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여고생의 신체불만족과 외모관리에 대한 질적 연구

        안진현,하지수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낮은 신체만족도를 보이며 두드러진 외모관리를 행하는 한국 여고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신체불만족과 외모관리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 거주 여고생 66명에게 한국판 청소년용 대상화된 신체의식척도(K-OBC-Y) 설문을 실시하여, 설문을 마친 여고생들의 K-OBC-Y 평균 점수인 38.08 이상의 높은 신체의식을 가진 10명의 여고생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국 여고생의 신체불만족과외모관리에 대한 심층 인터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들은 본인의 신체에 불만족을 표현하고 있었으며, 이는 사회문화적 영향요인인 부모, 또래, 미디어로부터 영향을 받아 형성된 신체부분별 구체적인 이상적 신체이미지로 인한 것이었다. 특히, 미디어는 여고생들의 신체불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나타났다. 둘째, 여고생들은 얼굴관리, 외모변형, 체중관리, 의복관리로 다양한 외모관리를 일상적이며 기본적인 것이라 인식하며 행하고 있었으나, 체중관리는 외모관리의 효용성을 낮게 평가하는 여고생에게서는 소극적으로 나타나는 차이를 보였다. 셋째, 여고생들의 외모관리는 신체불만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었으며, 외모관리를 통해 자신이 불만족하는 신체부위를 극복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 여고생의신체불만족과 외모관리에서 사회적 문제점 및 시사점을 찾고, 그들의 신체 이미지에 바람직한 사회와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립한다는 점과 향후 여고생의 긍정적인 신체 이미지를 구축하는 방향성 제시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의의를 가진다. 그리고 청소년의 신체불만족과 외모관리에 관해 단편적인 유형화와 가중치에 따른 영향력에 대해 양적인 통계 수치로 주를 이루는 연구들 사이에서, 양적연구로는 알 수 없었던 새로운 사실들을 파악할 수 있는 질적 연구가 향후 청소년의 외모 관련연구에서 활발히 이루어져야한다는 재고를 마련하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body dissatisfac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in Korean high school girls showing a lower level of body satisfaction and a higher level of appearance management. Hence, Korean version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for Youth(K-OBC-Y) was conducted for 66 high school girls in Seoul and in-depth interview was done for 10 high school girls having a higher level of body consciousness more than 38.08, average scores of K-OBC-Y for girls that completed a questionnaire. As for body dissatisfac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of Korean high school girls, findings from in-depth interview are as follows. Firstly, high school girls showed dissatisfaction with their body resulted from specific ideal bodily images influenced by their parents, peers and media. socio-cultural influential factors. In particular, it showed that media are factors having the greatest effect on body dissatisfaction of high school girls. Secondly, high school girls recognized various kinds of appearance managements including management of face, weight and clothing along with bodily transformation as the usual basic but showed difference in weight management less shown from high school girls who undervalued utility of appearance management. Thirdly, appearance management of high school girls had close association with body dissatisfaction and they tried to overcome their unsatisfactory bodily parts through appearance management.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identified social issues of and gave suggestions for body dissatisfac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of Korean high school girls, providing basic data for desirable social and media roles in their bodily images. Besides, It also has significance in that it gave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need of active qualitative research for adolescents.

      • 여고생의 식습관에 관한 연구

        김주현,정용진,이진만 東國專門大學 1995 金龜論叢 Vol.2 No.1

        본 연구는 대구시내 인문계와 실업계의 여고생 42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식습관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자의 나이의 평균치는 16.4세로 신장과 체중은 인문계 여고생이 실업계 여고생 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한편 BMI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BMI가 25이상인 여고생은 전체의 2.3%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23.6%가 아침식사를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업계 여고생이 인문계 여고생보다 유의적으로 더 아침식사를 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아침식사의 종류 역시 실업계 여고생이 유의적으로 더 간단한 식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업계 여고생이 인문계 여고생보다 식사의 불규칙성이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의 음식선정의 기준은 맛이 제일 우선적으로 작용되었고 전통음식 및 인스턴트 한식음료에 대한 평가정도는 대체로 긍정적이었다. 인문계 여고생이 실업계 여고생보다 전통음식에 대한 평가가 유의적으로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도시락 반찬의 경우 채소류의 기호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외식시 선호하는 음식의 경우 한식이 더 높게 선호되었고, 불고기를 공통적으로 가장 좋아하였다. 진학과 취업이라는 교육환경이 서로 다른 여고생 집단에서도 청소년들에게 쉽사리 발견되는 여러 불균형된 식생활 양상이 나타났다. 청소년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 체계적인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리라고 본다.

