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패션에 나타난 예술적 조형성의 특징 연구 - 콘스탄틴 멜르니코프의 작품 특성을 중심으로 -

        김이슬 ( Kim Yi Seul ),박신미 ( Park Shin Mi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7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00년대 이후 여성복 컬렉션에 나타난 예술적 조형성의 특징을 고찰하는 것이다. 1920년대 구성주의 건축의 기하학적 요소는 현대 패션에도 나타나는데 특히 21세기 패션의 예술적 조형성의 특징은 콘스탄틴 멜르니코프 작품의 조형적 특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에 연구자는 2000년대 이후 현대 패션에 나타난 조형성을 예술적 조형성이라 정의하고 멜르니코프 작품 분석을 통해 그 특징을 추출 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세기 패션과 조형성은 어떠한 관계를 통해 발전되었는지 분석하고, 현대 패션에 나타난 예술적 조형성을 정의한다. 둘째, 러시아 구성주의 작가들의 작품과 멜르니코프 작품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어떠한 특징이 멜르니코프를 예술적 기하학의 선구자로 만들었는지를 분석한다. 셋째, 멜르니코프 작품의 예술적 조형성의 특성을 추출한다. 넷째, 2000년대 이후 현대 패션에 나타난 예술적 조형성의 특징을 고찰한다. 앞서 제시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고는 2000년 S/S부터 2015년 A/W 파리, 런던, 밀라노, 뉴욕의 레디투웨어(readyto wear) 컬렉션을 분석하여 예술적 조형성의 특징을 가진 59개의 컬렉션을 1차로 추출하고, 이 중 예술적 조형성의 특징을 지닌 395착장을 2차 추출하여 심층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내용 분석이며 본고는 멜르니코프 작품에서 도면과 입면이라는 두 가지 관점을 중심으로 조형적 특성을 추출하고 구조, 디테일, 실루엣을 기준으로 현대 패션디자인의 예술적 조형성의 특징을 고찰한다. 결론적으로 20세기 패션에서 보인 기하학적 조형성은 일차원적 형태와 패턴이 주류를 이루었으나 21세기로 접어들면서 3D 형태의 입체적인 모티브와 평면과 입면을 오가는 기하학적 매스들의 중첩, 배열, 상호 관입을 통해 예술적 조형성의 특징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artistic formativeness in women`s collections after the 2000s. The geometrical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vism` appeared in modern fashion, and the works of Konstantin Mel`nikov, who is a Russian architect in the 20<sup>th</sup> century, have been influential in the expression of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fashion until today. Therefore, this research defines artistic formativeness through the geometrical elements found in the 21<sup>st</sup> century fashion, which trace back to Konstantin Mel`nikov`s works. The questions this research explores are as follows.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and formativeness and how can we define artistic formativeness in modern fashion? What makes Konstantin Mel`nikov a pioneer in artistic formativeness?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artistic formativeness in Konstantin Mel`nikov`s works?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artistic formativeness in fashion after the 2000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paper analyzes Ready-to-wear collections in Paris, London, Milano, New York from 2000 S/S and 2015 A/W. This study utiliz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y providing a review of the previous studies and analyzing the contents. To sum up, while the geometrical formativeness was expressed in the form of one-dimensional shapes and patterns in the 20<sup>th</sup> century fashion, the artistic formativeness, after the 2000s, emerged while adapting three-dimensional shapes through reiteration, rearrangement, inter coursing.

