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mmortality in Romanticism : An Exploration of its Origin in Victor Hugo's Plays 빅토르 위고의 낭만주의 희곡에 나타나는 영원성의 근원에 관한 연구

        Kim, Jung-hyo 한국미학회 2003 美學 Vol.35 No.-

        낭만주의 문학의 서장을 연 프랑스의 작가 빅토르 위고의 희곡 『에르나니』(1830)에서 사랑하는 연인, 에르나니와 도나솔은 독약을 마시며 "보다 나은 다음 세상"에서 만나기를 기약한다. 이 두 연인들은 사회의 불공평과 강압적 요소들이 자신들의 사랑을 방해한다고 믿으며 죽음으로 완성시키려는 사상을 보인다. 이러한 낭만주의 주인공들이 갖고 있는 사상은 『에르나니』 뿐만 아니라 위고의 또 다른 작품 『루이 블라』(1838)에서도 나타난다. 에르나니와 루이 블라가 사랑을 위해 죽음을 불사하는 극적 구성은 위고의 낭만주의적 기술뿐만 아니라 "보다 나은 다음 세상"의 이념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영원성(永遠性)'의 사상은 위고의 등장인물에 국한되지 않고 19세기 낭만주의 비극의 주요 모델이 되었다. 이 글은 빅토르 위고의 낭만주의 비극에 나타나는 '죽음 다음의 세상', 다시 말해, 작품의 중심사상이 되는 영원성이 어디에서 근원하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있다. 사실 빅토르 위고는 자신의 작품에 나타나는 영원성이라는 사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를 거의 드러내지 않은 까닭에 그 근원을 분석한다는 것은 애매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 글은 빅토르 위고의 작품에 나타나는 영원성의 근원이란 주제를 ①빅토르 위고의 개인적인 가족사와 ②19세기 프랑스 사회에 끼쳤던 동양영향과 밀접한 관계를 맺은 사회, 문화적 분위기를 중심으로 접근하고 있다. 한 작가의 사상을 탐구하기 위해서는 그 작가의 내적 환경과 외적 세계에 대해 무시하고 논의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원래 낭만주의 선언을 서문에 실었던 희곡 『크롬웰』(1827)은 아버지 레오폴드 위고에게 헌사 하는 작품이었지만, 그는 이듬해에 갑자기 숨을 거뒀다. 1830년에 발표된 『에르나니』를 기점으로 빅토르 위고 개인에게 많은 일들이 생겼다. 아버지와 어머니를 잃고 사랑하는 자신의 딸과 아들과 거의 평생을 돌봐주었던 가정부와 사별하면서 위고는 삶과 죽음의 존재란 문제에 대해 깊은 고민을 하게 되었다. 빅토르 위고는 『에르나니』를 발표한 뒤, 자신의 가슴 속에서 가톨릭의 믿음이 없어졌음을 고백했다. 특히 장녀 레오폴딘의 익사(溺死)사고는 '위고의 첫 번째 정신적 죽음'이라고 할 만큼 충격적이었으며 자신의 삶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위고는 점차 사후세계와 영혼에 대한 글을 많이 발표하였으며 결국 "죽음에 대한 허무주의"를 '영원성'으로 극복하고자 했다. 즉, 죽음이 없다면 인생의 의미도 찾기 어렵다는 위고의 사상은 이처럼 개인적 경험에서 출발하였다. 위고의 낭만주의 작품에 등장하는 영원성이란 주제는 사실 기독교적인 차원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당시 유럽의 지식인들 사이에서 일어났던 동양사상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것도 흥미롭다. 이러한 점은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에서 위고를 "동양풍에 매우 열정적인 사람"이었다는 지적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 볼 수 있다. 특히 위고는 화가 외젠들라크루와, 고티에 같은 당시 동양에 관심이 높았던 지인들과 많은 접촉을 했다. 위고 자신도 『에르나니』를 발표하기 한해전에 "그 어느 때 보다 동양의 열품이 우리를 감싸고 있다"고 피력했다. 위고는 일종의 '코멘스먼트(commencement)'에 비유하며, 죽음을 인생의 끝이면서 또 다른 삶의 시작의로 여겼다. 죽은 뒤 우리의 몸은 땅과, 나무와, 꽃과, 계곡과 산야와 같은 자연계로 다시 회귀한다는 그의 주장은 동양의 윤회사상과 흡사하다. 이러한 사상은 위고의 낭만주의 작품에 등장하는 주요인물이 자신들을 자연의 일부분이거나 그 자체로 묘사하는 대목과 일치하고 있다.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19세기 유럽에 유행처럼 불었던 동양사상의 영향은 위고의 낭만주의 희곡에서 보이는 영원성의 토대를 제공하는데 지대한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위고의 모든 작품에서 영원성이란 주제가 담겨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의 대표적인 낭만주의 희곡, 『에르나니』와 『루이 블라』에는 '죽음 다음의 세상'이란 '영원성'이 중심사상을 이루고 있다. 사랑과 죽음과 삶이라는 단어들이 일체화하거나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빅토르 위고의 사상은 그의 전 생애에 걸쳐 사랑하던 가족들과의 사별이라는 개인적 경험과 19세기 프랑스에 불었던 동양사상과 그에 대한 관심을 가졌던 지인들과의 교류에서 형성되었음을 부정할 수 없다. 끝으로 방대한 주제와 접근의 산만성으로 인해 영원성의 구체적 개념과 사상, 다른 낭만주의 작품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한 분석이 제외되었음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것은 또 다른 차원의 연구대상이며 현대적 의미로서의 영원성, 혹은 반(反)-신고전주의와 빅토르 위고의 영원성에 대한 고찰과 같은 좀더 세부적인 낭만주의 연구를 위해 이 글이 도움이 된다면 위안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인간에게 있어서 영원성의 의미

