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권역 외상 중환자실 간호사의 교육 현황, 교육 요구 및 간호역량 관련 융합 연구

        김경미,김종경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권역 외상 중환자실 간호사의 교육 현황 , 교육 요구 및 간호사 역량을 파악 하는데 있다. 자료 수집은 5개 권역 외상 중환자 치료센터에 근무하는 123명 간호사로부터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조사 설문지는 외 상 중환자실 간호사의 교육 현황, 교육 요구 및 간호사의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외상 중환자 간호 교육 참여는 78.9%이었다. 외상 중환자 간호 교육 중요도 결과 ‘태도’는 3.64, ‘지식’은 3.52, ‘기술’은 3.47로 나타 났다. 교육 요구도 결과 ‘지식’은 3.18, ‘태도’는 3.05, ‘기술’은 2.97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역량 조사 결과 ‘윤리적 역량’ 은 3.62, ‘심미적 역량’은 3.53, ‘인격적 역량’은 3.39, ‘과학적 역량’은 3.37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현시점에 맞고 적용 가능한 외상 간호교육의 표준화된 교육과정 및 실습위주의 교육개발에 초점을 두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외상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성과 간호역량증진을 위한 전략모색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status, e,ducation needs and competencies of nurses in the regional trauma intensive care unit.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123 nurses from 5 hospitals in the regional intensive Care Unit trauma . Data collection consisted of the education importance and needs of the nurs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nurses and the competence of nurses. The analysis was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78.9% had experience in trauma-intensive care nursing. In the case of the importance of trauma education, ‘attitud’e was 3.64, followed by ‘knowledge’ was 3.52 and ‘skill’ was 3.47. In the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trauma service, ‘knowledge’ was highest at 3.18, ‘attitude’ was 3.05, and ‘skill’ was 2.97. The nurses’ ethical competence was the highest with 3.62, followed by aesthetic competence was 3.53, personal competence was 3.39, and scientific competence was 3.37.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standardized curriculum and practice-oriented education development of trauma nursing education at the present time and applicabl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eek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and nursing competence of the trauma intensive care unit nurse.

      • KCI등재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

        김원정,강지숙 한국의료윤리학회 2015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between intensive care unit nurses and patients’ family member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investigation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at was given to 91 ICU nurses and 76 family members of ICU patients in four university hospitals in South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June, 2014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χ2 test, and Fisher’s exact test using SPSS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on the understanding of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nurses and patients’ family members; and 2) on the understanding of CP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nurses and patients’ family members regarding the following items: “the necessity of DNR,” “reason for the necessity of DNR,” “time to explain DNR,” “obligation to explain DNR for patients,” “performance of DNR for oneself,” and “the necessity for documented guidelines on DN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for educational programs, especially for patients’ family members, regarding end-of-life care.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간호사로서 환자와보호자에게 연명치료와 관련된 상황에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보호자로서 최선의 의사결정을 할수 있도록 연명치료중단 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동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J도와 K광역시 소재 4개 대학병원 중환자실 간호사91명, 중환자실 보호자76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4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이였고 수집된 자료는SPSS 20.0 program을 통해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χ2-test, fisher’s exact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인식에서 중환자실 간호사는 ‘심호흡마비가 왔을 때 심폐소생술을시행하지 않을 수 있다’, ‘혈액투석을 중단할 수 있다.’, ‘수혈을 중단할 수 있다.’ 순으로 긍정 응답이 높은 반면 중환자실 보호자의 경우 ‘산소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호흡기를 제거할 수 있다.’, ‘혈액투석을 중단할 수 있다.’ 순으로 긍정 응답이 높았다. 중환자실 간호사와 보호자의 연명치료중단 중 심폐소생술금지에 대한 인식은 ‘심폐소생술금지 필요성’(χ2=20.327, p=.000), ‘심폐소생술금지 필요이유’(χ2=9.755, p=.007), ‘심폐소생술금지 결정자’(χ2=6.366, p=.042), ‘심폐소생술금지 설명시기’ (χ2=14.790, p=.004), ‘심폐소생술금지 설명의무(본인)’(χ2=17.907, p=.000), ‘심폐소생술금지 시행(본인)’(χ2=9.498, p=.009), ‘문서화된 심폐소생술금지 지침 필요’(χ2=7.202, p=.027) 면에 간호사와 보호자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에 임상현장에서 간호사는 보호자의 상담자, 지지자로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며, 이에 보호자와의 충분한 의사소통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간호사와 보호자를 위한 연명치료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중환자실 면회규정 실태 및 간호사의 면회시간에 대한 태도