      • KCI등재

        발병 상태의 조형성 분석 및 적용 연구 국립민속박물관 ‘역병, 일상’ 전시를 중심으로

        강진영,조택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3

        (연구 배경 및 목적) 국립민속박물관은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팬데믹 상황을 반영한‘역병, 일상’전시를 선보였다. 3부로 구성된 전시는 역병에서 파생된 주제인 발병, 치유, 연대를 각각의 부에 담았고, 전시 디자인 측면에서 주제별 구성된 기획 구조를 반영하기 위해 개별 공간마다 상이한 조형언어를 적용했다. 그중 본 연구는 1부 ‘역병+(더하기)일상’의 키워드 ‘발병’의 조형성 도출 및 적용 방식에 대해 논한다. 발병의 조형성을 도출하기 위해 공간 레퍼런스 조사를 실시한 결과, 유사 주제임에도 다양한 조형적 특징이 발견되어 일관된 조형성 도출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사 주제의 공간 레퍼런스에서 조형성을 유추하는 방식이 아닌, 발병 상태의 조형 요소를 근거로 발병의 조형성을 도출하는 방식을 연구한다. (연구 방법) 연구에서는 발병의 조형성 도출 방식을 서술하고 구체적 적용 사례를 제시한다. 행동 면역 체계를 근거로 발병 상태의 조형성 여부를 파악한 후, 두창 자국을 표현한 통영오광대 손님탈에서 착안하여 두창의 발병 상태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다. 대상의 비교 군으로 두창의 초기 상태를 선정하고 공간주파수 이론을 분석 도구로 사용한다. 공간주파수로 환원된 개별 상태의 조형 요소를 비교·분석한 결과, 높은 공간 주파수(HSF)로 분석되는 조형요소는 발병 상태와 초기 상태에서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낮은 공간 주파수(LSF)로 분석되는 물성 분류의 조형요소에서는 차이점을 보였다. 이를 근거로 형태적 측면으로 동일한 대상의 물성 차이가 발병 상태의 조형성임을 도출한다. (결과) 물성의 변화 현상인 부식 작용이 나타나는 마감재로 코르텐 강을 잠정적으로 선정 하고, 코르텐 강에서 발병 상태의 조형성이 확인되는지 검증한다. 코르텐강의 부식 전후의 표면 사진을 공간주파수로 환원한 조형 요소들을 비교한 결과 발병 상태의 조형성과 동일한 물성의 변화가 확인된다. 따라서 코르텐강이 발병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소재라고 판단하여 1부 공간에 사용했다. (결론)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발병 상태의 조형성 도출 방식 및 적용 사례를 통한 조형성 생산 가능성을 보여준다. 레퍼런스에서 특정 조형성을 유추하고 적용하는 방식의 한계에 대한 대안으로 조형성 생성 방식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정량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생산한 발병의 조형성에서 발병 상태를 인지하는지 수용적 측면의 실험을 통해 조형성 생성 방식을 더욱 견고하게 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exhibition “Our Lives Beyond Epidemics” at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reflected the crisis caused by the COVID-19 pandemic. Its three parts illustrated three themes derived from the epidemic, while its design applied different formative languages in each space. This paper discusses the ways plasticity was derived and applied regarding the keyword outbreaks in “Part I Epidemics + Everyday Life” of the exhibition. There were challenges in maintaining the consistency of the plasticity regarding disease outbreaks derived from analyzing the reference spaces. Thus, this study employed a method to derive such plasticity based on its elements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of inferring it through spatial references of similar themes. (Method) After determining the presence of plasticity in a state of disease outbreak based on the evidence of behavioral immune system (BIS), the state of outbreak and the initial state as a control tool were defined. Next, the spatial frequency theory was applied as an analytical tool.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lastic elements in the two states expressed as “spatial frequency,” showed that identical elements were found in the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using high spatial frequency (HSF), whereas the elements varied in the classification of physical properties using low spatial frequency (LSF). This suggested that plasticity in a state of outbreak could be derived based on the differences in physical properties of objects with identical morphology. (Results) Whether plasticity is found in a state of outbreak should be verified before applying Corten steel as the finishing material. Corten steel exhibits corrosion, a phenomenon that alters physical properties. Comparing plastic elements, expressed as spatial frequency, for the surface images taken before and after the corrosion of Corten steel, the same change in physical properties, as in the case of plasticity in a state of outbreak, was detected. Hence, Corten steel was determined as a suitable material to express outbreaks and used in the space for Part I of the exhibition.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otential generation of plasticity through application and methods to derive plasticity in outbreaks. Thus, it is significant to propose a method to generate plasticity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methods where plasticity is inferred and applied for a given reference, which has limitations. In a follow-up study, the method of generating plasticity should be further validated via an experiment on the receptive dimension of recognizing outbreaks regarding the generated plasticity, using a quantitative approach.

      • KCI등재

        일반논문 : 김광균 시의 구조화 원리 연구- 정서와 이미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오형엽 ( Hyung Yup Oh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4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2 No.2

