관이 천문 개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국립대구과학관 1박 2일 캠프에 참가하여 천문 교육 프로그램을 수료한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총 연구 기간은 8개월, 연구 대상 인원은 761명이다. 기존 캠프에서는 교실에서 방위, 별자리, 지구의 자전 등에 관한 수업을 진행하였는데 이와 동일한 내용을 천체투영관 수업용으로 개발하였으며, 수업 전과 후에 개념 이해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문항을 제작하였다. 이후 실제로 교실 수업 혹은 천체투영관 수업을 진행하여 수업의 효과를 비교하는 이질통제집단 전후검사 설계에 기초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천체투영관 수업은 교실 수업에 비해 방위, 지구의 자전, 별자리 개념 이해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성별이나 학생들의 사전 천문학 지식 정도 등과 같은 메타 요인과 무관하게 천체투영관 수업은 개념 이해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고등학생에게 천체투영관 수업은 교실 수업 이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야간 관측 활동과 동일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야간 관측이 불가능한 환경에서 천체투영관은 이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종합하면 천체투영관은 학생들의 천문 개념 이해에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교육 수단이라 할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Astronomy is the subject that can easily draw students’ interest in studying science, therefo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scientific core competence.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velop spatial thinking that is required in understanding astronomical concepts through the classroom lessons. Planetarium, along with the science museum,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in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 where astronomical concepts can be taught beyond time and space constraints.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astronomy education program that is operated in the planetarium and applied the program to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lanetarium lesson compared to the classroom lesson. The duration of this research was about 8 months, and the number of the students involved is 761, including participants of the 1 night and 2 days camps in the Daegu National Science Museum. The newly developed planetarium lesson is comparable to the previous classroom lesson of which topics are cardinal points, constellation, and the rotation of the earth. Test items were developed to evaluate the understanding of the astronomical concepts. The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pre- and post-test with non-equivalent groups design comparing classroom and planetarium less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lanetarium lesson is more effective for understanding astronomical concepts such as the cardinal points, earth's rotation, and the constellation than classroom lesson. Second, planetarium has a positive effect irrespective of gender and previous knowledge. Third, planetarium for high school students has the same effect as additional observation activities followed by the classroom instruction. Therefore, planetarium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effective tool when night observation is not available. In summary, planetarium is an effective tool that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the astronomical concepts.

      • KCI등재

        한국천문연구원 ‘스타-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 과학문화 소외지역을 중심으로

        설아침,김형범,한신,김용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0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문화 소외지역 초등학생들의 천문우주에 관한 동기유발과 천문우주 과학개념의 올 바른 형성을 위해 STEAM 프로그램 및 PEST 방법을 적용한 ‘스타-카’ 운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5명의 전문가가 참 여하여 워크숍을 통해 프로그램 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이동천문대 프로그램 초안을 개발한 후, 1회의 시범 적 용을 통해 프로그램을 최종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하였 으며, 과학문화 소외지역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 하는 프로그램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이동천문대 프로그램은 초등 전 연령 이 함께 할 수 있는 천문우주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 는 프로그램으로 개선하였다. 둘째, 이 연구에서 개발 한 프로그램은 상황제시 1차시, 감성적 체험 5차시, 창 의적 설계 5차시의 총 11차시로 구성하였다. 셋째,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만족도 분석 결과는 대체 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볼 때, 이동천문대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핵심 역 량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tar-car’ operational program combining with the STEAM program and the PEST method for motiva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belonged to less favored areas in terms of scientific culture to get an interest in astronomy and appropriately forming scientific concepts of Astronomy and Space and, subsequently,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r the purposes to be feasible, 5 exper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set a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program through a workshop, developed a draft with respect to a mobile astronomical observatory program of the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and then complete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rough one trial application. The program which was developed in the study applied the STEAM program and targete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lived in isolated regions of the scientific cultu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mobile astronomical observatory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improved as a program which stimulated the curios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ll grades towards the Astronomy and Space. Second, The program developed in the study consisted of 11 periods in total; one period was for the presentation of the situation, five periods for emotional experience, the other five periods for creative design.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tudents’ satisfaction were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general. Judging from the aforementioned results, the mobile astronomical observatory program is expected to enhance learners’ core competencies.