        손상용(Son, Sang-Yong)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 Vol.56 No.-

        본 논문은 인간에게 있어서 영원성의 의미를 키에르케고르와 니체를 통해 밝혀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영원성이란 개념적으로는 시간을 초월한 무(無)시간적인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영원성을 실존철학에 맞추어 그 의미를 해석해보려고 한다. 이러한 해석을 위해 실존철학의 선구자인 키에르케고르와 니체의 사상을 고찰할 것이다. 왜냐하면 키에르케고르와 니체의 사상에는 영원성이라는 공통요소가 발견되기 때문이다. 우선 키에르케고르의 저서 『불안의 개념』과 『죽음에 이르는 병』을 통해 그의 영원성의 의미를 밝혀본다. 그리고 니체의 저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묘사되고 있는 영원회귀 사상을 통해 그의 영원성의 의미를 밝혀볼 것이다. 키에르케고르와 니체의 영원성의 의미를 밝혀낸 후, 양자의 영원성의 의미를 시간이라는 요소를 통해 고찰할 것이다. 왜냐하면 영원은 시간이 끝없이 이어지는 것으로 생각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어서 양자의 영원성의 의미를 비교분석하여 공통점을 찾아내고자 한다. 만약 두 철학자의 영원성의 의미의 공통점이 발견된다면, 그것은 인간에게 있어서 실존적 영원성으로 자리 잡을 것이다. 왜냐하면 키에르케고르와 니체는 인간이 실존함이라는 것을 그들의 사상으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두 철학자의 영원성의 의미는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그들은 무(無)의 의식인 불안, 절망 그리고 극단적 니힐리즘의 극복하는 방법을 다르게 제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차이점을 분석하여 양자가 인간 자신을 어떠한 존재로 바라보고 있는지 검토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논의된 영원성을 바탕으로 현대인들의 모습을 고찰할 것이다. 그들에게 왜 영원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영원성은 어떤 의미를 가지며, 어떻게 해야 이 영원성을 회복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eternity for human beings through Kierkegaard and Nietzsche. Eternity is a conceptually transcendent thing that cannot be measured by time. My aim is to analyze eternity based on existential philosophy. For this analysis, I consider Kierkegaard and Nietzsche, pioneers in existential philosophy, because eternity is a common element found in their ideas. First of all, I researched Kierkegaard’s meaning of eternity by studying his The Concept of Anxiety and The Sickness Unto Death. And I investigated Nietzsche’s meaning of eternity by examining the eternal return described in his, Thus Spoke Zarathustra. After I demonstrated the meaning of eternity for the two philosophers, I clarified the meaning of eternity for each of the philosophers by discussing time. This is because eternity seems to be endless in terms of time. Subsequently, I explicate the common grounds of the two philosophers by comparing their meanings of eternity. If a common ground is to be discovered between the two philosophers’ ideas of eternity, it is the existential eternity of human beings. This is because Kierkegaard and Nietzsche demonstrated that human beings are existence through their thoughts. However, the two philosophers’ meanings of eternity differ in their methods of overcoming the consciousness of nothingness: anxiety, despair and radical nihilism. After I examined this difference, I examined their viewpoints about the human self. Finally, I explain the form of modern human beings based on the eternity discussed until now. I analyze why humans lack eternity in themselves, what meaning eternity has for them and how they can recover eternity.