        이 글은 ‘정서와 이미지의 상관성’을 기준으로 김광균 시의 특질을 세밀히 분석하여 그 구조화 원리를 탐색하고자 한다. 김광균 시에는 ‘정서-이미지’의 상관 항으로서 크게 ‘대낮’의 시간성과 결부되는 ‘건조한 정서-조형성의 이미지’ 조합, ‘저녁’의 시간성과 결부되는 ‘멜랑콜리의 정서-불투명성의이미지’ 조합이 차별적으로 등장한다. 김광균은 작품의 내적 시간성 속에서 ‘건조한 정서-조형성의 이미지’ 조합을 먼저 시도하지만, 이 시도가 허물어지면서 ‘멜랑콜리의 정서-불투명성의 이미지’ 조합이 더 큰 비중을 가지고 등장하게 된다. 이와 함께 핵심적 이미지가 ‘대낮’의 시간대와 결부되는 ‘조형성’의 형태적 이미지에서 ‘저녁’의 시간대와 결부되는 ‘황혼’,‘등불-안개’ 등의 색채적 이미지로 전환된다. 김광균 시의 특질로서 ‘건조한 정서-조형성의 이미지’가 ‘멜랑콜리의 정서-불투명성의 이미지’로 이동하는 양상과 관련된 구조화 원리는 다음두 가지 초점으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시적 형식의 차원으로서 ‘조형성의이미지’가 무너지고 ‘불투명성의 이미지’가 등장하면서 경계가 지워지며 흐려지는 부분은 ‘실재의 부정적 묘사’라고 부를 만한 성격을 가진다. 둘째, 시적 내용의 차원으로서 ‘건조한 정서’가 사라지고 ‘멜랑콜리의 정서’가더 큰 비중을 차지하면서 ‘화자의 정서 표출이 강화되는 부분’에서 시의주제적 차원이 탈은폐되면서 노출된다. 정신분석적 ‘승화’ 개념을 ‘멜랑콜리’ 개념과 결부시키면, 대상을 숭고한 실재적 사물의 차원까지 고양하는 ‘승화’와 그것이 무너지고 추락할 때발생하는 ‘멜랑콜리’는 일단 상호 대립적 관계에 놓여있다고 볼 수 있다. ‘승화’와 ‘멜랑콜리’ 사이의 간극 및 공백을 메우는 것은 바로 심리적 현실로서의 ‘실재’이다. 이 글이 분석한 시간성에 따른 ‘정서-이미지’의 상관항으로서 ‘건조한 정서-조형성의 이미지’ 조합에서 ‘멜랑콜리의 정서-불투명성의 이미지’ 조합으로의 이동은 ‘승화’가 ‘멜랑콜리’로 전이되는 과정으로 재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유의할 부분은 ‘멜랑콜리’에 ‘승화’의 지향성이 잔존해 있고 혼융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하여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김광균 시에 등장하는 ‘등불’은 ‘승화’와 연관되고, ‘안개’는 승화가 추락할때 겪는 ‘멜랑콜리’와 연관된다. 따라서 ‘등불’과 ‘안개’가 결합된 ‘불투명성의 이미지’는 승화와 멜랑콜리의 결합물, 좀더 정확히 말한다면, ‘승화가침잠된 멜랑콜리’로도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이 글은 김광균 시에서 회화적 이미지의 조형성과애상적 감상성이 공존하여 모순을 야기한다는 기존의 평가와는 달리, ‘정서와 이미지의 상관성’에 따른 두 계열의 조합이 차별성을 가지고 존재하고, 작품의 내적 시간성에 따라 이동하면서 ‘등불’과 ‘안개’가 결합된 ‘불투명성의 이미지’를 통해 ‘승화가 침잠된 멜랑콜리’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밝히려 했다. 이를 통해 김광균 시에서 ‘정서와 이미지의 상관성’에 따른 두 계열 중 ‘대낮의 시간성-건조한 정서-조형성의 이미지’ 계열이 주로 형상화되는 경우, 향일성 및 형태의 사상성과 함께 원근법적 구도, 기하학적이고 건축학적인 구성, 공감각적 이미지 등을 통해 입체적 공간성을 확보했다는 평가가 가능해 진다. 그리고 ‘저녁의 시간성-멜랑콜리의 정서-불투명성의 이미지’ 계열이 주로 형상화되는 경우, 승화가 침잠된 멜랑콜리의 정서를 ‘실재의 부정적 묘사’라는 방식으로 형상화하여 실재의 사건성을 현재적으로 체험하고 시적 내용으로서 사유 및 정서에 투신했다는 평가가 가능해 진다. This writing wishes to analyze Kim Gwang-Gyoon’s poetry in a viewpointof ‘interrelationship of emotion and image’ and search it’s structural principle. Time of ‘high noon’ result link ‘dry emotion-modeling image’ association, timeof ‘evening’ result link ‘melancholie emotion-opacity image’ association appearsgreatly as ‘interrelationship of emotion and image’ In Kim Gwang-Gyoon’spoetry. Kim Gwang-Gyoon attempts first ‘dry emotion-modeling image’association, but ‘melancholie emotion-opacity image’ association has larger weightas this attempt is pulled down. Also, central image is converted by color imageof ‘dusk’ and ‘light-fog’ that is linked with time zone of ‘evening’ in fromfomations image of ‘modeling’ that is linked with time zone of ‘afternoon’. Structural principle in Kim Gwang-Gyoon’s poetry can be arranged tofollowing two foci related to aspect that ‘dry emotion-modeling image’ associationmoves as ‘melancholie emotion-opacity image’ association. As the first focusis dimension of poetic form, as opacity image appears after that modeling image``is pulled down, the border is removed and something that is equivocated haspersonality which is worth ‘negative description of real’. As second focus isdimension of poetic contents, dimension of main subject disclose in ‘speaker’semotion is solidified’ as ‘dry emotion’ vanishes and ‘melancholie emotion’ accounts for larger weight. If psychoanalysis’s ‘sublimation’ concept is linked with ‘melancholie’ concept,we can think that was put in conflicting relation mutually between ‘sublimation’that exalt target to dimension of noble thing and ‘melancholie’ that happenwhen it collapses and falls. To fill gap and blank between ‘sublimation’ and‘melancholie’ is ‘real’ as psychological reality be. The movement from the formerto the latter as correlation of ‘emotion-image’ by time that this article analyzescan be reinterpreted in process that ‘sublimation’ is changed as ‘melancholie’. We must keep in mind here that directivity of ‘sublimation’ has survived andmix in ‘melancholie’. In psychoanalysis’s concept, ‘light’ is involved with‘sublimation’, and ‘fog’ is involved with ‘melancholie’ that suffer whensublimation falls. Therefore ‘opacity image’ that ‘light’ and ‘fog’ are combinedcan understand by conjoiner of sublimation and melancholie. If say more correctly,we can understand as ‘melancholie that sublimation is deposited’.