        김미라,강희선,김경희,이원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2

        본 연구는 중환자실의 면회규정 실태 및 중환자실 간호사의 면회시간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중환자실 면회규정 실태는 70개 의료기관에 직접 전화하여 조사하였고, 중환자실 간호사의 면회시간에 대한 태도는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총 36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중환자실의 면회규정 실태 조사결과 총 70개 기관 중 중환자실 방문은 주로 오전과 오후 각 1회, 총 2회에 이루어지고 있었고, 일일 면회시간은 총 30분~120분 분포를 보였으며 일일 총 1시간 내외이었다. 면회는 성인과 주로 13세 이상의 아동에게 허용 되고 있었다. 중환자실 면회시간을 개방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유익성(2.42점)보다 장애성(3.12점)에 대한 태도 점수가 더 높았다. 중환자실 면회시간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면회시간 개방에 대해 간호사의 보다 긍정적인 태도로의 변화뿐만 아니라 중환자실 면회시간을 늘리려는 행정적 지원과 노력 및 장애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관의 적극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isitation regulation of intensive care units (ICU) and to explore the attitudes towards visitation for ICU among ICU nurse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rvey. Data on ICU visitation regulation was obtained from 27 secondary and 43 tertiary medical centers in Korea and data on nurses' attitudes were collected from 360 ICU nurses from September1, 2009 to October 30, 2009. Visiting hours a day ranged from 30 to 120 minutes a day and most medical centers were limiting visitation about 1 hour per day. Visiting was allowed primarily to adults and children over the age of 13. Nurses' attitudes toward increasing ICU visitation hours were not very positive. The score of nurses' perceived barriers was higher than that of perceived benefits. Efforts and support to increase the visitation hours and to change the nurses' attitudes toward visitation are needed.

      • KCI등재

        중환자실 간호사의 연명의료 태도, 간호스트레스 및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인식

        엄정경(Um, jung-kyung),서길희(Suh, gil-hee),박선아(Park, sunah) 한국생명윤리학회 2018 생명윤리 Vol.19 No.1

        본 연구는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연명의료 태도, 연명의료 간호스트레스 및 사전연명의 료의향서 인식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중환자실 간호사 127명을 대상으로 서술적 조사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간호사의 연명의료 태도는 3.23점(5점 만점)으로 연명의료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에 가까웠으며, 연명의료 간호스트레스는 3.74점(5점 만점)으로 중간수준 이상이었다. 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정도는 자신입장인 경우 2.45점(4점 만점), 가족의 입장인 경우 2.63점(4점 만점)으로 간호사 자신이 아닌 가족의 입장에서 사전연명의료의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5.27, <.001). 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인식과 연명의료 간호스트레스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r=-.218, =.014) 사전연명의료의 향이 낮을수록 간호스트레스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인식과 간호스트레스에 대한 이해를 제공해주며, 이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를 위한 연명의료관련 지침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또한 간호사의 연명의료 간호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중재개발을 위해 연명의료 간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and stres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among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used to gather self-reported data from 127 ICU nurses from general hospital. Results: The mean score of the attitude on life-sustained treatment was 3.23 and stress was 3.74. The mean scores of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were 2.45 from the viewpoint of nurses, while 2.63 from the viewpoint as family members of nurses. The advanced directives awareness of nurse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tress on life-sustaining treatment (r=-.218, =.014).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nursing education program is necessary in order to help the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play a role as a mediator when they sign the advanced directives. Moreover, nursing intervention needs to be developed to analysis the predisposing factors for stress on life-sustained treat meant and reduce the stress.