      • KCI등재

        논문 : “세상의 영원성”에 관한 Thomas Aquinas의 사상

        김이균 ( Yi Kyun Kim ) 한국중세철학회 2007 중세철학 Vol.0 No.13

        토마스 아퀴나스는 세상의 영원성도 그것의 시간적 시작도 이성적으로 입증할 수 없다는 불가지론적 입장을 취한다. 이는 신(神)만이 소유한 불변성에 귀속시킬 수 있는 본래적 의미에서의 ‘영원성’(aeternitas)과 시간적 무제약성의 뜻으로 세상에 귀속시킬 수 있는 파생적 의미에서의 ‘영원성’을 명확히 구분한 결과다. 이 구분을 전제할 때, ‘세상의 영원성’(aeternitas mundi)은 결코 신과 함께 영원함(coaeternus)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과거로부터 시간적 제한 없이 실존해온 세상을 지시하게 된다. 따라서 세상의 영원성과 창조성이 논리적으로 양립 가능함을 부정할 하등의 이유가 없으며, 신은 자신의 절대적 전능성과 자유로운 의지로 ‘영원한 세상’을 창조할 수도 있었다는 것은 분명히 옳다. 자신의 확신을 강화하기 위해 토마스는 ‘영원한 창조’의 모순성을 주장하는 반론들, 특별히 ‘무로부터의 창조’(creatio ex nihilo)와 ‘현실태의 무한적 다수성’과 관련된 보나벤뚜라의 반론들을 무력화시키려 한다. 그런데 방 스텐베르겐(F. Van Steenberghen)과 보난세아(B. M. Bonansea)와 같은 학자들은 토마스의 논지에 나타난 일관성과 부적절함을 지적하면서 보나벤뚜라의 입장이 더 설득력 있음을 주장한다. 그러나 이 학자들의 주장과는 달리, 비록 보나벤뚜라가 주장한 논지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지만, 토마스의 주장은 여전히 일관성 있고 보나벤뚜라에 비해 보다 설득력 있는 입장임을 이 연구에서 논하게 될 것이다. ‘영원한 창조’의 비모순성을 입증하는 과정에서, 토마스는 이 주제에 대한 이성적 진리와 계시 진리 사이의 조화를 확신한다. 비록 세상의 영원성도 시간적 시작도 이성적으로 입증할 수 없지만, 대부분의 주석가들이 도외시한 ‘적합성’(convenientia)의 관점에서 볼 때, 신이 항상 실존해오지 않은 세상을 창조했다는 것이 신의 선성(Bonitas)에 보다 적절함을 이성적으로 알 수 있다. 이는 당연히 그리스도 교의 계시 진리와 조화를 이룬다. Thomas Aquinas maintains an agnostic position on the issue of the world`s eternity; neither the world`s eternity nor its temporal beginning can be rationally proved. This conclusion stems mainly from the clear distinction between two senses of `eternity`: the strict sense of `eternity` can be attributed to immutability which God alone possesses, and `eternity` attributed to the world meaning temporal infinitude. From this distinction, it is clear that `eternity of the world` does not mean co-eternal with God, but merely the world without temporal finitude from the past. Consequently, there is no reason to refute logical compatibility of the eternity and createdness of the world and also it is certainly true that, with his absolute omnipotence and free will, God could have created the world eternally. To consolidate his conviction for the non-contradictory status of an eternal creation, Thomas tries to rule out some counterarguments, especially those raised by Bonaventure,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opics such as `creatio ex nihilo` and of `possibility of an actually infinite multitude`. Several scholars like, F. Van Steenberghen and B. M. Bonansea, strongly criticise Thomas` arguments and consider Bonaventure`s position more plausible, pointing out some incoherences and irrelevances in Thomas` texts. As a contrast to these scholars` reviews, this paper shows that, although Thomas fails to identify crucial points of Bonaventure`s real contentions, Thomas` arguments are still coherent and more plausible than Bonaventure`s. In the course of proving a non-contradictory status of an eternal creation, Thomas is also convinced of the harmony of reason and revelation. Although neither the world`s eternity nor its temporal beginning can be rationally proved, Thomas highlights that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venientia`, which has been mostly ignored by commentators, it is fitting for divine goodness to create the world which has not always existed. This is obviously in line with the truth of Christian Revelation.