      • KCI등재

        신경학적 고찰을 통한 조형성 생성모델에 관한 연구 - 건축에 나타난 조형성을 중심으로 -

        황영지 ( Hwang Yeong Ji ),조택연 ( Cho Taigyo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4

        기존의 조형이론은 조형 요소로부터 발생하는 심리적 효과에 대한 분석을 다뤄왔다. 이는 보편적 원리이기보다 개인적 탐구에 가까워 이를 바탕으로 조형성을 생산하기에 충분하지 않다. 실증적 방법을 통해 예술 연구를 시도하는 신경미학 분야 역시 미술 비평적 성격의 신경과학 연구에 초점을 맞추므로 창작자가 사용할 수 있는 검증 가능한 조형이론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본 연구는 조형성의 의미 및 구조를 과학적 이론을 바탕으로 규명하여 조형성 생산에 적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해부학적 기능을 중심으로 인간의 인지 체계를 이해하는 인지 신경과학과 예술을 과학적 방법을 통해 실증적 근거로써 이해하는 신경미학을 살펴본다. 연구는 시지각 대상으로서의 조형과 이를 인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적 가치인 조형성을 구분하여 살펴본다. 우선 눈에서 두뇌에 이르는 시각 정보의 처리과정을 바탕으로 초기 지각 단계에서 읽히는 조형의 구성요소를 확인한다. 이후 조형과 구분되는 조형성의 의미를 선행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나아가 조형성을 발생시키는 요소를 인지 처리모델의 각 단계에 대응시켜 검증 가능한 조형성 생성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모델의 타당성은 세계적인 건축 웹사이트에서 구독자의 투표로 선정하는 건축 조형 128개에 대한 창작자의 텍스트를 분석함으로써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인간의 의식에는 형상성과 사상성의 층위가 유의미하게 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인지 처리과정에 따라 층위적으로 구분되는 조형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조형성 생성모델은 의식에 내재한 조형성을 실제 조형으로써 생산해낼 수 있는 구조적 틀로 활용할 수 있다. The existing principles of form are not specific enough to be employed as tool for creating form as they tend to focus on its psychological effects. The recent literature in neuroaesthetics also lacks a specific theory of form creation that can be empirically tested, limiting itself in viewer-centered analyses of basic elements or critical analyses.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practical framework that can be applied when creating the characteristics of form by identifying them based on scientific theories. We explore the discipline of cognitive neuroscience that understands the human cognitive system centered on the anatomical function. In a similar vein, we also take a detailed look at the field of neural aesthetics that uses a scientific method to investigate aesthetic experiences and aesthetic behaviors. In this study, we first analyze the visual system from the eye to the brain and identify the components of shape to be read in the earlier visual processing stage. Then, the meaning of ‘characteristics of form’ is clarified by drawing a clear distinc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form’ and ‘shape’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the existing literature. This research suggests a practical model of creating the characteristics of form that can be empirically tested by identifying how each characteristic of form corresponds to the different levels of the cognitive processing model dictated by cognitive neuroscience. The feasibility of the model is tested by analyzing texts of the architects in the 128 buildings that selected by vote of the subscribers in the global website. The analysis shows that one can draw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level that perceives shape and that makes a deliberate aesthetic judgement in human senses. This implies that there are distinctive levels in characteristics of form matching each stage of the cognitive processing.