      • KCI등재

        淸末의 同文館 天文·算學館 증설 논쟁 : 정통과 非정통의 충돌 正統和非正統的충突

        장의식 대구사학회 2005 대구사학 Vol.78 No.-

        同治5年11月(1866年12月)因總理衙門要在同文館里增設天文算學館而引起的論爭常被指摘爲中西方文化沖突的最佳例子. 對天算館設立的抵抗戱劇性地展現了反對接受西學的中國人的保守主義, 作爲一個好例子, 也展示了中國爲什마不能能動地對處近代世界的重要問題的解答. 總理衙門的提案意味着西學觀念從制造槍포的技術擴展到以數學爲代表的自然科學. 영外, 還意味着承認數學, 自然科學作爲技術的基굴是富國强兵的有用手段. 天文館的學生和從前同文館學生資格겁爲不同, 是承認以擧人貢生及途出身到五品以下京外各官爲對象的西歐的軍事技術根据一定的原理, 由非純粹的匠人而是知識層參與的專門的學問的過程. 對此計화的初期批判論的核心是把天文算學貶低爲術學, 學這個非儒者之爲, 把敎習洋人的事情看做是師法洋人的差恥之事. 隨後, 此論爭학實作中西文化的沖突開始的一大側面. 由此總理衙門也直接面對這樣的批刺, 西學實際上在中國已有了開端, 就用所謂的“西學中原說”來對應. 此倫理不僅是爲了受容西學的“知的僞裝”, 同時也是鄙視或者忽視中國也存在這충學問的事資的“知的誤解”. 是因爲天文數學所擁有的中國博統學問世界的非正統性忽待. 使對總理衙門提案初期內燃的批判論公開化的背景是在章程制定過程中擴大富初學生選拔計화, 以擧人貢生和此項人員及翰輪林院庶吉士, 編修, 檢討餘進士出身五品以下京外各官爲對象. 此後, 雖然公開性的批判論被提出, 但論爭的焦点却有所不同. 論爭的焦点漸次轉向科擧出身的士人或是官員們認爲有需要學習像天文算學的學問. 在這一過程中儒者也應理所當然근得天文算學的上諭內容是不再把這種學問看成西學的觀點的重大修正. 這충觀點也曾是是西學出現在中國的修正說的一충說法. 當然, 拜洋人爲師的敎習主體問題一直存在, 但問題的核心聚集了這些學問是否只能由科擧出身士人或官員門所爲的間題. 現在, 不是天文算學是不是西學的問題而是正統還是非正統的問題成爲核心. 于是, 批判論也轉變爲能否容忍一般人學習這一學問. 因此, 這一論爭在數學방佛爲西學的象征狀況下, 中西文化沖突的性質倂沒有完全消失, 而是轉變成正統和非正統的沖突. 這충正統和非正統的沖突雖然都承認自强的必要性, 却反映了進取方向不同的路線. 批判論者們展現的自强是脫離儒敎正統的方向選擇過于追求功利, 非正統方向. 所以, 論爭也可謂是想克服初期軍事技術中心的初步性水准的有關改革方向的最初反洋務的批判活動. 所以, 這一論爭的背景强調同禮儀人心一樣的儒敎的德目, 批判依据非正統方法的功利改革的淸議言論活躍起來. 總理衙門方面也感知到了這一点, 說這是"聚黨私議', 倂加以批判, 但實際上他們他想糾集洋務勢力將批判論平息下去. 西太后雖然偏초政治對手恭親王, 向批判論的先鋒倭仁施加侮辱, 但那倂不意味倭仁而是意味着贊同恭親王的策화和倫理. 有關對倭仁的侮辱是在這一論爭之前倭仁論說皇帝的敎育政策時, 西太后本身有被倭仁批評的背景. 卽使對政治對手恭親王的權威有所損傷的批判與論的先鋒倭仁一派發現了牽制恭親王的潛在力量, 但也想학認不管是都不能非難他們. 熊而, 西太后不只是對倭仁進行侮辱, 對恭親王也施加了一定的制約. 雖然?雜的政治算計鋪天蓋地, 却不能无視士大夫公論認爲恭親王的策화是非正統的, 那些與不得不强調"正統"的西太后的所謂攝政的位置不能說沒有關系. 因此, 就不能忽視此論爭所擁有的政治背景. 然而, 論爭本身雖然基本上是從中西文化沖突中發端的, 却漸次被所謂正統非正統的沖突側面占前, 而且, 那還是-個常重要的側面. 此論爭展示了在中國近代史上作爲中西文化沖突所看到的衆多事案, 實際上是中國現實社會的正統和非正統的沖突.