      • KCI등재

        ‘세상의 영원성’에 관한 Thomas Aquinas의 사상

        김이균 한국중세철학회 2007 중세철학 Vol.0 No.13

        Thomas Aquinas maintains an agnostic position on the issue of the world’s eternity; neither the world’s eternity nor its temporal beginning can be rationally proved. This conclusion stems mainly from the clear distinction between two senses of ‘eternity’: the strict sense of ‘eternity’ can be attributed to immutability which God alone possesses, and ‘eternity’ attributed to the world meaning temporal infinitude. From this distinction, it is clear that ‘eternity of the world’ does not mean co-eternal with God, but merely the world without temporal finitude from the past. Consequently, there is no reason to refute logical compatibility of the eternity and createdness of the world and also it is certainly true that, with his absolute omnipotence and free will, God could have created the world eternally. To consolidate his conviction for the non-contradictory status of an eternal creation, Thomas tries to rule out some counterarguments, especially those raised by Bonaventure,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opics such as ‘creatio ex nihilo’ and of ‘possibility of an actually infinite multitude’. Several scholars like, F. Van Steenberghen and B. M. Bonansea, strongly criticise Thomas’ arguments and consider Bonaventure’s position more plausible, pointing out some incoherences and irrelevances in Thomas’ texts. As a contrast to these scholars’ reviews, this paper shows that, although Thomas fails to identify crucial points of Bonaventure’s real contentions, Thomas’ arguments are still coherent and more plausible than Bonaventure’s. In the course of proving a non-contradictory status of an eternal creation, Thomas is also convinced of the harmony of reason and revelation. Although neither the world’s eternity nor its temporal beginning can be rationally proved, Thomas highlights that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venientia’, which has been mostly ignored by commentators, it is fitting for divine goodness to create the world which has not always existed. This is obviously in line with the truth of Christian Revelation. 토마스 아퀴나스는 세상의 영원성도 그것의 시간적 시작도 이성적으로 입증할 수 없다는 불가지론적 입장을 취한다. 이는 신(神)만이 소유한 불변성에 귀속시킬 수 있는 본래적 의미에서의 ‘영원성’(aeternitas)과 시간적 무제약성의 뜻으로 세상에 귀속시킬 수 있는 파생적 의미에서의 ‘영원성’을 명확히 구분한 결과다. 이 구분을 전제할 때, ‘세상의 영원성’(aeternitas mundi)은 결코 신과 함께 영원함(coaeternus)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과거로부터 시간적 제한 없이 실존해온 세상을 지시하게 된다. 따라서 세상의 영원성과 창조성이 논리적으로 양립 가능함을 부정할 하등의 이유가 없으며, 신은 자신의 절대적 전능성과 자유로운 의지로 ‘영원한 세상’을 창조할 수도 있었다는 것은 분명히 옳다. 자신의 확신을 강화하기 위해 토마스는 ‘영원한 창조’의 모순성을 주장하는 반론들, 특별히 ‘무로부터의 창조’(creatio ex nihilo)와 ‘현실태의 무한적 다수성’과 관련된 보나벤뚜라의 반론들을 무력화시키려 한다. 그런데 방 스텐베르겐(F. Van Steenberghen)과 보난세아(B. M. Bonansea)와 같은 학자들은 토마스의 논지에 나타난 일관성과 부적절함을 지적하면서 보나벤뚜라의 입장이 더 설득력 있음을 주장한다. 그러나 이 학자들의 주장과는 달리, 비록 보나벤뚜라가 주장한 논지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지만, 토마스의 주장은 여전히 일관성 있고 보나벤뚜라에 비해 보다 설득력 있는 입장임을 이 연구에서 논하게 될 것이다. ‘영원한 창조’의 비모순성을 입증하는 과정에서, 토마스는 이 주제에 대한 이성적 진리와 계시 진리 사이의 조화를 확신한다. 비록 세상의 영원성도 시간적 시작도 이성적으로 입증할 수 없지만, 대부분의 주석가들이 도외시한 ‘적합성’(convenientia)의 관점에서 볼 때, 신이 항상 실존해오지 않은 세상을 창조했다는 것이 신의 선성(Bonitas)에 보다 적절함을 이성적으로 알 수 있다. 이는 당연히 그리스도교의 계시 진리와 조화를 이룬다.

      • KCI등재

        김남조 시의 영원성 연구

        방승호 ( Bang Seung-ho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8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4