      • 버츄얼 인플루언서의 조형성이 광고 주목도와 광고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매력성과 적합성의 병렬 이중 매개효과

        김은희,이노미 한국융합학회 2024 미래기술융합논문지 Vol.3 No.1

        본 연구는 광고 모델로 활동하고 있는 버츄얼 인플루언서의 예술적 형상을 창조하는 조형성과 광고 주목도, 광고 태도와 의 관계에서 매력성과 적합성의 관계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확인하고자 연구 대상자는 SNS 이용률이 높은 MZ세대와 X세대로 설정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 통계 27.0과 SPSS 프로세스 매크로 버전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형성 과 광고 주목도와의 관계에서 매력성과 적합성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형성과 광고 주목도의 경로에서 총 효과가 직접 효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버츄얼 인플루언서의 조형성과 광고 주목도의 관계에서 매력성과 적합성에 의해 병렬 이중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조형성이 매개변수인 매력성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매력성은 광고 태도에 영향이 미 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형성은 적합성에 적합성은 다시 광고태도에 영향이 미치기에 이들 변인 간에는 완전 매개효과 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조형성과 광고태도와의 관계에서는 매력성과 조형성에 의한 병렬 매개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는 버츄얼 인플루언서의 제작 측면에서 고려되는 조형성이 광고 주목도와 광고 태도 변인 간의 관계에서 매력성과 적합성의 병렬 이중 매개효과를 살펴보면서 학문적 함의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The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activeness and sui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veness of creating the artistic form of a virtual influencer who acts as an advertising model, advertising attention, and advertising attitude. To confirm thi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MZ generation and X generation, which have a high rate of SNS use. The analysis method used SPSS statistics 27.0 and SPSS process macro vers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ttractiveness and suitability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tiveness and advertising attention. In the path of formativeness and advertising attention, the total effect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e direct effec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ouble parallel mediation effect through attractiveness and sui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veness of virtual influencers and advertising atten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formativeness affects the mediating variable, attractiveness, but attractiveness does not affect attitude toward advertising. Since formativeness affects suitability and suitability in turn influences attitude toward advertising,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se variabl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parallel mediating effect of attractiveness and formativeness was not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tiveness and attitude towards advertising. The abov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cademic implications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dual and parallel mediating effects of attractiveness and suit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ativeness, advertising attention, and advertising attitude variables, which are considered in the production of virtual influencers.

      • KCI등재

        패션 디자인을 위한 멀티디멘션(Multi-dimension)의 조형성 연구2 -조형예술 작품에 나타난 멀티디멘션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개발 -

        이인영 ( In Young Lee ),김수경 ( Soo Kyong Kim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4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4 No.3