      • KCI등재

        달을 주제로한 천문교육 연구동향 분석

        조훈,손정주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8 현장과학교육 Vol.12 No.4

        In this study, we have reviewed the trends of 54 articles from domestic academic journals and the changes in past national curriculums to 2015 revised curriculum related astronomical education for the Moon from the 1990 to the present. It was categorized into research subjects (elementary, middle, elementary and secondary), research topics (moon movement, phase change, etc.), Research contents (concept,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hen checked the correlation between journal articles and national curriculums. In general, the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was mainly conducted. In the content of the research, concept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areas were mostly existed. The study method was varied according to the time.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dealing with the secondary educa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make mutual supplement with the curriculum by more actively studying various subjects and research subjects. 본 연구에서는 1990년부터 현재까지의 달에 대한 국내 천문교육 학술지 논문 54편과 7차 교육과정에서 2015개정 교육과정에의 변화 동향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초등,중등,초·중등), 연구 주제(달의 운동, 위상 변화, 기타), 연구 내용(개념, 교수학습활동, 정의적, 기타)으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고, 학술지 논문과 교육과정의 관련성을 확인했다. 전반적으로 초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 내용측면에서 개념과 교수학습 활동 영역이 대부분이었고 근래에 정의적 영역에 대한 연구가 늘어나고 있었다. 연구 방법적으로는 시기에 따라 다양화된 경향이 보였다. 하지만 초·중등의 교육을 종적으로 다룬 연구는 거의 없었다. 앞으로, 연구 대상, 연구 주제, 연구 개념에 대한 종적 연구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져 교육과정과의 상호 보완이 이루어질 필요성을 확인했다.

      • KCI등재

        과학탐구활동을 위한 천문 관측 자료의 실시간 전송 및 영상 구현 실험 방법 개발

        김순욱 한국지구과학회 2012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3 No.2

        Previous Earth Science textbooks have mostly lacked the latest astronomical phenomena frequently being reported in mass media such as popular science magazines. One of the main directions in the revision of the 2009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is to actively include those phenomena. Furthermore, despite a close link between astronomy and physics, the concept of modern physics has not been actively introduced in Earth Science textbooks and at the same time the linkage of physics to astronomy has rarely been studies in physics textbooks. Therefore, the concept of integration among different fields in science is emphasized in the new National Curriculum. Transient phenomena in the high energy astrophysical objects are examples that reflect such 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ransferring a real-time data and making imaging of astronomical observations using e-Science. As a first step, we performed the first experiment for a large data transfer of astronomical observ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using KOREN, a National Research and Education Test Network. We introduce actively on-going fields of e-Science in observational activities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and their close interrelationship with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and public outreach activities. We discuss our experiment in the scientific and educational aspects to the primitive e-Science activity in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and, in turn, provide a prospective view for its application to the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and public outreach activities in the upcoming commercial Gbps-level internet environments. 종래의 지구과학 교과서에서는 대중 과학잡지를 비롯한 각종 언론 매체에서 자주 다루는 최신 천문 현상들에 대한 내용이 매우 부실하였다.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내용들을 적극 수용하자는 것이 주요 개정 방향 중 하나이다. 추가로, 천문학과 물리학의 깊은 연관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지구과학 교과에서는 현대 물리학의 개념, 물리 교과에서는 천문학과의 연관성에 대한 내용이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과학의 융합 개념을 강조하고 있다. 위의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하는 분야들 중 하나로서 고에너지 천체의 격변광 현상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e-Science를 이용한 천체 관측의 실시간 자료 전송 및 영상화를 소개하였다. 그 첫 단계의 실험으로서 우리는 국가 연구 교육 시험망의 하나인 KOREN을 이용한 국내 최초의 한·일간 천문 관측 자료의 대용량 자료 전송 실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 관측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는 세계 각국의 e-Science 분야들을 소개하고, 과학탐구활동 및 과학 대중화 활동과 어떻게 연결되어 진행되는지 소개하였다. 아직 걸음마 단계인 국내 천문 분야의 e-Science에 있어서 우리의 실험이 가지는 과학적 및 교육적 의미를 짚어보고, 머지않아 상용화될 Gbps급 인터넷 환경에 있어서 이와 같은 실험의 과학탐구활동 및 과학 대중화 활동에 있어서의 활용을 전망해 보았다.