        시간을 초월한 영원에 대한 갈구는 세상의 모든 존재가 공감하는 문제이다. 한국 서정시의 역사에서는 서정주, 구상과 같은 대표 시인들을 중심으로 영원성의 시학을 구축해 왔다. 본고에서 언급하고자 하는 김남조의 시에도 영원에 대한 관심과 지향의 태도가 나타난다. 특히 아흔을 넘은 나이에도 시 창작을 지속하고 있는 김남조의 근작들에서 이러한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70년여간 축적된 그의 시가 추구했던 ‘사랑의 시학’이 최종적으로 지향하는 귀결점이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존재의 순환 원리는 영속으로 가까워지기 위한 우선적인 조건이 된다. 그리고 이는 자연물의 생명 이미지와 순환 이미지를 통해 형성된다. 가스통 바슐라르가 언급했던 자연물(공기, 물, 불)이 가지는 역동적 이미지들은 시상 전개에 따라 강화의 과정을 거쳐 점차 영속성을 획득하기에 이른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영속의 표상들은 서정적 주체가 지향하는 ‘기쁨’이나 ‘사랑’과 같은 긍정적 정서의 영원성을 지향하게 되는 것이 특징이다. 시간에 대한 철저한 인식과 성찰의 태도는 미래를 연장하게 하는 또 다른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벤야민과 하이데거의 언급들은 과거와 현재에 대한 성찰의 중요성을 역설한다. 과거의 경험은 현재와 맞물리며 미래를 만들어내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영원성에 근접해 나가게 되는 힘이 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존재에 대한 이해와 성찰이 연이어지면서, 서정적 주체가 지향하는 정신의 영원성에 근접하게 되는 것이다. 김남조의 시세계는 사랑의 시학이라는 큰 테마를 형성해 왔다. 그리고 어느덧 시세계의 마지막을 향해 가고 있다. 미당 서정주가 세상과 시를 함께 떠돌며 영원성의 시학을 지향했다면, 김남조는 끊임없는 존재에 대한 성찰과 탐구의 정신으로 영원성에 다가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치지 않는 시에 대한 열정, 그리고 존재와 세상에 대한 사랑과 포용의 정신은 이러한 영원성의 가치를 더욱 깊이 있게 만들어 준다. The craving for timeless eternity is a matter of sympathy for all beings in the world. In the history of lyric poetry in Korea, the poetry of eternity has been constructed centering on characters such as Seo Jeong-ju or Gu Sang poet. In the poems of Kim Nam-Jo, which we will refer to in this article, the attitudes of interest and orientation toward eternity appear. Especially, this aspect can be confirmed in the recent works of Kim Nam-jo, which continues to create poetry even after the age of ninety. This is important because it is the ultimate goal of 'poetry of love' pursued by his poetry accumulated over 70 years. The circular principle of existence becomes a prerequisite for getting closer to the enduring. And this is formed through the life image and the circular image of the natural object. The dynamic images of the natural objects (air, water, fire) mentioned by Gaston Bachelard reach to acquire permanence gradually through the strengthening process according to the thesis expansion. As a result, these representations of perpetuation are characterized by a tendency toward the eternity of positive emotions such as 'joy' or 'love' which the lyrical subject is oriented to. A thorough awareness of time and an attitude of introspection serve as another driving force to prolong the future. The references of Benjamin and Heidegger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eflection on the past and the present. Past experience is in tune with the present and creates the future, which ultimately becomes a force that approaches eternity. In other words, as the understanding and reflection of existence continue, the emotional subject becomes closer to the eternity of spirit. Kim Nam-jo's poetry world has formed a big theme of poetry of love. And now he is heading towards the end of his world. Seo Jeong-ju wandered the world and poetry together and aimed at the poetry of eternity, and Kim Nam-jo is trying to reach eternity with the spirit of reflection and inquiry. His passion for untiring poetry, and the spirit of love and embrace for being and for the world, deepens the value of this eternity.

      • 미당 시에 나타난 유랑의 의미와 영원성

        서진영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통합인문학연구소 2009 통합인문학연구 Vol.1 No.2

        본고는 흔히 생명과 영원성에 대한탐구와 지향으로 요약되고 있는 미당 서정주의 시 세계에서 ‘유랑’ 이미지가 자주 나타나는 것에 주목하고, ‘유랑’이미지와 영원성의 문제를 연결시켜 보고자 하였다. 미당의 수필과 시 속에서 ‘떠돌이의 길’로 표현되는 ‘유랑’ 이미지는 현실 세계 속의 절망과 관련된다. 미당이 이상에게서 보았던 식민지 백성의 처절한 영상은 결코 벗어날 수 없는 현실의 억압으로서 이것은 미당 자신의 문제이기도 하였다. 미당의 방법적 대응은 현실적 삶을 규정하는 시간과 공간을 무화시키는 것이었다. 혼과 자연의 세계 속에서 미당은 영원성 의 시간을 구현하고자 한다. 미당의 시에서 여인은 종종 유랑성과 영원성 의 결합체로 구현된다. 여인이 지니고 있는 영원성은 천상적인 순결성으로 드러나는데 이것을 대표하는 것이 ‘손톱 속의 반달 이미지이다. 이 이미지는 오염되지 않은 정결성과 여신의 신비로움을 상징한다. 그러나 동시에 여인들이 드러내고 있는 육체성은 미당의 영원성이 형이상학적 구도나 종교적 초월의 차원에 놓여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 준다. 여인들에게서 드러나는 육체성을 통하여 미당은 영원성을 다시 지상화하여 친밀한 것으로 만든다. 따라서 미당 시의 유랑 이미지와 떠돌이 여인들은 영원의 시간성을 내포하면서도 지상적인 것에 대한 연민과 사랑을 놓지 않는 미당의 시선을 드러낸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Vagrancy’ image in Midang’s poetry and eternity. In Midang, Seo Chung-joo’ s poetry, the eternity has been known as very important point. It is expressed as ‘vagrancy’ image in Midang’s poetry and essays and is related with his despair from real world. He found some desperate images from Lee Sang’s life and poetry, which was not different with his. It was because of the people of colony. His poetic method was to make to nothing the time and the space. He wanted to come true eternity in imaginary world of soul and nature. In his poetry, mysterious women symbolize the combination of vagrancy and eternity. Their divine images were expressed as ‘half moons of nails' These images symbolize the purity and mystery of a goddess, but they express her sexuality at the same time. It means that Midang’s eternity is not in the level of metaphysics or transcendence. In Midang’s poetry, the image of vagrancy and wandering women reflect the time of eternity and Midang’s love to earthly things.