        현대 패션 디자이너들은 옷의 구조적 형태에 관심을 가지며 실험적인 디자인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공간의 확장과 다양성을 바탕으로 한 멀티디멘션의 조형성 연구와 디자인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선행논문(이인영, 2013)을 바탕으로 나움 가보 이외의 시공간적 접근이 나타나고 있는 조형예술 작품으로부터 멀티디멘션의 조형성을 연구하여, 그 특징을 의상 디자인 개발에 적용하고 창의적인 디자인의 연출과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알렉산더 칼더, 제프리 쇼의 문헌을 조사하였으며 작품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조형 작품으로부터 도출된 멀티디멘션의 조형성을 바탕으로 의상 3벌을 개발하였고, 그 의상들을 통해 멀티디멘션 조형성 연출과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디자인Ⅰ은 구조에 의해 입체감이 형성되는 ‘3 디멘션 구축’을, 디자인 Ⅱ는 움직임과 발광 효과를 이용한 가변형 구조의 ‘시간의 도입’을, 디자인 Ⅲ은 시스루 소재로 공간 중첩성과 왜곡성이 나타나는 ‘하이퍼디멘션의 공간성’을 주제로 정하여 의상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의상은 알렉산더 칼더와 제프리 쇼의 작품에 나타난 멀티디멘션의 조형성을 중심으로 연출하고 촬영하였으며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의상에 적용된 멀티디멘션의 조형성은 그 조형성을 만들어내는 소재나, 형태, 구조의 변형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빛에 의해 공간이 변하고 확장되는 효과의 연출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특징들은 디자인 기획 시점에서 디자이너의 의도나 의상의 콘셉트에 따라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Modern fashion designers are interested in the structural form of clothing and have been testing experimental designs, but there is currently a lack of research on the formative aspect of multi- dimensions and design developments based on spatial expansion and diversity. Thus, this paper will be based on the preceding thesis of Lee In-Young (2013) and will aim to suggest the projection and direction of future designs by applying the research results on the formativeness of multi-dimensions appearing in artworks other than those of Naum Gabo to fashion designs. For the method of study, literary investigations on Alexander Calder and Jeffrey Shaw were carried out and their works were analyzed. Also, 3 pieces of clothing were developed based on the formativeness of multi-dimensions that are projected from formative works, and the direction of formativeness of multi-dimensions and design were suggested based on these items of clothing. The clothes were developed in the following categories: Design I was based on ‘construction of 3 dimensions’ that creates three-dimensional effects according to structure, design II was based on ‘institution of time’ of variable structures using movements and a luminous effect, and design III was based on ‘spatiality of hyper-dimension’ that reveals spatial reiteration and distortion. The developed clothes were directed and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formativeness of multi-dimensions that appears in the works of Alexander Calder and Jeffrey Shaw, suggesting a direction for future designs. As a result, the formativeness of multi- dimensions applied to the clothing could be adjusted with materials, forms, and changes in structure, and it was also possible to portray the changing and expanding effects of space according to light. These characteristics could be considered in the planning process of designs according to designer intentions or clothing concepts.

      • Antoni Gaudi y Cornet 건축작품 입구공간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이준호,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0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3 No.2

        본 연구는 스페인의 건축가 안토니 가우디 이 코르네 (Antoni Gaudi y cornet)의 건축 작품에서 나타나는 입구공간의 대하여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가우디의 시대, 지리, 환경적 배경을 통해 그의 조형 및 사상의 형성과정을 살펴보았으며, 종교적 믿음과 자연을 통한 영감이 그의 작품성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스페인의 지리적 역사적 특성으로 다양한 문화양식을 흡수 할 수 있었으며, 시대적 격변기 속에 민족적 자긍심과 의식도 그의 작품성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가우디의 건축 작품 속 입구공간을 살펴본 결과, 가우디만의 건축 양식의 해석과 표현에 의한 독창적 조형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입구공간은 전체 공간에 대해 조화를 이루는 요소로서 비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건축물을 단일 조형물로 해석할 수 있을 정도의 독창적 구조이해와 이를 기반으로 한 표현은 커다란 통일감을 만들어냈으며, 입구공간은 그 통일감 안에서 자연스러운 조화로 조형성을 드러내고 있다. This study is the Spanish architect Antoni Gaudi y cornet regarding the construction work in space that appears at the entrance to the purpose of analysis. Gaudi's age, geography, environmental background through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his ideas and learned moldings, religious faith and inspiration of nature through his works, gave notice I coul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ity wall. In addition, Spain's geographic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cultural forms can absorb began consciousness and national pride in his work a lot of influence on rapid changes of society. Gaudi at the entrance to the construction works in deep space and looked at the result, the architecture of Gaudi's interpretation and presentation of creative and make moldings can devote, the entire space at the entrance to the space component of fulfilling the harmony that the percentage could be higher. Can be interpreted as landmarks, buildings in a single original structure of representation is based on understanding and it creates a unity, Unity of space inside the entrance the moldings emerging as a natural harmony.