      • KCI등재

        여고생들의 속신에 나타나는 식생활 문화 연구

        김현경(Kim Hyun-Kyung) 실천민속학회 2011 실천민속학연구 Vol.18 No.-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속신에 대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7천 5백여 건의 속신 가운데 식생활 문화에 관련된 속신들을 선별하여, 여고생 속신에 나타나는 식생활 문화를 연구하였다. 여고생 속신에서 나타나는 식생활 문화는 크게 음식, 그리고 식기 및 식사예절의 두가지로 구분된다. 여고생 속신에서 이야기 되는 음식으로는 체리, 초콜릿, 사과, 미역국, 엿에서부터 일상에서는 먹을 수 없는 공부한 종이, 사전이나 공부 잘하는 아이의 침, 전교 1등의 머리카락 등이 있다. 한편 여고생 속신에서 이야기 되는 식기와 식사예절로는 수저와 그릇 그리고 음식을 먹는 방법과 음식을 먹을 때나, 먹은 직후에 하는 행동 등이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속신에 나타나는 식생활 문화 요소들을 통해 과거 성인들을 대상으로 조사된 속신 안에 나타나는 식생활 문화와 비교 하고, 여고생 속신 안에 나타나는 식생활 문화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첫 번째로 여고생 속신에서는 과거 성인들의 속신에는 보이지 않는 음식과 도구들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식생활 환경의 변화에 따라 여고생들 사이에서는 현재도 끊임없이 새로운 속신이 만들어 지고 있다. 두 번째로는 속신을 통한 식사예절의 전승은 꾸준히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여고생들 스스로도 그것의 교육적 기능을 인식하고 있으며 후대에 대한 전승의지를 보이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여고생들은 속신에서 이야기 하는 음식들을 먹고, 안먹고를 결정 할 때 속신에 대한 신앙적 믿음 보다는, 민간지식을 동원한 검증을 통해 이를 판단하고자 한다. 속신에서 이야기되는 음식이 또래들 간의 정보나 인터넷 등 대중매체를 통해 검증 될때, 일상의 행동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s a result of research about highschool girl’s folk beliefs which are related with daily dietary culture. For this research I surveyed and had a interview with highschool girls. As a result of survey, could take 7,500 examples about concerned our theme. Dietary culture in highschool girl's folk belief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one is food. The other is tableware and table manners. Through these outcomes we compared with traditional dietary culture of the old generation. The first result of this comparative research is appearance of new foods and tools. Though the second is continuously tradition of table manners. Finally we remarked that today's highschool girls regarded traditional religious foods as a folk knowledge and pseudo-science one.

      • KCI등재

        여고생의 하루

        지연정(Yeonjeong Ji),김병주(Byoungjoo Kim)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5 No.-

        본 연구는 여고생의 하루에는 어떠한 일들이 일어나는지를 탐색하여 여고생들이 일상생활의 삶에 대해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지를 심층적으로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는 학교 및 일상생활을 살아가는 여고생의 하루를 통해 학생들의 삶과, 교사 및 학교의 잠재적인 가치에 대해 더 깊고 복합적인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문제는 ‘여고생의 하루에는 어떠한 일들이 일어나며, 이들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이다. 이러한 연구목적과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여고 1학년 1명, 2학년 3명, 3학년 1명으로 총 5명이다. 여고생들의 학교생활과 일상생활 경험을 관찰기록하고,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해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새벽의 주인들’, ‘여고생들의 학교생활 법칙’, ‘배움’으로 제시하였으며, 이들을 중심으로 교육제도 및 교육장면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deep understand of the complex potential value of students and school life through a day of high school girls living in schools and everyday life. Specific research question is to discover the meaning of experience regarding a day of high school girls. To achieve this purpose, narrative inquiry method was adapted. As research participants, five students of first-year, second-year, and third-year each in girls’ high schools were selected. High school girls’ daily school life experienc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observations an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e analysis shows that ‘owners of dawn’, ‘law of school life’, and ‘learning and study’ to present by way of life want to display a high school girls.

      • KCI등재

        무용전공 여고생의 완벽주의가 자기관리 및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

        신혜경 한국무용학회 2020 한국무용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무용전공 여고생의 완벽주의가 자기관리 및 무용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용을 전공하는 여고생 429명의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IBM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Cronbach's α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무용전공 여고생 의 완벽주의가 자기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 여고생의 완벽주의가 무용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 여고생의 자기관리가 무용몰입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perfectionism on self-management and commi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429 female high 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were analyzed with the questionnaire. The IBM SPSS 21.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perfectionism of high school girls majoring in dance influenced on self-management significantly. Second, perfectionism of high school girls majoring in dance influenced on commitment in dance significantly. Third, self-management of high school girls majoring in dance influenced on commitment in dance significantly.