      • KCI등재

        박재삼 시조의 이미지 구현방식과 의미화 과정 연구

        손진은(Son, Jin-Eun) 한국시조학회 2016 시조학논총 Vol.44 No.-

        이 논문은 현대시조사에서 박재삼 시조의 위치와 중요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쓰여졌다. 박재삼은 ‘형식미와 내용미의 행복한 일치’를 그 시조 창작의 지향점으로 삼아 시조 쓰기를 진행해 왔다. 박재삼은 이를 위해 여러 시도를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글이 주목하는 부분이 바로 그 점이다. 이 글에서는 박재삼 시조 창작방법론의 키워드라 판단되는 이미지의 구현방식과 의미화 과정을, 한의 정서와 영원성의 결합, 양가성의 정서를 통한 초월, 병렬 형식의 은유로 이루어진 언술구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미지 구현방식과 의미화 과정에서 드러나는 박재삼 시조 미학의 차별성의 첫 번째 특징은 한의 정서와 우주적 무한과 시간적 영원을 본질로 하는 범주인 ‘영원성’이 결합하는 양상이다. 그동안 박재삼의 시조에서 이 영원성의 문제는 간과된 측면이 있다. 이 영원성은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루지 못한 사랑의 한으로 인해 나타난다. 진정한 사랑을 위해 또 다른 세계, 즉 ‘저승’이라는 공간과의 소통을 시도하며, 슬픔에서 생산된 아름다운 가치인 ‘한’이 영원성과 결합됨으로써 자아의 정체성을 찾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이겨낼 수 있다. 이 영원성은 상당히 내면화되어 있으며 변신 모티브 역시 쉽게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시의 구조 안에 내밀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런 이미지 구성방식이 그동안 논자들로 하여금 시조에서 영원성을 언급하지 못한 요인이 되었지만, 이 점이 박재삼의 시조가 한국시조에서 새로운 의미를 가지는 부분이다. 두 번째 특징은 상반되는 이미지를 병치하고 통합함으로써 초월에 이르는 의미화 방식이다. 박재삼은 어떤 정서가 단일한 이미지로 환원되는 것을 거절하는 전략을 가지고 시작에 임했다. 그의 시의 밑바탕을 이루는 한의 정서 자체가 삶의 기본적인 구조를 내포하며 인생과 자연의 온갖 바람을 담고 있는 본질적 요소이다. 이 양가적 정서는 한 시 안에서 존재해도 어긋나지 않는다. 이 의식의 근저에는 삶에 대한 너그러운 인식과 세상사에 대해 거리를 두고 관조하는 삶의 자세가 깔려 있다. 미학적 측면으로 드러나는 이런 양가적 감정은 인생관, 세계관으로까지 확산된다. 그의 시에 드러나는 정서가 복합적이라는 것이 다른 서정 시인들과의 또 하나의 차별성이다. 그 결과 이런 양가성의 인식과 종합이라는 시학을 만들어낸 것이다. 이미지 구현방식과 의미화 과정의 세 번째 특징은 언술구조가 은유구조 즉,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병렬 형태로 연결되어 시의 전개에 관여한다는 점이다. 이는 주로 「내 사랑은」이라는 시의 ‘울음’의 미학을 그려내는 이미지가 어떻게 구현되어 있으며, 그것은 어떻게 의미화에 기여하고 있는가를 고찰하는 과정에서 도출되었다.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병렬형식의 이런 언술구조는 특별한 주목을 요한다. 무엇보다 직유가 사용되지 않고 예측하지 못하는 은유로 된 언술구조가 의미작용을 일으키며 시가 진행되기 때문이다. 박재삼의 토속적 서정이 체질적인 것인 동시에 그 바탕에는 민족정서와 긴밀히 결부되어 있고, 그 호흡도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전통적 호흡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에 이는 앞으로 더 깊은 고찰을 요한다. 박재삼은 현대시조사에서 순정하고 서정적인 시인으로서 한국 전통의 정서와 특징을 자신의 창작방법론에 담아냄으로써 여타 시인들과 차별화된 가치 있는 시인으로 평가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ed light on the position and the importance of sijo (Korean traditional poetic form of Three-Line Stanzas) of the Korean poet Park Jae-sam among Korean sijo writers. Even though Park Jae-sam started his career as a poet writing two sijos and a poem, he began to write more poems than sijos later on. Anyway his interest in sijo writing has continued and he has served as a judge of sijo writing contests ever since. Especially in 1985, he published a collection of sijo. And each sijo writing in this collection are composed of three-line stanzas and each stanza of three lines. And each line has a rhythmic sound with a formal word formation. This article reveals that Park Jae-sam has pursued a happy unity of form and content in his sijo writings from the collection and that he has tried his hardest to realize this goal. This article notes that for this goal he puts stress on some methods of creating poetic images and the process of creating new ideas, the unity of Koreans’s unique emotion of han(恨) and a sense of eternity, transcendence through ambivalent emotions, and the structure of statement mainly made of juxtaposed metaphors. And this articles also notes that as a most sincere lyric poet in the history of sijo he is much distinguished from other Korean poets in that he depicts mainly Koreans’s unique emoti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 KCI등재후보