      • KCI등재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의 조형성을 활용한 네일 디자인 연구

        조수경,김영삼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0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18 No.1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esent creative and original nail art design through ideas inspired by the formulation of minimalism and maximalism. Methods: For nail design production that utilizes minimalism and maximalism, we conducted both empirical and theoretical research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Moreover, through prior and empirical researches, photos were obtained for classifying and analyzing design cases that demonstrate how minimalism and maximalism are expressed. Result: Through analyzing design cases portraying the formulation of minimalism and maximalism, the works produced under the theme of a woman's life were selected and produced through the following stages: birth, growth, marriage, parenting, and twilight.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nail design can be used as an important production material in the developmental and planning processes in various fields, because it is not limited to the nail art field but has become a trend in life. Furthermore, it can be used as a concept associated with various techniques and creative and original designs can be created through storytelling. 목적: 본 연구는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의 조형성을 활용한 네일아트 아이디어를 통해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네일아트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의 조형성을 활용한 네일 디자인 제작을 제작하기 위하여 문헌적 고찰과 사례연구를 통한 이론적 연구와 더불어 실증적 연구를 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와 실증연구를 통해 확보한 사진들을 통해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의 조형성을 보여주는 디자인 사례를 분류하고 사진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미니멀리즘과 맥시멀리즘의 조형성을 보여주는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여 여성의 일생이란 주제로 제작한 작품은 탄생, 성장, 결혼, 육아, 황혼으로 선정하여 제작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네일 디자인이 현대인의 다양한 니즈와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조형성의 활용이 네일아트 분야에 국한 되지 않고 생활 전반의 트렌드로 자리 잡은 만큼 다양한 분야에서 이를 발전시키고 기획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네일 디자인에 다양한 기법으로 연상되는 이미지를 표현하고, 스토리를 부여함으로써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 창출에 무한한 가능성을 부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한글의 상징적 조형성을 활용한 국내 패키지 디자인 연구

        이하림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8 No.3

        타이포그라피는 상품에 대하여 소비자에게 짧은 시간에 각인시키고 정보전달을 하는 주요한 디자인 요소이다. 시대상을 반영하기도 하며 프린팅이라는 수단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파급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현대적인 감각과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기능적인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야 한다. 타이포그라피의 표정에 따라서 패키지 상품의 포장수준과 내용물의 성격이 표출되고 소비자에게 각인될 수 있는 아이덴티티(Identity)를 결정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한글의 조형성이 갖는 디자인적요소를 파악하여 패키지디자인에 응용할 수 있는 그라픽적 요인들을 연구한다. 둘째, 한글의 조형성을 통해 개발된 상징성이 갖는 미학적, 조형적 특성이 시장에서 어떠한 영향력을 가졌는지 확인한다. 둘째, 한글의 조형적 특성뿐만 아니라 상징적 개념 요소의 추출로 인하여 패키지디자인의 새로운 부가가치 브랜드를 창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러한 전제를 통하여 패키지디자인의 특성에 한글의 조형적 요소를 통한 상징성을 접목하고 한글의 세계화, 브랜드화가 새로운 고부가가치 상품의 탄생으로까지 연계되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 한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 패키지디자인 중에서 한국 디자인연감 (2006∼2009)과 산업디자인대전(2006∼2009)에 출품 및 입상한 디자인과 해외의 주요 브랜드를 중심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인터넷, 신문의 보도 자료와 문헌을 바탕으로 연구하였고 세부적 사항은 첫째, 국내 패키지디자인이 브랜드화되어 경쟁력이 높은 상품으로 발돋움하게 된 배경과 사례를 조사하였다. 둘째, 제시한 사례를 분석하여 향후 패키지디자인에서 한글의 상징성을 통한 디자인 방안과 그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결론에서는 한글의 조형성을 통한 패키지디자인의 상징적 브랜드화를 이룩하기 위한 방법들을 앞서 사례분석을 통한 내용에서 유추하였다. 이와 같은 사례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고유의 디자인 소재가 큰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한글의 조형적 요소와 상징성이 높은 디자인을 통한 브랜드화에 대하여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Recently, in line with changes in the social & cultural environment, consumers' consumption consciousness is also changing, consumers, without sticking to the past consumption patterns, tend to decide their consumption methods or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ir values or way of thinking. Especially, in respect of today's consumption, a consumption class called brand a brand class or Luxury generation is newly influential and, a consumer group appear whose their values or desire system is affected by and whose satisfaction depend upon what kind of products they use. in respect of today's consumption, a consumption class called brand a brand class or Luxury generation is newly influential and, a consumer group appear whose their values or desire system is affected by and whose satisfaction called brand a brand class or Luxury generation is newly influential and, a consumer group appear whose their values or desire system is affected by and whose satisfaction depend upon what kind of products they use in respect of today's consumption, a consumption class called brand a brand class or Luxury generation is newly influential and, a consumer group appear whose their values or desire system is affected by and whose satisfaction depend upon what kind of products they use in respect of today's consumption, a consumption class called brand a brand class or Luxury generation is newly influential and, a consumer group appear whose their values or desire system is affected by and whose satisfaction depend upon what kind of products they use in respect of today's consumption, a consumption class called brand a brand class or Luxury generation is newly.