      • KCI등재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

        이숙현,이영희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4

        This study was to identify nurses’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in intensive care units (ICU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22 ICU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in G city by using the Korean patient culture survey instrument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measurement tool.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0.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with post-hoc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the ICU nurses’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was the mean of 3.55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were the mean of 3.81 out of the total score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 according to gender (t=2.09, p=.039) and ICU experiences (F=2.71, p=.048) and in their competencies according to position (t=-2.13, p=.035) and working experience in safety management (t=2.45, p=.016).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r=.662) between total scores of the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of nurses. Results suggest that systemic efforts to promote nurses’ perception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for patient safety in the ICU and to create organizational culture is required. 안전사고 발생 시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중환자실에서의 환자안전문화의 형성과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은 환자안전을 위하여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사연구로 G광역시 소재 상급종합병원 성인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122명을 대상으로 한국형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와 환자안전역량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을 조사하고, 환자안전문화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과의 상관성을 파악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한 결과,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3.55점/5점, 환전안전역량은 3.81점/5점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성별(t=2.09, p=.039)과 중환자실 근무경력(F=2.71, p=.048)에 따라, 환자안전역량은 직위(t=-2.13, p=.035)와 안전업무 담당경험(t=2.45, p=.016)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중환자실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총점과 환자안전역량 총점은 양의 상관관계(r=.662)를 나타냈다. 중환자실에서의 환자안전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조직문화의 형성과 환자안전을 우선순위에 두는 의식의 전환, 안전 관련 교육 등을 통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 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환자실 간호사의 심리적 트라우마 체험 연구

        고미숙(MI suk Ko),박경숙(Kyung Sook Park)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7

        본 연구는 현상학적 접근을 통하여 중환자실 간호사가 체험하는 심리적 트라우마의 본질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이해하고자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으로 시도되었다.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시내 4개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목적적 표본추출(purposivesampling)에 의하여 선정된 12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2014년 11월부터 2015년 9월까지 비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한 심층면담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된 면담 자료는 연구자가 직접 필사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중환자실 간호사의 외상 체험의 본질적 주제는‘억눌린 억울함이 표출됨’, ‘내재된 두려움으로 위축됨’, ‘체념한 상태에서 억압함’, ‘자기반추를 통해 수용함’으로 나타났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심리적 트라우마는 개인과 상황에 따라 매우 다양한 양상으로 체험되어지므로 이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중환자실 간호사를 위한 심리적 외상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done to understand the meanings and nature of experiences of the psychological trauma of nurses. working in ICU. A method of research adapted wa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 of van Manen. Participants were 12 nurses who were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in 4 intensive ICUs in Seoul.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014 to September 2015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four essential themes demonstrated by participants from this study were 1) expression of a suppressed sense of injustice 2) Shrink by inherent fears 3) Oppression in a state of resignation and 4) acceptance through self-reflection. The psychological trauma of nurses in ICU nurses is experienced in a variety of way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and the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preventive psychological trauma program for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of ICU nurses.

      • KCI등재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의미,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및 생명존중의지에 관한 연구

        강정화,한숙정,Kang, Jeong Hwa,Han, Suk Ju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3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6 No.2