        의미 치료적 관점에서의 고전시가 읽기 - 영원성에 대한 작품을 중심으로 -

        고영화 ( Ko Young-hwa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0 문학치료연구 Vol.15 No.-

        영원성에 대한 추구는 유한한 인간이 자신의 삶에 적극적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한 모습일 수 있다. 즉 영원성에 대한 관심은 삶에 대한 의미 부여가 가장 밀도 있게 작용하고 있는 사태인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고는 영원성에 대해 노래한 고전시가 작품을 의미 치료학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고전시가 작품 가운데에서 영원성에 대한 지향이 서로 다른 모습으로 드러나 있는 <정석가>, <사미인곡> 그리고 황진이의 시조를 살펴보았다. 이들은 모두 인간관계에 내재해 있는 불완전성에 대한 주목과 함께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원성의 추구가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에 대한 진지한 모색의 과정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인다. 보다 안정된 관계를 지향하고자 하는 노력은 상황에 대한 관점의 변화, 현실 국면의 적극적 전환 그리고 보편적인 세계에서의 관조 등의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들 작품에서 나타나는 서로 다른 의미 부여의 모습들은 작품 감상에 주요한 요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유한한 삶이 갖는 의미의 발견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 치료의 좋은 자료가 된다. 특히 이상주의적 경향이 강한 청소년기에 있어서 영원성이라는 주제는 유의미하게 수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oncerns the relation between the logotherapy and eternity in Korean classical poetry. We can find an important feature of Korean classical poetry in the thematic point that there are very many poems about eternity. Eternity is a valuable literary topic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dentity. Especially it is more important for the mental health in modern society where the pursuit of speed and change becomes stronger. In this study various Korean classical poems were dealt with. These poems show the different ways of meaning making like reframing, transposition and self-detachment. Such differences can work as appreciative points of the poems and can be useful materials for logotherapy.

      • KCI등재

        스피노자의『윤리학』에서 유한한 개체의 영원성

        현영종 새한철학회 2019 哲學論叢 Vol.96 No.2

        This article elucidates the concept of eternity and its philosophical implications in Spinoza's Ethics.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eternity presented in Part I of Ethics, eternity implies necessary existence. It can be said that not only God but also finite individuals exist in this sense. The existence can be understood in terms of duration, and also can be understood in non-temporal sense. In this non-temporal aspect, existence is logically implied in the essence of God. Therefore, in an aspect eternity can be attributed to finite individuals. In the fifth part of Ethics, Spinoza starts from this ontological conception of eternity and moves on to the description of consciousness of such eternity. This plan is closely related to Spinoza's ethical project. Intellectual awareness to our eternity is to actively realize our singular essence. In Spinoza’s Ethics salvation is not to transcend individuality. It is an activity based on individuality because it is to recognize itself as a part of God by recognizing the essential and non-temporal aspect of individuality which cannot be reduced to universals. 본고는 스피노자의 『윤리학』에 나타난 영원성 개념과 그것의 철학적 함축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윤리학』 1부의 영원성에 대한 정의에 따르면, 영원성은 필연적 실존을 뜻한다. 신만이 아니라 유한한 개체도 이러한 의미에서 실존한다고 일컬어질 수 있다. 실존은 두 가지 의미를 갖는데, 그것은 지속의 측면에서 이해될 수도 있고, 비시간적 측면에서도 이해될 수 있다. 후자의 실존은 신의 본질에 논리적으로 함축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개체도 영원하다고 말해질 수 있다. 『윤리학』 5부는 이러한 존재론적 영원성 개념에서 출발하지만 그러한 영원성에 대한 인식까지 다루고 있다. 이러한 구도는 스피노자의 윤리적 기획과 연관이 있다. 자신의 영원성에 인식은 우리의 개별 본질을 능동적으로 실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스피노자의 철학에서 구원은 개체성의 초월이 아니라, 개체성에 기초한다. 현자는 지속 속에서 영원한 자기를 인식함으로써 스스로가 신의 한 부분임을 적합하게 의식하고, 그러한 자기에 대한 만족을 획득한다.