      • KCI등재

        고려시대 마애불의 조형성 연구

        이성도(Yi, Sung Do) 한국미술교육학회 2010 美術敎育論叢 Vol.24 No.3

        이 연구는 고려시대 마애불의 조형적 특성을 밝힌 것이다. 삼국시대에 시작한 마애불은 통일신라 말과 고려 초를 지나면서 전국적으로 확산이 되었으며, 철불(鐵佛) 유행과 함께 지방의 특유한 개성적인 표현으로 다양한 불상의 모습으로 조성되었다. 대부분의 고려 마애불은 예배대상으로 전통적인 바위신앙, 풍수사상 같은 민속신앙이 결합된 모습으로 마을 가까이나 마을에서 멀어진 깊은 산속이나 산 정상에 이르는 여러 장소에 다양한 모습으로 조성되었다. 그 표현방식은 고부조, 중부조, 저부조, 선각(線刻) 그리고 불신(佛身)은 바위면에 부조로 새기고 불두(佛頭)는 별석(別石)으로 만들어 올리는 방법 등 더욱 다양해졌다. 고려 초에 만들어진 다수의 거대한 마애불들은 강한 매스와 양감을 가진 개성적인 불상들이다. 이는 지방색과 함께 강한 조형의지와 대담한 표현력을 추구하고 있지만, 주변의 자연 환경과는 전반적으로는 잘 어우러지는 자연주의 조형성을 지닌다. 이 시대 마애불들은 거대한 크기와 개성적인 불안(佛顔)을 통해 신통력과 이적(異蹟)을 일으키는 부처상으로 표현하고 있다. 대부분의 초기 마애불들은 비례를 통한 균형 잡힌 불신과 사실적인 표현이 무시되고 장대한 크기의 불신을 통해 매스가 강조되는 괴체 중심의 괴기스러운 위엄을 실은 모습으로 만들어 졌다. 또 다른 한편 권위나 괴력에서 벗어나 종교적인 자애심이 가득하거나,지극히 인간적인 상이 만들어 지기도 한다. 종합하면 여러 지역의 많은 숫자만큼 조성되어진 마애불은 그 지역적인 특성과 함께 독특한 개성적인 불상들이다. 구체적 조형표현에서는 전반적으로 삼국시대 이래 전통적 조형의식과 조형성을 계승하면서 얼굴 중심의 정면성의 표현을 강조하고 있다. 도상의 구성 또한 비대칭적이며 자유롭다. 또한 선, 면, 양감, 공간 등 여러 조형요소를 아우르면서 절제된 양감과 면, 그리고 선적인 구성을 하고 있다. 고려시대 마애불의 조형성은 이 시대 마애불만의 특유한 것이 아닌 한국적 보편적 조형성에 수렴하고 있다. 이것은 자연에 순응하는 자연주의 미학의 모습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ck-cut Buddha Relief in Goryeo Dynasty. This relief appeared first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spreaded out all of the country around the end of the Unified Silla Kingdom and the beginning of Goryeo Dynasty. The Rock-cut Buddha Relief shows unique and idiosyncratic local characteristics. Most of the Rock-cut Buddha Relief which had been worship monument like totemism for rock, Feng Shui Thought, and folk religion was manufactured from around village to remote area such as mountain or mountaintop. It has variety in type such as high relief, middle relief, low relief, and linear relief with specialty using rock for body and isolated stone for head. Many of the Rock-cut Buddha Relief made in the early of Goryeo Dynasty which have powerful mass and volume are idiosyncratic. It has local characteristics and contains strong artistic will of creator, however, it has natural characteristics of art. Through gigantic scale and unique character of Buddha Rock-cut Buddha Relief of this era, it contains Buddha's image with supernatural power and performance of miracles. Most of the early Rock-cut Buddha Relief shows grotesque dignity through gigantic scale and powerful mass ignoring proportion and realistic image. On the other hand, it also shows religious love or perfectly human image. To summary, the Rock-cut Buddha Relief carved as many as villages has its local characteristics and uniqueness Its way of expression focuses on frontality of Buddha's face centered, its composition is asymmetric and quite free. It shows its restrained volume, plane and linear expression harmonizing various elements of design, such as line, plane, mass, and space, etc.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ck-cut Buddha Relief of Goryeo Dynasty has not its own characteristic but universality come from tradition. It is a naturalistic aesthetics adjusted to the mother of n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