        목적: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의미,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및 생명존중의지에 대해 조사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확립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수도권 소재 10개 종합병원 중환자실 근무 간호사 중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서면동의한 자를 대상으로 2009년 11월부터 2010년 2월까지 3개월간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23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Inumiya(2002)가 개발한 사생관척도 중 죽음의미, 죽음불안, 죽음관여도, 생명존중의 4개요인 총 6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ANOVA, Pearson's 상관계수를 확인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죽음의미 이해 정도는 7점 만점에 평균 4.27점이었고, 죽음의 긍정적 의미(평균 4.18점)보다 부정적 의미(평균 4.38점)에 대한 이해가 더 높았다. 죽음불안은 평균 4.43점, 죽음관여도는 평균 4.12점, 생명존중의지는 평균 4.18점이었다. 죽음의미는 죽음불안, 죽음관여도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죽음의 긍정적 의미와 부정적 의미, 생명존중의지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죽음불안은 죽음관여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생명존중의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죽음관여도는 생명존중의지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 중환자실 신규간호사는 경력간호사에 비해 죽음의미 이해 정도가 낮고, 죽음불안과 죽음관여도가 높으며 생명존중의지가 낮으므로, 죽음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정립하여 임종환자 및 가족을 간호하는 역할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We investigated how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understand the meaning of death, death anxiety, death concern and respect for life. Methods: From November 2009 through February 2010, a survey was conducted on 230 nurses working at the ICU of 10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a questionnaire consisted of 67 questions under four categories of the meaning of death, death anxiety, death concern and respect for life. Results: Participants scored 4.27 points on thei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death, 4.43 on death anxiety, 4.12 on death concern and 4.18 on respect for life. Participants' meaning of death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ath anxiety and death concern and positively with respect for life. Participants' positive meaning of death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ath anxiety and death concern and positively with respect for life. Participants' negative meaning of death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ath anxiety and death concern and positively with respect for life. Participants' death anxie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ath concern and negatively with respect for life. Participants' death concer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respect for life. Conclusion: Compared with nurses who served at ICU for a long time, nurses with less ICU experience scored lower on the meaning of death and respect for life, while they presented high anxiety and concern about death. A training course may help nurses develop their view on the meaning of death, which in turn would enhance their performance in caring dying patients.

      • KCI등재
      • KCI등재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 어려움과 임종간호 교육요구 조사: 혼합연구방법

        김현숙,최은경,김태희,윤혜영,김은지,홍진주,홍정아,김건아,김성하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9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22 No.2

        목적: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임종간호 어려움에 대해 확인하고 임종 간호 시 필요한 교육요구도를 확인하기 위한 혼합연구이다. 방법: 대상자는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106명은 설문지를, 19명은 초점집단인터뷰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3 프로그램을 이용, 서술 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Mann- Whitney U test, scheffé test 이용하여 분석, 초점집단인터뷰는 내용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중환자실 간호사는 임종간호에 대해 업무적,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임종간호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에 대한 요구와 일부 요구된 교육 내용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임종간호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간호의 어려움을 감소시키고, 나아가환자 및 보호자가 중환자실에서 평화로운 임종기를 보내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with end-of-life care (EOLC) experienced by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and to investigate their educational needs for EOLC. Methods: Mixed methods were used to survey ICU nurses at a university hospital. Quantitative data (N=106)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samples t-test, ANOVA, Mann-Whitney U test and Scheffé test. Qualitative data (N=19)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and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mean score on the difficulty of EOLC was 3.41 out of 5. The education needs deriv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categorized into four themes: 1) guidelines on professional EOLC, 2) spiritual care, 3) a program to take care of feelings of patients, families and nurses, and 4) activities to think about death.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ICU nurses were experiencing an extreme difficulty in providing EOLC. In addition, a qualitative analysis confirmed that they needed an EOL nursing program. To mitigat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nurses involved in EOLC,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for EOLC tailored to nurses’ needs.

      • KCI등재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 영향요인

        이정미(Jung Mi Lee),양야기(Ya Ki Yang)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2023 사회융합연구 Vol.7 No.6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조직문화, 감염관리 인지도 및 수행도 정도를 확인하고,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9월 10일부터 2023년 10월 6일까지이며, G광역시와 J도 소재 대학병원 중환자실 간호사 2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조직문화는 5.90점(7점 만점), 감염관리 인지도는 4.66점(5점 만점), 감염관리 수행도는 4.82점(5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감염관리 조직문화는 인지도(r=.45, p<.001), 수행도(r=.38,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관리 인지도와 수행도(r=.79, p<.001)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감염관리 인지도(β=.76, p<.001), 근무부서(β=.10, p=.043) 순이었으며, 이 모형의 설명력은 65.0%로 나타났다(F=46.78, p<.001).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인지도를 높이는 교육 프로그램이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부서별로 맞춤형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actice for infections control in intensive care units (ICUs). Participants were 201 registered nurses who worked in ICUs of general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September 10 to October 6, 2023. And were analyzed using the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28.0 program.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actice in ICUs were awareness of infection control (β=.76, p<.001), working unit (NCU) (β=.10, p=.043). The explanation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65.0% (F=46.78, p<.001). Education to enhance awareness on infection control should be established. There is a need to organize and provide specialized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each un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