      • KCI등재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폭식행동 간의 관계에서 우울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

        김종운(Kim Jong Un),양민정(Yang Min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여고생의 스트레스, 자기자비, 우울, 폭식행동 간의 구조적인 인 과관계와 직?간접효과를 규명하는 것으로,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여고생 450명을 대상으로 폭식행동, 스트레스, 자기자비, 우울을 측정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434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고 SPSS 21.0과 AMOS 20.0 프로그램 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 절차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 의 스트레스는 폭식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자기자비는 부적, 우울은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셋째,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다. 넷째, 여고생의 스트레스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자기자 비와 우울은 순차적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여고생들의 폭 식행동 발생 감소를 위해 자기자비적 태도를 함양하고 우울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 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compassion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binge eating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434 students were selected from 7 female high schools in Seoul. Stress Scale, Self-Compassion Scale, Depression Scale, Binge Eating Scale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the data have been analyzed by using SPSS 21.0 and AMOS 20.0.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and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at stress dosen t have a direct effect, but self-compassion and depression have a direct effect on binge eating. self-compassion has a positive effect and depression has a negative effect on binge eating. Second, it is found that stress don t have a direct effect on binge eating, but has a positive indirect effect through self-compassion. Third, it is found that stress don t have a direct effect on binge eating, but has a positive indirect effect through depression. Therefore, effective counselling strategies to reduce female high school student s binge eating who have no choice but not to face stress are required to improve self-compassion and reduce depression. Consequently, it means that the emotional regulation is very important to reduce binge eating.

      • KCI등재

        여고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도숙희(Suk Hee Do),주동범(Dong-Beom Ju,) 한국학부모학회 2022 학부모연구 Vol.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여고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기격려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시, D시, P시 3개 도시의 일반고 여자고등학생 367명을 대상으로 진로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기격려에 대한 기술통계분석과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Hayes가 제안한 매개모형의 절차에 따라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부모-자녀와의 의사소통과 자기격려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의 진로스트레스는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고생의 진로스트레스는 자기격려를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고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기격려가 완전 매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고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돕고, 자기격려를 잘할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하며, 여고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s and self-encouragement on the impact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str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is purpos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 career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parent-child communications, and self-encouragement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ariables were conducted for 367 femal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3 cities of B, D, and P citi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s and self-encouragement was analyzed by conducting path analysis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 mediating model proposed by Hay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femal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career stress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parent-child communications. Second, femal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career stress was found to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elf-encouragement. Third, parent-child communications and self-encouragement were completely mediated in the impact of femal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career str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it is necessary to help facilitate parent-child communications, intervene to improve self-encouragement, and develop various education and programs to enhanc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여고생의 입시준비와 학교생활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지연정(Ji, Yeon-Jeong),김병주(Kim, Byoung-Joo)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3

        본 연구는 여고생들의 학교생활을 집중 분석함으로써 여고생들이 경험하는 입시준비에 대 해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문제는 대학진학과 밀접하고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는 ‘여고생들의 입시준비와 학교생활에 관한 경험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이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여고생들이 당면한 과제인 입시준비 과정과 이러한 과정 속에서 경 험하는 전반적인 삶의 경험을 탐색하고자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여고 1학년, 2학년, 3학년 각 1명씩 총 3명으로 선정하였다.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해서 3년만 참으면 된다는 이들의 이야기를 통하여 여고생을 마라토너 에 비유해 볼 수 있었다. 고등학교에 입학해서 수능(대학수학능력시험)과 대학입학이라는 결 승지점까지 장시간 동안 레이스를 펼치는 이들의 모습이 마라토너와도 같았기 때문이다. 이 에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의 입시준비에 관한 이야기를 ‘장거리 운동선수의 삶’에 비유하여 내러티브를 구성하였다. 여고생들이 마라톤을 시작하면서 완주하기까지 코스에서 부딪치는 여러 가지 경험을 통해 교육행정학적 차원에서 이들을 도울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high school girls are preparing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 by narrative inquiry. Specific research question is to discover the meaning of experience regarding the college entrance exam preparation and school life of high school girls. To achieve this purpose, narrative inquiry method was adap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ree students of first-year, second-year, and third-year each in girls' high schools were selected. With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high school girls by their narrative story, we found that they are living in a speeding life. With the narrative that withstanding the distress of three year high school life is good for entering a better college, we could compare their life to marathoner of marathon. Because their appearance having race from entering high school to the final point of SAT(Scholastic Aptitude Test) for the long time is similar to runners of marathon. This narrative was composed by the metaphor to talk about the in the 'life of the long-distance athletes marathon'. This study composed the narrative about entrance examination preparation of participants by the metaphor of 'a life of the long-distance marathoner'.