      • KCI등재

        일반논문 : 낙오자와 영원인 -서정주의 신라 기획과 전율의 시학-

        정영진 ( Young Jin Jeong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1

        서정주는 당대의 허무주의를 현대 서구문명의 병폐로 이해했으며 신라정신을 통해 이 문제를 극복하고자 했다. 이 글에서는 우선 서정주의 신라정신이 그가 상상한 신라 사회에서 어떤 방식으로 기능하고 있었는지 살펴봄으로써, 서정주의 신라 기획이 사회문화적 가치체계로서 제안된 것이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서정주가 상상한 신라 사회는 현실규범과 현실논리에서 낙오한 이들이 영원성의 세계 속에서 재생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사회였다. 이 ‘낙오자’들은 비록 현실로 복귀할 수 없지만 영원성의 세계에 거주하면서, 신라인들에게 영원성의 세계를 현시한다. 즉, 그의 신라 기획은 사회통합적 성격을 내포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서정주의 시에는 이러한 신라사회의 모습이 전혀 드러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서정주는 서구정신과 신라정신의 대립이나, 현실세계와 영원성의 세계의 관계 역시 시에서 다루지 않는다. 그의 시에서 신라의 ‘영원인’들은 현실사회에서의 낙오자의 성격이 삭제된 채, 사랑의 주체로 나타난다. 이들은 다만 새로운 앎과 감동을 소유하고 절대적 세계를 현시한다. 즉, 신라 기획의 일부만이 시에 바쳐졌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서정주의 시인식에 따른 결과이다. 서정주는 현대시가 ‘전격적 쇼크’ 혹은 ‘전율’로 체험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신라 기획의 사상적 성격을 모두 제거하고, 불사(不死)의 이미지로 전형화 된 영원성의 세계만을 시화(詩化)했다. 불사의 이미지들은 현실 전부를 점유해버리는 현실초과의 성격을 띠는데 이로 인해 그것은 영원성으로 감각된다. 다시 말하면 현실에서의 절대성이 영원성으로 치환되고 있는 것이다. 서정주 시(중기시)의 개성(스타일)의 확립은 신라정신이라는 보편적 사상 기획에 근거한 것이기는 했지만, 동시에 순수시에 대한 신념과 현대사회에서의 시의 효과에 대한 그의 시인식에 따라 신라 기획의 일부만을 미학화 한 결과였다. Seo Jeong-ju understood nihilism at the time as a social ill of modern western civilization, and sought to overcome this problem through the Silla spirit. This article seeks to show that the Silla planning of Seo Jeong-ju was suggested as a sociocultural value system by examining how Seo Jeong-ju`s Silla spirit was functioning in the Silla society he imagined. The Silla that Seo Jeong-ju imagined was a society allowing those who failed in terms of the norms of reality and logic of reality to be born again within the world of eternity. Although these losers may not return to reality, they could show the world of eternity to the people of Silla, while residing in the world of eternity. Seo Jeong-ju`s Silla planning implied a character of social integration. However, Seo Jeong-ju`s poetry do not reveal such features of the Silla society at all. Not only that, Seo Jeong-ju does not deal with the conflict between the western spirit and Silla spiri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of reality and world of eternity in his poetry. The ‘people of eternity’ of Silla appear as the main agents of love in his poetry, and these agents display an absolute world and possession of new knowledge and impression. Thus, in other words, only a part of the Silla planning has been dedicated to his poetry, which is a result of Seo Jeong-ju`s cognition on poetry. Because Seo Jeong-ju believed that modern poetry must be experienced through ‘lightning shock’ or ‘thrill’, he removed all ideological characters of Silla planning, and only treated the world of eternity, which was embodied through the image of immortality, in poetry. The establishment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tyle) of Seo Jeong-ju`s poetry (middle-period poetry) was based on the planning of a universal idea called Silla spirit, however, was also a result of treating only a part of the Silla planning aesthetically based on his cognition on poetry, concerning the effect of poetry in modern society and his principle on pure po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