      • KCI등재

        사회과학분야 : 가족 참여형 교과연계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 "춤추는 별자리" 체험 사례 연구

        홍혜전 ( Hye Jeon Hong ) 한국무용과학회 2015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2 No.3

        홍댄스컴퍼니 창의움직임교육 연구소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홍댄스컴퍼니가 진행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의 身”- 예술을 통해 과학의 신이 되다!> ‘춤추는 별자리’는 과학교과와 연계하여 천문학의 지식을 무용예술교육으로 접근한 교과연계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과 부모가 함께 참여하는 가족 참여형 교과연계 통합예술교육프로그램 ‘춤추는 별자리’에 참여한 참여자들이 느끼는 다양한 체험 요인들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부모와 초등학교 1, 2학년 아동으로, 부모 10인과 아동 10인, 총 20인을 대상으로 참여 경험을 분석하였다. ‘춤추는 별자리’는 2014년 8월 23일부터 12월 6일까지 15주간(총 15차시)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1시까지 180분간 2명의 주강사와 2명의 보조강사가 함께 진행하였다. 교육방법은 전문무용수의 공연을 통한 천문학의 원리 이해와 별자리 신화 습득, 창의움직임 습득, 창작 및 발표를 통한 예술활동 순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춤추는 별자리’에 참여한 참여자들이 느끼는 체험요인은 무용활동 체험, 사회적 체험, 지적 체험, 정서적 체험으로 범주화되었으며, 각 요인에 따라 창의성, 움직임 표상능력, 학습동기, 연상작용능력, 협동성, 긍정적 대인관계, 자신감과 자진성, 그리고 자기조절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부모와 자녀들 간의 신체접촉이 가족구성원의 응집력을 공고히 하였고, 창의움직임을 통해 천문학의 원리와 신화를 이해, 습득하고 창작활동을 통한 예술체험을 통해 예술적 소양 함양은 물론 가족공동체로의 삶과 사랑의 가치를 확인하는 시간이었다. The <“Body of Art”-becoming a god of science through art!> ‘dancing constellation’ was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which had approached to astronomical knowledges through dance art education being related to science subject, and which had been developed by Hong dance company creative movement education laboratory and pursued by Hong dance company. Thus, this study aimed to present the various experience factors of the participating children in ‘dancing constellation’, which was the family involvement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related to school subjects with the participation of school-aged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 study objects were total 20 participants with 10 children of 1st ~ 2nd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their 10 parents. For this study, the ‘dancing constellation’ program had been practiced during 15 weeks(15 times) from 23, Aug. to 6, Dec. in 2014, at every saturday during 180 minutes at 10:00 a.m. - 1:00 p.m. by 2 main instructors and 2 assistants. The program was consisted with understanding the astronomical principles through the performance of professional dancers, learning the myths of constellations, learning the creative movement, and art activities through creations. As the result, the experience factors of the participating children in ‘dancing constellation’ could be categorized as dancing activity experience, social experience, intellectual experience, and emotional experience, and, it was found that their creativity, movement symbolizing ability, learning motivation, association ability, cooperativity, positive relationship, self-confidence, voluntariness, and self-control ability had been improved by those factors. And the body contact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had strengthened the family cohesion, and, the program was the chance to understand and learn the astronomical principles and myths through creative movement, to develop artistic refinement through creative art experience, and to confirm the values of their life and love as family commun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