      • KCI등재

        여고생의 신체에 대한 수치심과 섭식행동 관계에서 자기용서의 매개효과

        이희진,한영주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6

        This research aimed at figuring out relations with factors influencing on eating behavior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verifying mediation effects of self-forgiveness on eating behaviors by body shame. This surve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410 female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Incheon, Gyeonggi, Deaje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eating behaviors and body shame mediated by self-forgive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below: self-forgiveness has meaningfully meditation effects in relations between body shame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eating behaviors. This means that high body shame directly influences on abnormal eating behaviors and indirectly as lowering the self forgivenes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esent directions of counseling intervention on eating disorder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s the age of people suffered from eating disorder is on the gradual decreas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counseling approach to enhance the self-forgiveness and counseling implication for the eating disorder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여고생들의 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토대로 신체에 대한 수치심이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용서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였다.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지역의 여고생들 410명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섭식행동, 신체수치심, 자기용서 변인들 간의 매개효과를 상정한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여고생들의 신체수치심과 섭식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용서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고생들에게 있어 높은 신체 수치심이 직접적으로 이상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신체수치심이 높을수록 자기용서를 낮춤으로서 이상섭식행동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점차 저연령화되고 있는 섭식문제에 대한 상담적 개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여고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섭식문제에 대한 요인으로 신체 수치심에 초점을 맞추었던 기존의 개입과 더불어 자기용서를 증진시키는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의의와 여고생들의 섭식문제에 대한 상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여고생의 대학진학결정과정에서의 정보요구분석

        김정선,조현정,백지연,서보람,김민정 한국취업진로학회 2016 취업진로연구 Vol.6 No.1

        이 연구는 여고생들이 대학진학을 결정하고 준비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정보를 얻는 지를 분석하여학생들이 그들의 기대에 부합하는 학교와 진로를 선택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여고생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와 수준, 방법 등을 파악하고, 현재 알고 있는 정보 수준과의 격차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 및 4년제 대학교 1학년 여대생 64명을 대상으로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여고생들의 입시정보 원천은 크게 대인관계 경로와 온라인 및 오프라인 매체 경로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학교 선생님, 학원 선생님, 학원 및 학교의 데이터베이스, 지인, 입시설명회, 인터넷 입시사이트, 대학교 브로슈어, 대학교 입학처 등을 통해 입시 정보를 얻고 있었다. 대학 입시 정보에 관해구체적으로 관심을 갖게 되는 시기는 고2 겨울방학에서 고3 초반과 수시 원서 접수 기간 전이었다. 여고생들이 주로 얻고자 했던 정보는 지원가능한 대학, 합격가능성, 수시 관련 정보 등으로, 대학 홈페이지 및 대학의 홍보물과 학원의 정보는 신뢰도 및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고등학교의 경우특히 신뢰도와 정확도의 측면에서 낮다고 학생들이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새로운 입시 정보 원천 경로의개발보다는 현재 사용되는 원천들의 정보 제공 시점이나 내용 등을 더 잘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추후에는 전국 단위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여고생들이 얻고자 했던 정보 중에 학과 관련 정보가 비교적 높은 비중을 차지했는데, 이는 직업 선택과 관련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정보 제공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고등학교 2학년 담임 및3학년 담임교사들이 이 시기에 집중적인 상담과 각 대학의 입시 정보 및 진로와 관련한 정보들을 상세히 제공할 필요가 있겠다. 마지막으로 각 대학에서는 수시 원서 접수 기간 전에 정보를 더 집중적으로제공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ccess the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selecting and applying colle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hat can help students select universities and career paths that meet their goals, and universities can leverage this information to effectively attract their targeting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dentifies the source, level, and delivery method of the information and analyzing the gap between what was identified and the status quo. This study conducted literature review and focus-group interviews of 64 female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The study found that th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gathered information on university admissions mainly through personal contacts and both online and offline media, including school teachers, private academy teachers, high school and academy databases, acquaintances, admissions information sessions, admissions-related websites, university brochures, and university admissions offices. The students were specifically interested in information on universities’ admissions during the winter vacation of their second year and the beginning of their third year of high school, in addition to universities’ occasional application periods. The information that th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ought mainly consisted of university application possibility, acceptance possibility, and relevant occasional admission information. The investigation of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the information sources suggests that the information from university and academy teachers was comparatively accurate, but the information from highs schools was low.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First, there is no pressing need to develop new sources of admissions-related information; rather, there is a need to better utilize the available sources by selecting the timing and nature of the information provided. Second, further study need to research for the nationwide students. Thir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anted to get the department information they apply, and this information is relatively with vocation selection. Therefore, we need to look for way to provide department information effectively. Fourth, female high school homeroom teachers need to provide eleventh and twelfth-grade students with focused counseling and detailed admissions-related information. Finally, universities need to focus their efforts on providing information during the occasional application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